맨위로가기

두문동칠십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문동 72현은 고려 말, 조선 건국에 반대하여 두문동에 은거한 72명의 충신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역사적 기록보다는 후대에 형성된 상징적 의미가 강하며, 1783년 서유방의 상소문에는 조의생, 임선미, 맹씨 3명의 이름만 언급되어 있다. 두문동 72현에 대한 기록은 《두문동실기》, 《두문동록》, 《두문동서원지》 등 다양한 문헌에 나타나며, 각 기록마다 포함된 인물에 차이가 있다. 두문동서원에는 120위의 인물이 봉안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공민왕 - 완풍대군
    완풍대군 이원계는 고려 말 무신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위화도 회군에 반대하다 사망 후 대군으로 추봉되었으며 홍건적과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워 완산군에 봉해졌고 조선 개국 후 완산백에 추봉, 여러 사당에 배향되었다.
  • 고려 공민왕 - 우왕
    우왕은 고려 제33대 국왕으로 공민왕의 아들이며, 이인임의 추대로 10세에 즉위하여 명덕태후의 섭정을 받았으나, 술과 여색에 빠져 국정을 소홀히 하고 왜구 침입, 명나라와의 관계 설정 문제, 요동 정벌 명령, 위화도 회군 등의 사건을 겪으며 폐위되어 처형되었다.
  • 고려의 문신 - 윤곤
    윤곤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건국 후 완산부윤, 대장군 등을 지냈고, 제2차 왕자의 난에 이방원을 도와 공신이 되었으며, 명나라 사신, 의정부 참찬, 이조판서를 역임한 문신, 무신, 정치인, 외교관이다.
  • 고려의 문신 - 태조 (조선)
    고려 말 무신으로서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는 뛰어난 리더십으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왕위 계승 갈등으로 인해 상왕으로 물러났다.
두문동칠십이인

2. 두문동 72현의 정의와 범위

'두문동 72현'이라는 명칭은 고려두문동에 은거하며 조선 건국에 반대하고 충절을 지킨 인물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하지만 실제로 72명이라는 명확한 숫자가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1] 이 숫자는 공자의 뛰어난 제자 72명을 비유하여,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현인들을 높여 부르기 위해 후대에 만들어진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다.[2]

실제로 두문동에 은거했던 인물들의 수나 명단은 기록마다 차이가 있으며, 정확히 누구를 '72현'으로 지칭하는지에 대한 통일된 기준은 없다. 따라서 '두문동 72현'은 특정 72명의 인물을 지칭한다기보다는, 고려 왕조에 대한 절개를 지킨 선비 집단을 통칭하는 표현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3]

3. 두문동 72현 관련 기록

두문동칠십이인 이야기는 고려 왕조에 대한 충절을 지킨 인물들의 상징으로 전해 내려오며, 이들에 대한 기록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기록들은 두문동 72현 전설의 형성 과정과 역사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주요 기록으로는 조선 정조 대인 1783년 개경부유수 서유방이 올린 상소문이 있으며, 이후 간행된 《두문제현충렬록》과 1928년 김진근이 펴낸 《두문동록》 등에는 두문동에 은거했거나 고려에 충절을 지킨 인물들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기록에 등장하는 인물 명단은 서로 차이를 보이며, 실제로 두문동에 은거하지 않은 인물이 포함되거나 누락된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2012년에는 두문동서원에 배향된 인물들을 정리한 《두문동서원지》의 번역본이 발간되기도 하였다. 각 기록의 구체적인 내용과 포함된 인물 명단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개경부유수 서유방의 상소문 (1783년)

1783년 개경부유수 서유방의 상소문에 의하면, 두문동 태학생 72인 중에 이름이 전해지는 사람은 조의생, 임선미와 맹씨 뿐이라고 하였다.[6]

3. 2. 《두문제현충렬록》

《두문동실기》〈두문제현충렬록(杜門諸賢忠烈錄)〉에는 '두문동에 들어갔다(入杜門洞)'거나 '두문동에 살았다(居杜門洞)'고 기록된, 두문동과 관련된 인물들이 아래와 같이 기록되어 있다. 각 인물의 호와 이름 순서로 기재하였다. (두문동에 들어갔다는 기록이 없거나 다른 지역에서 은거한 것이 명확한 인물은 제외하였다.)

