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스트 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트 룸은 2006년 방영된 미국의 미니시리즈로, 형사 조 밀러가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물건인 '열쇠'를 얻게 되면서 딸을 구하기 위해 겪는 이야기를 다룬다. 열쇠는 모텔 10호실로 연결되며, 이 방은 오브젝트라 불리는 다양한 물건들의 초자연적인 힘이 발휘되는 공간이다. 조는 딸을 찾기 위해 오브젝트를 추적하고, 이 과정에서 여러 세력과 얽히게 된다. 이 시리즈는 오브젝트를 둘러싼 세력 간의 갈등, 물건의 초자연적 능력, 그리고 10호실의 비밀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Syfy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변종샤크
    변종샤크는 동물 밀수업자가 늪지대에 풀어놓은 거대 상어가 사람들을 공격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제이슨, 레이첼 남매와 연방 특수 요원이 상어를 처치하기 위해 나선다.
  • Syfy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닥터 후
    《닥터 후》는 1963년 BBC에서 시작된 영국의 장수 SF 드라마로, 시간 여행을 하는 외계인 닥터가 동행자들과 함께 악당과 싸우는 이야기를 그리며, 재생성 능력을 가진 닥터는 여러 배우가 연기했고, 2005년 부활 이후 다양한 미디어로 세계관을 확장해왔다.
  • 미국의 SF 드라마 - 슈퍼맨
    슈퍼맨은 제리 시걸과 조 슈스터가 창작한 DC 코믹스의 슈퍼히어로로, 크립톤 행성 출신의 외계인 칼-엘이 지구에서 클라크 켄트라는 이름으로 이중 생활을 하며 초인적인 힘과 비행 능력 등 뛰어난 능력을 지녔지만 크립토나이트와 마법에 취약하고,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재해석되며 사회 정의와 인간애를 중시하는 영웅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미국의 SF 드라마 - 센스8
    《센스8》은 전 세계 여러 도시에 사는 센세이트 여덟 명이 초능력적 연결을 통해 감각과 경험을 공유하며 BPO의 추격을 받는 넷플릭스 SF 드라마로, 와쇼스키 자매와 J. 마이클 스트라친스키가 제작, 다양한 문화와 주제 의식으로 호평과 비판을 받았으며, 팬들의 지지로 특별 에피소드가 제작되었다.
  • 2006년 드라마 - 가면라이더 가부토
    가면라이더 가부토는 젝터를 이용해 변신하는 가면라이더 시스템을 중심으로, 클록업 시스템과 퍼펙트/하이퍼 젝터를 통해 능력을 강화하며 텐도 소우지를 비롯한 라이더들과 웜 군단의 대결을 그린 특촬 드라마이다.
  • 2006년 드라마 - 안녕, 프란체스카
    2005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된 시트콤 《안녕, 프란체스카》는 루마니아 뱀파이어 가족이 한국에 정착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코믹하게 그린 작품으로, 심혜진, 정려원, 이켠, 박슬기 등이 주연을 맡았고, 12부작의 1, 2시즌과 24부작의 3시즌으로 구성되어 시대적 부조리에 대한 은유적 비판을 담고 있다.
로스트 룸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스트 룸" DVD 커버
장르초자연적 픽션
드라마 (영화 및 텔레비전)
미스터리 픽션
제작자크리스토퍼 리온
로라 하컴
출연피터 크라우스
줄리아나 마굴리스
피터 제이콥슨
데니스 크리스토퍼
에이프릴 그레이스
크리스 바우어
엘 패닝
로저 바트
케빈 폴락
국가미국
언어영어
총 에피소드 수약 90분짜리 3화
프로듀서리처드 하템
크리스토퍼 리온
로라 하컴
폴 워크맨
피터 촘스키
빌 힐
폴 쿠르타
상영 시간262분
방송사Syfy 채널
처음 방송2006년 12월 11일
마지막 방송2006년 12월 13일

2. 등장인물


  • '''마르코 코도바''': 위즐의 부하였다. 열쇠를 훔쳐 제이크에게 팔려다 거래 현장이 발각되어 위즐에게 살해당했다.
  • '''제이크 스퀼로''': 군단 소속이었으나, 칼 크로이츠펠트에게 돈을 받고 배신하려 했다. 이기와 함께 위즐의 부하인 마르코와 거래하려다 위즐에게 살해당했다.
  • '''조레이다 피거로라''': 워싱턴 D.C.에 살고 있으며 가위의 소유자였다. 마약 등을 팔다가 클로이페츠에게 제압당하고 가위를 빼앗겼다.
  • '''마벨 스미스''': 에디의 아내였으나, 에디가 '10호실의 사건' 이후 시공간에서 지워지면서 그를 기억하지 못하게 되었다.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12]
  • '''푸밋''': 수드의 부하. 밀러에게 예약을 요구하며 당돌하게 거절했다.
  • '''알린 콘로이''': 선샤인 호텔의 여주인. 콜렉터스를 만든 장본인이다. 실험을 진행하다 비극으로 9호실의 잘못된 시공간에 갇혀 고통받다가 밀러에 의해 풀려나 사망했다.
  • '''거스 제이콥''': 알린 콘로이의 남편. 선샤인 호텔의 주인이었으나, 알린 콘로이의 실험 비극 이후 오브젝트를 멀리한다.

