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항경련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경련제는 뇌전증 발작을 억제하거나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로, 항뇌전증제 또는 항발작 약물이라고도 불린다. 항경련제는 위약보다 효과가 있거나 기존 약물보다 효과가 입증되어야 승인받을 수 있으며, 종류로는 가바펜틴, 토피라메이트, 라모트리진, 레베티라세탐, 페람파넬 등이 있다. 뇌 신경 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는 다양한 기전을 통해 작용하며, 부작용과 임신 중 위험, 다른 약물과의 상호 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뇌전증 중첩 상태, 정신 증상 동반, 내과 질환 동반 등 특수한 상황에서의 치료 지침이 존재하며, 약물 치료 종료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있다.

2. 용어

항경련제는 모든 뇌전증 발작이 경련을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기 때문에 항뇌전증제(AED)라고도 불린다.[23] 또한 증상 치료만을 제공하며 뇌전증의 경과를 바꾸는 것으로 입증되지 않았기 때문에, 항발작 약물이라고도 불린다.[24]

3. 승인

항경련제의 승인 과정은 해당 약물이 위약보다 효과적이거나, 기존 약물보다 더 효과적임을 입증해야 한다. 단독요법(하나의 약물만 복용하는 경우)에서는 효과가 불확실한 신약에 대해 위약을 사용하여 임상 시험을 진행하는 것은 대부분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치료받지 않은 뇌전증 환자가 사망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의 모든 새로운 뇌전증 치료제는 초기에는 보조요법(추가 요법)으로만 승인된다.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뇌전증 환자(즉,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약물을 추가하여 발작 조절이 개선되는지 확인한다. 발작 빈도의 감소는 위약과 비교한다.[21] 기존 치료법에 대한 우월성 부족과 위약 대조 임상 시험의 부재로 인해, 초기 단독요법으로 FDA 승인을 받은 현대 약물은 거의 없다. 반면, 유럽은 기존 치료법과의 동등성만 요구하며 훨씬 더 많은 약물을 승인했다. FDA 승인을 받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신경학회와 미국 뇌전증 학회는 여전히 이러한 신약들을 초기 단독요법으로 권장하고 있다.[21]

4. 종류

항경련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약물은 작용 기전, 효과, 부작용 등이 다르다. 다음은 주요 항경련제의 종류이다.


  • 알데하이드:
  • 파랄데히드(1882): 가장 초기의 항경련제 중 하나로, 소생술 시설이 없는 경우 뇌전증 지속 상태 치료에 사용된다.[25][26]
  • 방향족 알릴 알코올:
  • 스티리펜톨: 2007년부터 드라베 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27][28][39][29]
  • 바르비투르산염: 중추신경계 (CNS) 억제제로 작용하여 진정부터 마취까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낸다.[30]
  • 페노바르비탈 (1912)
  • 프리미돈
  • 메틸페노바르비탈 (1935): 미국에서는 메포바르비탈로 알려져 있으며, 영국에서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 바르벡사클론 (1982): 일부 유럽 국가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벤조디아제핀: 최면제, 항불안제, 항경련제, 기억상실 및 근육 이완제 특성을 가진 약물 종류이다. 중추 신경 억제제로 작용하며, 장기간 사용 시 내성 및 의존성이 발생할 수 있다.[31][32][33][34]
  • 클로바잠 (1979): 월경성 뇌전증을 앓는 여성의 생리 전후 단기적으로 사용된다.
  • 클로나제팜 (1974)
  • 클로라제페이트 (1972)
  • 디아제팜 (1963)
  • 미다졸람
  • 로라제팜 (1972)
  • 니트라제팜
  • 테마제팜
  • 니메타제팜: 강력한 항경련제이지만, 부작용 발생률 증가와 강력한 진정 및 운동 장애 특성으로 인해 사용이 드물다.
  • 브로마이드:
  • 브롬화 칼륨: 1857년 간질에 대한 최초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개와 고양이의 항경련제로 사용된다.[1]
  • 카바메이트:
  • 펠바메이트 (1993): 효과적인 항경련제이나, 희귀하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된다.[35][36][37]
  • 세노바메이트 (2019)
  • 카복사마이드:



카바마제핀

  • 카바마제핀 (1963): 일반 의약품으로도 구매할 수 있는 대중적인 항경련제이다.
  • 옥스카바제핀 (1990): 카바마제핀의 유도체로 효능이 유사하며 내약성이 더 우수하다.
  • 에스리 카바제핀 아세테이트 (2009)
  • 지방산:
  • 발프로산염 — 발프로산, 발프로산나트륨, 디발프로엑스나트륨 (1967년)
  • 비가바트린 (1989년)
  • 프로가비드 (1987년)
  • 티아가빈 (1996년)
  • 과당 유도체:
  • 토피라메이트 (1995)
  • 가바펜티노이드: 전압-개폐 칼슘 채널을 차단하여 간질, 신경병성 통증 등에 사용된다.


