려원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려원구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여운형의 셋째 딸로, 모스크바 대학교 유학 후 북한에서 활동했다. 1946년 북한으로 건너가 김책공업대학 교원, 조선민주녀성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부의장, 최고인민회의 부의원 등을 역임했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의 방북을 도왔으며, 2005년 아버지 여운형에게 훈장을 추서하려는 대한민국 정부의 제안을 거부했다. 2009년 사망했으며, 김일성 훈장과 조국통일상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함양 여씨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함양 여씨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국통일상 수상자 - 여운형
여운형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독립운동 단체 활동, 임시정부 참여, 좌우합작을 통한 통일 노력으로 알려졌으나 해방 후 암살당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친일 논란과 암살 배후에 대한 논쟁을 낳고 있다. - 여운형 - 남조선로동당
남조선로동당은 1946년 결성된 남한의 좌익 정당으로, 이승만 정부 수립에 반대하며 테러와 게릴라전을 전개하다가 대한민국에서 소멸했다. - 여운형 -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조선건국준비위원회는 여운형이 건국동맹을 모체로 일본 패망 직후 조선총독부로부터 치안권과 행정권을 이양받아 발족한 단체로, 일제 타도와 민주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전국적인 치안 유지와 행정 공백 해소에 기여했으나 미군정의 불인정으로 해체되었다.
| 려원구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려원구 |
| 출생일 | 1928년 11월 5일 |
| 출생지 | 경성부 |
| 사망일 | 2009년 7월 30일 |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친족 | 여운형 |
| 정치 |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3회 |
| 당선일 | 1998년 9월 |
| 퇴임일 | 2009년 7월 30일 |
| 최고 지도자 | 김정일 (1994년 - 2011년) |
| 최고인민회의 부의장 | 1998년 9월 - 2009년 3월 |
| 수상 | |
| 훈장 | 김일성훈장 |
| 상 | 조국통일상 |
2. 생애
려원구는 1928년 11월 5일 일제강점기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독립운동가 여운형의 셋째 딸로 태어나, 1946년 38선을 넘어 북조선으로 갔다. 모스크바 대학교 유학 후 1954년에 김책공업대학(현 김책공업종합대학) 교원으로 취임했다.
1996년 언니 려연구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조선민주녀성동맹(민녀) 중앙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 1998년 2월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북측 본부 부의장 및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에 취임했고, 같은 해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부의원에 선출되었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했을 때 김대중 대통령을 공항에서 영접했다. 2002년 8월 8·15 민족통일대회 참석차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여운형의 묘소를 참배하고, 이산가족인 사촌 여명구의 아내 오세연을 상봉했다.
2005년 대한민국에서 여운형에게 건국훈장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를 거부하며, 그 이유를 주한미군 철수와 연계했다. 같은 해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고, 조선민주녀성동맹 위원장으로 남북통일여성대회에 참가했다. 2007년에는 김일성 훈장을 받았다. 2009년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에서 물러났고, 같은 해 7월 30일 사망하여 김정일이 화환을 보냈다.[13]
2. 1. 초기 생애 (1928~1946)
려원구는 1928년 11월 5일 일제강점기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독립운동가 여운형의 셋째 딸로 태어났다.[1][2][3] 1946년 38선을 넘어 북조선으로 건너갔다.[2][4][5] 아버지 여운형은 한반도 통일 운동가이자 정치인이었는데, 려원구가 북으로 간 다음 해인 1947년에 암살당했다.[1][2]2. 2. 모스크바 유학 (1946~1954)
려원구는 1946년부터 1954년까지 모스크바에서 생활하며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유학하였다.[1][2][6]2. 3. 북한에서의 활동 (1954~2009)
1954년 김책공업대학(현 김책공업종합대학) 교원으로 취임했다.[13] 1989년부터 평양의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1][2][5] 1991년부터 북한 교육위원회 부위원장을 역임했는데, 이는 다른 국가의 교육부 차관급에 해당한다.[1][5]1996년 언니 려연구가 교통사고로 사망하자 조선민주녀성동맹(민녀) 중앙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었다.[2] 1998년 2월 조국통일범민족연합 북측 본부 부의장 및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의장에 취임했다.[13] 같은 해 9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 부의원에 선출되었고,[13] 1998년부터 2009년까지 제10기 및 제11기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을 역임했다.[2][7][8] 또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대표를 지냈다.[1]
