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춘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나라는 춘추 시대에 존재했던 국가로, 주나라의 태백이 건국했다고 전해진다. 기원전 6세기 초나라에 대항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오자서의 활약과 합려왕의 군사적 성공으로 잠시 춘추 시대의 패권을 차지했다. 그러나 월나라와의 경쟁에서 패배하여 기원전 473년에 멸망했다. 오나라는 금속 공예와 해군 기술이 발달했으며, 멸망 후에는 일본과의 관련성을 주장하는 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나라 (춘추 시대) - 후치우
후치우는 중국 쑤저우에 있는 오왕 합려의 무덤으로 알려진 언덕으로, 기울어진 운암사탑과 검지로 유명하며 아름다운 경관과 분재 컬렉션으로도 유명한 관광 명소이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 조 (춘추)
조는 서주 시대부터 춘추 시대에 걸쳐 존재했던 제후국으로, 국력이 약해 역사 기록이 많이 남아있지 않으며 진과 초의 패권 다툼 속에서 부침을 겪다 기원전 487년에 멸망했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 춘추 시대
춘추 시대는 기원전 771년 주나라 멸망 이후부터 기원전 453년 진나라 분열까지의 시기로, 수많은 소국들이 각축전을 벌이며 사회 구조가 변화하고 공자, 노자 등의 사상가들이 등장했으며, 오와 월의 흥망성쇠와 진의 분열을 거쳐 전국 시대로 이어진다. - 장강 문명 - 월나라
기원전 6세기 후반부터 기원전 306년까지 저장성 지역에 존재했던 월나라는 오나라와의 전쟁, 구천의 와신상담 고사로 유명하며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중원 패권을 다투었으나 멸망 후 일부는 남하하여 민월을 건국, 구리 생산 기술과 해군력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다. - 장강 문명 - 우청 문화
우청 문화는 장시성 우청진의 우청 유적에서 기원전 1600년에서 기원전 1046년 사이 상나라 시기에 번성했으며, 장강 문명과 청동기 문화를 융합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문화이다.
오 (춘추)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명 (한자) | 吳 |
국명 (병음) | Wú |
국명 (웨이드-자일스) | Wu² |
국명 (미엔어) | wu² |
국명 (상하이 방언) | Ńg Ghóu |
국명 (광둥어) | Ng4 |
국명 (객가어) | Ngh |
국명 (월어) | ng4 |
국명 (쯔꾸옥응으) | Ngôo |
국명 (중고음) | Ngu |
국명 (상고음) | *ŋʷˤa |
별칭 | |
위치 | 장쑤성 쑤저우시 |
수도 | 오 (현재의 장쑤성 우시시 및 쑤저우시) |
역사 | |
시대 | 주나라, 춘추 시대 |
건국 | 태백에 의해 건국 |
건국 시기 | 기원전 12세기 |
멸망 | 월나라에 의해 멸망 |
멸망 시기 | 기원전 473년 |
주요 사건 | 건국: 태백에 의해 건국 멸망: 월나라에 의해 패배 |
정치 | |
정부 형태 | 군주제 |
군주 칭호 | 왕 (기원전 580년경부터 자칭) |
작위 | 자작 |
기타 정보 | |
계승 국가 | 월나라 |
관련 사서 | 사기 오월춘추 춘추좌전 |
2. 역사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오(吳)의 건국 신화는 주나라 왕실의 계보를 태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태백은 주 문왕의 친척이자 고공단보의 장남이었다. 고공단보에게는 태백, 중옹, 계력 세 아들이 있었는데, 맏아들 태백과 둘째 아들 중옹은 막내 동생 계력이 아버지의 왕위를 물려받도록 하기 위해 주나라를 떠나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오나라에 정착했다. 이들은 오늘날의 무석시 매촌으로 여겨지는 매리(梅里, 梅里|매리중국어)에 첫 수도를 세웠다.[1]
춘추 시대 이전 오나라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기원전 6세기에 오나라는 초나라에 대항하는 진나라의 동맹국으로서 세력을 확장했다. 기원전 584년, 오나라는 초나라에서 탈출한 진나라 대신 오신의 조언에 따라 초나라에 반란을 일으켰고, 이후 초나라에 지속적인 위협이 되었다.