  • -


  • -
  • 프레가발린 (2004)
  • 미로가발린 (2019) (일본에서만)
  • 가바펜틴 (1993)
  • 가바펜틴 에나카르빌 (호리잔트) (2011)
  • 가바펜틴 서방정 (그라리스) (1996)
  • 히단토인:
  • 에토토인 (1957년)
  • 페니토인 (1938년)
  • 메페니토인
  • 포스페니토인 (1996년)
  • 옥사졸리딘디온:
  • 파라메타디온
  • 트리메타디온 (1946)
  • 에타디온
  • 프로피온산염:
  • 베클라미드
  • 피리미딘디온:
  • 프리미돈 (1952)
  • 피롤리딘:
  • 브리바라세탐 (2016).
  • 에티라세탐.
  • 레베티라세탐 (1999).
  • 셀레트라세탐.
  • 석신이미드:
  • 에토석시미드 (1955년)
  • 펜석시미드
  • 메석시미드
  • 설폰아마이드:
  • 아세타졸아마이드 (1953년)
  • 술티암
  • 메타졸아마이드
  • 조니사미드 (2000년)
  • 트리아진:
  • 라모트리진 (1990).
  • 우레아:
  • 페네투라이드
  • 페나세미드
  • 발프로일아미드:
  • 발프로마이드
  • 발노크타미드
  • 기타:
  • 페람파넬
  • 스트리펜톨[39]
  • 피리독신 (1939)
  • 칸나비디올(CBD): 드라베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과 같은 희귀 뇌전증 치료에 사용된다.[116]

4. 1. 알데하이드

파랄데히드(1882)는 가장 초기의 항경련제 중 하나이다. 특히 소생술 시설이 없는 경우 뇌전증 지속 상태를 치료하는 데 여전히 사용된다.[25][26]

4. 2. 방향족 알릴 알코올

스티리펜톨은 2007년부터 드라베 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27][28][39][29]

4. 3. 바르비투르산염

바르비투르산염은 약물의 일종으로 중추신경계 (CNS) 억제제로 작용하며, 가벼운 진정부터 마취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은 항경련제로 분류된다.[30]

  • 페노바르비탈 (1912). 관련 약물인 프리미돈도 참조.
  • 메틸페노바르비탈 (1935). 미국에서는 메포바르비탈로 알려져 있다. 영국에서는 더 이상 판매되지 않는다.
  • 바르벡사클론 (1982). 일부 유럽 국가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페노바르비탈(PB) (상품명: 페노바르, 와코비탈, 루피아르, 노벨바르)

: 강직-간대 발작이 다른 약물로 멈추지 않는 경우 추가하면 효과가 있는 경우가 있다. 노벨바르의 정맥 주사 또는 점적, 또는 페노바르 근육 주사 등이 자주 사용된다. 반감기가 매우 길어 1일 1회 투여로 충분하다. 부작용인 소뇌성 운동 실조는 늦게 나타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페노바르비탈의 정맥 주사 제제는 오랫동안 존재하지 않았다. 혈관 내 투여로 페노바르비탈이 결정화되어 석출되어, 색전증을 일으킬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2008년 10월에 그 문제를 해결한 페노바르비탈의 정맥 주사 제제가 노벨바르이다.

;프리미돈(PRM) (상품명: 마이솔린, 프리무론)

: 국소 관련 간질에서의 이차성 강직-간대 발작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페노바르비탈이 무효라도 프리미돈이 유효한 경우가 있다.

;메탈비탈(상품명: 게모닐)

4. 4. 벤조디아제핀

벤조디아제핀은 최면제, 항불안제, 항경련제, 기억상실 및 근육 이완제 특성을 가진 약물 종류이다. 벤조디아제핀은 중추 신경 억제제로 작용한다. 벤조디아제핀의 이러한 각 특성의 상대적 강도는 매우 다양하며, 처방되는 적응증에 영향을 미친다. 장기간 사용은 항경련 효과에 대한 내성 및 의존성 발달로 인해 문제가 될 수 있다.[31][32][33][34] 이 종류의 많은 약물 중에서 뇌전증 치료에 사용되는 것은 몇 가지 뿐이다.

벤조디아제핀계 항경련제는 발작 유형에 관계없이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다만 근간대성 발작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내성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중증 근무력증, 급성 협우각 녹내장에는 금기이다. 장기 사용에 의해 내성과 의존성이 형성된다.[111][112][113][114]

뇌전증 치료에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은 다음과 같다.

  • 클로바잠(1979): 특히 월경성 뇌전증을 앓는 여성의 생리 전후 단기적으로 사용된다.
  • 클로나제팜(1974): 근간대성 발작에 효과가 있다. 1~3mg을 2회 분할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
  • 클로라제페이트(1972)
  • 니트라제팜
  • 테마제팜
  • 니메타제팜: 강력한 항경련제이지만, 부작용 발생률 증가와 강력한 진정 및 운동 장애 특성으로 인해 사용이 드물다.
  • 클로바잠 (상품명 마이스탄): 클로나제팜, 디아제팜 등 기존의 벤조디아제핀계 항간질약이 1,4-벤조디아제핀(1,4위에 N 원자를 가짐)인 것에 반해 클로바잠은 1,5-벤조디아제핀이다. 단독 투여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지만 카르바마제핀으로 억제가 되지 않은 복합 부분 발작에 추가 약물로 사용된다. 페니토인, 조니사미드에도 추가할 수 있다. 발프로산이 무효였던 특발성 전반 발작의 결신 발작에 효과가 있는 경우도 있다. 5mg/day부터 시작하여 30mg/day까지 증량할 수 있다.


뇌전증 중첩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은 다음과 같다.

  • 디아제팜(1963): 훈련된 간병인이 직장으로 투여할 수 있다. 중첩 상태의 첫 번째 선택 약물이며, 응급 의료 현장에서 자주 사용된다. 5mg씩 20mg까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디아제팜은 생리 식염수나 포도당액으로 혼탁해지므로 희석하지 않고 사용한다.
  • 미다졸람: 디아제팜의 대안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수용성 약물은 입 옆에 뿜어 넣지만 삼키지 않는다. 구강 점막에 의해 빠르게 흡수된다. 호흡 억제가 덜 나타나 중첩 상태에서 사용하기 쉽다. 10mg을 생리 식염수 20ml로 희석하여 서서히 정맥 주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미다졸람은 벤조디아제핀계 마취 유도제·진정제이며 수용성이므로 디아제팜처럼 희석에 의해 혼탁해지지 않고 정맥 내 투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미다졸람은 0.1~0.3mg/kg 정맥 주사 후, 0.05~0.4mg/kg/hr로 지속 정맥 주사한다.
  • 로라제팜(1972): 병원에서 주사로 투여한다.