2. 1. 주요 등장인물


  • '''조 밀러''' (피터 크라우즈 분): 주인공 형사. 딸 애나와 함께 살고 있으며, 아내와는 이혼 후 양육권 분쟁 중이다. 우연히 '열쇠'를 얻게 되면서 로스트 룸 사건에 휘말리고, 딸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1]
  • '''애나 밀러''' (엘 패닝 분): 조 밀러의 딸. 로스트 룸의 '리셋' 기능을 발견하지만, '위즐' 일당에게 납치된 후 룸 안에서 사라진다.[1]
  • '''루 데스테파노''' (크리스 바우어 분): 조 밀러의 선배 형사. 조를 믿고 돕지만, 마틴 루버에게 살해당한다.
  • '''리 브리지워터''' (에이프릴 그레이스 분): 조 밀러의 동료 여형사. 조를 의심하면서도 그의 결백을 믿고 돕는다. 마틴 루버를 의심하고 추적한다.
  • '''마틴 루버''' (데니스 크리스토퍼 분): 증거물 분석가이자 조 밀러의 동료 형사. 로스트 룸의 힘에 매혹되어 열쇠를 빼앗으려다 루 데스테파노를 살해하고, '수도회'에 들어가 조를 쫓는다.[1]
  • '''위즐''' (로저 바트 분): 본명 하워드 몬테규. '펜' 소유자. 사건의 발단을 제공하며, 애나를 사라지게 만든 장본인이다.
  • '''이그나시오 로사''' (호르헤-루이스 팰로 분): 애칭 '이기'. 살인사건 목격자. 조에게 열쇠를 넘겨주고 사망한다.
  • '''월리 자브로스키''' (피터 제이컵슨 분): '버스표' 소유자. 조에게 로스트 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돕는다.[2]
  • '''제니퍼 블룸''' (줄리아나 마걸리스 분): '군단' 소속. 오브젝트를 격리하려 한다. 조와 협력하며 깊은 감정을 느끼지만, 칼 크로이츠펠트를 불신한다.[1]
  • '''칼 크로이츠펠트''' (케빈 폴랙 분): 오브젝트 수집가. 아들을 살리기 위해 오브젝트를 모은다. 조와 협력하지만, 진실은 그의 아들이 이미 죽었다는 것이다.[1]
  • '''강수지''' (마거릿 조 분): 한국계 미국인. 오브젝트 정보 판매상. '군단'을 싫어한다.[1]
  • '''해럴드 스트리즈키''' (유언 브렘너 분): '빗' 소유자. 관음증 환자. 조에게 빗을 넘겨준다.
  • '''수드''' (제이슨 안톤 분): 책 상점 주인. 오브젝트 정보 판매상. 조를 돕는다.
  • '''에디 맥컬리스터''' (팀 귀니 분): '보유자'. 인간 형태의 오브젝트. 조에게 자신을 죽여달라고 부탁한다.
  • '''마르코 코도바''': 위즐의 부하. 열쇠를 팔려다 위즐에게 살해당한다.
  • '''제이크 스퀼로''': 군단 소속이었으나 배신하고, 위즐에게 살해당한다.
  • '''조레이다 피거로라''': '가위' 소유자. 밀러에게 가위를 빼앗긴다.
  • '''마벨 스미스''': 에디의 아내였으나, 에디가 오브젝트가 되면서 그를 잊는다.
  • '''푸밋''': 수드의 부하.
  • '''알린 콘로이''': 선샤인 호텔 여주인. 콜렉터스를 만든 장본인. 9호실에 갇혔다가 밀러에 의해 풀려난다.
  • '''거스 제이콥''': 알린 콘로이의 남편.

