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펜은 펜촉 끝에 회전하는 작은 볼이 잉크를 종이에 묻혀 글씨를 쓰도록 하는 필기구이다. 1884년 미국에서 처음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잉크 누출 문제로 실용화되지 못했다. 1938년 헝가리 언론인 라즐로 비로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근대적 볼펜을 발명하여 특허를 취득했다. 이후 1940년대에 미국에서 대량 생산되면서 널리 보급되었고, 1950년대에는 빅 크리스탈 등 다양한 종류의 볼펜이 출시되었다. 볼펜은 유성, 수성, 겔 잉크 등 다양한 잉크 종류와 캡식, 노크식, 트위스트식 등 다양한 작동 방식을 가진다. 볼펜은 예술 매체로도 활용되며, 한국에서는 모나미 153 출시 이후 대중적인 필기구로 자리 잡았다.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볼펜과 롤러볼펜에 대한 표준을 제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펜 - 볼펜화
볼펜화는 볼펜을 주 재료로 사용하여 점묘법, 선묘법, 음영법 등의 기법으로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며 21세기 소셜 미디어의 발달과 예술가들의 활용으로 대중적 인기를 얻어 예술 표현의 도구로 자리 잡았으나, 잉크 번짐, 변색 등의 물리적 한계를 디지털 기술로 극복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고, 다양한 작가들에 의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미술 기법이다. - 헝가리의 발명품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헝가리의 발명품 - 더 투르크
더 투르크는 볼프강 폰 켐펠렌이 제작한 체스 두는 기계로, 터번 쓴 인형이 체스를 두는 모습이었으나 실제로는 사람이 숨어 조종하는 속임수였으며 유럽 순회 공연과 문화 콘텐츠 소재, 유사품 등장, 독일어 관용구에 영향을 미쳤다. - 펜 - 붓
붓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짐승의 털을 묶어 만들며, 붓끝의 뾰족함, 가지런함, 둥글게 정리됨, 튼튼함의 사덕을 갖추어야 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펜 - 만년필
잉크를 내장하여 휴대 가능한 필기구인 만년필은 10세기 파티마 왕조 시대에 기원을 두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발명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1884년 루이스 에드슨 워터만이 현대적인 형태로 개발하여 고급 필기구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볼펜 | |
---|---|
기본 정보 | |
![]() | |
발명가 | 존 라우드 (특허) 라슬로 비로 (현대) |
출시 년도 | 1888년 (원형) |
출시 년도 | 1938년 (현대) |
개요 | |
종류 | 펜 |
제조사 | 빅 및 기타 |
명칭 | |
영어 | biro ball pen ballpoint pen |
문화어 | 원주필/圓珠筆 |
작동 원리 | |
작동 방식 | 잉크를 금속 볼을 통해 분사 |
기타 | |
관련 웹사이트 | 볼펜 작동 원리 얇은 종이에 적합한 볼펜 빅 크리스탈 볼펜 |
2. 역사
볼펜의 역사는 19세기 후반, 필기구 끝의 작은 금속 구슬(볼포인트)을 이용해 잉크를 종이에 전달한다는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발명품들은 잉크를 가는 관에 담고 끝을 작은 공으로 막아 잉크가 새거나 마르지 않도록 하는 구조였으나,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했다. 최초의 관련 특허는 1888년 존 J. 라우드가 거친 표면에 쓰기 위한 필기구로 받았지만, 일반 필기에는 부적합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123][5]
경제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현대적 볼펜은 20세기 초의 실험, 화학 및 정밀 제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탄생했다.[126] 초기 볼펜들은 잉크가 고르게 나오지 않거나 새고 막히는 문제[136]를 해결하는 것이 주요 과제였다.
헝가리 언론인 라슬로 비로는 신문 인쇄용 잉크처럼 빨리 마르고 번지지 않는 잉크와, 잉크 흐름을 제어하면서도 마르지 않게 하는 볼-소켓 구조를 결합하여 혁신을 이루었다.[130][133] 그는 1938년 영국에서 특허를 얻고,[10][11] 이후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 1943년 '바이롬(Birome)'이라는 이름으로 볼펜을 출시했다.[136] 이 펜은 영국 공군에서 고고도 비행에 적합하다는 점이 알려지며 주목받았다.[137][5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기업들이 볼펜 생산에 뛰어들었다. 미국의 밀턴 레이놀즈는 '레이놀즈 로켓'을 출시하여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초기 제품들의 품질 문제로 붐은 오래가지 못했다. 이후 파커의 '조터'(1954년)와 빅의 '크리스탈'(1953년) 등이 등장하며 기술 개선과 대량 생산을 통해 볼펜은 점차 대중적인 필기구로 자리 잡았다. 특히 빅은 저렴한 가격과 안정적인 품질로 세계 최대의 볼펜 제조사로 성장했다.[58]
초기 볼펜은 고가였고 잉크 번짐 문제로 공문서 사용이 제한되기도 했으나, 지속적인 품질 개선과 가격 하락으로 1970년대 이후에는 만년필을 대체하는 가장 일반적인 필기구가 되었다. 이후 잉크(수성, 겔, 에멀전 등), 펜촉, 그립 등이 꾸준히 개량되며 다양한 기능과 색상의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연도 | 주요 내용 |
---|---|
1888년 | 존 J. 라우드, 거친 표면용 필기구 특허 취득 (최초의 볼펜 관련 특허)[123][5] |
1938년 | 라슬로 비로, 모세관 현상 이용 근대적 볼펜 고안, 영국 특허 취득[134][135][10][11][57] |
1943년 | 비로 형제, 아르헨티나에서 Birome 브랜드로 판매 시작, 특허 취득[136][58] |
1945년 | 밀턴 레이놀즈, 중력 이용 "레이놀즈 로켓" 출시, 미국에서 상업적 성공[144][20][59] |
1945년 | 이버샵(Eversharp)社, 비로 펜 라이선스 획득 및 대량 생산 시작[115][58] |
1948년 | 세일러만년필, 한국 최초 국산 볼펜 「세일러 볼 포인트 펜」 출시 (500개)[60] |
1949년 | 오토(AUTO)사, 세계 최초 실용적 양산 볼펜(연필형) 개발 (일본)[61] |
1953년 | 마르셀 비시, 빅(Bic) 설립, 빅 크리스탈 출시[28][62] |
1954년 | 파커, "조터" 출시, 텅스텐 카바이드 볼 베어링 도입 |
1958년 | 오토(AUTO)사, 세계 최초 0.6mm 소형 볼 개발[64] |
1964년 | 오토(AUTO)사, 세계 최초 수성 볼펜 개발[61] |
1965년 | 폴 피셔, 스페이스 펜 개발 (질소 가스 가압식)[65] |
1982년 | 사쿠라 크레파스, 세계 최초 수성 겔 잉크 개발[58] |
2006년 | 파일럿 프릭션, 미쓰비시 연필 젯스트림 출시 |
2010년 | 제브라, 에멀전 잉크 개발 |
2023년 | 미쓰비시 연필, uni-ball one 시리즈, 가장 검은 겔 잉크 볼펜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 인증 |
2. 1. 기원
필기구 끝의 작은 금속 구슬을 이용해 잉크를 종이에 전달하는 개념은 19세기 후반부터 존재했다. 초기 발명품들은 잉크를 가는 관에 담고 끝을 작은 공으로 막아 잉크가 새거나 마르지 않도록 하는 구조였다.
볼펜에 대한 최초의 특허[121][122][5]는 1888년 10월 30일, 미국의 존 J. 라우드에게 발급되었다.[123] 그는 만년필로는 필기하기 어려운 "나무, 거친 포장지 및 기타 물품과 같은 거친 표면"에[124][6] 글씨를 쓸 수 있는 도구를 만들고자 했다. 라우드의 펜은 소켓에 고정된 작은 회전 강철 공을 사용했는데, 가죽 같은 거친 표면에는 사용할 수 있었지만 일반적인 필기에는 너무 거칠었다. 상업적 경쟁력이 없어[125] 그 잠재력은 활용되지 못했고 특허는 결국 만료되었다.
