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르도르는 J.R.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가상의 지역으로, 어둠의 군주 사우론의 지배 하에 있는 검은 땅을 의미한다. 북쪽, 서쪽, 남쪽이 산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중앙에는 활화산인 운명의 산(오로드루인)이 위치한다. 사우론의 주요 요새인 바라드-듀르는 고르고로스 고원 북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검은 문(모란논)은 모르도르의 북서쪽 입구를 지킨다. 모르도르는 사우론의 세력인 오크, 트롤, 동방인 등이 거주하며 흑언어를 사용한다. 톨킨은 모르도르의 묘사에 《베오울프》와 제1차 세계 대전의 경험을 반영했다고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마릴리온 - 발라퀜타
발라퀜타는 J.R.R. 톨킨의 소설 《실마릴리온》에 등장하는 발라와 그들의 권능에 대한 이야기이다. - 실마릴리온 - 엔트
엔트는 톨킨의 판타지 세계관 중간계에 등장하는 나무 모습을 한 종족으로, 나무의 목자라 불리며 긴 수명과 강력한 힘을 지녔으나 배우자인 엔트 부인과의 이별과 실종으로 번성하지 못하고,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서 영감을 받아 창조되어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 가운데땅의 장소 - 로스로리엔
로스로리엔은 톨킨의 중간계 소설에 등장하는 안개산맥 서쪽 엘프 숲으로, 갈라드리엘과 켈레보른이 정착하여 번성했으며, 반지 원정대가 머물렀던 아름답고 신비로운 곳이지만, 사우론 몰락 후 쇠퇴하여 버려졌다. - 가운데땅의 장소 - 에리아도르
- 가운데땅 -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은 톨킨의 소설을 영화화한 3부작의 마지막 이야기로, 프로도와 샘의 절대반지 파괴 여정, 사우론 군대에 맞서는 연합군의 전투, 그리고 아라고른의 곤도르 왕 즉위를 중심으로 절대반지의 파괴와 사우론의 몰락,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그린다. - 가운데땅 - 발린 (가운데땅)
발린은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두린 가문의 드워프이며, 소린 오큰실드 일행으로서 에레보 탐험에 참여했고, 이후 모리아 재건을 시도했으나 고블린과 발로그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모르도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모르도르 |
다른 이름 | 그림자의 땅 검은 땅 이름 없는 땅 |
유형 | 사우론의 왕국 및 기지 |
지리 | 곤도르 동쪽 |
수명 | 제2시대 – 제4시대 |
통치자 | 사우론 |
처음 등장 | 《반지의 제왕》 |
수도 | 바라드두르 |
주요 장소 | 바라드두르 (검은 탑) 운명의 산 모란논 (검은 문) 키리스 웅골 고르고로스 우둔 |
추가 정보 | |
![]() |
2. 지리
모르도르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며, 북쪽과 남쪽이 더 긴 변을 이룬다. 세 변은 산맥으로 방어되었는데, 북쪽에는 에레드 리투이(Ash Mountains, 재 산맥), 서쪽과 남쪽에는 에펠 두아스(Ephel Dúath)가 있다. 이 산맥들의 길이는 각각 약 801km, 455km, 806km로 추정되며, 모르도르의 면적은 약 36만 2598 ㎢이다.[2]
