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우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우역은 홍콩과 중국 본토를 연결하는 국경역으로, 1949년 중국 공산당의 광저우 및 둥관 점령으로 인해 종착역으로 지정되었다. 1980년대 시설 개선 및 확장을 거쳐 2007년 홍콩철로유한공사(MTR)의 역이 되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폐쇄되었다가 2023년 재개통되었다. 현재는 3면 2선 구조의 지상역으로, 선전 방면 통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세 개의 대합실과 출구가 있다. 주요 시설로는 철도 면세점, 편의점, 환전소 등이 있으며, 출입국 절차를 위한 다양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둥팃선 - 훙함역
    훙함역은 홍콩 주룽 지구에 있는 MTR 철도역으로, 동철선과 툰마선의 환승역이며, 한때 중국 본토로 가는 직통 열차도 운행했던 교통 요지이다.
  • 둥팃선 - 성서이역
    성서이역은 여러 시대를 거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온 역으로, 현재는 홍콩 MTR 동철선의 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1930년 개통 이후 경부선의 일부, KCR 전철화, 록마차우 지선 개통을 거쳐 홍콩과 중국 선전을 잇는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4개의 출구,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대합실,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시위의 중심지이자 주변에 성서산업단지, 이곡동 주거 지역, 와룡산,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가 위치한다.
  • 박구 - 선전강
    선전강은 중국 선전시와 홍콩의 경계를 이루는 길이 37km의 강으로, 열대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홍수 방지 및 수질 개선을 위해 홍콩과 선전시가 공동으로 치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 박구 - 박구 (홍콩)
    홍콩 최북단에 위치한 박구는 선전시와 접경하며 펀링/상수이 신시진에 인구 대부분이 거주하고 철도와 도로를 중심으로 중국 본토와 연결되는 교통 요충지이다.
  • 국경역 - 도라산역
    도라산역은 경의선 상의 역으로, 남북 철도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민간인 출입 통제 구역 내에 위치해 셔틀 전동열차와 DMZ-TRAIN이 운행되고 주변 관광 코스와 연계되어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 국경역 - 제네바역
    제네바역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주요 기차역으로, 19세기 후반에 건설되어 1929년 현재의 역사가 완성되었으며, 다양한 국제선과 국내선 열차가 운행하고 2035년까지 역 확장 계획을 추진한다.
로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뤄후 역
원어 이름羅湖站
모국어 표기중국어 간체: 罗湖站
중국어 병음: Luóhú Zhàn
광동어: Lo4 Wu4 Zaam6
위치홍콩 신계북구 뤄후 뤄후 역로
좌표22°31′44.4″N 114°6′46.91″E
운영사홍콩철로유한공사 (홍콩 MTR)
노선동철선
역 구조지상역 (교상역)
승강장3면 3선
개업일1949년 10월 14일
접근성https://www.mtr.com.hk/en/customer/services/free_search.php?query_type=search&station=76
역 코드LOW
일일 승객 수240,000명 (출입 합산)
플랫폼
형태4개 (스페인식 해결책: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1개의 섬식 승강장)
선로 수2개 (동철선)
1개 (무정차 직통 열차)
노선 정보
노선동철선
이전 역성수이 역
다음 역종착역
연결
연결 정보뤄후 관제소 및 뤄후 항
선전 역
(뤄후 역) (출구 A2)
() (출구 A1, B)
환승광선선: 선전 역
선전 지하철1호선(뤄바오선) 뤄후 역
선전 지하철선전 지하철 9호선
기타 정보
이전 서비스{{Adjstn|system=KCR
비고2023년 2월 6일부터 운영 중
뤄후 역 외부
역 외부

2. 역사

원래 구룡-광저우 철도(KCR)의 중간역이었던 로우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국경 통제가 강화되면서 사실상의 종착역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49년 10월 14일, 중국 공산당의 광저우시 및 인근 지역 통제에 따라 구광철로국은 국경 간 열차 운행을 중단하고 로우역을 종착역으로 지정했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로우역에서 하차하여 뤄후 교를 통해 도보로 중국 본토로 이동해야 했다.