2. 2. 기타 등장인물


  • '''조 밀러''' (피터 크라우즈 분): 주인공 형사. 딸 애나 밀러와 함께 살며, 전처와 양육권 분쟁 중이다. 이기에게서 열쇠를 받으면서 사건에 휘말린다. 딸을 찾기 위해 오브젝트를 추적하며, 살인 누명을 쓰고 쫓기는 와중에도 고군분투한다.[1]
  • '''애나 밀러''' (엘 패닝 분): 조 밀러의 딸. 모텔 10호실의 '리셋' 기능을 발견한다. 위즐 일당에게 납치된 후, 룸 안에서 '리셋'되어 사라진다.[1]
  • '''루 데스테파노''' (크리스 바우어 분): 조 밀러의 선배 형사. 조가 열쇠에 대해 털어놓은 유일한 일반인. 조를 끝까지 믿고 돕지만, 마틴 루버에게 총을 맞고 사망한다.[1]
  • '''리 브리지워터''' (에이프릴 그레이스 분): 조 밀러의 동료 여형사. 마틴 루버를 의심하고 사건을 파헤치려 한다. 조 밀러를 신뢰하며, 마지막에는 마틴 루버를 체포하려 하지만 실패한다.[1]
  • '''마틴 루버''' (데니스 크리스토퍼 분): 증거물 분석가이자 조 밀러의 동료 형사. 오브젝트의 힘에 매료되어 루 형사를 살해하고, '수도회'에 들어가 조 밀러를 쫓는다. 결국 폴라로이드 물건을 통해 환영을 보고 예언자가 되었다고 믿는다.[1]
  • '''위즐''' (로저 바트 분): 본명 하워드 몬테규. 의 소유자. 애나를 사라지게 만든 장본인. 조 밀러와 일시적으로 협력하나, 결국 배신하려다 제압당한다. 이후 수지 강의 상점 주변에서 밀러와 만나고, 밀러에게 차를 빌려준다.
  • '''이그나시오 로사''' (호르헤-루이스 팰로 분): 애칭 '이기'. 위즐의 살인사건 목격자. 열쇠를 가지고 도망쳐 조 밀러에게 넘겨주고 사망한다.
  • '''월리 자브로스키''' (피터 제이컵슨 분): 버스표의 소유자. 조 밀러에게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돕는다.[2]
  • '''제니퍼 블룸''' (줄리아나 마걸리스 분): 오브젝트를 격리하는 조직 '군단' 소속. 조 밀러를 이용하려다 감정을 느끼게 된다. 살인을 하지 않는다는 군단의 원칙을 따르지만, 정당방위로 살인을 저지르고 죄책감을 느낀다.[1]
  • '''칼 크로이츠펠트''' (케빈 폴랙 분): 오브젝트 수집가. 시계를 얻으려다 조 밀러와 적대 관계가 되지만, 이후 협력한다. 아들을 살리기 위해 오브젝트를 모았으나, 사실 아들은 이미 죽었고 동전으로 실체화된 존재였다. 현실을 비틀려는 실험을 하다 보유자를 찾아 모텔로 간 후 실종된다.
  • '''강수지''' (마거릿 조 분): 한국계 미국인. 오브젝트 추적 정보를 판매한다. 오브젝트에 손대지 않으며, '군단'을 싫어한다.[1]
  • '''해럴드 스트리즈키''' (유언 브렘너 분): 의 소유자. 관음증 환자. 빗 때문에 위협당하는 삶에 염증을 느껴 조 밀러에게 빗을 넘겨준다.
  • '''수드''' (제이슨 안톤 분): 책 상점 주인. 오브젝트 정보를 판매한다. 칼 크로이츠펠트에게 존 클라크의 책을 팔았으나, 조 밀러가 칼을 납치해 당황한다. 조 밀러에게 오브젝트들이 접근하지 않는 구역을 알려준다.
  • '''에디 맥컬리스터''' (팀 귀니 분): 모텔방 10호실 사건으로 오브젝트가 된 인물. 물리적으로 파괴되지 않으며 늙지도 않는다. 조 밀러에게 자신을 죽여달라고 부탁하고, 조 밀러는 그의 뒤를 이어 보유자가 된다.
  • '''마르코 코도바''': 위즐의 부하였으나, 열쇠를 훔쳐 제이크 스퀼로에게 팔려다 위즐에게 살해당한다.
  • '''제이크 스퀼로''': 군단 소속이었으나, 칼 크로이츠펠트의 돈을 받고 배신하려다 위즐에게 살해당한다.
  • '''조레이다 피거로라''': 워싱턴 D.C.에 사는 가위의 소유자. 마약을 팔다 클로이페츠에게 제압당하고 가위를 빼앗긴다.
  • '''마벨 스미스''': 에디의 아내였으나, 에디가 시공간에서 지워지면서 그를 기억하지 못한다.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12]
  • '''푸밋''': 수드의 부하.
  • '''알린 콘로이''': 선샤인 호텔의 여주인. 콜렉터스를 만든 장본인. 실험 중 9호실에 갇혔다가 조 밀러에 의해 풀려나 사망한다.
  • '''거스 제이콥''': 알린 콘로이의 남편. 실험 비극 이후 오브젝트를 멀리한다.

3. 줄거리

《로스트 룸》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어떤 모텔 10호실에서 나온 '오브젝트(물건)'에 얽힌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다. 주인공 조 밀러(피터 크라우즈)와 그의 딸 애나(엘 패닝)는 돈독한 부녀지간으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열쇠'를 얻게 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야기는 텍사스 갤럽 외진 곳에 있던 '선샤인 모텔'에서 비롯된다. 1961년 5월 4일 오후 1시 20분 44초, 이 모텔 10호실에서 초자연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이 사건으로 10호실과 그 안에 있던 에디 맥컬리스터, 그리고 그의 물건들은 시공간에서 튕겨져 나가고, 모든 물건(오브젝트)에는 초자연적인 힘이 깃들게 된다.

10호실과 에디 맥컬리스터는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고, 모텔 운영자인 거스 제이콥과 그의 아내 알린 콘로이는 모텔이 9호실만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에디는 아내를 찾아갔지만, 아내는 그를 기억하지 못하고 경찰에 신고한다. 결국 에디는 신원 불명으로 정신병원에 수감된다.

어느 날, 알린 콘로이는 우연히 10호실의 열쇠를 발견하고, 존재하지 않는 10호실로 이어진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알린은 오브젝트에 흥미를 느껴 '콜렉터스'라는 수집 집단을 만든다. 1966년경, 콜렉터스는 거의 100개에 가까운 물건을 찾았지만, 알린은 9호실에서 실험을 하다 사라져버린다.

이후 오브젝트들은 세계 각지로 퍼져나가고, 오브젝트를 이용하려는 '수도회', '군단' 등의 조직과 개인 수집가들이 생겨난다. 조 밀러는 이들과 얽히고설키며 딸을 구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한다.

3. 1. 1부: 열쇠와 시계

조 밀러(피터 크라우즈)와 그의 딸 애나(엘 패닝)는 어느 날 우연히 초자연적 물건인 '열쇠'를 손에 넣게 되어 로스트 룸에 얽힌 사건에 휘말리게 되었고, 로스트 룸 안에서 실종된 딸을 되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1]

3. 2. 2부: 빗과 상자

조 밀러는 오브젝트를 가진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거나 대립하며, 마틴 루버가 타락하는 과정을 겪는다. 조 밀러는 딸 애나와 함께 우연히 초자연적인 물건인 '열쇠'를 얻게 되어 로스트 룸과 관련된 사건에 휘말린다.[1]