4. 5. 브로마이드

브롬화 칼륨은 1857년 간질에 대한 최초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었다. 1912년 페노바르비탈이 등장하기 전까지 이보다 더 나은 약물은 없었다. 현재는 개와 고양이의 항경련제로 사용되지만, 사람에게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1]

4. 6. 카바메이트


  • 펠바메이트(1993). 효과적인 항경련제이나, 희귀하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부작용으로 인해 사용이 심각하게 제한되었다.[35][36][37]
  • 세노바메이트(2019).

4. 7. 카복사마이드



카복사마이드 계열 약물은 다음과 같다.

  • 카바마제핀(1963): 일반 의약품으로도 구매할 수 있는 대중적인 항경련제이다.
  • 옥스카바제핀(1990): 카바마제핀의 유도체로 효능이 유사하며 내약성이 더 우수하고 복제약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 에스리 카바제핀 아세테이트(2009)
  • 카바마제핀의 광 스위치 가능 유사체(2024)는 빛을 사용하여 국소적으로, 필요에 따라 약리학적 활성을 제어하도록 개발된 연구 화합물로, 전신 부작용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38] 이 화합물 중 하나(다리 결합 아조벤젠을 기반으로 한 카바디아조신)는 신경병성 통증의 쥐 모델에서 비침습적 조명으로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4. 8. 지방산


  • 발프로산염 — 발프로산, 발프로산나트륨, 디발프로엑스나트륨 (1967년)
  • 비가바트린 (1989년)
  • 프로가비드 (1987년)
  • 티아가빈 (1996년)


''비가바트린과 프로가비드는 GABA의 유사체이기도 하다.''

발프로산나트륨(VPA) (상품명: 데파켄, 발레린, 셀레니카R 등)은 특발성 전신 발작의 제1 선택 약물이다. 국소 관련 간질에서는 이차성 전신 발작에 의한 강직-간대 발작에 유효한 경우도 있다. 단독 투여 시 20mg/Kg/day 전후에서 유효 혈중 농도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 시작과 함께 구역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급격하게 증량하는 경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본태성 진전이 나타나 부작용 대책으로 β-차단제가 투여되기도 한다. 고암모니아혈증, 혈소판 감소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4. 9. 과당 유도체

4. 10. 가바펜티노이드



가바펜티노이드는 GABA의 유사체이지만 GABA 수용체에 작용하지 않으며, 전압-개폐 칼슘 채널을 차단하여 간질, 신경병성 통증, 섬유근육통, 하지 불안 증후군, 아편류 금단 증상 및 범불안 장애(GAD)등에 사용된다. 가바펜티노이드는 진통, 항경련 및 항불안 효과가 있다.

다음은 주요 가바펜티노이드이다.

  • 프레가발린 (2004)
  • 미로가발린 (2019) (일본에서만)
  • 가바펜틴 (1993)
  • 가바펜틴 에나카르빌 (호리잔트) (2011)
  • 가바펜틴 서방정 (그라리스) (1996)


2006년 이후 일본에서 가바펜틴, 토피라메이트, 라모트리진, 레베티라세탐 등이 신규 항간질약으로 승인되었다. 이들의 작용 기전은 시냅스 소포 방출 감소 외에는 기존 항간질약의 작용 기전을 조합한 것이다. 하지만 상호 작용, 일부 부작용은 경감되었다. 2016년 4월 AMPA 수용체 길항제인 페람파넬이 제조 승인되었다. 페람파넬은 신경 전달 물질 글루탐산에 의해 유도되는 간질 발작에 착안하여 개발된, 기존 약물과는 다른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이다.

가바펜티노이드의 작용 기전
물질명상품명GABA 수용체 증강전압 의존성 Na 채널 억제글루탐산 수용체 저해탄산 탈수 효소 억제전압 의존성 Ca 채널 억제시냅스 소포 방출 억제
가바펜틴 (GBP)가바펜있음없음없음없음있음없음
토피라메이트 (TPM)토피나있음있음있음있음있음없음
라모트리진 (LTG)라믹탈없음있음있음없음있음없음
레베티라세탐 (LEV)케프라없음없음없음없음없음있음


4. 11. 히단토인

다음은 히단토인 계열의 항경련제이다.

  • 에토토인(1957년)
  • 페니토인(1938년)
  • 메페니토인
  • 포스페니토인(1996년)


페니토인(PHT) (상품명: 아레비아친, 히단톨, 호스토인)은 카르바마제핀이 효과가 없는 국소 관련 간질, 이차성 전신화 경향이 강한 국소 관련 간질에 사용된다. 증상성, 잠재성 전신 간질이나 대발작 중첩에서 디아제팜 단독으로는 효과가 불충분할 때도 사용된다. 아레비아친은 정맥 주사가 가능한 몇 안 되는 항간질약 중 하나로 유용하다. 표준 1일 투여량은 5~7mg/kg이지만, 급속 포화 시에는 15mg/kg을 생리 식염수에 녹여 60분 정도로 정맥 주사한다. 보통 500mg으로 급속 포화하는 경우가 많다. 페니토인은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쳐 심부전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천천히 투여해야 한다. 가능하면 심전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혈압과 맥박을 관찰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당 등으로 침전을 일으키므로 메인 수액 라인과는 별도로 비교적 굵은 혈관에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수액 라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여 전후에 생리 식염수로 씻어내어 페니토인의 침전으로 라인이 막히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약물이 혈관 밖으로 새는 경우에는 괴사를 일으키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한 페니토인의 전구약물이 포스페니토인(호스토인)이다. 포스페니토인은 생리 식염수나 5% 포도당액으로 희석하는 것이 안전하며, 페니토인보다 빠른 속도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조직 손상도 페니토인보다 적다. 2011년에 제조 승인 후, 2012년 1월에 판매되었다.