초기 역 시설은 늘어나는 국경 통과객을 수용하기에 부족하여, 이후 지속적인 시설 개선 및 확장이 이루어졌다. 1978년에는 광저우까지의 직통 운전이 재개되었고,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도 로우역은 홍콩과 중국 본토 간 출입국 수속을 위한 주요 관문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다만, 역 주변 지역은 홍콩 변경금구로 지정되어 있어 허가받지 않은 일반인의 외부 출입은 제한된다.

2007년 12월 2일, 양철 합병으로 로우역은 홍콩철로유한공사(MTR) 소속 역이 되었다. 2020년 2월 4일에는 코로나19 범유행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 통과 업무가 일시 중단되었으나[8], 2023년 2월 6일부터 정상적인 운행 및 출입국 업무가 재개되었다.

2. 1. 초기 역사 (1949년 이전)

구룡-광저우 철도(KCR)가 처음 운행을 시작했을 때는 국경 통과 절차가 없었기 때문에 열차는 로우(羅湖)에 정차하지 않았다.[2] 그러나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직후, KCR은 열차가 로우에서 종착하며 승객들은 걸어서 국경을 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2.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 현재)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에는 홍콩과 중국 본토 간 국경 통행이 비교적 자유로웠기 때문에 구광철로(KCR) 열차는 로우역에 정차하지 않고 운행했다.[2] 그러나 1949년 10월 14일, 중국 공산당이 광저우시와 당시의 둥관 현을 통제하게 되면서 구광철로국은 국경 간 열차 운행을 중단하고 로우역을 종착역으로 설정한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승객들은 로우역에서 하차한 뒤 뤄후 교를 걸어서 건너 중국 본토로 들어가야 했다. 당시 로우역의 시설은 기본적인 수준이었고 늘어나는 국경 통과객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중국의 경제 개혁 이후 국경 간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1979년에는 광저우까지 직통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고[3] 국경을 넘나드는 교통량이 크게 증가했다.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에는 보행자 전용 인도교가 추가되었고, 1980년대에는 로우역 전체를 재개발하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1987년 1월 15일, 확장된 승강장을 갖춘 새로운 로우역이 정식으로 개통되었다.

1997년의 로우역 대합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에도 로우역은 여전히 중국 본토와 홍콩 간 출입국 수속을 위한 전용 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역 건물 밖은 홍콩 변경금구로 지정되어 있어, 일반인의 외부 출입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출구에는 "주변 주민 외 출입 금지"라는 안내문이 있으며, 허가 없이 역 외부로 나갈 경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단, 뤄후 지역 주민은 제외).

셩수이역과 로우역 사이 구간의 무임승차를 방지하기 위해, KCRC는 2004년 로우역의 두 번째 확장 공사를 완료했다. 이 공사를 통해 대합실과 섬식 승강장을 연결하던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이 철거되었고, 1번 승강장의 구조가 변경되었으며, 2번과 3번 승강장은 확장되고 4번 승강장이 새로 설치되었다.

2007년 12월 2일, 양철 합병에 따라 로우역은 홍콩철로유한공사(MTR) 소속 역이 되었다.

2019년-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확산을 막기 위한 홍콩 정부의 조치로, 2020년 2월 4일부터 로우역을 통한 국경 통과는 중단되었다.[8] 이 기간 동안 로우역은 로우 지역 거주민만을 위해 셩수이역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는 셔틀 열차 서비스만 제공했다. 국경 통과 기능은 역 주변 공사가 완료되지 않아 계속 중단되었으며, 2023년 1월 8일부터 국경을 통과하려는 승객들은 록마차우 역을 이용하도록 안내받았다.