오늘날 알려진 경제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볼펜의 제조는 20세기 초의 실험, 현대 화학 및 정밀 제조 능력의 발달에 힘입은 결과이다.[126] 초기 개발 과정에서 전 세계적으로 출원된 여러 특허들은 볼펜을 상업적으로 성공시키려는 시도들이 실패했음을 증명한다.[127] 초기 볼펜들은 잉크를 고르게 전달하지 못했으며, 잉크가 새거나 막히는[136] 현상은 발명가들이 신뢰성 있는 볼펜을 개발하는 데 큰 장애물이었다. 볼 소켓이 너무 조이거나 잉크가 너무 걸쭉하면 잉크가 종이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고, 반대로 소켓이 너무 헐겁거나 잉크가 너무 묽으면 펜에서 잉크가 새거나 번졌다.[136] 이러한 잉크 전달 및 흐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스톤, 스프링, 모세관 현상, 중력 등을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고안되었다.[128][129][7][8]
헝가리 신문 편집자(후에 아르헨티나로 귀화)인 비로 라슬로(László Bíró)는 만년필에 잉크를 자주 채워야 하고 번진 페이지를 닦아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했다. 그는 신문 인쇄에 사용되는 잉크가 빨리 마르고 번지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와 유사한 잉크를 사용하는 펜을 만들기로 결심했다.[130] 비로는 화학자인 그의 형제 죄르죄(György Bíró)[131]의 도움을 받아 볼펜에 적합한 점성을 가진 새로운 잉크를 개발했다.[132]
비로의 혁신은 적절한 점도의 잉크와, 잉크가 저장소 내에서 마르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흐름을 제어하는 볼-소켓 메커니즘을 성공적으로 결합한 것이었다.[133] 그는 1938년 6월 15일 영국에 특허를 출원했다.[134][135][10][11]
1941년, 비로 형제와 그들의 친구 후안 호르헤 마인(Juan Jorge Meyne)은 나치 독일을 피해 아르헨티나로 이주하여[58] "아르헨티나 비로 펜(Bíró Pens of Argentina)"을 설립하고 1943년에 새로운 특허를 출원했다.[136] 그들의 펜은 비로와 마인의 이름을 합친 "바이롬(Birome)"이라는 상표명으로 아르헨티나에서 판매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아르헨티나에서는 볼펜을 '비로메'라고 부르기도 한다.[136] 이 새로운 디자인은 영국에 라이선스되어 프레데릭 조지 마일스의 회사 마일스 항공에서 생산되었고,[12] RAF 조종사들이 사용하게 되었다. 볼펜은 특히 고고도 비행 시 만년필보다 잉크 누출이 적어 더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137][58]
비로의 특허 및 볼펜에 대한 다른 초기 특허들은 종종 "볼 포인트 만년필(ball point fountain pen)"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38][139][140][141][142][13][14][15][16][17][18]
2. 2. 전후 확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회사들이 자체 볼펜 디자인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경쟁했다. 전쟁 이전 아르헨티나에서 비로메(Birome) 볼펜의 성공은 제한적이었으나, 1945년 중반 미국의 샤프 펜슬 제조업체 이버샵(Eversharp) 사는 에버하드 파버 사와 협력하여 비로메로부터 미국 판매권을 획득했다.
같은 시기, 미국 기업가 밀턴 레이놀즈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장 중 비로메 볼펜을 접하고 상업적 가능성을 인지했다. 그는 여러 샘플을 구입해 미국으로 돌아와 레이놀즈 인터내셔널 펜 컴퍼니를 설립했다. 레이놀즈는 비로메 특허를 피할 수 있도록 디자인을 일부 변경하여 미국 특허를 얻었고, 이버샵 등 경쟁사보다 먼저 미국 시장에 볼펜을 내놓았다. 1945년 10월 29일 뉴욕시 짐벨(Gimbels) 백화점에서 개당 12.5달러(1945년 당시 가치)에 판매를 시작한 "레이놀즈 로켓(Reynolds Rocket)"은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볼펜이 되었다.[20] 레이놀즈는 대대적인 마케팅을 펼쳤고, 짐벨 백화점은 일주일 만에 수천 개의 펜을 판매했다. 영국에서는 프레드릭 조지 마일즈-마틴 펜 컴퍼니가 1945년 말까지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볼펜을 생산하고 있었다.[21][22]
그러나 레이놀즈와 이버샵의 초기 볼펜은 잉크 누수 등의 문제로 미국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볼펜 판매는 1946년에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시장 포화 상태가 되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격히 떨어졌고, 볼펜은 사치품에서 쉽게 교체 가능한 소모품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 초, 볼펜 붐이 가라앉으면서 레이놀즈의 회사는 결국 문을 닫았다.
한편 유럽에서는 1946년 스페인의 빌라 시빌 에르마노스(Vila Sivill Hermanos)가 '레지아 콘티누아(Regia Continua)'라는 볼펜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1953년부터 1957년까지는 프랑스 회사 빅(Société Bic)과 계약을 맺고 공장에서 빅 볼펜을 생산했다.[19]
1950년대에는 새로운 볼펜 브랜드들이 등장하며 시장을 이끌었다. 페이퍼 메이트는 캐나다에서 볼펜 유통권을 확보하고, 잉크의 신뢰성을 강조하며 "은행가 승인(banker approved)"이라는 문구로 광고했다. 1954년 파커(Parker Pens)는 텅스텐 카바이드 재질의 볼 베어링을 사용하는 등 기술적으로 발전된 첫 볼펜 모델인 "조터"를 출시했다. 조터는 출시 1년 만에 개당 3USD에서 9USD 사이의 가격으로 수백만 개가 판매될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재정난을 겪던 이버샵(Eversharp)은 결국 1960년대에 펜 사업부를 파커에 매각하고 문을 닫았다.
마르셀 비시(Marcel Bich)는 비로로부터 라이선스를 얻어 아르헨티나 디자인에 기반한 볼펜을 1950년대 미국 시장에 선보였다.[28] 그는 1953년 자신의 이름을 딴 회사 빅(Bic)을 설립했다. 빅의 저렴하고 실용적인 볼펜, 특히 빅 크리스탈은 초기에는 고전했으나, 1960년대 "처음부터 끝까지 깨끗하게 써집니다!(Writes First Time, Every Time!)"[23][24]라는 광고 캠페인이 성공하면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볼펜 브랜드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시기 여러 회사의 경쟁으로 볼펜 가격은 크게 하락했다.
일본에서는 1945년 미군을 통해 볼펜이 소개되면서 일부에서 볼펜 붐이 일었다. 1949년에는 오토(AUTO)사가 세계 최초로 연필형 볼펜과 증권용 잉크를 적용한 실용적인 양산 볼펜을 개발하여 일본 내 볼펜 대중화의 계기를 마련했다.[61] 한국에서는 1948년 세일러만년필이 처음으로 국산 볼펜인 '세일러 볼 포인트 펜' 500개를 생산했다.[60]
2. 3. 한국에서의 발전
(작성할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한국에서의 발전'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3. 작동 원리 및 구조
볼펜은 브랜드마다 디자인과 구조가 조금씩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는 거의 같다. 볼펜의 핵심적인 필기 기능은 펜 끝의 '''팁'''(tip)과 잉크를 담고 있는 '''카트리지'''(cartridge) 또는 '''리필'''(refill)로 이루어진다.[55] 많은 볼펜은 외부 몸체 안에 팁과 잉크 카트리지가 하나로 합쳐진 리필을 넣어 사용하는 구조이다.[55]
팁은 내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는 작은 '''볼'''(ball)을 가지고 있으며, 이 볼이 종이와의 마찰로 회전하면서 카트리지의 잉크를 필기면에 옮겨 선을 그린다. 카트리지 안의 잉크는 주로 중력에 의해 팁 방향으로 흘러내려 간다. 팁은 잉크를 종이에 전달하는 역할과 동시에, 잉크 저장소와 외부 공기 사이의 마개 역할을 하여 잉크가 마르거나 새는 것을 막아준다.
잉크 카트리지(리필)는 잉크를 담는 관으로, 초기에는 금속제였으나 현재는 잉크 잔량을 확인하기 쉽고 저렴한 투명 플라스틱 제품이 널리 쓰인다. 하지만 금속제 리필은 산소나 수분 차단 효과가 뛰어나 잉크 변질을 막고, 더 단단하고 가늘게 만들 수 있어 고급 제품이나 다색 볼펜 등에 여전히 사용된다. 카트리지 뒤쪽 끝은 잉크 누출과 건조를 막기 위해 마감 처리가 되어 있는데, 잉크 종류에 따라 방식이 다르다. 유성 잉크는 스펀지 마개를, 수성 겔 잉크나 일부 유성 잉크는 잉크 소모에 따라 이동하는 그리스 마개를 사용하기도 한다.[56]
볼펜의 몸통(펜대) 재질은 매우 다양하다. 가장 흔한 것은 대량 생산이 용이한 합성수지이지만, 고급 제품에는 금속이 사용되기도 한다. 드물게는 목재, 셀룰로이드, 에보나이트 등이 쓰이기도 하며, 홍보용으로는 로고 인쇄 면적이 넓고 재활용이 쉬운 종이 재질 몸통도 사용된다.