페니토인의 치료 농도 범위는 10~20μg/ml로 매우 좁다. 단일제 투여에서는 30μg/ml에서 겨우 발작이 억제될 수도 있지만, 이 농도로 장기간 투여하면 감각 둔마 등 말초 신경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혈중 농도가 특정 수치를 넘으면 급격히 상승하여 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페니토인 중독으로는 안진, 복시, 보행 실조 등 소뇌 장애가 대표적이다. 그 외, 불수의 운동, 지능 장애, 기명력 장애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저알부민혈증 환자는 알부민 결합률이 낮아 유리형이 증가하여 작용이 강화된다. 페노바르비탈과 페니토인의 복합제로 히단톨이 있다.

4. 12. 옥사졸리딘디온

다음은 옥사졸리딘디온 계열 항경련제이다.

  • 파라메타디온
  • 트리메타디온 (1946)
  • 에타디온

4. 13. 프로피온산염


: 국소 관련 간질의 1차 선택 약물이다. 특히 정신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 정신 작용이 있기 때문에 선호하여 사용된다. 대사 산물인 카르바마제핀 에폭시드에도 항경련 작용이 있다. 발프로산과 함께 사용하면 에폭시드의 작용으로 인해 혈중 농도가 정상이더라도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단일 제제 투여 시 8~12mg/Kg, 복합 제제 투여 시 14~20mg/Kg으로 유효 혈중 농도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다. 투약 시작 시 일시적인 혈중 농도 상승을 보이며, 부작용이 나타나기 쉽다. 반대로, 처음에는 유효 혈중 농도에 있더라도, 같은 투여량으로는 점차 유효 혈중 농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100mg 정도의 투여부터 시작하여 1주일마다 증량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투여 후 1~2시간에 복시, 어지럼증과 같은 소뇌 증상, 1주일 정도에 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 발진은 10% 정도의 확률로 나타나며, 심각한 것은 그 중 10%(즉 1%, 100명 중 1명)이며, 계속 복용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도 많다. 루푸스 유사 피부 발진은 6~12개월에 나타날 수 있으며, 가역적이지만 항핵항체는 음성화되지 않는다. 그 외, 저나트륨혈증이나 물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신경통 치료에 사용했을 때 부정맥이 나타나는 등 심각한 부작용 보고가 있다. 신경통에 대해서는 프레가발린(상품명: 리리카)과 함께 자주 사용된다.

4. 14. 피리미딘디온

4. 15. 피롤리딘


  • 브리바라세탐 (2016).
  • 에티라세탐.
  • 레베티라세탐 (1999).
  • 셀레트라세탐.

4. 16. 석신이미드

다음은 석신이미드 계열 항경련제이다.

'''에토석시미드(ESM)''' (상품명: 에피레오프티말, 자론틴): 결신 발작에 효과가 있지만, 대발작을 악화시킬 수 있다. 1일 복용량은 성인의 경우 15~30mg/kg, 소아의 경우 20~40mg/kg이다.[1]

4. 17. 설폰아마이드

4. 18. 트리아진

4. 19. 우레아


  • 페네투라이드
  • 페나세미드

4. 20. 발프로일아미드


  • 발프로마이드
  • 발노크타미드

4. 21. 기타


  • 페람파넬
  • 스트리펜톨[39]
  • 피리독신 (1939)
  • 칸나비디올(CBD)
  • : 상품명 에피디올렉스는 대마 성분인 칸나비디올(CBD)을 사용한 의약품으로, 2018년 미국에서 의약품으로 승인되었다. GW 파마슈티컬스가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일본에서는 유효 성분 CBD를 포함하는 상품이 건강 식품으로 일반에 판매되고 있다.
  • : 칸나비디올(CBD)에서는 남용, 의존, 신체 의존, 내성이 보이지 않는다.[115]
  • : 이 성분이 많은 의료용 대마를 사용한 소아 치료 저항성 뇌전증 19명의 시험에서는 드라베 증후군, 두스 증후군, 레녹스-가스토 증후군과 같은 뇌전증 환자였으며, 16명(84%)이 발작을 경감시켰고, 그 중 2명(11%)은 완전히 소실, 8명(42%)은 80% 이상 감소, 6명(32%)은 25~60% 감소시켰다.[116]
  • : 2024년 4월 26일, 후생노동성 전문 부회는 칸나비디올의 희귀 질환 의약품 지정을 승인했다. 국내에서 대마초 유래 의약품이 지정된 것은 처음이다.[117]

5. 작용 기전

항경련제는 다양한 기전을 통해 뇌 신경 세포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한다. 주요 작용 기전은 Na 채널 억제, T형 Ca 채널 억제, 비 T형 Ca 채널 억제, GABA 유사 작용, 글루탐산 억제로 크게 분류된다.