3. 3. 3부: 눈과 프라임 오브젝트

마틴 루버는 폴라로이드 사진을 통해 '보유자'를 만나는 환상을 겪는다. 그는 오브젝트를 훔쳤다는 이유로 자신을 제거하려던 수도회 관계자에게 "소유자"를 만났다며 수도회의 방향이 잘못되었고, 진정한 뜻을 이룰 수 있는 건 자기 자신이라고 현혹시켜 병원에서 나온다.[3] 그는 자신을 체포하려고 총을 발포하는 여형사에게 안경을 사용해 총을 무력화시킨 뒤 '오브젝트에 대해 알 준비가 되었다면 나를 찾아와라'라는 말을 남기고 수도회 관계자와 함께 걸어간다.[3]

한편, 조 밀러는 9호실의 잘못된 시공간에 갇혀 고통받던 알린 콘로이를 다시 현실의 시간으로 꺼내어 그녀가 편하게 눈을 감을 수 있게 해준 뒤, 직접 '보유자'를 만난다.[3] 칼 클로이펠츠는 알린 콘로이의 실험을 재현하여 9호실의 문을 열고 그 안에서 자신의 아들에 대한 환영을 보며 따라 들어간다.[3] 마침 보유자와 조 밀러도 그 문으로 뒤따라 들어가고, 보유자는 밀러에게 자신을 죽여서 밀러가 다음 보유자가 되면 딸을 되살릴 수 있을 거라고 말한다.[3] 밀러는 자신이 살인자가 되고 싶지 않다고 처음엔 거절하지만, 보유자는 자신은 이제 쉬고 싶다며 밀러에게 간청하고 결국 받아들인다.[3] 이후 밀러는 제니퍼의 도움을 받아 자신도 스스로 10호실에서 리셋시키고 딸을 구해 현실로 데려오는 데 성공한다.[3] 그는 10호실 안에 열쇠를 둔 채 문을 닫아버리고 애나와 제니퍼를 함께 차에 태우고 떠난다.[3] 그러나 극 중 말미에 10호실 문이 다시 열리고 열쇠를 클로즈업하며 끝난다.[3]

4. 오브젝트

'오브젝트(Object)'는 드라마에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물건들을 뜻한다. 오브젝트들은 1960년대에 사용되었던 모텔 객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약 100개의 일상적인 물건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룸 내부를 제외하고는 파괴가 불가능하며, 로스트 룸 밖으로 가져가면 다양한 초자연적인 힘을 발휘하지만, 룸 내부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점유자(에디 맥클리스터)에 따르면, 룸 안에서 물건이 파괴되면 다른 물건이 그 자리를 대체한다고 한다.

여러 등장인물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브젝트가 소유자에게 나쁜 업보나 불운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의견을 반복적으로 내비친다. 모든 오브젝트들(점유자를 포함)은 서로를 끌어당기며 함께 모이려고 한다. 점유자는 오브젝트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서로에게 신호를 보내는 행위는 살아있는 정신에게는 고문과 같다고 말한다.

오브젝트에는 자물쇠가 있는 모든 문을 열어 로스트 룸으로 통하는 열쇠, 시간을 10초 동안 멈추는 , 생물을 치유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유리눈, 강력한 전기 충격을 가하는 볼펜, 사람이나 물체를 회전시키는 가위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오브젝트들이 존재한다.

4. 1. 주요 오브젝트

드라마에서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물건들을 '오브젝트(Object)'라고 부른다. 주요 오브젝트는 다음과 같다.

이름설명소유자
열쇠열쇠 구멍이 있는 모든 문을 열 수 있으며, 모텔 10호실로 연결된다. 10호실 밖으로 나올 때는 원하는 위치의 문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열쇠 없이 문이 닫히면 방은 리셋되어 외부 물건은 사라지고 원래 물건은 제자리로 돌아간다. 조 밀러의 딸 애나가 이 리셋으로 사라졌다. 10호실 안에서는 오브젝트의 힘이 사라지고 파괴 가능하다. 콜렉터스의 금고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3가지 물건 중 하나이다.조 밀러
볼펜[1]촉에 닿으면 강력한 전기 충격을 가해 불타 죽게 만들지만, 매번 죽는 것은 아니다. 10호실 안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제니퍼 블룸
버스표[2]닿은 대상을 텍사스 갤럽 근처로 이동시킨다. 손으로 잡기만 해도 이동되므로, 월리 자브로스키는 표 일부를 테이프로 감아 사용한다.월리 자브로스키 (조 밀러가 빌리기도 함)
연필[3]테이블에 두드리면 1센트가 나온다. 소유자는 하루 5백 달러를 벌었지만, 6개월 만에 미쳐버렸다.불명
우산[4]타인이 우산 주인을 아는 사람이라고 여기게 한다. 마지막 주인은 비가 자주 내려 우산을 써도 눈에 띄지 않는 시애틀로 갔다.불명
손톱다듬기[5]사람 얼굴 앞에서 꺼내면 기절시킬 수 있다.제니퍼 블룸
라디오[6]정확한 주파수를 맞추면 키가 3인치 커진다. 군단에 격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제니퍼 블룸
[7]머리를 빗으면 시간을 10초 멈추고 자신만 움직일 수 있다. 사용 후 심한 멀미가 난다.제니퍼 블룸
손목 시계[8]가운데에 달걀을 놓으면 익힌다. 과 함께 사용하면 텔레파시가 가능하다. 도 오브젝트로 추정된다.칼 클로이츠펠드
자명종 시계[9]시계침을 감으면 금속을 녹여 기체로 만들고, 반대로 돌리면 고체로 되돌린다. 콜렉터스의 금고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3가지 물건 중 하나이다.칼 클로이츠펠드
시계 상자[10]주변의 엔트로피를 멈춰 음식 등이 썩지 않게 한다.칼 클로이츠펠드
힙 플라스크[11]뚜껑을 열면 겨냥한 사람이 숨을 쉬지 못하게 한다.칼 클로이츠펠드
가위[12]뒤집으면 겨냥한 물건이 회전한다. 콜렉터스의 금고에 진입하는데 필요한 3가지 물건 중 하나이다.칼 클로이츠펠드
커프스 단추[13]혈압을 낮춘다. 실제 오브젝트인지는 불명확하다.칼 클로이츠펠드
동전[14]입에 넣으면 떠올린 인물을 실체화시킨다. 지속 효과는 2~3일이다.칼 클로이츠펠드
안경[15]연소를 불가능하게 한다. 총, 불, 용접, 자동차 시동 등을 막는다.수도회
트럼프 카드[16]조커 카드를 본 사람에게 끔찍한 환영을 투사한다. 10호실 안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조 밀러
폴로라이드 사진[17]검은색 사진을 9호실 오른쪽에 비추면 오브젝트들이 있던 10호실 모습을 보여준다.마틴 루버
유리눈[18]자신의 눈을 파내고 이식해야 한다. 바라보는 대상의 유기질과 단백질을 조절해 증발시키거나 상처를 회복시킬 수 있다.칼 클로이츠펠드
소유자[19]등장인물 에디 맥컬리스터 본인없음(혹은 에디 맥컬리스터 본인)
코트[20]파괴 불가능한 오브젝트의 특성 외에 고유 능력은 불명이다.칼 클로이츠펠트