서쪽에는 곤도르의 속주인 이실리엔의 좁은 땅이 있고,[3] 북서쪽에는 죽은 늪과 다고를라드(Dagorlad, 전투 평원), 북쪽에는 와일더랜드(Wilderland), 북동쪽과 동쪽에는 룬(Rhûn), 남동쪽에는 칸드(Khand), 남쪽에는 하라드(Harad)가 있다.[5] 죽은 늪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에민 무일 언덕 옆에 또 다른 음울한 늪인 닌달프(Nindalf) 또는 웻왕(Wetwang)이 있다.[4]
2. 1. 지형
모르도르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며, 북쪽과 남쪽이 더 긴 변을 이룬다. 세 변은 산맥으로 방어되어 있는데, 북쪽에는 에레드 리투이(재 산맥), 서쪽과 남쪽에는 에펠 두아스가 있다. 이 산맥들의 길이는 각각 약 801km, 455km, 806km로 추정되며, 모르도르의 면적은 약 36만 2598 ㎢이다.[2]서쪽에는 곤도르의 속주인 이실리엔의 좁은 땅이 있고,[3] 북서쪽에는 죽은 늪과 다고를라드, 북쪽에는 와일더랜드, 북동쪽과 동쪽에는 룬, 남동쪽에는 칸드, 남쪽에는 하라드가 있다.[5] 죽은 늪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에민 무일 언덕 옆에 또 다른 음울한 늪인 닌달프 또는 웻왕이 있다.[4]
모르도르의 내부는 세 개의 큰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우론의 영토 중심부는 북서쪽에 있었는데, 활화산인 불의산이 중앙에 위치한 고르고로스의 건조한 고원이었다.[37] 사우론의 주요 요새인 바라드-듀르는 고르고로스 북쪽, 재산맥의 돌출부 끝에 있었다. 고르고로스는 화산 지대로 생명체가 살 수 없는 곳이었지만, 모르도르의 광산, 대장간, 주둔지가 있었다.[10][11]
모르도르의 남쪽 지역인 누른은 고르고로스보다 건조하지 않았고 더 비옥했다. 사우론의 노예들은 그의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이 지역을 경작했으며,[38] 개울은 누르넨의 염호로 흘러들었다. 고르고로스의 동쪽에는 리슬라드의 건조한 평원이 있었다.[11] 모르도르 내부에는 좁은 계곡으로 분리된 낮은 평행 능선인 모르가이가 있으며, 이곳은 척박한 식물들이 자라는 "아직 죽지 않은 죽어가는 땅"이다.
2. 2. 검은 문 (모란논)
모르도르의 북서쪽 입구인 키리스 고르고르 협곡은 우둔의 평원으로 이어진다. 사우론은 이 협곡을 가로질러 거대한 성문인 검은 문(모란논)을 건설했다.[11] 검은 문은 곤도르가 이 입구를 감시하기 위해 건설한 경비탑인 이빨 탑(카르코스트, 나르코스트)으로 방어되고 있었는데, 동쪽에는 카르코스트가 서쪽에는 나르코스트가 위치하고 있었다.[11] 우둔 내부에는 이센마우스라는 또 다른 문이 있어 모르도르 내부로 통하는 통로를 지키고 있었다.[5] 검은 문(모란논) 외부에는 다고를라드 또는 전투 평원과 죽음의 늪이 있었다.[5]2. 3. 그림자 산맥 (에펠 두아스)
에펠 두아스("그림자의 울타리")는 서쪽과 남쪽에서 모르도르를 방어했다. 주요 통로는 곤도르가 미나스 이실로 건설한 도시, 미나스 모르굴에 의해 지켜졌다.[6] 더 높고 험난한 고개인 시리스 웅골은 모르굴 고개 바로 북쪽에 있었으며, 정상은 곤도르가 건설한 탑으로 지켜졌다. 이 길은 거대 거미 셸롭의 은신처인 토레크 웅골을 통과했다.[7][8] 두르탕 요새는 우둔 위쪽 북쪽 에펠 두아스에 위치했다.[10]에펠 두아스 내부에는 좁은 계곡으로 분리된 더 낮은 평행 능선인 모르가이가 있었는데, 이곳은 "아직 죽지 않은 죽어가는 땅"으로 "낮은 관목 나무", "거친 회색 풀 덩어리", "시든 이끼", "크게 뒤틀리고 얽힌 가시덤불", 그리고 길고 찌르는 가시가 있는 가시덤불 덤불이 있었다.[9]