3. 1. 팁

볼펜의 기본적인 필기 기능은 펜촉 부품인 '''팁'''과 잉크를 담는 파이프 모양의 '''카트리지'''(또는 리필)로 구성된다.[55] 팁은 볼펜의 성능을 크게 좌우하며, 특히 정밀한 가공 기술이 요구되는 핵심 부품이다.
팁의 표준 구성 요소는 자유롭게 회전하며 필기면에 잉크를 분배하는 '''볼'''(ball), 볼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소켓'''(socket), 소켓을 통해 볼에 잉크를 공급하는 작은 '''잉크 채널'''(ink channel)이다. 팁 내부에는 카트리지에서 볼까지 잉크를 유도하는 관이 있으며, 팁 끝에는 회전 가능한 볼이 끼워져 있다. 필기 시 볼이 회전하면서 볼에 묻은 잉크가 종이 등 필기면에 옮겨진다.
현대의 많은 볼펜에서는 볼의 뒷면에 아주 작은 스프링을 내장하고 있다. 이 스프링은 필기하지 않을 때 볼을 바깥쪽으로 밀어내어 팁 끝의 틈을 막아 잉크가 마르거나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팁은 잉크 저장소와 외부 공기 사이의 완충 장치 역할을 하여, 빨리 마르는 잉크가 저장소 안에서 굳는 것을 막는다.
볼은 주로 황동, 강철, 또는 텅스텐 카바이드로 만들며, 이 볼을 황동으로 만든 소켓에 넣어 팁을 완성한다. 장시간 편안하게 쓸 수 있는 좋은 품질의 팁을 생산하는 것은 쉽지 않은데, 고도의 정밀 가공 기계와 얇고 우수한 품질의 합금 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팁 끝에 있는 볼의 지름은 필기선의 굵기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이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주요 볼 지름은 다음과 같다.
기호 | 지름 (mm) | 명칭 |
---|---|---|
B | 1.2mm | Broad (굵은) |
M | 1mm | Medium (중간) |
F | 0.7mm | Fine (가는) |
EF | 0.5mm | Extra Fine (매우 가는) |
이 외에도 1.4mm, 1.6mm처럼 더 굵은 것이나, 0.4mm, 0.3mm, 0.28mm, 0.25mm, 심지어 0.18mm와 같이 아주 가는 것도 생산된다. 일반적으로 볼 지름이 클수록 필적은 굵어지고 작을수록 가늘어지지만, 필압이나 잉크 종류에 따라서도 실제 선 굵기는 달라질 수 있다. 같은 지름의 볼이라도 유성 잉크 볼펜보다 수성 잉크나 겔 잉크 볼펜의 필적이 더 굵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일본에서는 빽빽하게 한자를 쓰는 경우가 많아 0.5mm 전후의 가는 팁이 선호되고 많이 유통된다. 반면 유럽이나 미국 시장에서는 0.7mm 이하의 팁은 잘 판매되지 않거나, 한자 문화권 수출용으로 특별히 0.5mm 팁 제품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볼펜을 사용할 때는 필기 각도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볼펜은 볼을 주변의 지지대(カシメ(카시메))로 고정하는데, 너무 눕혀서 쓰면 이 지지대가 종이에 마찰되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팁 내부에는 볼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있으므로, 이 받침대가 볼을 올바른 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종이에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각도(60~90도 권장)로 세워서 쓰는 것이 좋다.
3. 2. 팁의 종류
볼펜 심의 형태는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콘팁(포탄팁)
: 원뿔(cone) 모양을 의미하는 "콘"에서 유래했으며, 펜촉이 삼각형인 것이 특징이다. 포탄팁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인 볼펜의 대부분에 채택되어 있다.
- 니들팁(파이프팁)
: 바늘(needle) 모양을 의미하는 "니들"에서 유래했으며, 바늘처럼 가늘고 긴 것이 특징이다. 오토(AUTO)사가 처음으로 니들(needle)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파일럿(Pilot Corporation)사는 1994년에 겔잉크를 사용하여 볼을 3점으로 지지하는 "3점 지지 팁(파이프팁)"을 개발했다. 또한, 오토(AUTO)사는 1999년에 저점도 유성잉크를 사용한 "절삭형 니들팁(니들포인트)"을 개발했다.
- 시너지팁(포인트팁)
: 콘팁과 니들팁의 상승효과(synergy)를 노린 "시너지"에서 유래했으며,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이 특징이다. 파일럿(Pilot Corporation)사가 2016년에 겔잉크를 사용한 "시너지팁"을 개발했다. 미쓰비시연필(Mitsubishi Pencil)사가 2021년에 저점도 유성잉크를 사용한 "포인트팁"을 개발했다.
3. 3. 팁 재질
볼펜 팁의 핵심 부품인 볼(ball)은 주로 황동, 강철, 또는 텅스텐 카바이드로 만들어진다. 이 볼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소켓(socket)은 황동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팁 재질에 따라 볼펜의 성능과 수명이 달라지며, 주요 재질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고속절삭황동
: 가공하기 쉽고 저렴하게 만들 수 있지만, 마모가 빨라 수명이 짧은 편이다.
; 백동
: 황동과 마찬가지로 가공이 용이하고 저렴하다. 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황동보다 다소 우수하다.
; 스테인리스강
: 비교적 마모에 강하고 수명이 길다. 일본에서 생산되는 볼펜 팁의 상당수가 이 재질을 사용한다.
; 합성수지
: 일부 특정 볼펜 모델(예: 「볼펜 Pentel」)의 팁에 사용되기도 한다.
볼펜 팁은 잉크를 종이에 옮기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고도의 정밀 가공 기술이 요구된다.[37]
3. 4. 볼 재질
볼펜 팁의 볼(ball), 즉 펜촉은 황동, 강철 또는 텅스텐 카바이드(초경합금) 등으로 만든다. 볼의 재질에 따라 볼펜의 성능과 가격이 달라진다. 주요 재질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스테인리스강''': 저렴하게 만들 수 있지만, 다른 재질보다 마모에 약하다.
- '''초경합금''': 주로 탄화텅스텐을 사용한다. 단단하여 마모가 적으므로 수명이 길다.
- '''세라믹''': 주로 알루미나를 사용한다. 마모가 적어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잉크와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표면의 미세한 굴곡 덕분에 잉크가 볼에 잘 묻어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고급 볼펜에 쓰인다.
- '''인조 보석''': 루비를 사용한다. 루비는 마찰 계수가 매우 작아 잘 닳지 않기 때문에 고급 볼펜에 주로 쓰인다.
3. 5. 잉크
볼펜 잉크는 일반적으로 염료가 25~40% 정도 포함된 페이스트 형태이다.[25] 염료는 주로 벤질알코올이나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오일" 용매에 현탁되어, 빠르게 건조되면서도 부드럽게 써지는 페이스트를 만드는데, 이를 흔히 유성 잉크라고 부른다. 잉크에는 종종 글씨를 쓸 때 볼 팁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는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에는 잉크에 윤활제를 추가하여 더욱 부드러운 필기감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잉크도 사용되는데, 이는 점성이 낮으면서도 일반 볼펜 잉크보다 건조 시간이 더 빠른 특징이 있다. 잉크의 건조 시간은 잉크의 점도(끈적이는 정도)와 볼의 직경에 따라 달라진다.일반적으로 잉크의 점도가 높을수록 건조 속도는 빨라지지만, 잉크를 종이에 내보내기 위해 더 많은 필기 압력(누르는 힘)이 필요하다. 반면, 하이브리드 잉크는 점성이 낮음에도 건조 시간이 더 빠르다. 또한, 볼의 직경이 클수록 더 많은 잉크가 분사되므로 건조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청색 및 흑색 볼펜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는 트리아릴메탄이나 디아조 화합물, 프탈로시아닌에서 유래한 염기성 염료 또는 산성 염료이며, 대표적으로 프러시안 블루, 빅토리아 블루, 메틸 바이올렛, 크리스탈 바이올렛,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이 있다. 붉은색 잉크에는 주로 에오신 염료가 사용된다.