이 외에도 비누, 비누곽, 침대 시트, 성경, 망원경, 폴라로이드 카메라, 카메라 케이스, 의자, 껌, 담배꽁초, 데오도란트, 책상과 책상 의자, 침대 전등, 스탠드, 전등, 미국 달러 동전, 흰 셔츠, 유리잔과 커버, 손전등, 발에 뿌리는 분말, 하모니카, 얼음 바구니, 다리미, 클리넥스 티슈, 칼, 캐리어 스탠드, 성냥갑, 잡지, 돋보기, 수첩, 바지, 양말, 신발, 신발끈, 침대, 서랍장, 옷걸이, 커튼, 화장대, 베개와 베갯잇, 샤워커튼, 전화기, 텔레비전, 콘돔, 칫솔, 펜치, 손톱깎이, 재떨이, 담뱃곽, 소주잔, 전화기, 빨간 지갑, 결혼 사진 등 다양한 오브젝트가 존재한다.[21]

4. 2. 기타 오브젝트

다음은 로스트 룸의 기타 오브젝트에 대한 설명이다.
: 소유자: 불명

: 테이블에 두드리면 페니영어 (1센트)가 나온다. 이 물건의 소유자는 하루 종일 두들겨서 500USD를 벌었는데 6개월 동안 그 짓을 하다 미쳐버렸다고 한다.
: 소유자: 불명

: 타인이 우산의 주인을 자신이 이미 아는 사람이라고 여기게 된다. 주위와 쉽게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 쓰는 듯하다. 마지막 주인은 사람의 이목을 덜 끄는 시애틀로 갔다고 나오는데, 시애틀의 날씨가 자주 흐리기에 비가 내리면 우산을 가지고 다녀도 이목을 끌지 않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손톱다듬기'''[15]

: 소유자: 제니퍼 블룸 -> 조 밀러 -> 제니퍼 블룸

: 사람의 얼굴 앞에서 꺼내면 상대방을 기절시킬 수 있다. 제니퍼 블룸이 한번 조 밀러에게 사용했는데, 나중에 조 밀러가 제니퍼 블룸에게서 뺐어간다. 이후 자신을 총으로 협박하는 마틴을 잠재울 때 한번 사용하였고 나중에 밀러가 볼펜과 함께 제니퍼 블룸에게 돌려준다.
: 소유자: 제니퍼 블룸

: 정확한 주파수를 맞추면 키가 3인치 커진다. 직접 효과를 사용하는 모습은 나오지 않았고 제니퍼 블룸이 다른 라디오 사이에서 망치로 찾았다. 제니퍼 블룸이 군단 소속이므로 그대로 격리되었을 것이다.

  • '''커프스 단추'''

: 소유자: 칼 클로이츠펠드

: 혈압을 낮춘다. 크로이츠펠트가 장난스럽게 단순한 심리적인 효과일지도 모른다고 언급하기도 해서 진짜 오브젝트인지는 불명이다.

  • '''동전'''

: 소유자: 칼 클로이츠펠드

: 동전을 입에 넣으면 기억에 생명을 부여한다. 자신이 머릿속으로 떠올린 인물을 주변에 실체화시키는 것이다. 지속 효과는 대략 2~3일. 칼 클로이츠펠드의 아들은 오래전에 죽었으며 이 동전을 사용해서 만들어낸 것이었다. 이 동전을 통해 경호원을 소환하여 밀러를 무력화시킨다.
: 모텔 옷장에 있던 물건. 파괴가 불가능하다는 오브젝트 특성상 주인공이 등 뒤에서 산탄총 2방을 맞았는데도 죽지 않았다. 파괴가 불가능하다는 모든 오브젝트의 특성 외에는 고유의 능력이 뭔지는 나오지 않았다. 칼 클로이펠츠가 가져간다.
: 선샤인 모텔 낙인이 찍혀있다. 수드의 사진에 등장.

  • '''비누곽'''

: 선샤인 모텔 모양이 그려져 있다. '콜렉터의 금고'에 있음.

  • '''침대 시트'''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
: 칼 크로이츠펠드가 보유하고 있다.
: '콜렉터의 금고'에 있던 것을 칼 크루이츠펠트가 훔친다.

  • '''폴라로이드 카메라'''

: '수도회'의 금고에 있다.

  • '''카메라 케이스'''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한다.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한다.
: '군단'의 목록에 나온다.