2. 4. 운명의 산 (오로드루인)


운명의 산(Mount Doom)은 오로드루인(Orodruin), 아몬 아마스(Amon Amarth)로도 불리며, 모르도르의 고르고로스 고원 중앙에 위치한 활화산이다.[12] 이 산은 사우론의 명령과 그의 존재에 반응하여, 그가 모르도르를 떠나면 휴화산이 되고, 그가 돌아오면 다시 활동을 시작한다.[12] 절대반지가 만들어진 곳이며, 절대반지를 파괴할 수 있는 유일한 장소이기도 하다.[12] 절대반지가 파괴되고 사우론이 제3시대 말에 패배하자 화산은 격렬하게 분출하였다.[37]
톨킨은 번역가들을 위해 작성한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이름들에 대한 안내"에서 "'운명의 균열(Crack of Doom)'"이라는 구절이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맥베스 4막 1장에서 유래했다고 밝혔다.[13] 톨킨은 이 구절이 천둥의 균열에 의한 "최후의 날의 예고" 또는 "마지막 나팔 소리"를 의미하며, 요한계시록에 묘사된 최후의 심판에서 언급된다고 설명했다.[13] 그는 또한 "운명(Doom)"이 원래 "심판"을 의미했으며, "최후의 날(doomsday)"이라는 단어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죽음, 최후, 운명"의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하였다.[13] 톨킨과 톨킨 학자 자레드 롭델이 언급한 또 다른 가능한 이름의 출처는 영국 소설가 얼저넌 블랙우드의 초자연적 사건에 대한 두 이야기, "버드나무"와 "눈의 매력"이다.[14]
팬진 니에카스에 따르면, 톨킨은 1966년 9월 지중해 크루즈에서 "거의 모르도르를 발견"했으며,[15] 밤에 스트롬볼리 화산을 지나 항해할 때, 톨킨은 "[운명의 산]과 매우 흡사한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15]
국제천문연맹은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 있는 모든 산의 이름을 톨킨의 작품에 나오는 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다.[16] 2012년, 그들은 타이탄의 산에 "둠 몬스(Doom Mons)"라는 이름을 운명의 산을 따서 지었다.[17]
가사가 주로 바이킹 문화와 북유럽 신화를 다루는 스웨덴의 멜로딕 데스 메탈 밴드 아몬 아마스, 그리고 북미의 둠 메탈 밴드 오로드루인은 이 산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피터 잭슨 감독의 ''반지의 제왕'' 영화에서 운명의 산은 뉴질랜드의 두 개의 활화산, 통가리로 국립공원에 있는 나우루호에 산과 루아페후 산을 배경으로 묘사되었다. 먼 거리에서 촬영된 장면에서는 거대한 모형이나 컴퓨터 그래픽 효과, 또는 그 조합으로 표현되었다. 제작진은 마오리족이 신성시하는 나우루호에 산의 정상 촬영 허가를 받지 못했지만, 운명의 산 경사면의 일부 장면은 루아페후 산 경사면에서 촬영되었다.[21]
TV 시리즈 ''반지의 제왕: 힘의 반지''에서 운명의 산은 제2시대에 프레아토마그마 분출을 겪는다. 이는 오크들이 수문을 열어 지하 깊숙한 곳의 뜨거운 마그마에 물을 흘려보냈을 때 발생했다. 한 지질학자는 그 물이 순간적으로 수증기로 변하면서 폭발을 일으켰다고 설명했다.[22]
2. 5. 바랏두르