이름비고
변숙(邉肅)
송암(松庵)박문수(朴門壽)
송은(松隱)구홍(具鴻)
두문자(杜門子)성사제(成思齊)[11]시호 정절(貞節), 보문각 직제학 역임
원촌(遠村)조의생(曺義生)
휴암(休庵)임선미(林先味)
고천상(高天祥)
뇌은(耒隱)전귀생(田貴生)
천은(川隱)이맹운(李孟芸)
조은(釣隱)류구(柳玽)
경은(畊隱)전조생(田祖生)
덕곡(德谷)조승숙(趙承肅)
다의당(多義堂)채귀하(蔡貴河)
신답(新畓)서보(徐輔)
농은(農隱)민안부(閔安富)
양촌(陽村)원선(元宣)
건곡(虔谷)조유(趙瑜)
용호(龍湖)맹호성(孟好性)
인재(獜齋)이종학(李種學)
안종약(安從約)
백죽(栢竹)배상지(裵尙志)
민보문(閔普文)
순은(醇隱)신덕린(申德鄰)
동포(東蒲)맹희도(孟希道)
신순(申珣)
수은(樹隱)김충한(金沖漢)
행촌(杏村)윤규(尹珪)
미산(眉山)성부(成溥)
신우(申㙖)
정광(程廣)
쌍회당(雙檜堂)도동명(陶東明)
이우당(二憂堂)이경(李瓊)
복애(伏崖)국유(鞠襦)
백헌(栢軒)전신(全信)
현계생(玄繼生)
김진문(金振門)
창주(滄洲)문중계(文中啓)
변옥란(卞玉蘭)
벽은(僻隱)유번(柳藩)
적암(積巖)서중보(徐仲輔)
악은(岳隱)노신(魯愼)
퇴우당(退憂堂)신익지(申翼之)
신기(申淇)


3. 3. 《두문동록》 (1928)

김진근(金振根)이 1928년에 펴낸 《두문동록(杜門洞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여조병절신칠십이인록(麗朝秉節臣七十二人錄)〉에는 고려 말기에 충절을 지킨 신하 72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다만, 이 명단에는 실제로 두문동에 은거하지 않은 인물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인물인물인물
박문수(朴門壽)길 재(吉 再)[12]이양중(李養中) (형조참의)
성사재(成思齋)이 유(李 裕)김영비(金英庇)
조의생(曺義生)조 견(趙 狷)송 주(宋 柱)
임선미(林先味)원 보(元 寶)변귀수(邊龜壽)
고천상(高天祥)이수인(李守仁)윤 규(尹 珪)
전귀생(田貴生)정희량(鄭熙良)김 준(金 俊)
이숭인(李崇仁)김충한(金沖漢)안종약(安從約)
전조생(田祖生)이종학(李種學)허 금(許 錦) (전리판서)
구 홍(具 鴻) (좌시중)최 해(崔 瀣)박 침(朴 忱)
이맹예(李孟藝)원천석(元天錫)배상지(裵尙志)
유 순(柳 珣)김진양(金震陽)국 유(鞠 襦)
우현보(禹賢寶)이반계(李攀桂)이유인(李惟仁)
조승숙(趙承肅)김 주(金 澍)민보문(閔普文)
채귀하(蔡貴河)최 양(崔 瀁)성(成) (이름 결락)
서중보(徐仲輔)전오륜(全五倫)이 륜(李 倫)
변 숙(邊 肅)김약시(金若時) (직제학)차(車) (이름 결락)
박 령(朴 寧)김자수(金自粹)엄(嚴) (이름 결락)
박 심(朴 諶)이사경(李思敬)민안부(閔安富)
신 안(申 晏)이수생(李遂生)장(張) (이름 결락)
고천우(高天祐)조 공(趙 珙)김 엽(金 燁)
조안경(趙安卿)남을진(南乙珍) (참지문하부사)설 응(薛 凝)
정몽주(鄭夢周)이 행(李 行) (대제학)박 익(朴 翊)
박태검(朴泰儉)서 견(徐 甄)함부열(咸傅說) (공양왕 2년 예부상서)
이 색(李 穡)임 탁(林 卓)악은 심원부(岳隱 沈元符) (전리판서)