  • '''담배꽁초'''

: 마틴 루버의 환각에 의하면 재떨이 안에 남아있었다.
: '군단'의 목록에 있다.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한다.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한다.
: 전부 1961년산으로, 조 밀러가 본 폴라로이드 사진 등에 등장한다.
: '콜렉터스'의 금고에 있던 것을 칼 크루이츠펠트가 가져간다. 커프스 단추가 달려있다.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

  • '''발에 뿌리는 분말'''

: '콜렉터스의 금고', 수드의 리스트에 등장한다. 칼 크로이츠펠트가 빼돌림.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한다.

  • '''얼음 바구니'''

: 조 밀러가 폴라로이드 사진을 통해서 본다.
: '콜렉터스의 금고'에 있던 것을 칼 크루이츠펠트가 가져간다.

  • '''클리넥스 티슈'''

: '군단'의 목록에 있다.
: 손목 시계와 같이 사용할 경우 텔레파시를 쓸 수 있다. 다만 개별 용도는 불명.

  • '''캐리어 스탠드'''

: 조 밀러가 본 폴라로이드 사진에 등장한다.

  • '''성냥갑'''

: '선샤인 모텔' 상호가 찍혀있다. 수도회가 가지고 있으며 '군단'의 목록에도 나와있다.
: 라이프영어 지의 1961년 7월 7일본. 마틴 루버가 환각에서 보고, 수드의 사진 중에도 등장한다.
: 마틴 루버의 환각에 등장한다.
: 수드의 사진에 등장한다.
: 폴라로이드 사진에서 볼 수 있다.
: 계속 10호실에 있어서 빠뜨릴 수도 있지만, 물론 이것들도 '물건'들이다. 싱크대나 카페트, 의약용품함 등 10호실에 붙어있기 때문에 10호실의 일부라고 생각되는 것들도 있다. 다만 물이나 먼지, 공기 등은 '물건'으로 치지 않는 것 같다.
: 콘로이 실험에 쓰인 물건이자, 칼 클로이츠펠드의 수집품 중에 있다. 수드의 사진에서 볼 수 있다.

  • '''펜치'''

: 콘로이 실험에 쓰인 물건
: 콘로이의 실험에 쓰였으며, 수드의 사진이나 군단의 목록에도 등장하는데 쓰임새는 불명. 칼 크로이츠필드의 실험 이후 10호실에 남게 된다.
: 콘로이 실험에서 쓰였던 물건이자, 수드의 사진에서 볼 수 있다.

  • '''담뱃곽'''

: 수드의 사진에서도 나오며, '군단'의 목록에도 등장하며, 칼 클로이츠펠트의 수집품 중에 있다.

  • '''소주잔'''

: 수도회가 보관 중인 오브젝트 중 하나

  • '''전화기'''

: 수도회가 보관 중인 오브젝트 중 하나
: 수도회가 보관 중인 오브젝트 중 하나

  • '''결혼 사진'''

: 10호실 안에 있던, 에디와 그의 아내가 찍혀있는 결혼 사진. 에디는 이 사진을 자신의 아내에게 보여주었으나 아내는 여전히 믿지 못하고 경찰에 신고했다. 대신 그 사진은 쭉 가지고 있었는데 나중에 조 밀러가 찾아왔을 때 밀러의 부탁으로 사진을 건네준다. 이것 역시 10호실에 있었던 물건이기에 오브젝트이며, 조 밀러가 사진이 파괴되지 않는 것으로 오브젝트란 것을 확인하였으나 특수 능력이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5. 설정

로스트 룸의 설정은 다음과 같다.

1961년 5월 4일 오후 1시 20분 44초, 뉴멕시코 주 갤럽 외곽의 버려진 선샤인 모텔 10호실에서 초자연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10호실과 그 안의 모든 물건(오브젝트)들은 시공간에서 사라졌으며, 이 물건들에는 특별한 힘이 깃들게 되었다. 이 사건은 "사건" 또는 "사고"라고 불리며, 룸과 그 안의 물건들이 가진 특이한 능력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시간이 지나면서 오브젝트의 존재를 알게 된 사람들은 여러 세력으로 나뉘어 오브젝트를 차지하려 했다. 주요 세력은 다음과 같다.

세력명설명
콜렉터스최초로 오브젝트를 수집한 집단이다. 선샤인 모텔의 여주인 알린 콘로이가 이끌었으며, 오브젝트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했다. 1966년 9호실에서 실험을 하다 알린이 사라져버린 뒤 와해되었다.[1]
군단오브젝트가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격리하려는 집단이다. 오브젝트를 얻기 위해 살인은 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지만, 때때로 이 규칙은 지켜지지 않는다.[2]
수도회오브젝트가 신의 파편이라고 믿는 사이비 종교 집단이다. 오브젝트를 재결합하여 신과 소통하려 한다. 목적을 위해서라면 살인도 서슴지 않는다.[2]
개인 수집가조직에 속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오브젝트를 모으는 사람들 (예: 위즐, 칼 클로이펠츠).[1]


5. 1. 로스트 룸 (10호실)