바랏두르(싱다린어: Barad-dûr)는 사우론의 거대한 요새로, "어둠의 탑"으로도 불린다. 모르도르의 흑언어로는 ''''''루그부르즈''''''(Lugbúrz)라고 불리며, 반지의 제왕에서 "바라드-듀르", "루그부르즈", "어둠의 탑"은 때때로 사우론을 나타내는 환유로 사용된다.[23][25] 사우론이 만든 흑언어는 바라드-듀르에서 사용된 언어 중 하나였으며, 그곳의 병사들은 이 언어의 변형된 형태를 사용했다.[24]제2시대에 사우론은 모르도르에 요새를 건설했다.[26] 간달프는 절대반지의 힘으로 강화된 이 요새의 기초는 반지가 존재하는 한 영원히 남을 것이라고 묘사했다.[27] 어둠의 탑은 철로 만들어졌고 검으며, 흉벽과 성문이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28] 두 개의 탑에서 바라드-듀르는 "...그 광대한 요새, 무기고, 감옥, 엄청난 힘의 용광로..."로 묘사되며, '측정할 수 없는 강도'를 지녔다고 언급된다.[30] 이 요새는 많은 탑들로 구성되었고, 주변에는 구름이 덮여 있었다.[31]
프로도 배긴스는 아몬 헨에서의 환영에서 엄청난 탑을 "...벽 위에 벽, 흉벽 위에 흉벽, 검고, 측정할 수 없이 강하고, 철의 산, 강철의 문, 아다만트의 탑... 바라드-듀르, 사우론의 요새..."로 인식했다.[28] 탑 꼭대기에는 "눈의 창문"이라는 감시초소가 있었다.[31] 바라드-듀르의 서쪽 문은 "거대하다"고 묘사되고 서쪽 다리는 "거대한 철 다리"라고 묘사된다.[31]
왕의 귀환에서 샘와이즈 갬지는 바라드-듀르의 파괴를 목격했다.[31] 바라드-듀르는 절대반지, 모르도르, 사우론 자신과 함께 3월 25일에 파괴되었는데, 이는 십자가 처형의 전통적인 앵글로색슨 날짜이다. 절대반지를 파괴하기 위한 퀘스트는 리븐델에서 12월 25일, 즉 크리스마스에 시작되었다.[32]
3. 역사
태양의 1시대에는 아직 그 땅이 이용되지 않았기에 태양의 2시대부터 언급된다. 에온웨의 명령을 어기고 도망간 사우론은 벨레리안드를 넘어 모르도르에 정착해 자신의 왕국을 지킬 성벽 같은 두 산맥을 세웠다. 그 산맥의 이름은 각각 어둠산맥과 잿빛산맥으로 모르도르를 지키는 자연적인 성벽 기능을 했다. 산맥을 세운 후 자신의 요새 바랏두르와 도구 절대반지 제작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모르도르의 오크를 이끌고 요정과 전쟁을 벌였는데, 이 전쟁을 요정과 사우론의 전쟁이라 부른다.
아직까지 인간, 정확히는 누메노르[62]와 별다른 대치점 없이 지냈지만, 놀도르 대왕 길 갈라드의 요청에 따라 요정을 구원하기 위해 구원군을 보내면서 사우론은 패배해 모르도르에서 한동안 잠적했다. 이후 누메노르와 그 후계국은 사우론의 적으로 인식되어 아르노르, 곤도르는 반지전쟁에서 모르도르와 전쟁을 벌이게 된다.
제 3시대가 시작된 후, 2차 반지전쟁이 개전했을 때 역시 사우론 세력의 주축이 되어 자유 세력의 위협적인 적국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당시 인접국 곤도르는 모르도르에 의한 극심한 피해와 공포를 느낀다. 오크와 트롤, 동부인과 나즈굴 등의 막강한 공세에 동쪽의 미나스 이실과 수도 오스길리아스 그리고 미나스 티리스마저 파괴당하며 패색이 짙어질 찰나, 자유 세력 지원군의 적절한 도착에 펠렌노르 평야 전투가 곧바로 발발하여 모르도르의 패배, 자유 세력의 수세에서 공세로 역전되며 전쟁의 종식까지 수세를 유지하다 멸망한다.
3. 1. 초기 역사 (제2시대)
사우론은 에온웨의 명령을 어기고 도망쳐 벨레리안드를 넘어 모르도르에 정착했다.[62] 그는 자신의 왕국을 지키기 위해 어둠산맥과 잿빛산맥을 세웠는데, 이 산맥들은 모르도르의 자연적인 성벽 기능을 했다. 이후 그는 요새 바랏두르를 건설하고 절대반지 제작을 성공적으로 마쳤다.[36]모르도르의 오크를 이끌고 요정과 전쟁을 벌였으나, 놀도르 대왕 길 갈라드의 요청으로 요정을 구원하러 온 누메노르[62]의 구원군에 의해 패배하여 한동안 잠적했다.