3. 4. 《두문동실기》, 《두문동록》 누락 인물

신라박씨 충헌공파 대종회에서 제시한 72현인 목록[1]과 대조했을 때, 성사제(成思齊)는 국문 표기 문제, 민보(閔普)는 마지막 글자 누락 문제로 간주하여 제외하고, 《두문동실기》와 《두문동록》에 누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비고인물비고인물비고
정희(鄭熙)차원조(車元覜)박의중(朴宜中)대사성
조홍(趙洪)최문한(崔文漢)충숙왕 부마이양소(李陽昭)
김육비(金六庇)신석(申釋)병부랑박태시(朴太始)
윤육(尹陸)신자악(申自嶽)길인적(吉仁迪)
이석지(李釋之)김위(金瑋)신이(申彛)판도판서
임척(林隲)신포시(申包翅)반모(潘某)


3. 5. 《두문동서원지》 (2012)

재령 이씨 창원종친회에서 2012년 10월 발행한 《초역 두문동서원지》에 따르면, 두문동 서원에 배향된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이 번역본의 출간을 기념하여 재령 이씨 모은공파 대종회는 2013년 1월 17일 함안문화원에서 발간 기념회를 열었다.[13]

두문동 서원은 표절실(表節室), 순절실(殉節室), 항절실(抗節室), 정절실(靖節室)의 4실 22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절실에서는 두문동 72현을 순절반, 항절반, 정절반으로 나누어 배향하고, 순절실, 항절실, 정절실에서는 각각 순절반, 항절반, 정절반으로 나누어 두문동 외 제현을 배향한다.[14] 서원에 배향된 인원은 두문동 72현 55위와 두문동 외 제현 65위로, 총 120위이다.[14] 각 실과 반에 따른 봉안 위수는 아래 표와 같다.

구분봉안위수소계총계
두문동 72현표절실순절반1755120
항절반31
정절반7
두문동 외 제현순절실순절반1165
항절실항절반34
정절실정절반20

[14]

4. 두문동 72현 명단 (종합)

성명본관관직시호비고
박문수松菴竹山찬성사(贊成事)충현(忠顯)초명(初名)은 문주(門柱)
임선미休菴淳昌태학생
조의생遠村昌寧태학생
맹호성龍湖新昌태학생
성사재杜門子昌寧보문각직제학정절(貞節)
조대운山狂昌寧문하시중
신익지退憂堂平山이부상서
신이愼歸齋平山판도판서(版圖判書)
신우平山판문하성사(判門下省事)
국유伏崖潭陽호부상서(戶部尙書)
고천상開城밀직사(密直使)
심원부岳隱靑松전리판서(典理判書)민안부의 처조카
이경二憂堂河濱목사(牧使)
서중보積巖長城봉정대부(奉正大夫)
신순平山직랑(直郞)
신기平山온수감(溫水監)
현계생義昌태학생

[14]