오자서는 초나라의 영향력 있는 정치인의 아버지와 형제가 초 평왕에게 살해당하자 복수를 위해 오나라로 도망쳤다. 그는 광공자의 신뢰받는 조언자가 되어 사촌인 오 료왕을 암살하고 왕위를 찬탈하는 것을 도왔다. 료왕 암살 후 광공자는 왕위에 올라 오 합려왕이 되었다.[2]
기원전 506년, 초 소왕 통치 기간 동안 오 합려왕은 초나라를 침략하기로 결정했다. 왕은 자신의 동생 부개, 오자서, 손자병법의 저자인 손자와 함께 직접 군대를 이끌었다. 초나라는 낭와와 신윤서가 이끄는 강력한 군대를 가지고 있었지만, 박거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 초 소왕은 수나라로 도망쳤고, 오나라 군대는 초나라의 수도인 영을 점령했다. 영에 입성한 후, 오자서는 평왕의 시체를 파내어 아버지와 형제를 살해당한 것에 대한 복수로 300대의 채찍질을 가했다.[2] 이 승리로 오나라는 잠시 가장 강력한 국가가 되었고, 기원전 484년에는 제나라를 격파하는 등 다른 군사 작전도 수행했다.
오 합려왕은 손자의 도움으로 군사적 성공을 거두면서 춘추 시대의 오패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오나라는 최초의 중국 해군을 개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해군은 대익(大翼), 소익(小翼), 돌모(突冒), 성채 배(楼船), 교량선(桥船) 등 다양한 종류의 배를 보유했다.[2]
이후 오나라는 남쪽의 신흥 국가인 월나라의 위협을 받았다. 초나라는 오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월나라를 지원했다. 오나라는 월나라와의 전투에서 대부분 승리하고 왕 구천을 사로잡았지만, 부차가 구천을 살려주면서 월나라를 완전히 정복하지 못했다. 구천은 부차의 신하 또는 노예로 수년간 고통받으며 복수를 계획했고, 부차는 평화를 약속하고 구천을 월나라로 돌려보내는 실수를 저질렀다. 오나라가 북쪽에서 군사 작전을 벌이는 동안 구천은 복수에 성공하여 기원전 482년 오나라를 기습 공격해 수도를 점령했다. 그 후 10년 동안 오나라는 회복하지 못하고 기원전 473년에 월나라에 흡수되었다.
오나라와 월나라는 금속 공예 기술이 뛰어나 새겨진 문구, 기하학적 무늬, 금 또는 은 상감 세공이 된 훌륭한 칼을 제작했다. 오나라와 월나라의 칼은 다른 국가의 칼보다 주석을 구리보다 훨씬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오나라는 제나라와 채나라 등에 칼을 선물로 보내기도 했다. 오 부차왕의 창날과 오 합려왕의 검 등이 그 예이다.