볼펜 잉크는 건조된 후에는 물에 강한 내수성을 가지지만, 아세톤이나 다양한 종류의 알코올을 포함하는 특정 용매에는 지워질 수 있다.
3. 5. 1. 잉크의 종류
볼펜에 사용되는 잉크는 보통 25~40% 정도의 염료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태이다.[25] 이 염료들은 벤질알코올이나 페녹시에탄올과 같은 용매와 지방산의 혼합물에 분산되어 있다. 용매는 염료 및 오일과 섞여 빠르게 마르면서도 부드럽게 써지는 페이스트를 만든다. 이런 종류의 잉크를 흔히 유성 잉크라고 부른다. 지방산은 글씨를 쓸 때 볼펜촉 끝의 볼이 부드럽게 굴러가도록 돕는 윤활제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더 부드러운 필기감을 위해 윤활제를 추가로 넣은 하이브리드 잉크도 있다. 잉크가 마르는 시간은 잉크의 점도(끈적이는 정도)와 볼의 지름에 따라 달라진다.일반적으로 잉크의 점도가 높을수록 더 빨리 마르지만, 잉크를 내보내기 위해 더 많은 필압(누르는 힘)이 필요하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잉크는 점도가 낮으면서도 일반 볼펜 잉크보다 더 빨리 마르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볼 지름이 클수록 더 많은 잉크가 나오므로 마르는 시간도 더 길어진다.
파란색과 검정색 볼펜에 주로 사용되는 염료는 트리아릴메탄 계열의 염기성 염료나 디아조 화합물, 프탈로시아닌에서 유래한 산성 염료이다. 대표적인 파란색(및 검정색) 염료로는 프러시안 블루, 빅토리아 블루, 메틸 바이올렛, 크리스탈 바이올렛, 프탈로시아닌 블루 등이 있다. 빨간색 잉크에는 주로 에오신 염료가 사용된다.
볼펜 잉크는 마르고 나면 물에는 잘 지워지지 않지만, 아세톤이나 다양한 종류의 알코올과 같은 특정 용매에는 지워질 수 있다.
볼펜은 사용하는 잉크의 특성에 따라 크게 유성 볼펜, 수성 볼펜, 겔잉크 볼펜으로 나뉜다. JIS 및 ISO 규격에서는 잉크의 점도와 틱소트로피를 기준으로 이들을 구분한다. 이 규격들에는 일반 필기용과 공문서용의 요건이 정해져 있는데, 공문서용은 약품을 이용한 변조(체크 워싱)에 더 강해야 한다.
일본에서의 판매 통계를 보면, 과거에는 유성 볼펜이 대세였으나 1993년 이후 겔잉크 볼펜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수성 볼펜(겔 잉크 포함)의 점유율이 더 높아졌다.[67][68] 2022년 기준으로 일본에서는 유성 볼펜 약 3억 1천만 자루, 수성 볼펜(겔 잉크 포함) 약 14억 7천만 자루가 판매되었다.[69]
=== 유성 잉크 ===
가장 고전적인 형태의 볼펜 잉크로, 1930년대에서 1940년대 사이에 비로 라슬로가 개발했다. 휘발성이 낮고 점도가 높은 유기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번짐이 적고, 종이 뒷면에 잉크가 잘 배어 나오지 않으며, 한 번의 리필로 쓸 수 있는 필기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잉크는 종이에 스며들면서 표면에서 마른다. 기본적으로 펜촉 끝의 볼이 마르는 현상(드라이업)이 잘 일어나지 않으며[70], 리필의 보관 기간도 비교적 길다.
하지만 필기감이 다소 무겁고, 쓰기 시작할 때 잉크가 끊기거나 펜촉 끝에 잉크 찌꺼기가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있다. 색소로는 주로 염료가 사용되어 안료계 잉크에 비해 빛에 의한 변색에는 약하지만, 물에는 강하며 실용적으로 50년 이상 필적(쓴 글씨)이 보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필기 시 어느 정도 힘을 주어 눌러 써야 하므로 카본 복사지를 사용하는 복사 전표 작성에 적합하다.
일본 주요 문구 제조사의 유성 볼펜 시장 진출 시기는 다음과 같다.
제조사 | 진출 연도 | 최초 제품명 |
---|---|---|
세일러만년필 | 1948년 | 세일러 볼 포인트 펜[71] |
오토 | 1949년 | 오토펜슬[72] |
톰보연필 | 1958년 | 크라운 톰보[73] |
제브라 | 1959년[74] | |
미쓰비시연필 | 1959년[75] | |
파일럿 | 1961년[76] |
=== 저점도 유성 잉크 ===
2000년대 들어 기존 유성 잉크의 용매(페녹시에탄올, 벤질알코올)와 다른 배합을 사용하여 더 부드러운 필기감을 구현한 저점도 유성 잉크 볼펜이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77] 비교적 초기에 나온 제품으로는 제브라의 '짐니 라이트'(1998년)와 오토의 '유성 소프트 잉크'(1999년)가 있다. 해외 브랜드로는 스테들러가 2018년에 '트리플러스 볼'[78]을 출시했다.
제조사들은 각자 개발한 저점도 잉크에 고유한 이름을 붙이는 경우가 많다.
잉크 또는 제품명 | 제조사 | 출시 연도 |
---|---|---|
짐니 라이트 | 제브라 | 1998년 |
소프트 잉크 | 오토 | 1999년 |
A-잉크 | 파일럿 | 2003년[79] |
제트스트림 잉크 (JETSTREAM) | 미쓰비시연필 | 2003년 |
아크로 잉크 | 파일럿 | 2008년 |
비쿠냐(VICUÑA) 잉크 | 펜텔 | 2010년 |
초저점도 smart 잉크 | 톰보연필 | 2013년 |
에어터치 잉크 | 톰보연필 | 2018년 |
=== 수성 잉크 ===
유성 잉크보다 점도가 낮아 부드러운 필기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유성 잉크에 비해 번짐이 발생하기 쉽고, 펜촉이 마르기 쉬워 캡(뚜껑)이 필수적인 경우가 많다. 겔 잉크는 이러한 수성 잉크의 단점을 보완하며 개발되었다.
=== 겔 잉크 ===
사쿠라 크레파스가 1984년 '볼사인'이라는 제품을 통해 처음 개발한 잉크이다.[86] 중성 볼펜이라고도 불린다. 겔(Gel) 상태의 잉크를 사용하며, 수성 볼펜의 장점인 부드러운 필기감과 쓰기 시작할 때 잉크가 잘 나오는 점, 그리고 유성 볼펜의 장점인 잉크 잔량 확인 가능, 끝까지 일정한 잉크 흐름, (안료 사용 시) 물에 강한 내수성 등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87][88]
수성 잉크에 겔화제를 첨가하여 만든 겔 잉크는 리필 통 안에서는 점도가 높은 겔 상태로 있다가, 볼펜 끝의 볼이 회전하면 순간적으로 점도가 낮은 졸 상태로 변하여 잉크가 흘러나온다. 종이에 닿은 잉크는 다시 겔 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번짐이 적다.[89] 또한, 비교적 입자가 큰 색소를 사용하기 쉬워, 흰색 안료를 섞은 파스텔 색상(불투명) 잉크, 반짝이는 라메(펄) 잉크, 향기가 나는 잉크, 지울 수 있는 잉크 등 다양한 종류의 특수 잉크 제품 개발이 가능하다. 잉크 재료는 염료계와 안료계로 나뉘는데, 염료 겔 잉크는 색상이 선명하고 필기감이 부드럽지만 물에 약한 편이다. 반면 안료 겔 잉크는 마르고 나면 물과 빛에 강해 장기간 보존해야 하는 문서 작성에 적합하다.
겔 잉크는 수성 잉크처럼 마르기 쉬워 초기에는 캡(뚜껑)이 있는 형태만 있었으나, 1997년 미쓰비시연필의 '시그노 노크식' 출시 이후[90] 캡 없이 버튼을 눌러 사용하는 노크식 제품도 실용화되었다. 이후에는 유성 볼펜처럼 심이 가는 다색 노크식이나 다기능 노크식 펜도 등장했다. 노크식 겔 펜은 쉽게 마르지 않도록 잉크 성분을 배합하거나, 스프링으로 볼을 밀어내어 쓰지 않을 때 펜촉의 틈을 막는 방식으로 건조를 방지한다.