2000년 대한민국의 김대중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조선로동당 총비서)이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개최했을 때 김대중 대통령을 공항에서 영접했다.[13]
2002년 광복절에 서울을 방문하여 아버지 여운형의 묘소를 참배하여 주목을 받았다.[1][2] 2002년 8월 8·15 민족통일대회가 남북 민간단체 주최로 열릴때 참석차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8월 14일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에 위치한 몽양 여운형의 묘소를 찾아 참배하였다.[19] 8월 15일 오후 2시 40분쯤 8·15공동행사(민족통일대회)가 열린 서울 쉐라톤 워커힐호텔에서 이산가족인 사촌(四寸) 여운홍의 아들 여명구의 아내 오세연을 상봉했다.[20][19]
2005년 8월 15일 대한민국에서 여운형에게 건국훈장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에 대해 "아버지에게 주겠다는 남조선 당국의 훈장을 단호히 거부한다"며 "남조선 당국이 진정으로 아버지를 평가하려 한다면 암살범인 미국의 죄악부터 밝혀내고 남조선에서 미군을 철거시키는 용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거부 사유를 주한미군 철수에 연계하며 거부하였다.[21] 같은 해 6월 조국의 자주적 평화 통일에 기여한 공로로 조국통일상을 수여받았다.[10] 9월 13일 조선민주녀성동맹(속칭:민녀) 위원장으로 남북통일여성대회에 참가하였다.[22]
2007년 김일성 훈장을 수여받았다.[11]
2009년 개최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차 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에서 물러났다.[18] 같은 해 7월 30일 사망했고, 김정일 총비서가 영전에 화환을 보냈다.[13] 상훈으로는《김일성훈장》과 조국통일상을 받았다.[23]
2. 4. 대한민국 정부의 훈장 추서 거부 (2005)
2005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는 여운형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를 시도했으나, 려원구는 "아버지에게 주겠다는 남조선 당국의 훈장을 단호히 거부한다"며 이를 거부했다. 려원구는 "남조선 당국이 진정으로 아버지를 평가하려 한다면 암살범인 미국의 죄악부터 밝혀내고 남조선에서 미군을 철거시키는 용단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훈장 거부 사유를 주한미군 철수 문제와 연결지었다.[21]2. 5. 사망 (2009)
2009년 7월 30일 사망하였다.[22] 김정일이 영전에 화환을 보냈다.[13] 김일성훈장과 조국통일상을 받았다.[23]참조
[1]
웹사이트
Yo Won-gu Dies at 81
https://www.koreatim[...]
2009-08-02
[2]
웹사이트
Ryeo Won-gu
https://digitalarchi[...]
2022-01-27
[3]
웹사이트
"'몽양' 셋째딸 北 려원구 사망"
https://m.khan.co.kr[...]
2009-08-01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09-04
[5]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3
[6]
웹사이트
Ryo Won-gu
https://world.kbs.co[...]
2022-01-27
[7]
뉴스
SPA Chairman and vice-chairmen elected
http://www.kcna.co.j[...]
1998-09-05
[8]
뉴스
1st Session of 11th SPA of DPRK Held
http://www.kcna.co.j[...]
2003-09-03
[9]
웹사이트
Hand-holding, tears a link for North, South
https://koreajoongan[...]
2022-01-27
[10]
뉴스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Awarded to Persons of Service for National Reunification
http://www.kcna.co.j[...]
2005-06-14
[11]
뉴스
North Korea awards prizes to mark late leader's anniversary
2007-04-15
[12]
뉴스
North Korean leader mourns assembly member's death
2009-07-31
[13]
뉴스
‘여운형 딸’ 北 여원구 사망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9-08-01
[14]
뉴스
北 여원구 등 116명 14일 방한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02-08-14
[15]
뉴스
北 8·15대표단 이모저모呂의장 아버지 여운형묘 참배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2-08-14
[16]
뉴스
呂運亨氏ら社会主義系列54人に勲章・褒章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5-02-22
[17]
뉴스
呂運亨氏の実娘、建国勳章を拒否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5-03-07
[18]
뉴스
남북경협, 이젠 정치논리로? 민경협 5년만에 폐지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09-04-10
[19]
웹인용
donga.com[여성동아]
http://www.donga.com[...]
2010-03-21
[20]
뉴스
《중앙일보》(2002.8.15.) "여운형 선생 딸 여원구씨 친척 11명 눈물의 상봉"
https://archive.toda[...]
2002-08-15
[21]
뉴스
"<북 몽양 딸 왜 훈장 거부하나>"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05-03-07
[22]
뉴스
몽양 딸 北려원구 조국전선 의장 사망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cna.co.j[...]
2010-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