2. 1. 건국 신화와 초기 역사
사마천의 『사기』 중 「오태백세가(史記 吳太伯世家)」에 따르면, 주나라의 고공단보(주태왕)에게는 세 명의 아들이 있었다. 장남 태백(오나라의 시조)과 차남 중옹은 막내 동생 계력(주공계)에게 후계자 자리를 양보하고 장강 남쪽의 형산(衡山)으로 가서 정착하여 그 땅의 제후가 되었다.[17] 나중에 계력은 형들을 중원으로 불러들이려 했지만, 태백과 중옹은 거절하고 온몸에 문신을 새겼다. 당시 문신은 이민족의 풍습이었으므로, 이는 중원으로 돌아갈 생각이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태백과 중옹은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구오(句吳)라 칭했으며, 태백이 사망하자 아들이 없어 중옹이 그 뒤를 이었다.[17]오의 건국 신화는 사마천이 한나라 때 기록한 것으로, 왕실의 계보를 태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태백은 주 문왕의 친척이자, 고공단보의 장남이었다.[1] 사기에 따르면, 고공단보는 태백, 중옹, 계력 세 아들을 두었는데, 태백은 맏이였고 계력은 막내였다. 계력이 아버지로부터 전주(Predynastic Zhou) 왕위를 물려받는 것을 보고, 태백과 중옹은 갈등을 피해 주나라를 떠나 동남쪽으로 이동하여 오(吳)에 정착했다. 이들은 오늘날 무석시 매촌으로 여겨지는 매리(梅里, 梅里|매리중국어)에 첫 수도를 세웠다.[1] 태백의 막내 동생 계력은 결국 왕위 계승자가 되었고, 주 문왕의 아버지가 되었다.
춘추 시대 이전 오나라의 역사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오나라는 기원전 6세기에 초나라에 대항하는 진나라의 동맹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사기』「오태백세가」에 따르면, 오(吳)의 성립에 관해서 자세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진다. 주(周)나라의 고공단보의 막내아들 계력은 영명하다는 평판이 높았고, 이 아들에게 뒤를 잇게 하면 주나라는 융성할 것이라고 예언되었다. 장남 태백과 차남 우중은 막내 동생 계력에게 후계를 양보하고, 오(吳)의 땅까지 흘러 들어가 현지의 유력자의 추대로 그 수장으로 추대되었다고 한다. 후에 계력은 형 태백과 우중 등을 불러들이려 했지만, 태백과 우중은 이를 거부하고 전신에 자(刺)를 새겼다. 당시 자는 만족의 증표였으며, 그것을 스스로 했다는 것은 문명 지대로 돌아갈 생각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가 있었다고 한다. 태백과 우중은 자신들의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구오'''라고 칭했으며, 이후 태백이 죽고 아들이 없었기에 수장의 자리는 우중이 이었다고 한다. 그 후, 주(周)나라 무왕은 우중의 증손인 주장을 다시 오(吳)에 봉하고, 주장의 동생인 우중(동명이인)을 북쪽의 우에 봉했다. 태백으로부터 19대째(중옹의 17세 손) 수몽은 국호를 '''오'''로 고쳐 처음으로 왕을 칭했다.
2. 2. 춘추시대의 패권과 멸망
吳중국어나라는 제19대 군주 수몽이 즉위하면서 국호를 구오에서 '구(句)'자를 뺀 오(吳)로 바꾸고 왕을 칭했다. 제24대 군주(오왕으로서는 제6대) 합려 시대에 가장 강성해졌다. 명신 손무와 오자서를 등용하여 당시 초강대국이었던 초나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고 갔다. 신흥 월나라를 침범했다가 합려는 중상을 입고 아들 부차에게 복수를 맹세하게 하고 후치우에 묻혀 최후를 마쳤다.[1]힘을 키운 부차는 오자서의 보좌를 받아 월나라를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다. 월왕 구천은 패전의 멍에를 지고 속국으로서 예를 다하며, 당시 최고의 미인 서시 등을 예물로 바치며 사죄했다. 오자서는 후환을 없애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경계심이 풀어진 부차는 이를 외면하고 오히려 오자서를 자살하게 만들었다.[2]
결국 범려의 계략에 빠진 오나라는 기원전 473년 월나라에 멸망당하고, 오왕 부차는 자살했다.