천 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후, 아르파라존이 이끄는 누메노르인들이 중간계로 항해해 오자, 사우론은 그들에게 자신을 사로잡히게 한 후 누메노르로 데려가게 했다. 그곳에서 누메노르의 멸망을 초래한 뒤, 영의 형태로 모르도르로 돌아와 통치를 재개했다.[35]
3. 2. 최후의 동맹과 제3시대
엘프와 인간의 최후 동맹군이 모르도르로 진격하여 다골라드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사우론의 군대를 궤멸시키고 검은 문을 함락시켰다. 이후 바랏두르는 포위되었고, 7년 후 사우론이 패배하였다. 사우론은 룬으로 도주했고, 바랏두르는 파괴되었다.[36] 곤도르는 사우론의 귀환을 막기 위해 모르도르 입구에 요새를 건설하여 1000년 이상 "경계의 평화"를 유지했다.[36]곤도르의 대역병으로 인해 모르도르를 지키는 요새들이 버려졌고, 모르도르는 다시 악한 것들로 가득 찼다.[36] 반지의 유령들은 곤도르의 쇠퇴를 이용하여 모르도르로 재진입하여 미나스 이실을 정복하고 요새들을 장악했다. 호빗에서 빌보 배긴스의 모험 당시, 사우론은 돌 골두르에서 모르도르로 돌아와 패배한 척했지만 전쟁을 준비했다.[36]
3. 3. 반지전쟁
반지전쟁에서 모르도르는 사우론 세력의 주축으로 자유 세력, 특히 곤도르에게 큰 위협이었다. 오크와 트롤, 동부인과 나즈굴의 공세에 미나스 이실과 오스길리아스가 함락되고 미나스 티리스도 공격받았으나,[62] 자유 세력 지원군과 펠렌노르 평야 전투를 통해 전세가 역전되었다.[36] 엘론드의 회의에서 결정된 바에 따라 프로도 배긴스와 샘와이즈 갬지는 골룸의 안내를 받아 죽음의 늪을 지나 시리스 웅골을 통해 모르도르에 잠입했다.[36]
모란논 전투에서 절대반지가 파괴되면서 사우론의 힘과 바랏두르, 모르도르는 함께 멸망했다.[36][37] 사우론의 패배는 제3시대의 종말을 가져왔고, 모르도르의 누른 지역은 사우론에게 해방된 노예들에게 주어졌다.[38]
4. 주민과 언어
모르도르에는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동방인과 하라드림이 포함되었고, 보통 일반어의 변형된 형태를 사용하는 오크와 트롤도 있었다.[39] 바라드-듀르 내부와 모르도르의 지휘관들(반지의 유령과 사우론의 입과 같은 고위 측근들) 사이에서는 제2시대 암흑기 동안 사우론이 고안한 흑언어가 여전히 사용되었다.[39] 사우론은 일반적인 오크와 트롤 외에도 태양을 견딜 수 있는 더 강력한 오크 종족인 우르크하이와 강하고 민첩한 트롤 종족인 올로그하이를 만들었다. 올로그하이는 흑언어만 알았다.[39]
5. 기타
5. 1. 어원
"모르도르(Mordor)"는 신다린어로 "검은 땅", 퀘냐어로 "그림자의 땅"을 의미한다.[40] "어둠", "검은"을 뜻하는 어근 ''mor''은 모리아와 최초의 암흑 군주 몰고스에도 나타난다.[40]일부에서는 "모르도르"가 고대 영어의 ''morðor''(중죄 또는 살인)에서 유래했다고 추측하지만,[41] 언어학자 헬게 파우스강거(Helge Fauskanger)는 톨킨이 "모르도르"라는 이름을 만들기 수십 년 전부터 "mor"과 "dor"( 곤도르, 에리아도르와 같은)라는 요소를 사용해왔다는 점을 지적한다.[41]
파우스강거는 어둠과 관련된 "mor"과 비슷한 소리를 가진 단어가 여러 언어에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이탈리아어 ''moro''(라틴어 ''maurus'' 즉 검은색과 북아프리카 부족인 ''Mauri''와 비교)는 무어인을 뜻하며, 형용사로는 "검은"을 의미한다. 톨킨은 이탈리아어를 좋아했다고 알려져 있다.[41] 그리스어 Μαυρός(''mauros'')는 "어둡고 흐릿한"을 의미한다.[41] 그는 또한 톨킨이 북쪽의 어두운 숲인 미르크우드(Mirkwood)와 노르웨이어 ''myrk''("어두운"), 영어 "murky"와 동족어의 연관성을 생각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41] 그는 "라틴어 ''mors'' '죽음' 또는 고대 영어 ''morðor'' '살인'과 같은 단어들이 이 음절의 어감을 더욱 어둡게 만들었다"고 덧붙였다.[41] 마지막으로 파우스강거는 아서왕 관련 이름인 모르가나, 모르고즈, 모드레드를 언급하며, "Mor-" 요소가 "어두운"을 의미하지 않고, 웨일스어 ''mawr''("큰")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톨킨은 아서왕 전설의 악과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었을 수도 있다고 추측한다.[41]
5. 2. 모티브