성명본관관직시호비고
김충한樹隱慶州예의판서(禮儀判書)문민(文敏)
민안부農隱驪興예의판서(禮儀判書)심원부의 고모부
이치漁隱陜川보문각직제학초명(初名)은 감(敢)
전귀생耒隱潭陽보문각대제학문혜(文惠)
이유海隱瓮津전객서령(典客署令)초명(初名)은 덕유(德裕)
구홍松隱綾城문하시중문절(文節)초명(初名)은 성두(成斗)
곽추仰天齋淸州예문관제학문량(文良)
송인松村南陽문하시중
고천우開城도총제(都摠制)고천상(高天祥)의 제(弟)
전오륜採薇軒旌善전법판서(典法判書)
채귀하多義堂仁川호조전서(戶曹典書)정의(貞義)
박침密陽호조전서(戶曹典書)
이맹운川隱瓮津호조전서(戶曹典書)이유(李裕)의 자(子)
변숙慕麗堂原州호조전서(戶曹典書)문절(文節)
조안경孤竹齋成安호조전서(戶曹典書)
서보新畓利川공조전서(工曹典書)
박심海隱沔川공조전서(工曹典書)초명(初名)은 용고(用吉)
박영法村공조전서(工曹典書)
범세동伏崖瑯揶덕영부윤(德寧府尹)문충(文忠)
신안(申晏)黃衣翁平山종부시령(宗簿寺令)
원선陽村原州판삼사좌윤(判三司左尹)
조승숙(趙承肅)德谷成安부여감무(扶餘監務)
신감(申鑑)平山집현전랑(集賢殿郞)본관을 평산으로 명시
성부眉山昌寧형부총랑(刑部摠郞)
김약시(金若時)陰村光山진현관직제학충정(忠定)
조유도(曺由道)昌寧보문각직제학조대운(曺大運)의 자(子)
도동명(陶東明)雙檜堂順天남대장령(南臺掌令)
임탁(林卓)羅州해남감무(海南監務)
이명성(李明誠)松隱公州감찰어사(監察御史)문성(文成)
이오茅隱載寧진사
이수생(李遂生)尊庵遂安생원

[14]

성명본관관직시호비고
배상지柏竹堂興海판사복사사(判司僕寺事)
변윤草溪문하평리(門下評里)
이유인安城밀직부사
채옥택平康영호군(領護軍)
최문한忠齋江陵판군기시사(判軍器寺事)
이탕휴寧川한림학사
허징陽川용진현령(龍津縣令)

[14]

성명본관관직시호비고
정몽주圃隱延日문하시중문충(文忠)문묘(文廟)에 배향(配享)
이숭인陶隱星州보문각제학문충(文忠)
이종학麟齋韓山추밀학사이색(李穡)의 자(子)
신득청理猷軒平山이부상서
김진양草屋子慶州산기상시(散騎常侍)
김자수桑村慶州도관찰사(都觀察使)
손등密陽부사(府使)
하경晋州헌납(獻納)
홍노敬齋缶溪한림학사
이초旌善중랑장(中郞將)
차원부雲巖延安정언(正言)

[14]

성명본관관직시호비고
이색牧隱漢山한산부원군(漢山府院君)문정(文靖)
길재冶隱海平문하주서(門下注書)문절(文節)
최윤덕遜菴耽津영도첨의(領都僉議)
최첨노石溪慶州내시령(內侍令)
도응靑松堂星州찬성
공은孤山曲阜문하시랑
이중인龍仁문하시중
이옹釣隱牙山문하시중
남을진丙齋宜寧참지문하(參知門下)
장안세松隱仁同덕영부윤(德寧府尹)충정(忠貞)
맹희도東浦新昌한성윤(漢城尹)맹유(孟裕)의 자(子)
최양晩六堂全州보문각대제학충익(忠翼)
조호檜谷平壤보문각대제학
최유강杜老慶州전법판서(典法判書)
박덕공竹山도총제(都摠制)박문수(朴門壽)의 재종질(再從姪)
조열琴隱咸安공조전서(工曹典書)
문익점三憂堂南平대사성충선(忠宣)
김사렴梧隱安東안렴사
신우(申祐)退齋鵝洲안렴사
손효정密陽좌윤(左尹)
이옥陽城강릉절제사(江陵節制使)정절(靖節)
이린東岡原州종부시령(宗簿寺令)
박익松隱密陽예부시랑충숙(忠肅)초명(初名)은 천익(天翊) 구홍(具鴻)의 생질(甥姪)
최이遯翁慶州온수감무(溫水監務)
조유虔谷玉川전농시부정(典農寺副正)
옥사온正隱宜春진현관제학
허기湖隱金海중랑장(中郞將)
정희默隱河東진현관직제학
서견竹松塢利川장령(掌令)
윤충보驪江茂松안성군사(安城郡事)
최원保勝水原종부시사(宗簿寺事)
신포시壺村高靈진사신덕린의 자(子) 김충한의 서(婿)
원천석耘谷原州진사
이양소(李陽昭)琴隱順天진사문열(文烈)