=== 에멀전 잉크 ===
2010년 제브라가 '수라리'라는 제품에 처음 탑재하며 선보인 새로운 종류의 볼펜 잉크이다.[91] 유성 잉크와 수성 겔 잉크를 섞어 만든 유중수적형(油中水滴型, 물방울이 기름 속에 분산된 형태) 에멀전(유화액) 잉크를 사용한다. 유성 성분 70%, 수성 성분 30%의 비율로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이 잉크는 수성 잉크처럼 부드러운 필기감과 유성 잉크처럼 진하고 선명한 필기선을 동시에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물과 빛에도 강한 편이다. 다른 회사들의 저점도 유성 잉크에 대응하는 성격의 제품으로 볼 수 있다.
4. 볼펜의 종류
볼펜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분류는 사용 방식에 따른 것으로, 한 번 쓰고 버리는 일회용 모델과 잉크 리필을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리필 가능 모델이 있다. 리필 가능한 모델은 볼펜촉과 소켓을 포함한 내부 잉크 저장소 전체를 교체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고급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디자인이 강조된 경우가 많다.
펜촉을 보호하고 잉크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식, 즉 펜촉의 내·외부 방식에 따라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나뉜다.[45]
- 캡식: 펜촉을 덮는 뚜껑(캡)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볼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Bic Cristal이 있다.
- 노크식: 펜 뒤쪽의 버튼을 눌러 펜촉을 내고 넣는 방식이다.
- 트위스트식 (회전식): 펜 몸통을 비틀어 회전시켜 펜촉을 내고 넣는 방식이다.


잉크의 종류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 유성 볼펜: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기름 기반의 점도 높은 잉크를 사용한다.
- 롤러볼펜 (수성 볼펜): 볼펜 메커니즘은 동일하지만 물 기반의 잉크를 사용하여 더 부드러운 필기감을 제공한다. 다만 잉크가 마르는 데 시간이 걸려 번지기 쉽다.[26]
- 젤펜 (중성펜): 유성 잉크와 수성 잉크의 중간 정도 점도를 가진 젤(gel) 형태의 잉크를 사용한다.
- 하이브리드 잉크 볼펜: 일반 유성 잉크보다 점도가 낮고 롤러볼 잉크보다는 점도가 높은 혼합 잉크를 사용한다. 건조 속도가 빨라 번짐이 적고 필기감이 부드럽다.[25] 유니볼 Jetstream, 파일럿 Acroball 등이 대표적이다.[27]
볼펜촉 끝의 볼 직경에 따라서도 다양한 굵기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0.28mm에서 1.6mm까지 다양하며, 0.5mm, 0.7mm(파인), 1.0mm(미디엄) 등이 많이 사용된다.
이 외에도 특수한 기능이나 형태를 가진 볼펜들이 있다. 여러 색상의 리필을 하나의 펜에 담은 멀티펜, 쓴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지울 수 있는 볼펜, 중력에 관계없이 필기 가능한 가압식 볼펜 (예: 스페이스펜), 기업 홍보용으로 제작되는 광고용 펜 등이 있다.

4. 1. 노크식
펜촉을 내고 넣는 방식 중 하나로, 뒷부분의 버튼을 눌러 펜촉을 꺼내는 방식을 말한다. 다색 볼펜이나 샤프펜슬 기능을 겸비한 것처럼 노크 부분이 여러 개 있는 것은 복수 노크식이라고 부른다.[45]4. 2. 트위스트식 (회전식)
펜촉을 꺼내는 방식 중 하나로, 펜대를 비틀어 회전시켜 펜촉을 꺼내는 방식을 트위스트식 또는 회전식이라고 한다.[45] 이는 펜촉을 덮는 캡을 벗기는 캡식이나 뒷부분의 버튼을 눌러 펜촉을 꺼내는 노크식과 구분된다.[45]4. 3. 기타
여러 색상의 볼펜 리필을 하나의 펜에 담은 멀티펜이 있다. 때로는 볼펜 리필 외에 샤프 펜슬과 같은 다른 필기구 기능이 결합되기도 한다. 또한, 한쪽 끝은 볼펜이고 다른 쪽 끝은 터치스크린용 스타일러스인 펜도 있다.지울 수 있는 볼펜은 미국의 페이퍼 메이트 펜 회사가 처음 개발했다. 초기 모델의 잉크는 고무풀과 비슷한 성질을 가져, 잉크가 마르기 전에 필기면에서 문질러 지울 수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 영구적으로 고정되었다.[92] 이 잉크는 일반 볼펜 잉크보다 점도가 높아 잉크 흐름을 위해 가압 카트리지가 필요했고, 이 덕분에 거꾸로 쓰는 것도 가능했다. 펜에는 지우개가 달려 있었지만, 일반 지우개로도 지울 수 있었다. 일본에서는 미쓰비시 연필의 "켈보", 오토의 "KESERAR KG-300" 등이 출시되었으나, 연필처럼 쉽게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다.[92] 21세기 들어 파일럿 코퍼레이션의 "D-ink", "e-GEL", 미쓰비시의 "유니볼 시그노 이레이서블" 등이 등장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못했다.[92]
2006년, 파일럿은 펜 뒷부분의 특수 고무로 문지르면 마찰열에 의해 잉크가 투명해지는 프릭션볼(Frixion Ball)을 유럽에 먼저 출시했고, 2007년 일본에서도 출시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53] 하지만 지울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공문서 등의 내용을 위변조할 수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교토부 마이즈루시에서는 지울 수 있는 볼펜으로 작성된 공문서가 발견되어 문제가 되기도 했으며,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공적인 사무에 사용을 금지하는 추세이다. 제조사 역시 증서 등 중요한 문서 작성에는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다.[93] 지워진 글씨는 저온 상태에서 다시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94]
일반 볼펜은 중력에 의존하여 잉크를 펜촉으로 보내기 때문에, 펜촉을 위로 향하게 하거나 거꾸로 쓰면 잉크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95] 무중력 상태의 우주 공간에서는 모세관 현상 덕분에 일반 볼펜도 어느 정도 사용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2003년 유럽 우주국(ESA) 우주비행사 페드로 두케가 이를 확인했다.[34]
미국의 Fisher Pen 회사는 가압식 볼펜인 스페이스펜(Space Pen)을 개발했다. 이 펜은 점성이 높은 특수 잉크와 질소 가스로 가압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중력에 관계없이 잉크를 펜촉으로 밀어낸다. 잉크 저장소가 밀봉되어 잉크 증발이나 누출이 없으며, 거꾸로 쓰거나 무중력 상태, 심지어 물 속에서도 필기가 가능하다고 알려졌다.[35] 우주비행사들이 우주 임무 수행 시 이 펜을 사용했다. 한때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거금을 들여 스페이스펜을 개발했지만 소련은 값싼 연필을 썼다는 이야기가 퍼졌으나, 연필심의 흑연 가루가 우주선 내부의 정밀 기기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러시아 역시 현재는 볼펜을 사용한다.[96] 21세기 들어 일본 문구 업체들은 가스 충전 방식이 아닌, 노크 메커니즘을 이용해 펜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여 잉크를 밀어내는 방식의 가압식 볼펜을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 펜들은 펜촉 방향에 관계없이 쓸 수 있고, 젖은 종이나 빙점 이하의 환경에서도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볼펜은 호텔, 은행 등 기업에서 회사명과 로고를 인쇄하여 광고 목적으로 무료 배포되기도 한다. 이는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효과적인 광고 수단으로 여겨진다. 또한 1963년 존 F. 케네디 암살을 기념하는 펜처럼 특정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기도 한다. 이러한 광고용 펜이나 기념 펜은 수집가들 사이에서 가치를 인정받기도 한다. 때로는 금속이나 나무 등 고급 재료를 사용하여 디자인 자체에 중점을 둔 볼펜도 제작된다.
5. 볼펜의 사회문화적 영향
볼펜은 단순한 필기도구를 넘어 현대 사회와 문화에 다방면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여러 기업의 경쟁을 통해 상업화되면서, 저렴한 가격과 편리성을 바탕으로 빠르게 대중적인 필기구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대중성과 접근성은 볼펜이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특히, 볼펜은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전문 예술가부터 일반인까지 폭넓게 사용하는 예술 매체로도 활용되고 있다. 볼펜 특유의 선 표현은 다른 미술 도구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독특한 질감과 효과를 만들어내며, 현대 미술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도 볼펜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 과정에서 볼펜, 특히 모나미 153과 같은 제품은 한국 사회의 발전과 현대화를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5. 1. 대중성과 접근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회사들이 자체 볼펜 디자인을 상업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경쟁했다. 전쟁 이전 아르헨티나에서 비로메 볼펜의 성공은 제한적이었지만, 1945년 중반 기계식 연필 제조업체인 이버샵(Eversharp) 사는 에버하드 파버(Eberhard Faber) 사와 협력하여 비로메로부터 미국 판매권을 라이선스했다.