합려는 손자병법의 저자 손자의 도움으로 군사적 성공을 거두면서 춘추 시대 오패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오나라는 최초의 중국 해군을 개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해군은 대익(大翼), 소익(小翼), 돌모(突冒), 성채 배(楼船), 교량선(桥船) 등 다양한 종류의 배를 보유했다.[2]
오나라는 남쪽의 신흥 국가 월나라에 위협을 받았다. 초나라는 오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월나라를 지원했다. 오나라는 월나라와의 전투에서 대부분 승리하고 왕 구천을 사로잡았지만, 부차가 구천을 살려주면서 월나라를 완전히 정복하지 못했다. 구천은 부차의 신하 또는 노예로 수년간 고통받으며 복수를 계획했고, 부차는 평화를 약속하고 구천을 월나라로 돌려보내는 실수를 저질렀다. 오나라가 북쪽에서 군사 작전을 벌이는 동안 구천은 복수에 성공하여 기원전 482년 오나라를 기습 공격해 수도를 점령했다. 이후 10년 동안 오나라는 회복하지 못하고 기원전 473년 월나라에 흡수되었다.
오나라와 월나라는 금속 공예 기술이 뛰어나 새겨진 문구, 기하학적 무늬, 금 또는 은 상감 세공이 된 훌륭한 칼을 제작했다. 오나라와 월나라의 칼은 다른 국가의 칼보다 주석을 구리보다 훨씬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오나라는 제나라와 채나라 등에 칼을 선물로 보내기도 했다. 오 부차왕의 창날과 오 합려왕의 검 등이 그 예이다.
합려 시기, 오나라는 강성해져 손무, 오자서를 등용하여 초나라 수도를 점령,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다. 그러나 월나라 왕 윤상에게 공격받아 초나라에서 철수했다. 합려는 윤상의 아들 구천과 싸웠으나 중상을 입고 아들 부차에게 복수를 맹세한 뒤 사망했다. 부차는 오자서의 도움으로 구천을 멸망 직전까지 몰아넣었으나, 구천의 사죄를 받아들였다. 구천은 오나라에 따르는 척하며 국력을 키웠고, 부차는 이를 눈치채지 못하고 오자서를 죽이고 중원에 제후들을 모아 회맹했다. 그 사이 오나라 수도는 월나라에 함락되었고, 기원전 473년 오나라는 월나라에 멸망했다. 부차는 구천에게 목숨을 구걸했지만, 범려의 반대로 구천은 부차를 작은 섬으로 유배 보내려 했다. 그러나 부차는 이를 거절하고 자결하여 오나라는 멸망했다.
부차는 합려를 잃은 후 섶에 누워 복수심을 잊지 않았고, 구천은 부차에게 패한 후 쓸개를 맛보며 복수심을 불태우고 방에 들어갈 때마다 "회계의 치욕을 잊었는가?"라고 부하들에게 말하게 했다. 여기서 와신상담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오나라와 월나라의 치열한 경쟁에서 오월동주라는 말도 생겨났다.
2. 3. 문화와 언어
사기에는 오나라 사람들이 머리를 짧게 자르고 문신을 새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사마천에게 이것은 그들의 야만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당시 중국 남녀는 머리를 자르거나 신체를 변형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고, 그렇게 하는 것은 조상에게 물려받은 신체적 특징을 거스르는 행위로 여겨졌다.오나라 통치자들은 사후에 시호를 받지 않았다.
오의 통치자들은 초기 주의 후손이라고 전해지지만, 오 지역의 토착 언어인 백월어는 중국 중부 국가에서 사용된 고대 중국어와 구별된다. 역사가들은 이 언어를 오스트로네시아어족,[4] 크라다이어족 또는 비중국어 시노티베트어족과 연관 지으려 시도했다.[5] 백월어(고대 월어라고도 함)는 서기 100년경에 사멸했지만, 하위층은 오늘날의 오 방언에 여전히 보존되어 있다.
