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벤더 오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벤더 오일은 증기 증류를 통해 생산되며, 불가리아, 프랑스, 중국 등에서 주로 생산된다. 향수, 아로마 테라피, 피부 적용 등에 사용되지만, 임상적 이점은 제한적이다. 마사지 요법에 사용될 수 있으나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매 치료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불안 장애 치료에 대한 연구가 있지만, 연구의 한계로 인해 효과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라벤더 오일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내분비 교란 물질일 수 있고, 섭취 시 독성이 있으며, 피부 자극 및 약물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라벤더 오일의 주요 성분은 리날롤과 리날릴 아세테이트이며, 종에 따라 성분 구성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향유 - 후추
후추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인 후추나무 열매를 말린 향신료로, 수확 및 가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전 세계 요리에 널리 사용된다. - 방향유 - 두송자
두송자는 진의 어원과 관련 있는 노간주나무속 식물 열매로, 다양한 식물 화학 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식용으로 사용되는 일부 종은 북유럽 요리나 술의 향료로 쓰이며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는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임산부나 특정 질환자에게는 위험할 수 있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막글 틀에 과도한 변수를 사용한 문서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전향
전향은 종교적 개종이나 노선 변경을 의미하며, 근대 이후 정치적 이념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로 확장되어 개인의 신념 변화, 정치적 압력 등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하며, 사회주의·공산주의로부터의 전향, 전향 문학, 냉전 시대 이후의 전향 현상 등을 폭넓게 논의한다. - 토론 이름공간 토막글 - 포토마스크
포토마스크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인쇄 회로 기판 제조 시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전사하는 마스크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며 융용 실리카 기판과 금속 흡수막을 사용하고 위상 천이 마스크, EUV 마스크 등의 고급 기술이 개발되어 반도체 미세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높은 제작 비용과 기술적 어려움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라벤더 오일 |
---|
2. 생산
라벤더 오일은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며, 불가리아, 프랑스,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6][7]
2. 1. 생산 과정
순수한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증기 증류를 통해 생산된다.[4][1] 이는 극성 화합물의 손실을 줄여, 다른 방법에 비해 더 많은 양의 오일을 생성한다.[2] 일반적으로 6월 말에서 8월 사이에 라벤더 꽃을 수확한다.[3] 잘린 라벤더 꽃과 줄기는 라벤더 증류기에 압축된다. 그런 다음 보일러를 사용하여 라벤더 꽃이 채워진 증류기 바닥을 매우 낮은 압력으로 증기로 찐다.[4] 오일을 함유한 라벤더 꽃 주머니는 이 가열 과정에서 파괴되고, 차가운 물 파이프가 증류기 중앙으로 통과한다.[4] 뜨거운 라벤더 오일 증기는 찬 물과 함께 차가운 파이프에 응축되어 보관 탱크에 모여 침전된다.[4] 물과 오일의 극성 및 밀도 차이 때문에 이 두 물질은 보관 탱크에서 분리되며, 물은 배출되고 라벤더 에센셜 오일만 남게 된다.[5]3. 용도