같은 기간, 미국의 기업가 밀턴 레이놀즈(Milton Reynolds)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 출장 중 비로메 볼펜을 접하고 상업적 가능성을 인지했다. 그는 몇 개의 샘플을 구입해 미국으로 돌아와 레이놀즈 인터내셔널 펜 컴퍼니를 설립했다. 레이놀즈는 비로메 특허를 우회할 만큼 충분히 디자인을 변경하여 미국 특허를 획득했고, 이버샵 및 다른 경쟁사들을 제치고 미국 시장에 볼펜을 출시했다. 1945년 10월 29일, 뉴욕시의 짐벨(Gimbels) 백화점에서 개당 12.5달러 (1945년 가치)에 판매되기 시작한 "레이놀즈 로켓(Reynolds Rocket)"은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볼펜이 되었다.[20] 레이놀즈는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고, 짐벨 백화점에서는 일주일 만에 수천 개의 펜을 판매했다. 영국에서는 프레드릭 조지 마일즈(Frederick George Miles)의 마일즈 마틴 펜 컴퍼니가 1945년 말까지 최초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볼펜을 생산했다.[21][22]
한편, 1946년 스페인 회사인 빌라 시빌 에르마노스(Vila Sivill Hermanos)는 레지아 콘티누아(Regia Continua)라는 볼펜을 생산하기 시작했고, 1953년부터 1957년까지 프랑스 회사 소시에테 빅(Société Bic)과 계약을 맺고 빅(Bic) 볼펜을 생산하기도 했다.[19]
그러나 레이놀즈와 이버샵의 초기 볼펜은 품질 문제로 미국 소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볼펜 판매는 1946년에 정점을 찍었으나, 이후 시장 포화와 품질 문제로 소비자 관심이 급락하면서 사치품에서 쉽게 쓰고 버리는 소모품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1950년대 초 볼펜 붐이 사그라들자 레이놀즈의 회사는 문을 닫았다.
1950년대에는 새로운 브랜드들이 등장하며 볼펜 기술과 시장에 변화를 가져왔다. 캐나다에서 유통권을 확보한 페이퍼 메이트(Paper Mate)는 잉크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잉크 공식을 개발하고 "은행가 승인(Banker's Approved)"이라는 광고 문구를 내세웠다. 1954년, 파커 펜(Parker Pens)은 텅스텐 카바이드 질감 볼 베어링을 사용하는 등 기술적으로 진보한 첫 볼펜 모델인 "조터(Jotter)"를 출시했다. 조터는 출시 1년도 안 되어 수백만 개가 팔릴 정도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결국 1960년대에 파산 위기에 몰린 이버샵(Eversharp)은 펜 사업 부문을 파커에 매각하고 문을 닫았다.
마르셀 비시(Marcel Bich) 역시 1950년대에 비로로부터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아르헨티나 디자인을 기반으로 볼펜을 생산했다.[28] 그는 1953년 자신의 이름을 줄여 빅(Bic)이라는 회사를 설립했는데, 이는 현재 세계적으로 유명한 볼펜 브랜드가 되었다. 빅 펜은 초기에는 고전했지만, 1960년대 "처음부터 끝까지 깨끗하게 써집니다!(Writes First Time, Every Time!)"[23][24]라는 광고 캠페인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경쟁은 볼펜의 단가를 크게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
5. 2. 예술 매체로서의 활용


볼펜은 전문 예술가뿐만 아니라 아마추어 낙서가들에게도 다재다능한 회화 기법으로 입증되었다.[102] 볼펜을 예술 매체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저렴한 비용, 쉬운 구입, 그리고 휴대성을 이 일반적인 필기 도구가 편리한 미술 용품이 되는 이유로 꼽는다.[111] 일부 예술가들은 볼펜을 혼합 매체 작품의 일부로 사용하지만, 다른 예술가들은 볼펜만을 자신의 주요 매체로 선택하기도 한다.
볼펜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이 도구와 연관 짓기 어려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36] 펜과 잉크를 사용하는 전통적인 기법인 스티플링이나 크로스 해칭을 이용하여 중간 색조(하프톤)를 만들거나 형태와 부피감을 표현할 수 있다.[112] 정밀한 선 작업이 필요한 예술가들에게 볼펜은 특히 매력적인 도구인데, 이는 붓으로는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날카로운 선을 그릴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106] 볼펜으로 세밀하게 그린 결과물은 마치 에어브러시로 그린 작품이나 사진으로 오해받기도 하며, 이는 볼펜 작가 레니 메이스가 "와우 팩터"라고 부르는 놀라움과 불신의 반응을 일으킨다.
앤디 워홀과 같은 유명한 20세기 예술가들도 자신의 경력 동안 어느 정도 볼펜을 사용했다.[110] 볼펜을 이용한 예술 작품은 21세기에도 계속해서 관심을 끌고 있으며, 많은 현대 예술가들이 볼펜 사용에 대한 기술력, 상상력,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계 미국인 예술가 일 리는 1970년대 후반부터 (혹은 1980년대 초반부터[102]) 오직 볼펜만을 사용하여 대규모 추상 미술 작품을 제작해 왔다. 그의 작품은 서울과 미국 등지에서 전시되었다.[102] 1980년대부터 레니 메이스는 나무나 데님과 같은 비전통적인 표면 위에 다양한 내용과 복잡성을 가진 상상력 풍부한 볼펜 작품을 만들어왔다.[105][104] 그는 자신의 다양한 결과물을 설명하기 위해 "펜팅(PENtings)"과 "미디어 그래피티(Media Graffiti)"와 같은 용어를 만들었다.[101] 메이스는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볼펜 화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작품은 미국 전역과 일본에서 정기적으로 전시되고 있다.[103] 최근에는 영국의 예술가 제임스 밀른이 주로 검은색 볼펜을 사용하여 사진처럼 사실적인 그림을 제작하고 있으며, 때로는 최소한의 혼합 매체 색상을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109][107][106] 그의 작품은 런던과 인터넷을 통해 국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109] 또한 스페인의 후안 프란시스코 카사스와 포르투갈의 사무엘 실바(Samuel Silva)의 볼펜화도 인터넷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108]
하지만 볼펜을 예술 매체로 사용하는 데에는 몇 가지 한계점도 존재한다. 예술가들은 볼펜 잉크의 제한된 색상 종류와 빛에 대한 민감성(색바램 현상)을 우려한다.[113] 또한, 한번 선을 그리면 일반적으로 지울 수 없기 때문에 실수는 볼펜 예술가에게 더 큰 위험 부담이 된다.[101] 그림을 그리는 표면에 잉크가 "뭉치거나(blobbing)" 잉크 흐름이 "끊기는(skipping)" 현상 역시 예술적 목적으로 볼펜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114] 볼펜의 기본적인 구조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잉크 성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특정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전해 왔고, 이로 인해 빛에 대한 예측 불가능한 민감성과 어느 정도의 퇴색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5. 3.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196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산업화 과정에서 볼펜은 사무, 교육, 일상생활 등 다양한 영역에서 필수적인 필기구로 자리 잡았다. 특히, 1963년 출시된 모나미 153 볼펜은 '국민 볼펜'으로 불리며 한국을 대표하는 필기구로 자리매김했다. 볼펜은 단순한 필기구를 넘어 한국의 경제 성장과 산업화, 그리고 현대화를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인식되기도 한다.6. 표준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볼펜과 롤러볼펜에 대한 다음과 같은 표준을 발표했다.
7. 기네스 세계 기록
세계에서 가장 큰 볼펜은 인도의 아차리아 마쿠누리 스리니바사(Acharya Makunuri Srinivasa)가 제작했다. 이 펜의 길이는 5.5m, 무게는 37.23kg이다.[159][43]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볼펜은 빅 크리스탈이다. 1950년에 출시된 이 펜은 2006년 9월에 1,000억 개 판매를 돌파했으며, 초당 약 57개가 판매되고 있다.[160][44]
참조
[1]
논문
On Nepalese English Discourse Granting Citizenship to English in Nepal via Corpus Building
https://www.nepjol.i[...]
2021-08-02
[2]
웹사이트
How does a ballpoint pen work?
http://science.howst[...]