톨킨은 고대 영어 학자로, ''베오울프''를 중간계의 "가장 귀중한 자료"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42] 중세학자인 스튜어트 D. 리와 엘리자베스 솔로포바는 톨킨의 모르도르와 인근 지역에 대한 묘사를 ''베오울프''에 나오는 괴물 그렌델의 황야와 비교한다.[43] 특히, 프로도와 샘이 죽음의 늪을 건너는 장면과 골룸이 "교활한 불빛"이라고 부른 것을 ''베오울프''의 "물 위의 불"과 비교하며, 바위와 날카로운 가시로 가득한 메마른 모르고르를 건너는 장면을 그렌델의 위험한 황야와 비교한다.[43] 리와 솔로포바는 ''베오울프''의 묘사가 "황폐, 겨울 풍경, 초자연적인 것에 대한 개념을 활용하여" 다가오는 공포를 강조하고,[43] 톨킨처럼 자연에 대한 사실적인 묘사를 제공한다고 썼다.그렌델의 황야 베오울프 II.1345-1382 | 번역 | 모르도르 주변 풍경 |
---|---|---|
... ... ... ... Hie dygel lond warigeað, wulfhleoþu, windige næssas, frecne fengelad | ... ... ... ... 그들은 은밀한 땅을 감시한다, 늑대가 우글거리는 비탈/바람부는 곶 위험한 황야길 | 모르고르: 바위, 가시, "풀 없고, 헐벗고, 들쭉날쭉... 황량한", "황폐하고 죽은" |
wudu wyrtum fæst / wæter oferhelmað. þær mæg nihta gehwæm / niðwundor seon, fyr on flode. ... Nis þæt heoru stow! | 뿌리가 깊은 나무들 / 물을 가린다 거기서 매일 밤 / 끔찍한 기적을 볼 수 있다 물 위의 불... 이곳은 안전한 곳이 아니다. | "넓은 늪과 진창... 안개가 맴돌고 연기가 났다 어둡고 불쾌한 연못에서". "시체를 위한 촛불" (죽음의 늪의 불빛) |
울버햄프턴(Wolverhampton) 미술관(2014)에서 열린 "모르도르의 창조(The Making of Mordor)"라는 제목의 미술 전시회는 톨킨의 어린 시절 집 근처 웨스트 미들랜즈의 제철소(steelworks)와 용광로(blast furnace)가 그의 모르도르 비전과 이름에 영감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이 산업 지역은 오랫동안 "블랙컨트리(Black Country)"로 알려져 왔다.[44] 필립 우맥(Philip Womack)은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지에 기고한 글에서 톨킨이 시골 워릭셔(Warwickshire)에서 도시 버밍엄(Birmingham)으로 이주한 것을 "전원의 목가적인 곳에서 모르도르와 같은 대장간과 불로의 추방"으로 비유한다.[45]
''뉴욕 타임스''는 모르도르의 음울한 땅을 톨킨의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 참호전 경험과 관련지었다.[47] 1960년 편지 중 하나에서 톨킨 자신은 "모르도르 북쪽의 죽음의 늪과 모라논(모르도르 입구)으로 가는 길은 솜므 전투 이후의 북부 프랑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썼다.[48]
참조
[1]
서적
The Black Gate Opens
#Publisher not specified in the input.
1955
[2]
서적
The Atlas of Middle-earth
HarperCollins
1992
[3]
서적
Journey to the Cross-Roads
1954
[4]
문서
The Lord of the Rings: A Reader's Companion
Wayne G. Hammond and Christina Scull (eds)
[5]
지도
Map of Rohan, Gondor, and Mordor
1955
[6]
서적
The Stairs of Cirith Ungol
1954
[7]
서적
Shelob's Lair
1954
[8]
서적
The Tower of Cirith Ungol
1955
[9]
서적
The Land of Shadow
1955
[10]
서적
The Land of Shadow
1955
[11]
서적
The Black Gate is Closed
1954
[12]
서적
The Shadow of the Past
1954a
[13]
서적
A Tolkien Compass
https://archive.org/[...]
Open Court
1975
[14]
학술지
Possible Echoes of Blackwood and Dunsany in Tolkien's Fantasy
https://muse.jhu.edu[...]
2004
[15]
학술지
Many Meetings with Tolkien: An Edited Transcript of Remarks at the December 1966 TSA Meeting
https://www.fanac.or[...]