2023년 2월 6일부터 로우역을 통한 홍콩과 중국 본토 간의 국경 통과 서비스가 전면 재개되었으며, 열차는 4분에서 8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4]

로우역 주요 연혁
연도날짜내용
1949년10월 14일구광철로의 역으로 개업,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국경 통제 강화로 종착역 역할 시작.
1979년직통 운전 재개.
1987년1월 15일재개발된 신역사 정식 개통.
2007년12월 2일양철 합병으로 홍콩철로유한공사(MTR) 소속 역이 됨.
2020년2월 4일코로나19 범유행으로 국경 통과 업무 중단.[8]
2023년2월 6일정상 운행 및 국경 통과 업무 재개.


2. 3. 시설 개선 및 확장

1949년 중국 공산당이 광저우시와 둥관 현을 통제하게 되면서 구광철로국은 국경 간 운행을 중단하고 로우역을 종착역으로 설치했다. 초기의 로우역 시설은 다소 조잡하여 많은 국경 여행객을 처리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시설 개선 및 확장이 이루어졌다.

1981년에는 늘어나는 이용객을 수용하기 위해 보행자용 인도교가 추가되었고, 1987년에는 역이 확장되어 추가 승강장이 설치되었다.

2002년에는 역 리모델링 공사가 시작되어 단체 대기실과 새로운 개찰구 등 새로운 시설이 도입되었다.

2004년에는 성서이역과 로우역 사이의 무단 통행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두 번째 확장 공사가 완료되었다. 이 공사를 통해 대합실과 섬식 승강장 사이의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이 철거되었고, 1번 승강장이 변경되었으며 2번과 3번 승강장이 확장되었다. 또한 승객 동선 개선을 위해 4번 승강장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2004년 12월 28일부터 로우역은 중국 본토의 선전 지하철 뤄후역과의 환승역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두 역은 동일한 중국어 이름을 사용한다.

2009년에는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승강장에 플랫폼 간 간격 메움 장치가 시범적으로 설치되었다.

3. 역 구조

교상역사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승강장은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1개의 섬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진 3면 2선식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승객의 승하차 동선을 분리하는 스페인식 해법이 적용되어 운영된다.[5]

이 역에는 총 3개의 선로가 있다. 2개의 선로는 MTR 동철선 열차의 종착 승강장으로 사용되며, 나머지 1개의 선로는 이 역에 정차하지 않고 국경을 넘어 중국 본토로 운행하는 도시 간 통과 열차 서비스에 이용된다. 따라서 통과 열차를 위한 별도의 승강장은 없다.

승강장이 위치한 G층과 대합실이 있는 L1, L2층은 분리되어 있으며, 무빙워크가 설치된 뤄우 다리를 통해 뤄우 통제소 및 선전시와 연결된다. 선전 방면으로의 통로(뤄후구안)는 교상 역사와 바로 이어진다.

3. 1. 승강장

교상역사를 가진 지상역이다. 승강장은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1개의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된 3면 2선 구조이며, 승객의 승하차 동선을 분리하는 스페인식 해법이 적용되어 있다.[5] 1번 승강장과 2번 승강장, 3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은 각각 같은 선로를 공유한다. 이 외에 홍함발 중국 본토 직통 열차를 위한 선로가 별도로 존재한다.

승강장 운영 방식은 다음과 같다:

  • 1번, 4번 승강장 (상대식): 승차 전용 승강장이다. 에스컬레이터엘리베이터를 통해 도착 대합실(L1)과 연결된다. 승객이 승강장으로 진입할 때, 1번 승강장은 오른쪽 문, 4번 승강장은 왼쪽 문이 열린다.[5]
  • 2번, 3번 승강장 (섬식): 하차 전용 승강장이다. 출발 대합실(G)과 연결되어 있다.[5]


열차가 역에 도착하면, 먼저 섬식 승강장(2번 또는 3번) 쪽 문이 열려 승객들이 내린다. 역 직원이 모든 승객의 하차를 확인한 후 문을 닫고, 이어서 상대식 승강장(1번 또는 4번) 쪽 문을 열어 승객들이 탑승한다. 이러한 승하차 분리 방식은 대한민국 대전 도시철도 판암역의 운영 방식과 유사하다.