물질명상품명Na 채널 억제T형 Ca 채널 억제비 T형 Ca 채널 억제GABA 유사 작용글루탐산 억제
페니토인(PHT)알레비아틴+++
페노바르비탈(PB)페노바르++++++
카르바마제핀(CBZ)테그레톨+++
발프로산(VPA)데파켄++++
에토석시미드(ESM)에피레오프티말+++
벤조디아제핀리보트릴+++
조니사미드(ZNS)엑세그란++++
가바펜틴(GBP)가바펜++++
토피라메이트(TPM)토피나++++++
라모트리진(LTG)라믹탈+++



2006년 이후 일본에서 승인된 가바펜틴, 토피라메이트, 라모트리진, 레베티라세탐 등을 신규 항간질약이라고 한다. 이들의 작용 기전은 시냅스 소포의 방출 감소 외에는 기존 항간질약의 작용 기전을 조합한 것에 불과하다. 하지만 상호 작용, 일부 부작용은 경감되었다. 2016년 4월 AMPA 수용체 길항제인 페람파넬이 제조 승인되었다. 페람파넬은 간질 발작이 신경 전달 물질 글루탐산에 의해 유도되는 것에서 착안되어 개발된, 기존 약물과는 다른 새로운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이다.

물질명상품명GABA 수용체의 증강전압 의존성 Na 채널의 억제글루탐산 수용체의 저해탄산 탈수 효소 억제전압 의존성 Ca 채널의 억제시냅스 소포 방출 억제
가바펜틴(GBP)가바펜있음없음없음없음있음없음
토피라메이트(TPM)토피나있음있음있음있음있음없음
라모트리진(LTG)라믹탈없음있음있음없음있음없음
레베티라세탐(LEV)케프라없음없음없음없음없음있음


6. 비약물 치료

케톤 생성 식이요법과 미주 신경 자극술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뇌전증의 대체 치료법이다. 케톤 생성 식이요법은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단으로 구성되며, 약물에 반응하지 않고 수술을 받을 수 없는 뇌전증 환자에게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40] 미주 신경 자극기는 뇌전증 환자, 특히 뇌의 특정 부분에서 시작되는 발작 환자에게 이식할 수 있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치료법 모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발작 빈도는 일반적으로 감소하지만 완전히 멈추는 경우는 드물다.[41]

7. 치료 지침

미국 신경학회 및 미국 간질 학회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42] 2004년 주요 논문 검토를 기반으로,[43] 새로 간질 진단을 받고 치료가 필요한 환자는 카바마제핀, 페니토인, 발프로산/발프로산 반나트륨, 페노바르비탈과 같은 표준 항경련제 또는 새로운 항경련제인 가바펜틴, 라모트리진, 옥스카르바제핀 또는 토피라메이트로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항경련제의 선택은 개별 환자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새로운 약물과 기존 약물 모두 새롭게 발병한 간질에 일반적으로 동등하게 효과적이나, 새로운 약물은 부작용이 적은 경향이 있다.[42]

부분 발작 또는 혼합 발작의 경우, 가바펜틴, 라모트리진, 옥스카르바제핀 또는 토피라메이트를 단일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증거가 있으며,[42] 라모트리진은 새로 진단된 결신 발작을 겪는 어린이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42]

7. 1. 부분 발작

부분 발작의 1차 선택 약물은 카바마제핀, 조니사미드, 페니토인이다. 2차 선택 약물은 발프로산, 클로나제팜, 토피라메이트, 가바펜틴, 페노바르비탈 등이다.

발작 유형1차 선택2차 선택
단순 부분 발작카바마제핀, 조니사미드, 페니토인발프로산, 클로나제팜, 토피라메이트, 가바펜틴, 페노바르비탈
복합 부분 발작카바마제핀, 조니사미드, 페니토인발프로산, 클로나제팜, 토피라메이트, 가바펜틴, 페노바르비탈
2차성 전신 발작카바마제핀, 조니사미드, 페니토인발프로산, 클로나제팜, 토피라메이트, 가바펜틴, 페노바르비탈


7. 2. 전신 발작

발프로산은 특발성 전신 발작의 1차 선택 약물이다. 전반 발작 억제 효과는 발프로산이 우위에 있다고 여겨진다. 결신 발작에는 에토석시미드, 근간대성 발작에는 클로나제팜, 강직-간대 발작에는 페노바르비탈도 고려된다. 클로바잠, 페니토인도 후보가 된다. 증후성 전반 뇌전증에서는 클로나제팜, 조니사미드가 고려된다.

신규 항뇌전증 약물 중 강직-간대 발작에는 발프로산 다음으로 라모트리진, 토피라메이트, 레베티라세탐 순으로 권장된다. 결신 발작에서는 에토석시미드 다음으로 라모트리진, 근간대성 발작에서는 발프로산 다음으로 레베티라세탐이 권장된다.

카르바마제핀이나 가바펜틴은 근간대성 발작이나 결신 발작을 악화시키므로 특발성 전반 뇌전증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항뇌전증 약물로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 아세타졸아미드가 추가되기도 한다.

발작 유형제1 선택제2 선택
결신 발작발프로산, 에토석시미드클로나제팜, 클로바잠, 조니사미드
근간대성 발작발프로산, 클로나제팜니트라제팜, 클로바잠, 조니사미드, 에토석시미드
강직 발작없음조니사미드, 발프로산, 페니토인, 클로나제팜
강직-간대 발작발프로산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조니사미드, 아세타졸아미드, 클로나제팜


8. 뇌전증 중첩 상태

뇌전증 중첩 상태(SE)는 국제 항간질 연맹(ILAE)에 따르면 "발작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짧은 발작이라도 반복되며, 그 사이에 의식 회복이 없는 것"으로 정의된다.[111][112][113][114] 일정 시간은 보통 30분으로 해석되지만, 조기 치료를 위해 10분 이상 지속되면 중첩 상태로 간주하고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뇌전증 중첩 상태의 표준적인 치료에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인 디아제팜, 미다졸람페노바르비탈, 페니토인이 사용된다. 1차 선택은 디아제팜 10mg 정맥 주사이며, 5mg씩 20mg까지 투여하는 경우가 많다(5mg/분). 디아제팜은 생리 식염수나 포도당액으로 혼탁해지므로 희석하지 않고 사용한다. 미다졸람은 호흡 억제가 덜 나타나 중첩 상태에서 사용하기 쉽다. 10mg을 생리 식염수 20ml로 희석하여 서서히 정맥 주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결신 발작의 중첩 상태, 근간대성 발작 이외에는 페니토인이 2차 선택으로 사용된다.[111][112][113][114] 페니토인은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쳐 심부전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서서히 투여해야 하며, 가능하면 심전도 모니터를 사용하여 혈압과 맥박을 모니터링한다.