로스트 룸(10호실)은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뉴멕시코 주 갤럽 외곽의 버려진 선샤인 모텔의 10호실이었다. 1961년 5월 4일 오후 1시 20분 44초에 10호실에서 초자연적인 '사건'이 발생하여 10호실과 그 안의 모든 물건(오브젝트)들이 시공간에서 사라졌다. 이 사건을 "사건" 또는 "사고"라고 부르며, 룸과 그 안의 물건들이 가진 특이한 능력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룸은 열쇠를 가진 사람만이 들어갈 수 있다. 열쇠는 세상 어느 곳에 있는 핀 텀블러 자물쇠가 달린 경첩 문을 열 수 있는데, 이 문은 원래 어디로 열리든 상관없이 10호실로 연결되는 통로가 된다. 룸에서 나갈 때는 열쇠를 가진 사람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어떤 방으로든 문이 열리며, 특정한 방에 가려면 그 방의 문과 주변 모습을 명확하게 떠올려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로스트 룸"은 전 세계의 비슷한 문들을 즉시 이동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텀블러 자물쇠가 아니거나 자물쇠가 없는 문, 미닫이문, 회전문 등은 룸에 접근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1]

열쇠로 룸 밖에서 문을 닫으면 룸은 "재설정"된다. 이때 물건이 아닌 사람을 포함한 모든 것은 사라진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룸에 들어갈 수 있지만, 열쇠가 룸을 나갈 때는 함께 나가야 한다. 룸이 재설정되면 룸 안에 있던 모든 물건은 사건 당시의 원래 위치로 돌아간다. 이 점을 이용하여 다른 물건 안에 넣어둔 물건을 회수하거나, 가짜 물건을 구별할 수 있다.[1]

물건은 룸 밖에 있을 때 특별한 힘을 가지며 파괴할 수 없다. 하지만 룸 안에 있으면 특수한 속성을 잃고 파괴될 수 있다. '점유자'에 따르면, 파괴된 물건의 자리를 새로운 물건이 차지하며, 이를 물건 보존 법칙이라고 부른다. 점유자는 룸이 여러 개 있으며, 룸에 남겨진 물건이 아닌 것은 지워지는 것이 아니라 룸의 다른 곳에 존재한다고 말한다. 재설정은 이러한 룸들의 합쳐짐을 나타내며, 점유자(의식을 가진 유일한 물건)가 재설정 중에 잃어버린 물건을 되찾을 수 있게 해준다. 단, 되찾으려는 물건에 대한 명확한 생각이 있어야 한다.[1]

"사건"은 로스트 룸이 만들어진 순간을 가리킨다. 이 사건은 1961년 5월 4일 오후 1시 20분 44초에 발생했으며, 로스트 룸과 그 안에 있던 모든 것을 역사에서 지워버렸다. 사건의 원인과 오브젝트의 목적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두 가지 주요 가설이 있다. 사건 당시 룸에 있던 사람조차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 듯하여, 진실은 미스터리로 남아있다.[2]

'재결합단'이라는 파벌은 오브젝트가 신의 마음이나 몸의 조각이며, 이것들을 재결합하면 신과 소통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견해의 극단적인 버전은 오브젝트를 재결합하면 사람을 신으로 만들거나 신과 같은 힘을 준다고 주장한다. 마틴 루버는 점유자가 환상 속에서 이 이론을 확인해주었다고 주장하며 스스로를 "오브젝트의 예언자"라고 칭했지만, 당시 그의 상태는 그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점유자 자신도 사건에 대한 지식이 없다. 수집가들이 호텔 9호실에서 오브젝트를 사용하려다 실패한 사건을 보여주는 카드 덱은 그들의 믿음의 근원일 수 있으며, 의식에 사용된다.[2]

또 다른 견해는 룸의 위치에서 현실이 어떤 식으로든 산산이 조각났고, 그 결과 룸과 그 안의 모든 것이 시간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그 내용물에 초자연적인 능력을 부여했다는 것이다. 만약 어떤 개인이 아이템을 수집하여 룸으로 되돌린다면, 그 사람은 현실에 대한 완전한 통제력을 갖게 된다. 이 이론은 오브젝트를 수집하는 사람이 오브젝트를 적절하게 활용할 지식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따른다. 오브젝트는 도구로 간주되므로, 사용자가 그 기능을 알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다.[2]

5. 2. 오브젝트를 둘러싼 세력

오브젝트는 1961년 5월 4일, 갤럽의 선샤인 모텔 10호실에서 발생한 초자연적인 '사건'으로 생겨났다. 이 사건으로 10호실과 그 안의 물건들은 시공간에서 튕겨져 나가고, 물건들에는 특별한 힘이 깃들게 되었다.[1]

시간이 지나면서 오브젝트의 존재를 알게 된 사람들은 여러 세력으로 나뉘어 오브젝트를 차지하려 했다. 주요 세력은 다음과 같다.

세력명설명
콜렉터스최초로 오브젝트를 수집한 집단이다. 선샤인 모텔의 여주인 알린 콘로이가 이끌었으며, 오브젝트에 대한 호기심으로 시작했다. 1966년 9호실에서 실험을 하다 알린이 사라져버린 뒤 와해되었다.[1]
군단오브젝트가 위험하다고 판단하여 격리하려는 집단이다. 오브젝트를 얻기 위해 살인은 하지 않는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지만, 때때로 이 규칙은 지켜지지 않는다.[2]
수도회오브젝트가 신의 파편이라고 믿는 사이비 종교 집단이다. 오브젝트를 재결합하여 신과 소통하려 한다. 목적을 위해서라면 살인도 서슴지 않는다.[2]
개인 수집가조직에 속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오브젝트를 모으는 사람들 (예: 위즐, 칼 클로이펠츠).[1]



이들은 오브젝트를 두고 서로 갈등하며, 때로는 폭력적인 충돌을 일으키기도 한다.