스페인식 해법이 도입되기 전에는 승객들이 승하차 모두 섬식 승강장을 이용했기 때문에 승강장이 매우 혼잡했다. 2004년에 승객 흐름을 개선하고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기존에 거의 사용되지 않던 1번 승강장을 재건하고 4번 승강장을 새로 건설하여 현재와 같은 효율적인 운영 방식을 갖추게 되었다.

승객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도착 대합실(L1)의 유료 구역 내에는 각 상대식 승강장(1번, 4번)으로 이어지는 별도의 통로 2개가 마련되어 있다. 각 통로 입구에는 대형 유리 미닫이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열차 출발 약 5분 전에 자동으로 닫히기 시작한다. 이는 상대적으로 좁은 상대식 승강장에 승객이 과도하게 몰리는 것을 방지하고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다. 한쪽 승강장으로 가는 문이 닫히면 다른 쪽 승강장으로 가는 문이 열리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과거에는 각 승강장 사이를 연결하는 보행자 터널이 있었으나, 현재는 운영이 중단된 상태이다. 도착 대합실(L1)과 출발 대합실(G)은 무빙워크가 설치된 뤄우 다리를 통해 뤄우 통제소와 연결되어 있어, 승객들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승강장에서 국경 검문소로 이어지는 중앙 통로 파노라마

3. 2. 대합실

로우역의 대합실은 승객의 출입국 및 환승 동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세 개의 주요 구역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각 대합실은 특정 기능을 담당하며, 승객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방통행 방식이 적용되어 있다.

  • '''L2 (매표 대합실)''': 홍콩으로 입국한 승객이 동철선 열차를 이용하기 위해 승차권을 구매하고 개찰구를 통과하는 공간이다. 고객 서비스 센터, 역내 상점, 화장실, ATM 등이 있다.[5]
  • '''L1 (착항 대합실)''': 중국 본토에서 선전시를 거쳐 홍콩으로 들어오는 승객들이 홍콩 출입국 관리국의 입국 심사와 세관 및 소비세청의 세관 검사를 받는 공간이다.[5] 이 층에는 선전시와 연결되는 인도교가 있다.
  • '''G (출항 대합실)''': 홍콩에서 중국 본토로 출국하는 승객들이 홍콩 출입국 관리국의 출국 심사와 홍콩 세관 검사를 받는 공간이다.[5] 면세점을 포함한 여러 상점과 편의 시설이 있으며, 출국 수속 후 선전시로 향하는 인도교(뤄우 교)로 연결된다.


각 대합실의 구체적인 시설 및 이용 절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출국 절차, 입국 절차, 시설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2. 1. 출국 절차

열차가 로우 역에 도착하면, 출국하려는 승객은 섬식 승강장에서 내려 승강장 북쪽 끝에 있는 출항 대합실(離港大堂중국어)로 이동해야 한다. 이동 경로는 한 방향으로만 통제되어 승강장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다.

출항 대합실에서 승객은 홍콩 세관을 통과하여 출국 수속을 밟는다. 수속 완료 후, 선전 강 위의 도보교(뤄후 교)를 건너 선전시의 뤄후 항(羅湖口岸) 연합 검사 빌딩으로 이동한다. 이곳에서 중국 세관 검사와 출입국 심사를 거치게 되며, 귀향 카드(回鄉卡) 소지자는 이를 이용해 자체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모든 절차를 마치면 건물을 나와 시내버스, 선전 지하철 1호선, 광둥성 각지로 가는 셔틀버스를 이용하거나, 선전 역으로 이동하여 광저우-선전 시외 전동차(둥관, 광저우 방면)나 중국 전역으로 향하는 일반 열차를 탈 수 있다.

출국 경로 중 보행자 전용 다리 근처에는 면세점이 있어 담배주류와 같은 면세품을 구매할 수 있다.