HowStuffWorks
2007-11-16
[3]
서적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
[4]
간행물
Reservoir, Fountain, and Stylographic Pens
https://books.google[...]
1905-10-27
[5]
특허
Great Britain Patent No. 15630
2008-10-30
[6]
웹사이트
Patent US392046 – op weym – Google Patents
https://patents.goog[...]
2014-03-08
[7]
서적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05
[8]
웹사이트
A porcelán-arany csoda
https://web.archive.[...]
Herend
2010-09-11
[9]
서적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05
[10]
서적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05
[11]
웹사이트
La Birome
https://bhl.org.uy/i[...]
2023-02-10
[12]
웹사이트
If You Like Ballpoint Pens, Thank the R.A.F.
https://www.airspace[...]
2020-12-30
[13]
서적
Patent Log: Innovative Patents that Advanced the United States Navy
https://books.google[...]
Lulu.com
2017-03-30
[14]
웹사이트
Ball point fountain pen
https://patents.goog[...]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5]
웹사이트
Red ball point fountain pen inks and colorants therefor
https://patents.goog[...]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6]
웹사이트
Fountain pen of the ball point type
http://www.google.co[...]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7]
웹사이트
Ball-point fountain pen
https://patents.goog[...]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8]
웹사이트
Writing instrument
https://patents.goog[...]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9]
뉴스
El meu avi va fer la primera estilogràfica d'Espanya i el primer bolígraf d'Europa
http://admin.elpunt.[...]
2016-07-10
[20]
서적
Inventing the 20th century: 100 inventions that shaped the world
NYU Press
[21]
간행물
Miles
http://www.flightglo[...]
1976-08-28
[22]
웹사이트
The Biro Story
https://web.archive.[...]
2012-04-25
[23]
웹사이트
BIC Fight for Your Write
https://www.bicfight[...]
[24]
웹사이트
BIC
https://www.oxfordre[...]
[25]
웹사이트
The Difference Between Ballpoint, Gel, and Rollerball Pens
https://www.jetpens.[...]
2021-02-11
[26]
웹사이트
Ballpoint vs. Rollerball – What's The Difference?
https://unsharpen.co[...]
2020-08-29
[27]
웹사이트
Hybrid Ballpoint Showdown
https://www.wellappo[...]
2021-02-11
[28]
서적
Phaidon Design Classics- Volume 2
Phaidon Press Ltd
[29]
웹사이트
Humble Masterpieces
https://web.archive.[...]
The Museum of Modern Art
2004-09-27
[30]
웹사이트
BIC Corporation – Company History
http://www.fundingun[...]
Fundinguniverse.com
2011-08-17
[31]
웹사이트
History
http://www.bicworld.[...]
Bicworld.com
2011-08-17
[32]
웹사이트
Décolletage Plastique Design Team. Bic Cristal® Ballpoint pen. 1950 – MoMA
http://www.moma.org/[...]
2017-03-30
[33]
웹사이트
BICWorld.com FAQ – BIC World
http://www.bicworld.[...]
2013-03-05
[34]
웹사이트
Pedro Duque's diary from space
https://www.esa.int/[...]
2023-09-28
[35]
웹사이트
Fisher Space Pen – About Us
http://www.spacepen.[...]
2011-11-05
[36]
논문
Invention of Pen; history of Pen
http://www.thehelpin[...]
The Helping Tech
2021-03-21
[37]
웹사이트
Finally, China manufactures a ballpoint pen all by itself
https://www.washingt[...]
2017-10-21
[38]
웹사이트
ISO 12756:1998 – Drawing and writing instruments – Ball point pens and roller ball pens – Vocabulary j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39]
웹사이트
ISO 12757-1:1998 – Ball point pens and refills – Part 1: General use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40]
웹사이트
ISO 12757-2:1998 – Ball point pens and refills – Part 2: Documentary use (DOC)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41]
웹사이트
ISO 14145-1:1998 – Roller ball pens and refills – Part 1: General use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42]
웹사이트
ISO 14145-2:1998 – Roller ball pens and refills – Part 2: Documentary use (DOC)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43]
뉴스
Largest ball point pen
http://www.guinnessw[...]
2016-12-14
[44]
웹사이트
Pen - Best Selling
http://www.guinnessw[...]
2018-05-14
[45]
웹사이트
意匠分類定義カード(F2)
https://www.jpo.go.j[...]
[46]
서적
The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47]
서적
小学館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小学館
[48]
서적
日本語大辞典
講談社
1989
[49]
웹사이트
ボールペン
http://ejje.weblio.j[...]
[50]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oughton Mifflin
1975
[51]
서적
新和英大辞典 第5版
研究社
2003
[52]
서적
Dictionary of Trade Name Origi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7-22
[53]
뉴스
パリの教室 風景変えた日本製ペン
http://globe.asahi.c[...]
朝日新聞社
2015-05-12
[54]
웹사이트
【メーカー直伝】ボールペンのインクが出ないときの対処法
https://www.craypas.[...]
サクラクレパス
2023-12-18
[55]
논문
ボールペンにおける最近の精密加工技術について
精密工学会
2007
[56]
웹사이트
よくある質問: 書けなくなった(ボールペン)
https://www.mpuni.co[...]
三菱鉛筆
2023-12-05
[57]
서적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
Transactions of the Newcomen Society
2007
[58]
웹사이트
About ballpoint pens
http://inventors.abo[...]
About.com
2014-02
[59]
웹사이트
現代生活の必需品である「ボールペン」はどのように生まれて受け入れられていったのか?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24-03-11
[60]
웹사이트
セーラー万年筆の歴史
https://sailor.co.jp[...]
2023-11-30
[61]
웹사이트
ボールペンの歴史はOHTOの歴史
https://web.archive.[...]
OHTO
2020-06-01
[62]
웹사이트
ヒストリー
http://www.bic-japan[...]
BICジャパン
2019-11-10
[63]
웹사이트
Bic Cristal Ballpoint pen
https://www.moma.org[...]
The Museum of Modern Art
2019-11-10
[64]
웹사이트
日本生まれ!鉛筆型・水性インク・ゲルインクの魅力~ボールペンはじめて物語(1)
https://hicbc.com/ma[...]
2024-03-11
[65]
웹사이트
The Fisher Space Pen
http://history.nasa.[...]
[66]
뉴스
日光ボールペンの広告
1967-07-26
[67]
웹사이트
「水性ボールペン」はいま絶滅の危機にあるのか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
2016-12-04
[68]
웹사이트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調査
https://www.meti.go.[...]
経済産業省
2024-06-18
[69]
웹사이트
品目別・国別輸出入統計
http://www.jwima.org[...]
日本筆記具工業会
2024-06-18
[70]
웹사이트
オピ研: vol.02:パイロットのこだわり~おまけ~
http://www.opi-net.c[...]
マーケティング・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16-12-04
[71]
웹사이트
セーラー万年筆の歴史
https://sailor.co.jp[...]
2024-12-04
[72]
웹사이트
歴史 - OHTO
https://ohto.co.jp/%[...]
2024-12-04
[73]
웹사이트
トンボのボールペン物語|トンボKIDS|トンボ鉛筆
https://www.tombow.c[...]
2024-12-04
[74]
웹사이트
沿革|ゼブラ株式会社
https://www.zebra.co[...]
2024-12-04
[75]
웹사이트
三菱鉛筆のあゆみ|企業情報|三菱鉛筆株式会社
https://www.mpuni.co[...]
2024-12-04
[76]
웹사이트
パイロット100周年記念サイト - PILOT
https://www.pilot.co[...]
2024-12-04
[77]
웹사이트
“油性ボールペン嫌い”が油性ボールペンをヒットさせた
https://web.archive.[...]
日経BP社
2008-02-20
[78]
웹사이트
【新製品】トリプラス ボール・油性ボールペン 新発売
https://www.staedtle[...]
ステッドラー
2018-12-01
[79]
웹사이트
栗原裕一郎[特別寄稿]「まだ知らないあなたのための静かで熱いボールペン戦争」
https://www.tumblr.c[...]
2024-09-30
[80]
데이터베이스
水性ボールペン W
[81]
데이터베이스
ボールぺんてる B50
[82]
웹사이트
キャップレスでもなめらかな書き味――パイロット、国内初のノック式水性ボールペン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08-08-25
[83]
데이터베이스
水性ボールペン ユニボール UB-150
[84]
웹사이트
気圧や温度の急激な変化があった場合(直液式ボールペン)
http://www.mpuni.co.[...]