1968
[16]
웹사이트
Categories for Naming Features on Planets and Satellites
http://planetarynam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7]
웹사이트
Doom Mons
http://planetarynam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18]
학술지
Sauron, Mount Doom, and Elvish Moths: The Influence of Tolkien on Modern Science
2007
[19]
웹사이트
Amon Amarth
https://www.discogs.[...]
Discogs
[20]
웹사이트
Orodruin
https://www.metal-ar[...]
Metal Archives
[21]
서적
The Making of the Movie Trilogy The Lord of the Rings
Houghton Mifflin
2002
[22]
웹사이트
'The Rings of Power' Showrunners — and a Geologist — Explain That Mount Doom Surprise
https://www.hollywoo[...]
Hollywood Reporter
2022-09-29
[23]
서적
An Introduction to Elvish
https://archive.org/[...]
Bran's Head Books
1978
[24]
서적
Appendix F
1955
[25]
서적
Index: III "Persons, Places, and Things"
1955
[26]
서적
A guide to Middle-earth
Ballantine
1978
[27]
서적
The Last Debate
1955
[28]
서적
The Breaking of the Fellowship
1954a
[29]
서적
Plate 30: Orodruin and Barad-dûr
1979
[30]
서적
The Road to Isengard
1954
[31]
서적
Mount Doom
1955
[32]
서적
2005
[33]
서적
The Atlas of Middle-earth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991
[34]
서적
1996
[35]
서적
Akallabêth
1977
[36]
서적
Of the Rings of Power and the Third Age
[37]
서적
The Field of Cormallen
[38]
서적
The Steward and the King
[39]
서적
The Languages and Peoples of the Third Age
[40]
서적
[41]
서적
Arda Philology 4: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J.R.R. Tolkien's Invented Languages, Omentielva Cantea, Valencia, 11-14 August 2011
https://books.google[...]
Arda
[42]
서적
[43]
서적
The Keys of Middle-earth: Discovering Medieval Literature Through the Fiction of J. R. R. Tolkien
https://archive.org/[...]
Palgrave
2005
[44]
뉴스
Mordor, he wrote: how the Black Country inspired Tolkien's badlands
https://www.theguard[...]
2014-09-19
[45]
뉴스
Why is Tolkien's work so successful, and why did the new film leave out his Christianity?
https://www.independ[...]
2019-05-04
[46]
서적
Environmentalism in the Realm of Science Fiction and Fantasy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1-11-15
[47]
뉴스
How J.R.R. Tolkien Found Mordor on the Western Front
https://www.nytimes.[...]
2016-06-30
[48]
웹사이트
Hobbits and hippies: Tolkien and the counterculture
http://www.bbc.com/c[...]
BBC
2014-11-20
[49]
서적
Ethics and Form in Fantasy Literature: Tolkien, Rowling and Meyer
https://books.google[...]
Springer
[50]
학술지
The Horns of the North: Historical Sources of JRR Tolkien's Trilogy
https://digitalcommo[...]
[51]
뉴스
'Lord of the Rings' director reveals Sean Bean was reading iconic Mordor speech on camera
https://www.nme.com/[...]
2020-06-01
[52]
웹사이트
Movies 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https://nymag.com/mo[...]
New York magazine
2012-02
[53]
서적
From Hobbits to Hollywood: Essays on Peter Jackson's Lord of the Rings
Rodopi
[54]
서적
Picturing Tolkien
McFarland
[55]
서적
From hobbits to Hollywood: essays on Peter Jackson's Lord of the rings
Rodopi
2006
[56]
서적
From Hobbits to Hollywood: Essays on Peter Jackson's Lord of the Rings
Rodopi
[5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usic and Mediev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8]
웹사이트
Ramble On: Rockers Who Love 'The Lord of the Rings' A look back at Middle Earth in rock & roll, from Led Zeppelin to Rush and beyond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2-12-13
[59]
웹사이트
'Shadow of Mordor' is morally repulsive and I can't stop playing it
https://www.theverge[...]
2014-10-01
[60]
웹사이트
Ulice Tolkiena i Gandalfa powstały w Warszawie. Autor "Władcy pierścieni" i bohater jego powieści zostali patronami ulic w Mordorze
https://warszawa.nas[...]
2023-01-08
[61]
웹사이트
Pluto's Big Moon Charon Reveals a Colorful and Violent History
https://www.nasa.gov[...]
NASA
2015-10-01
[62]
문서
누메노르 건국 배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