라벤더 오일은 향수, 아로마 테라피, 피부 적용으로 사용되어 왔지만,[8] 임상적인 이점은 없다.[12] 스파이크 라벤더 오일은 증류된 테레빈유가 널리 사용되기 전 유화의 용매로 사용되었다.[13]
3. 1. 아로마테라피 및 마사지
라벤더 오일은 향수, 아로마 테라피에 사용되어 왔지만, 임상적인 이점은 없다.[12] 라벤더 오일은 피부에 직접 발라 이완을 유도하는 마사지 요법에도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12]3. 2. 의학적 효능 (논란)
라벤더 오일은 마사지 요법에서 직접적인 피부 접촉을 통해 이완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지만,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12] 치매 치료에 라벤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뒷받침하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9]2021년 메타 분석에서는 불안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5개의 연구를 포함했다. 5개의 연구 모두 라벤더 오일 캡슐 제조사에서 자금을 지원했으며, 그중 4개는 메타 분석의 저자 중 한 명이 수행했고,[10] 눈가림 실험 여부가 불분명했다.[11] 이 분석에서 하루 80mg의 경구 라벤더 오일 투여는 해밀턴 불안 평가 척도에서 불안 점수 감소와 관련이 있었다.[10] 미국 국립 보완 및 통합 건강 센터에 따르면, 불안 치료를 위해 경구 라벤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의 효과는 이러한 연구의 한계로 인해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12]
4. 잠재적 부작용 및 주의사항
라벤더 오일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져 있지만,[14] 피부에 바를 경우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18]
4. 1. 내분비 교란 가능성
일부 연구에서는 라벤더 오일이 어린이의 유방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내분비 교란 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5]4. 2. 독성 및 중독
라벤더 오일은 삼켰을 경우 유독할 수 있다.[16][17] 일반적으로 희석된 에센셜 오일 5ml는 성인에게 독성을 일으킬 수 있으며, 2ml~3ml는 어린이에게 독성을 일으킬 수 있다.[18] 뉴사우스웨일스에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라벤더 오일 중독 사례가 271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어린이가 차지하며, 이는 모든 에센셜 오일 중독 사례의 6.1%를 차지한다.[17] 라벤더 오일의 주요 독성 성분은 아세트산 리나릴과 리날로올이다.[16][19]라벤더 오일 섭취로 인한 중독 증상으로는 시야 흐림, 호흡 곤란, 목의 작열감, 눈 화상, 혼란, 의식 수준 감소, 설사, 복통, 구토, 발진 등이 있다.[16]
4. 3. 약물 상호작용
라벤더 오일 섭취는 항응고제, 스타틴, 항경련제 등과 약물 상호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20]4. 4. 피부 자극
라벤더 오일을 피부에 바르면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다.[18]5. 화학 성분
라벤더 오일의 식물 화학 물질 조성은 종에 따라 다르며, 주로 모노테르펜과 세스퀴테르펜 알코올로 구성되어 있다.[20]
5. 1. 주요 성분
리날롤(20-35%)과 리날릴 아세테이트(30-55%)가 주성분이며, 라반둘릴 아세테이트, 테르피넨-4-올, 라반둘롤, 1,8-시네올, 캠퍼, 리모넨, 탄닌도 포함되어 있다.[20] 라벤더 오일에는 일반적으로 100개 이상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농도가 매우 낮다.[20][21]크로마토그래피로 얻은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22]
과 | 조성 | 라벤더 오피시날 (라반둘라 앙구스티폴리아) | 라벤더 아스피크 (라반둘라 라티폴리아) |
---|---|---|---|
테르펜 / 모노테르페놀 | 리날롤 | 28.92 % | 49.47 % |
α-테르피네올 | 0.90% | 1.08% | |
γ-테르피네올 | 0.09% | ||
보르네올 | 1.43% | ||
아이소보르네올 | 0.82% | ||
테르피넨-4-올 | 4.32% | ||
네롤 | 0.20% | ||