뇌전증 중첩 상태가 30분 이상 지속되면 뇌에 비가역적인 변화가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111][112][113][114] 따라서 30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기관 내 삽관 및 전신 마취제를 사용하여 발작을 멈추는 경우가 있으며, 프로포폴 등이 자주 사용된다.

9. 특수 상황에서의 치료

항경련제는 정신 증상이나 내과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와 같은 특수 상황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111]

9. 1. 정신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

GABA 작용성 약물(바르비투르산계, 벤조디아제핀계, 발프로산, 조니사미드, 가바펜틴, 토피라메이트)은 항불안 작용 및 조증 상태 억제 효과가 있으며, 글루탐산계 억제 효과가 있는 약물(조니사미드, 라모트리진 및 레베티라세탐)은 항우울 작용 및 불안 유발 작용이 있다고 여겨진다.[111]

9. 2. 내과 질환을 동반하는 경우

대부분의 항경련제는 간 대사를 거치지만, 새로운 항경련제에는 신장 대사를 거치는 약물도 포함되어 있다.[111]

대사 경로약물
간 대사발프로산,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벤조디아제핀[111]
간, 신장 대사토피라메이트, 라모트리진[111]
신장 대사가바펜틴, 레베티라세탐[111]



주의해야 할 부작용으로는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의 심전도 이상 악화,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악화,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에 의한 면역계 질환 영향, 페노바르비탈, 조니사미드, 카르바마제핀의 인지 기능 악화, 발프로산의 파킨슨 증후군 등이 있다.[111]

10. 주의 사항

항경련제는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복용 시 주의해야 한다. 특히, 항전간제를 복용한 환자에게서 자살 충동이나 자살 행동을 보이는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다.[93] 따라서 항전간제를 치료받는 환자는 자살 충동, 자살 행동, 우울증, 기분 변화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임신 중 항경련제 복용은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발프로산, 페니토인, 카바마제핀, 페노바르비탈, 가바펜틴과 같은 항경련제는 선천적 결함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여기에는 신경관 결손과 같은 주요 선천적 기형도 포함된다.[93] 임신 중 항경련제 복용과 관련된 선천적 결함 위험은 복용량과 임신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93]

발프로산과 그 유도체는 아이의 인지 결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복용량 증가에 따라 지능 지수가 감소할 수 있다.[96][97] 반면, 카바마제핀은 선천적 신체 기형이나 신경 발달 장애 위험 증가와 관련하여 상충되는 증거가 있다.[96] 라모트리진이나 페니토인에 노출된 아이들은 카바마제핀에 노출된 아이들과 비교하여 기술 면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96]

항경련제를 복용하는 간질 여성의 신생아가 신생아 출혈성 질환 위험이 증가하는지에 대한 충분한 증거는 없다.[94] 또한, 모유를 통한 항경련제 노출이 신생아에게 임상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98] 임신 중 레비티라세탐 또는 라모트리진에 노출된 아이들은 다른 항경련제에 노출된 아이들에 비해 주요 선천적 기형 발생 위험이 가장 낮았다.[100]

간질 환자는 건강한 임신과 건강한 아기를 가질 수 있지만, 임신한 간질 환자의 발작 조절을 유지하면서 태아의 선천적 기형이나 부정적인 신경 인지 결과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계획과 관리가 필요하다.[101]

대부분의 항경련제는 간 대사를 거치지만, 가바펜틴, 레베티라세탐과 같이 신장 대사를 거치는 약물도 있다. 주의해야 할 부작용으로는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의 심전도 이상 악화, 카르바마제핀, 발프로산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악화, 페니토인, 카르바마제핀에 의한 면역계 질환 영향, 페노바르비탈, 조니사미드, 카르바마제핀의 인지 기능 악화, 발프로산의 파킨슨 증후군 등이 있다.

11. 역사

1857년 영국의 산부인과 의사 찰스 로콕은 월경성 간질로 추정되는 "히스테리성 간질"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브로마이드를 최초의 항경련제로 사용했다.[44] 브로마이드는 간질에 효과가 있었지만, 항간질 효과와 관련 없는 발기 부전을 유발하기도 했다. 또한 브로마이드는 행동에 영향을 미쳐 "간질성 인격"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는데, 이는 실제로 약물 부작용이었다. 1912년에는 페노바르비탈이 진정 및 항경련 효과를 위해 처음 사용되었다. 1930년대에 간질 연구에 동물 모델이 도입되면서, 트레이시 푸트남과 H. 휴스턴 메리트가 페니토인을 개발했다. 페니토인은 진정 효과가 적으면서 간질 발작을 치료하는 장점이 있었다.[44] 1970년대까지 J. 키핀 펜리가 국립 보건원의 항경련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이끌며, 제약 회사들이 새로운 항경련제를 개발하는 데 관심과 능력을 갖도록 유도했다.