6. 제작 배경

Television Heaven영어 웹사이트에서는 드라마의 기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7. 평가

《로스트 룸》은 비평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는 100점 만점에 58점을 기록했는데, 비평가들은 이 작품을 "흥미롭지만" 혼란스럽다고 평가했으며, 관람객 평점은 8.3점을 기록했다. 로튼 토마토에서는 13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비평가 평점 77%를, 관람객 평점 86%를 기록하고 있다. 이 사이트의 비평가 의견은 "《로스트 룸》은 신화가 지나치게 복잡해질 때조차도 대담한 초자연적 비전으로 눈부시게 빛난다."고 적고 있다.[7]

디트로이트 프리 프레스의 마이크 더피는 이 작품을 "아름답게 쓰여지고 날카롭게 연출된 훌륭한 6시간짜리 미니시리즈"라고 평가했다. 뉴욕 데일리 뉴스의 데이비드 힌클리는 "매우 복잡한 형이상학적 미스터리이며, 그 즐거움은 천천히 펼쳐지면서 터져 나오는 놀라움에서 비롯된다."라고 평가했다. 반면 TV 가이드의 맷 루시는 부정적인 리뷰에서 이 작품을 "특히 어리석게 일관성이 없는 작품으로 전락했다."라고 평가했다.[8]

엔터테인먼트 위클리길리언 플린은 "《로스트 룸》은 암울한 느와르, 펄프 픽션, 영적 스릴러, 영웅의 탐구 판타지, 그리고 명석한 비디오 게임을 한꺼번에 담고 있다. 이것은 한동안 TV에 등장한 가장 창의적인 아이디어 중 하나이다."라고 평가했다.[9]

Sci Fi Freak 사이트는 이 작품을 "단순히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라, 놀라울 정도로 독창적"이고 "강렬하게 독창적이고, 거부할 수 없을 정도로 영리하며" 너무 "초현실적이라서 그 안에 빠져들 수밖에 없다."라고 평가했다.[11]

연기 또한 칭찬을 받았다. ''Doux Reviews''의 조시 카프카는 "크라우스는 사건에 필요한 무표정한 불신을 가져온다."라고 적고, 폴락과 제이콥슨을 돋보이는 배우로 꼽았다.[15]

이 미니시리즈는 에미상에서 뛰어난 메인 타이틀 디자인과 미니시리즈 또는 영화 부문 뛰어난 음향 믹싱 부문 후보에 올랐다.[18] 제33회 새턴상에서 텔레비전 부문 최우수 작품상 후보에 올랐다.[19] 작가 로라 하크콤, 크리스토퍼 레오네, 폴 워크먼은 2008년 미국 작가 조합상 후보에 올랐다.[20]

8. 미디어믹스

2010년 7월, 이 시리즈의 제작진은 2010년 샌디에이고 코믹콘에서 레드 5 코믹스가 만화책 형태로 ''로스트 룸''의 속편을 출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1] 출판은 2011년 늦여름 또는 초가을로 예상되었다.[22] 2012년 1월, 레드 5의 업데이트에 따르면, 제작진이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어 만화 제작이 "느려졌지만" 레드 5 코믹스는 여전히 "이 만화를 100% 완성할 것을 약속"했다.[23] 2013년 4월 현재, 이 프로젝트는 무기한 보류되었다.[24]

참조

[1] 방송 에피소드 The Comb and the Box
[2] 방송 에피소드 The Key and the Clock
[3] 웹사이트 The Lost Room (Mini-Series) (2006) https://www.amazon.c[...] 2010-11-28
[4] 웹사이트 The Lost Room (DVD) (2006) https://www.amazon.c[...] 2010-11-28
[5] 웹사이트 Lost Room, The (2 Disc Set) http://www.ezydvd.co[...] 2010-11-28
[6] 웹사이트 The Lost Room: The Power of Objects https://fishinkblog.[...] 2024-03-02
[7] 웹사이트 The Lost Room — Season 1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4-03-02
[8] 웹사이트 Critic Reviews for The Lost Room http://www.metacriti[...] 2010-11-28
[9] 잡지 The Lost Room https://ew.com/artic[...] 2024-03-02
[10] 웹사이트 6 Reasons Fans of Sci-Fi Mystery Shows Should Watch "The Lost Room" https://sweatpantsan[...] 2024-03-02
[11] 웹사이트 The Lost Room https://www.scififre[...] 2024-03-02
[12] 웹사이트 The Lost Room- An Overlooked Brilliant TV Series https://interestinge[...] 2024-03-02
[13] 웹사이트 Review: The Lost Room https://www.the-medi[...] 2024-03-02
[14] 웹사이트 The Lost Room review https://www.denofgee[...] 2024-03-02
[15] 웹사이트 The Lost Room: Miniseries Review https://www.douxrevi[...] 2024-03-02
[16] 웹사이트 The Lost Room https://televisionhe[...] 2024-03-02
[17] 웹사이트 The Lost Room https://www.moriarev[...] 2024-03-02
[18] 보도 자료 Lionsgate's Acclaimed Showtime Comedy Weeds Scores 5 Emmy(R) Nominations Including Outstanding Lead Actress and Outstanding Supporting Actress in a Comedy Series http://www.thefutonc[...] Lionsgate 2010-11-28
[19] 웹사이트 Saturn Awards Show Love For Lost, Heroes And BSG http://www.cinemable[...] 2010-11-28
[20] 보도 자료 2008 Writers Guild Awards Television & Radio Nominees Announced http://www.thefutonc[...] Writers Guild of America 2010-11-28
[21] 웹사이트 CCI: Harkcom & Leone Rediscover "The Lost Room" http://www.comicbook[...] 2010-11-28
[22] 웹사이트 Update on The Lost Room Comic http://www.red5comic[...] 2011-02-11
[23] 웹사이트 Update on The Lost Room http://www.red5comic[...] 2012-04-23
[24] 웹사이트 "The Lost Room" Comic On-Hold Indefinitely http://www.red5comic[...] 201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