三菱鉛筆
[85]
데이터베이스
水性ボールペン ユニボール UB-200
[86]
데이터베이스
ボールサイン(世界で初めての水性ゲルインキボールペン) GB280
[87]
논문
ゲルインキボールペンの開発
日本熱測定学会
[88]
웹사이트
油性・水性・ゲルインクの違いは何か|よくあるご質問|三菱鉛筆株式会社
https://www.mpuni.co[...]
[89]
웹사이트
ボールペンお役立ち情報: ボールペンのインキについて
http://www.jwima.org[...]
日本筆記具工業会
2002
[90]
웹사이트
ユニボールシグノノック式 500円タイプ
http://www.mpuni.co.[...]
三菱鉛筆
1998-10
[91]
웹사이트
ZEBRA 沿革
https://www.zebra.co[...]
[92]
웹사이트
消せるボールペンの系譜
https://web.archive.[...]
[93]
뉴스
公文書に消せるボールペン 京都・舞鶴市「認識甘かった」
http://www.kyoto-np.[...]
京都新聞社
2015-04-07
[94]
웹사이트
フリクションボール(フリクションシリーズ各種)よくある質問
http://www.pilot.co.[...]
パイロット社
[95]
뉴스
ボールペンはなぜ書けなくなる? 空気や繊維でペン先が詰まるから
https://www.asahi.co[...]
2021-10-16
[96]
웹사이트
Pedro Duque's diary from space
http://www.esa.int/e[...]
欧州宇宙機関 (ESA)
2003-10-23
[97]
웹사이트
3 代目直記ペン
https://www.kyowa-mf[...]
協和工業
2023-11-30
[98]
웹사이트
タキザワトップページ
http://www.takizawa-[...]
2023-12-07
[99]
웹사이트
株式会社エーワイ産業 {{!}} 名入れノベルティ制作なら
https://www.e-wai.co[...]
2024-10-15
[100]
웹사이트
ペン工房キリタ
http://www.kirita-pe[...]
2023-12-07
[101]
뉴스
The hair-raising art of Lennie Mace; Lennie Mace Museum
http://www.japantime[...]
Toshiaki Ogasawara
2002-04-03
[102]
뉴스
To See the World in Ballpoint Pen
https://www.nytimes.[...]
Arthur Ochs Sulzberger, Jr.
2007-08-10
[103]
간행물
Ai Candy; exhibition preview
http://www.tokyoweek[...]
BC Media Group
2005-08-19
[104]
간행물
Getting the ball rolling in harajuku
Nexxus Communications K.K.
[105]
간행물
Media Graffiti
High Speed Productions
[106]
웹사이트
About Ballpoints, & Using Them in Art
http://www.birodrawi[...]
James R. Mylne
2012-06
[107]
뉴스
Biro art is simply ink-redible
http://www.thesun.co[...]
News International
2011-01-12
[108]
뉴스
Simply birolliant - the incredible 10ft 'photographs' drawn with a ballpoint pen
http://www.dailymail[...]
Associated Newspapers Ltd
2008-02-02
[109]
뉴스
Biro artist recreates Girl With A Pearl Earring masterpiece
http://www.express.c[...]
Northern and Shell Media
2010-04-16
[110]
서적
Warhol Polaroid Portraits
https://books.google[...]
McCaffrey Fine Art
[111]
뉴스
Artist wins £6,000 art prize after using 3p ballpoint pens from Tesco
http://www.metro.co.[...]
Associated Newspapers Ltd
2011-09-29
[112]
서적
Art of Sketching
https://books.google[...]
Sterling Publishing
[113]
서적
The care of prints and drawings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114]
서적
Watercolor tricks & techniques: 75 new and classic painting secrets
https://books.google[...]
North Light Books
[115]
웹사이트
How Laszlo Biro Changed the History of Ballpoint Pens
https://www.thoughtc[...]
2017-04-15
[116]
웹인용
How does a ballpoint pen work?
http://science.howst[...]
HowStuffWorks
2007-11-16
[117]
웹사이트
How products are made
http://www.encyclope[...]
1998-01
[118]
웹사이트
How Ballpoint Pens Work
http://home.howstuff[...]
[119]
웹인용
Best Pens for Thin Paper (and Bullet Journals!)
https://techstarzone[...]
2020-02-17
[120]
웹인용
Décolletage Plastique Design Team. Bic Cristal® Ballpoint pen. 1950 - MoMA
http://www.moma.org/[...]
2017-03-30
[121]
간행물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
[122]
간행물
Reservoir, Fountain, and Stylographic Pens
https://books.google[...]
1905-10-27
[123]
특허
Great Britain Patent No. 15630
2008-10-30
[124]
웹인용
Patent US392046 - op weym - Google Patents
https://www.google.c[...]
Google.com
2014-03-08
[12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1940s
https://www.worldcat[...]
M.E. Sharpe
2006
[126]
웹사이트
How products are made
http://www.encyclope[...]
1998-01
[127]
웹사이트
Birome Ballpoint Pen Collection
https://web.archive.[...]
ASM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3-03-01
[128]
간행물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
[129]
웹인용
A porcelán-arany csoda
http://www.herend.co[...]
Herend
2010-09-11
[130]
서적
세상을 바꾼 최초들
하늘연못
2006-08-24
[131]
웹사이트
How Ballpoint Pens Work
http://home.howstuff[...]
[132]
웹사이트
How products are made
http://www.encyclope[...]
1998-01
[133]
웹사이트
How Ballpoint Pens Work
http://home.howstuff[...]
[134]
웹사이트
How Laszlo Biro Changed the History of Ballpoint Pens
https://www.thoughtc[...]
2017-04-15
[135]
간행물
Ink Reservoir Writing Instruments 1905–20
[136]
웹사이트
How Laszlo Biro Changed the History of Ballpoint Pens
https://www.thoughtc[...]
2017-04-15
[137]
웹사이트
How Ballpoint Pens Work
http://home.howstuff[...]
[138]
웹인용
Ball point fountain pen
https://www.google.c[...]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39]
웹인용
Red ball point fountain pen inks and colorants therefor
https://www.google.c[...]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40]
웹인용
Fountain pen of the ball point type
https://www.google.c[...]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41]
웹인용
Ball-point fountain pen
https://www.google.c[...]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42]
웹인용
Writing instrument
https://www.google.c[...]
United States Patent Office
2017-03-30
[143]
뉴스
El meu avi va fer la primera estilogràfica d'Espanya i el primer bolígraf d'Europa
http://admin.elpunt.[...]
2016-07-10
[144]
서적
Inventing the 20th century: 100 inventions that shaped the world
NYU Press
[145]
서적
Phaidon Design Classics- Volume 2
Phaidon Press Ltd
[146]
웹인용
Fisher Space Pen – About Us
http://www.spacepen.[...]
2011-11-05
[147]
서적
Phaidon Design Classics- Volume 2
Phaidon Press Ltd
[148]
웹사이트
Humble Masterpieces
http://www.moma.org/[...]
2004-09-27
[149]
웹인용
BIC Corporation – Company History
http://www.fundingun[...]
Fundinguniverse.com
2011-08-17
[150]
웹인용
History
http://www.bicworld.[...]
Bicworld.com
2011-08-17
[151]
웹인용
Décolletage Plastique Design Team. Bic Cristal® Ballpoint pen. 1950 - MoMA
http://www.moma.org/[...]
2017-03-30
[152]
웹사이트
BICWorld.com FAQ – BIC World
http://www.bicworld.[...]
[153]
뉴스
Finally, China manufactures a ballpoint pen all by itself
https://www.washingt[...]
washingtonpost.com
2017-01-18
[154]
웹인용
ISO 12756:1998 – Drawing and writing instruments – Ball point pens and roller ball pens – Vocabulary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155]
웹인용
ISO 12757-1:1998 – Ball point pens and refills – Part 1: General use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156]
웹인용
ISO 12757-2:1998 – Ball point pens and refills – Part 2: Documentary use (DOC)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157]
웹인용
ISO 14145-1:1998 – Roller ball pens and refills – Part 1: General use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158]
웹인용
ISO 14145-2:1998 – Roller ball pens and refills – Part 2: Documentary use (DOC)
http://www.iso.org/i[...]
Iso.org
2010-09-11
[159]
뉴스
Largest ball point pen
http://www.guinnessw[...]
2016-12-14
[160]
웹인용
Pen - Best Selling
http://www.guinnessw[...]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중국 직구 학용품 샀다가 깜짝…볼펜서 기준치 231배 납 검출 | JTBC 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