3. 역대 군주
대수 | 칭호 | 재위 | 재위 연수 | 비고 |
---|---|---|---|---|
1 | 태백 | 주나라 고공단보(주 태왕)의 장남. | ||
2 | 중옹 | 오 태백의 동생. | ||
3 | 계간 | |||
4 | 숙달 | |||
5 | 주장 | 오나라 제후로 봉해짐. | ||
6 | 웅수 | |||
7 | 가상 | |||
8 | 강구이 | |||
9 | 여교의오 | |||
10 | 가로 | |||
11 | 주요 | |||
12 | 굴우 | |||
13 | 이오 | |||
14 | 금처 | |||
15 | 전 | |||
16 | 파고 | |||
17 | 구비 | 기원전 671년 ~ 기원전 622년 | 50년 | |
18 | 거제 | 기원전 621년 ~ 기원전 586년 | 36년 | |
19 | 수몽 | 기원전 585년 ~ 기원전 561년 | 25년 | 칭왕 시작. |
20 | 제번 | 기원전 560년 ~ 기원전 548년 | 13년 | |
21 | 여제 | 기원전 547년 ~ 기원전 544년 | 4년 | |
22 | 여매 | 기원전 543년 ~ 기원전 527년 | 17년 | |
23 | 요 | 기원전 526년 ~ 기원전 515년 | 12년 | |
24 | 합려 | 기원전 514년 ~ 기원전 496년 | 19년 | |
25 | 부차 | 기원전 495년 ~ 기원전 473년 | 23년 |
4. 오나라와 일본
조위와 진의 일본 방문 기록에 따르면, 일본의 왜인은 전통적으로 오나라의 신화적 창시자로 여겨지는 오의 태백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6] 일부 학자들은 야마토 민족과 일본 천황가가 오나라, 어쩌면 태백의 후손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7][8] 많은 일본 역사학자들 또한 초기 일본의 야요이 시대 사람들을 백월 부족과 연결짓는다.[9][10][11]
중국에서는 왜인을 "오나라 태백의 자손"이라고 하는 설이 있으며, 그것이 일본에도 전해져 하야시 라잔 등의 유학자들에게 지지받았다. 도쿠가와 미츠쿠니가 이를 안타깝게 여겨 역사서 편찬을 뜻하게 된 것이 『대일본사』 집필의 동기였다는 전설이 널리 알려졌지만, 이는 신빙성이 낮다고 여겨진다.
5. 천문학에서의 오
월과 함께 천시원의 좌벽 별자리에서 '''제타 Aquilae'''로 표현된다(중국 별자리).[12]
참조
[1]
웹사이트
张学锋:句吴是早期方国,泰伯奔吴不可信
https://www.thepaper[...]
thepaper.cn
[2]
웹사이트
伍子胥列传 (Biography of Wu Zixu)
http://www.guoxue.co[...]
2011-11-30
[3]
간행물
Textual Research on King Shou Meng of Wu's Son's Sword Inscription
Wénwù, Cultural Relics
2005-02
[4]
서적
Iron and Steel in Ancient China
BRILL
1993
[5]
서적
The Chinese Mosaic: The Peoples And Provinces Of China
Routledge
2019
[6]
문서
Encounters of the Eastern Barbarians
Wei Chronicles
[7]
서적
Imagining China in Tokugawa Japan: Legends, Classics, and Historical Term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19-02-26
[8]
서적
Japanese Historians and the National Myths, 1600-1945: The Age of the Gods and Emperor Jinmu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1-11-01
[9]
서적
倭族と古代日本
雄山閣出版
1993
[10]
웹사이트
Yayoi linked to Yangtze area
http://www.trussel.c[...]
2019-04-23
[11]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12]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23 日
http://aeea.nmns.edu[...]
[13]
문서
史記 呉太伯世家では紀元前531年逝去と記されている
[14]
문서
史記 呉太伯世家では紀元前530年に即位したと記されている
[15]
문서
春秋左氏伝では寿夢の子で、さらに春秋公羊伝では季札の庶兄(史記呉太伯世家では季札の甥)と記述されている
[16]
문서
代 (戦国)は趙 (戦国)の亡命政権であり、秦に滅ぼされた
[17]
문서
출처: zh:吳姓(오씨), zh:泰伯(오태백), zh:吳國(오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