[14]

5. 두문동 72현의 역사적 의의와 현대적 재조명

(내용 없음)

참조

[1] 웹인용 고려시대의 제도 고려충신 72현 http://chungheongong[...] 신라박씨 충헌공파 대종회 2017-02-15
[2] 문서 고려충열록
[3] 문서 광산김씨족보 권1'서문 고려두문동72현선생제명기'(1898년)
[4] 뉴스 파주통일동산 '고려통일대전 30일 준공'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5] 웹사이트 고려대전 충신각 http://www.koryo.or.[...]
[6] 서적 정조실록 1783-07-14
[7] 서적 순조실록 1810-09-10
[8] 웹사이트 UC Berkeley 소장 링크 http://kostma.korea.[...]
[9] 문서 조선말에 재간한 두문동선생실기에는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김굉의 발문이 있고, 속록에는 성대진(成大璡)과 한주(寒州) 이진상(李震相)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ㆍ국립중앙도서관ㆍ연세대학교 도서관ㆍ경북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10] 웹사이트 고려대전 충신각 배향위 현황 http://www.koryo.or.[...]
[11] 웹사이트 절개의 뜻을 굽히지 않기 위해 독자인 아들의 이름을 두문동의 첫 자인 두(杜)로 고치고, 아들 '두'를 관향인 창녕으로 피신시켰다. 성두(成杜)의 후손들이 후일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곽재우 가문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조선을 지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http://wisrl.kaist.a[...]
[12] 문서 길재: 안향,우탁,신현,정몽주의 고려 성리학 대통을 조선 사림성리학으로 잇는 조선 사림 성리학의 시조이다. 고려 멸망 후 고향인 영남으로 내려와 후학을 양성하였는데 이 고려 성리학의 사림적 학맥은 길재의 제자 강호(江湖) 김숙자(金叔滋), 김숙자의 아들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 김종직의 제자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과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김굉필의 제자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로 이어진다. 한훤당 김굉필의 제자인 한양 출신 정암 조광조가 바로 이 영남 사림의 맥을 기호 지역으로 전파하여 조광조의 제자 청송(廳松) 성수침(成守琛)과 휴암(休庵) 백인걸(白仁傑) 그리고, 성수침의 아들 우계(牛溪) 성혼(成渾, 후일 소론), 백인걸의 제자 율곡(栗谷) 이이(李珥, 후일 노론)로부터 기호 사림이 형성된다. 영남우도에서는 김숙자(金叔滋), 김종직(金宗直), 김일손(金馹孫), 정여창(鄭汝昌), 김굉필(金宏弼) 등의 학맥을 이어받아 창녕 조씨인 남명 조식을 통해 남명학파가 형성된다. 한편, 영남좌도에서는 회재 이언적과 퇴계 이황의 독자적 학문 성취로 퇴계학파가 형성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중후기를 이끈 조선 4대 성리학파인 남명학파 (북인), 우계학파 (소론), 퇴계학파 (남인), 율곡학파 (노론) 모두 순절 고려 충신 정몽주와 그 제자 길재에 뿌리를 두고 있다. 결국, 이방원과 정도전이 아닌 선죽교에서 순절한 정몽주가 조선의 정신을 지배하였다.
[13] 뉴스 재령이씨 국역 두문동서원지 발간 http://hanews.co.kr/[...] 함안인터넷신문 2013-01-29
[14] 서적 초역 두문동서원지 http://jaeryoung.com[...] 재령이씨 창원종친회 20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