12. 약물 치료 종료

소아의 경우 예후가 좋은 뇌전증 증후군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작 완화 후 2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감량 후 치료 종료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하지만 감량법에 관해서는 표준적인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사춘기 발병 뇌전증, 증후성 뇌전증, 뇌파 이상이 있는 경우는 재발 위험이 높다고 여겨진다.[1] 성인 뇌전증의 경우 감량 시작 시 2종류 이상의 약물 복용, 강직-간대 발작의 기왕력, 간대성 근경련 발작의 기왕력, 신경학적 이상 등이 재발 위험을 높인다고 여겨진다.[1]

발작 완화 기간의 장단만으로 단약 여부를 판단해서는 안 되며, 단약하면 재발 위험이 높아진다.[1] 재발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감량 중과 단약 후 1년이다.[1] 치료 종료의 결정은 여러 요건(특히 위험 인자의 유무와 질)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환자 및 환자 가족의 의향을 존중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1]

참조

[1] 논문 An overview of structurally diversified anticonvulsant agents Walter de Gruyter GmbH 2019-09-01
[2] 논문 Pharmacological Therapies in Bipolar Disorder: a Review of Current Treatment Options.
[3] 논문 Anticonvulsants and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1998
[4] 간행물 Practice guidel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Psychiatric Pub 2001
[5] 논문 The neurobiology of antiepileptic drugs https://zenodo.org/r[...] 2020-09-20
[6] 논문 Sodium valproate, but not ethosuximide, produces use- and voltage-dependent limitation of high frequency repetitive firing of action potentials of mouse central neurons in cell culture. 1986-06
[7] 논문 New antiepileptic drugs 1994-05-01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ww.neurolog[...] 2013-01-28
[9] 논문 The neurobiology of antiepileptic drugs https://zenodo.org/r[...] 2020-09-20
[10] 논문 New molecular targets for antiepileptic drugs: alpha(2)delta, SV2A, and K(v)7/KCNQ/M potassium channels 2008-07
[11] 논문 Molecular targets for antiepileptic drug development 2007-01
[12] 논문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on GABA release from rat and human neocortical synaptosomes 2011-05-02
[13] 논문 PPAR-alpha agonists as novel antiepileptic drugs: preclinical findings
[14] 논문 Antiepileptic action of N-palmitoylethanolamine through CB1 and PPAR-α receptor activation in a genetic model of absence epilepsy
[15] 논문 Fenofibrate, 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alpha agonist, exerts anticonvulsive properties.
[16] 논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delta is a specific sensor for teratogenic valproic acid derivatives
[17] 논문 Hypolipidemic activity of antiepileptic 5-phenylhydantoins in mice
[18] 논문 Hypolipidemic activity in rodents of phenobarbital and related derivatives
[19] 논문 The antiepileptic drug topiramate preserves metabolism-secretion coupling in insulin secreting cells chronically exposed to the fatty acid oleate
[20] 논문 The potential of antiseizure drugs and agents that act on novel molecular targets as antiepileptogenic treatments
[21] 논문 Comparative Monotherapy Trials and the Clinical Treatment of Epilepsy
[22] 논문 Teratogenicity of Antiepileptic Drugs https://pubmed.ncbi.[...] 2017-02-28
[23] 웹사이트 Antiseizure medication https://my.cleveland[...] 2024-03-16
[24] 서적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15th Edition McGraw-Hill Education 2021
[25] 문서 Paraldehyde, chlormethiazole, and lidocaine for treatment of status epilepticus. In: Delgado-Escueta AV, Wasterlain CG, Treiman DM, Porter RJ, eds. Status Epilepticus. Mechanisms of Brain Damage and Treatment (Advances in Neurology, Vol 34). New York, Raven Press 1983: 509–517
[26] 논문 Pharmacokinetics and clinical use of parenteral phenytoin, phenobarbital, and paraldehyde
[27] 논문 Stiripentol: in severe myoclonic epilepsy of infancy (dravet syndrome) 2012-11
[28] 웹사이트 Public summary of positive opinion for orpphan opinion for orphan designation of stiripentol for the treatment of severe myoclonic epilepsy in infancy http://www.ema.europ[...] European Medicines Agency 2007-07-30
[29] 웹사이트 Diacomit- stiripentol capsule Diacomit- stiripentol powder, for suspension https://dailymed.nlm[...] 2020-11-08
[30] 문서 Barbiturate Toxicity. 2023 Apr 12.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3 Jan–. PMID 29763050.
[31] 논문 Clonazepam. A review of a new anticonvulsant drug 1976-05
[32] 논문 Benzodiazepin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998-12
[33] 논문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1986-05
[34] 논문 "[West syndrome--new therapeutic approach]" 2001-05
[35] 서적 Pediatric epilepsy: diagnosis and therapy https://books.google[...] Demos Medical Publishing
[36] 논문 Practice advisory: The use of felbamat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tractable epilepsy: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1999-05-12
[37] 웹사이트 Felbamate https://www.nlm.nih.[...] MedlinePlus :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3-05-19
[38] 논문 Photoswitchable carbamazepine analogs for non-invasive neuroinhibition in vivo https://onlinelibrar[...] 2024-06-18
[39] 웹사이트 Diacomit EPAR https://www.ema.euro[...] 2020-11-08
[40] 논문 Ketogenic Diet and Epilepsy: What We Know So Far 2019
[41] 웹사이트 Vagus nerve stimulation https://www.mayoclin[...] 2023-07-20
[42] 간행물 AAN Guideline Summary for Clinicians –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the New Antiepileptic Drugs, I: Treatment of New Onset Epilepsy http://aan.com/profe[...] 2010-06-29
[43] 논문 Efficacy and tolerability of the new antiepileptic drugs, I: Treatment of new-onset epilepsy: report of the TTA and QSS Subcommitt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https://deepblue.lib[...] 2019-08-30
[44] 서적 A Disease Once Sacred: A History of the Medical Understanding of Epilepsy https://books.google[...] John Libbey 2024-06-29
[45]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8943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46] 웹사이트 Epilepsy Action: Druglist. http://www.epilepsy.[...] 2007-11-01
[47]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205836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48]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Briviact (brivaracetam) https://www.accessda[...] 2019-11-21
[49]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6608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50] 논문 Pediatrics—Epitomes of Progress: Carbamazepine (Tegretol)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1978-03-01
[51] 논문 Clinical Experience with New Antiepileptic Drugs: Antiepileptic Drugs in Europe 1999-06
[52]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202067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53]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Onfi NDA #202067 https://www.accessda[...] 2019-11-21
[54]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7533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55]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3263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56]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8723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57]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2416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58]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Brand Name (Generic Name) NDA # https://www.accessda[...] 2019-11-21