라반둘롤 | 0.78% | ||
테르펜 / 테르펜 에스테르 | 32.98 % | ||
제라닐 아세테이트 | 0.60% | ||
네릴 아세테이트 | 0.32% | ||
옥텐-3-일 아세테이트 | 0.65% | ||
라반둘릴 아세테이트 | 4.52% | ||
테르펜 / 모노테르펜 | 미르센 | 0.46% | 0.41% |
α-피넨 | 0.54% | ||
β-피넨 | 0.33% | ||
캄펜 | 0.30% | ||
(E)-β-오시멘 | 3.09% | ||
(Z)-β-오시멘 | 4.44% | ||
β-펠란드렌 | 0.12% | ||
테르펜 / 테르페노이드 산화물 | ![]() 유칼립톨 (1,8-시네올) | 25.91 % | |
테르펜 / 세스퀴테르펜 | β-카리오필렌 | 4.62% | 2.10% |
β-파르네센 | 2.73% | ||
게르마크렌 | 0.27% | ||
α-휴물렌 | 0.28% | ||
케톤 | ![]() 캠퍼 | 0.85% | 13.00 % |
3-옥타논 | 0.72% | ||
크립톤 | 0.35% |
5. 2. 종에 따른 조성 차이
라벤더 오일의 식물 화학 물질 조성은 종에 따라 다르며, 주로 모노테르펜과 세스퀴테르펜 알코올로 구성되어 있다.[20] 리날롤(20-35%)과 리날릴 아세테이트(30-55%)가 우세하며, 라반둘릴 아세테이트, 테르피넨-4-올 및 라반둘롤, 1,8-시네올, 캠퍼, 리모넨, 탄닌도 포함되어 있다.[20] 라벤더 오일은 일반적으로 100개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농도가 매우 낮다.[20][21]크로마토그래피로 얻은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조성은 아래 표와 같다.[22]
과 | 조성 | 라벤더 오피시날 라반둘라 앙구스티폴리아 | 라벤더 아스피크 라반둘라 라티폴리아 |
---|---|---|---|
테르펜 / 모노테르페놀 | 리날롤 | 28.92 % | 49.47 % |
α-테르피네올 | 0.90% | 1.08% | |
γ-테르피네올 | 0.09% | ||
보르네올 | 1.43% | ||
아이소보르네올 | 0.82% | ||
테르피넨-4-올 | 4.32% | ||
네롤 | 0.20% | ||
라반둘롤 | 0.78% | ||
테르펜 / 테르펜 에스테르 | 리날릴 아세테이트 | 32.98 % | |
제라닐 아세테이트 | 0.60% | ||
네릴 아세테이트 | 0.32% | ||
옥텐-3-일 아세테이트 | 0.65% | ||
라반둘릴 아세테이트 | 4.52% | ||
테르펜 / 모노테르펜 | 미르센 | 0.46% | 0.41% |
α-피넨 | 0.54% | ||
β-피넨 | 0.33% | ||
캄펜 | 0.30% | ||
(E)-β-오시멘 | 3.09% | ||
(Z)-β-오시멘 | 4.44% | ||
β-펠란드렌 | 0.12% | ||
테르펜 / 테르페노이드 산화물 | 유칼립톨 (1,8-시네올) | 25.91 % | |
테르펜 / 세스퀴테르펜 | β-카리오필렌 | 4.62% | 2.10% |
β-파르네센 | 2.73% | ||
게르마크렌 | 0.27% | ||
α-휴물렌 | 0.28% | ||
케톤 | 캠퍼 | 0.85% | 13.00 % |
3-옥타논 | 0.72% | ||
크립톤 | 0.35% |
5. 2. 1. 라벤더 오피시날 (''라반둘라 앙구스티폴리아'')
Lavandula angustifolia영어 (라반둘라 앙구스티폴리아)종의 에센셜 오일은 리날릴 아세테이트 함량이 32.98%로 높고, 리날롤(28.92%), 테르피넨-4-올(4.32%), 라반둘릴 아세테이트(4.52%) 등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다.[22]과 | 조성 | 함량 |
---|---|---|
테르펜 / 모노테르페놀 | 리날롤 | 28.92 % |
α-테르피네올 | 0.90% | |
테르피넨-4-올 | 4.32% | |
네롤 | 0.20% | |
라반둘롤 | 0.78% | |
테르펜 / 테르펜 에스테르 | 리날릴 아세테이트 | 32.98 % |
제라닐 아세테이트 | 0.60% | |
네릴 아세테이트 | 0.32% | |
옥텐-3-일 아세테이트 | 0.65% | |
라반둘릴 아세테이트 | 4.52% | |
테르펜 / 모노테르펜 | 미르센 | 0.46% |
(E)-β-오시멘 | 3.09% | |
(Z)-β-오시멘 | 4.44% | |
β-펠란드렌 | 0.12% | |
테르펜 / 세스퀴테르펜 | β-카리오필렌 | 4.62% |
β-파르네센 | 2.73% | |
게르마크렌 | 0.27% | |
케톤 | 캠퍼 | 0.85% |
3-옥타논 | 0.72% | |
크립톤 | 0.35% |
5. 2. 2. 라벤더 아스피크 (''라반둘라 라티폴리아'')
(라반둘라 라티폴리아)모노테르페놀
리날롤
모노테르펜
모노테르펜
테르페노이드 산화물
유칼립톨
(1,8-시네올)
세스퀴테르펜
캠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