[59]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2380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0]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0841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1]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2334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2]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189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3]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450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4]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235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5]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2253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6]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241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7]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1035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68] 간행물 EPAR: Keppra. http://www.emea.euro[...] 2007-11-01
[69]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6008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0]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8322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1] 서적 The treatment of epilepsy Blackwell Science
[72]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0596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3]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1721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4]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1014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5]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8762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6]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8855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7] 서적 The Medical treatment of epilepsy Dekker
[78]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1446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79] 웹사이트 EPAR: Lyrica http://www.emea.euro[...] 2007-11-01
[80]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9170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81]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1911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82]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Banzel (Rufinamide) NDA #021911 https://www.accessda[...] 2012-05-30
[83]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206709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84] 웹사이트 Drug Approval Package: Diacomit (stiripentol) https://www.accessda[...] 2018-09-07
[85]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646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86] 웹사이트 NDA: 020646 http://www.drugpaten[...] DrugPatentWatch 2013-05-19
[87]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505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88]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05856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89]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18081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90]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427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91] 웹사이트 New Drug Application (NDA) 020789 https://www.access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19-11-21
[92] 웹사이트 EPAR: Zonegran. http://www.emea.euro[...] 2007-11-01
[93] 논문 Monotherapy treatment of epilepsy in pregnancy: congenital malformation outcomes in the child 2023-08-29
[94] 논문 Management issues for women with epilepsy—focus on pregnancy (an evidence-based review): III. Vitamin K, folic acid, blood levels, and breast-feeding: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and Therapeutics and Technology Assessment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2009-05
[95] 논문 Practice Current: How do you treat epilepsy in pregnancy? 2017
[96] 논문 Treatment for epilepsy in pregnancy: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the child
[97] 논문 Valproate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in girls and women of childbearing potential https://biblio.ugent[...] 2024-03-01
[98] 논문 Antiepileptic Drug Exposure in Infants of Breastfeeding Mothers With Epilepsy 2020-04-01
[99] 웹사이트 Norwegian Mother, Father and Child Cohort Study (MoBa) https://www.fhi.no/e[...] 2023-10-11
[100] 논문 Teratogenicity of antiepileptic drugs https://cdm21054.con[...] 2023-12-31
[101] 논문 Antiseizure Medication Concentrations During Pregnancy: Results From the Maternal Outcomes and Neurodevelopmental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MONEAD) Study 2022-04-01
[102] 논문 Outcomes of pregnancies in women taking antiepileptic drugs for non-epilepsy indications 2018
[103] 논문 Antiepileptic drugs and apoptotic neurodegenereation in the developing brain 2002-05
[104] 논문 Sulthiame but not levetiracetam exerts neurotoxic effect in the developing rat brain 2005-06
[105] 논문 Effects of lamotrigine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MK-801, phenobarbital, or phenytoin on cell death in the neonatal rat brain 2007-08
[106] 논문 Antiepileptic drug-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the immature brain: effects of carbamazepine, topiramate, and levetiracetam as monotherapy versus polytherapy 2007-10
[107] 논문 Pattern of antiepileptic drug-induced cell death in limbic regions of the neonatal rat brain 2011-12
[108] 보고서 薬局におけるハイリスク薬の薬学的管理指導に関する業務ガイドライン http://www.nichiyaku[...] 日本薬剤師会 2011-04-15
[109] 보고서 「ハイリスク薬」の薬学的管理指導において特に注意すべき事項 http://www.nichiyaku[...] 日本薬剤師会
[110] 서적 臨床薬理学 医学書院 2011
[111] 논문 Clonazepam. A review of a new anticonvulsant drug
[112] 논문 Benzodiazepin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1998-12
[113] 논문 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1986-05
[114] 논문 West syndrome - new therapeutic approach
[115] 보고서 カンナビジオール(CBD)事前審査報告書 http://cannabis.kenk[...] 世界保健機関 2017-12-06
[116] 논문 Report of a parent survey of cannabidiol-enriched cannabis use in pediatric treatment-resistant epilepsy
[117] 뉴스 大麻草由来の医薬指定 抗てんかん剤のCBD 日本経済新聞 2024-04-27
[118] 뉴스 AMPA受容体を阻害する新機序の抗てんかん薬 https://medical.nikk[...] 日経BP 2016-04-08
[119] 논문 Cognitive Side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in Children http://www.psychiatr[...] 2005-09-01
[12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neurolog[...] 2014-01-01
[121] 논문 The neurobiology of antiepileptic drugs
[122] 논문 New molecular targets for antiepileptic drugs: alpha(2)delta, SV2A, and K(v)7/KCNQ/M potassium channels
[123] 논문 Molecular targets for antiepileptic drug development
[124] 리뷰 Voltage-gated calcium channel α2δ subunits: an assessment of proposed novel roles https://f1000resea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