3. 2. 2. 입국 절차

중국 본토에서 선전시의 뤄후 항구를 통해 홍콩으로 들어오는 승객은 뤄우 다리를 건너 로우역 L1층에 있는 착항 대합실(抵港大堂|디강다탕중국어)로 진입하게 된다.[5] 이곳에서 홍콩 출입국 관리국의 입국 심사와 세관 및 소비세청의 세관 검사를 받는다.[5]

입국 수속을 마치면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L2층의 매표 대합실(票務大堂|퍄오우다탕중국어)로 이동한다.[5] 옥토퍼스 카드가 없는 승객은 이곳에서 승차권을 구입한 후 개찰구를 통과한다. 개찰구를 지나 운임 구역으로 들어서면 전광판에서 열차 도착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5]

이후 아래층인 G층으로 내려가 측면 승강장인 1번 또는 4번 승강장에서 애드미럴티 방면 동철선 열차에 탑승한다.[5] 로우역은 스페인식 해법을 채택하고 있어, 하차 승객은 섬식 승강장(2, 3번)을 이용하고 승차 승객은 측면 승강장(1, 4번)을 이용하도록 동선이 분리되어 있다.[5]

3. 2. 3. 시설

스타벅스
군란병점
철도 면세점서비스 센터홍콩 관광 발전국 여객 자문 및 서비스 센터
고객 서비스 센터자동화 기기ATM
자동 판매기
자동 발권기 (알리페이, 위챗페이 지원)



3. 3. 층별 안내

wikitext

구역주요 시설 및 기능
L2착항 대합실 (홍콩 입경)홍콩 이민국 및 홍콩 세관 (입경 심사), 고객 서비스 센터, 역내 상점, 화장실, ATM, 회원 서비스 센터, 무료 Wi-Fi 핫스팟, 관광 정보 및 서비스 센터, MTR 관광
L1출항 대합실 (홍콩 출경)홍콩 이민국 및 홍콩 세관 (출경 심사), 로우 주민 통로, 고객 서비스 센터, 화장실, 역내 상점, 철도 면세점, ATM, 회원 서비스 센터
협층로우 역 보고센터
G인도교선전-로우 연검 빌딩 및 로우 역 연결 통로
중국 대륙 직통 열차 전용 선로 →
승강장P1 (상대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동철선 P1
동철선 애드미럴티/록마차우 방면 (승차 전용)[10](성서이)
P2 (섬식 승강장, 오른쪽 문 열림)
동철선 P2
동철선 하차 전용 승강장
P3 (섬식 승강장, 왼쪽 문 열림)
동철선 P3
동철선 하차 전용 승강장
P4 (상대식 승강장, 왼쪽 문 열림) 동철선 애드미럴티/록마차우 방면 (승차 전용)[10](성서이)



뤄후 역 2번 승강장 전경

4. 출구

로우역에는 크게 세 가지 종류의 출구가 있다.

로우역 출구 정보
출구목적지비고
A1닥윗라우(得月樓), 리우복 촌(料壆村)뤄우 지역으로 나가는 출구이다. 홍콩 경찰관이 통제하며, 이용하려면 뤄우 거주자 카드 또는 폐쇄 구역 허가증이 필요하다. 허가증은 펀링의 셩수이 경찰서에서 발급받을 수 있다.[6]
A2로우 촌(羅湖村), 사렝(沙嶺)
B
(출발/도착)
뤄후 출입국 관리소, 뤄후 항중국 본토로 들어가기 위한 국경 검문소로 연결된다. 유효한 여행 서류가 있어야 이용할 수 있다.[6] 선전 지하철 1호선 뤄후 역, 9호선 런민난 역 및 선전 기차역으로 연결된다.



5. 인접역

'''홍콩 MTR'''


:: 상수역 - '''로우역'''

'''중국철로'''
:: 선전 역 - '''로우역'''

'''선전 지하철'''
:: 뤄후역과 뤄후 통상구를 통해 연결된다.

6. 사건/사고

7. 기타

청명절과 중양절을 전후한 한 달 동안에는 홍콩 샌디 리지로 가는 묘지 참배객의 편의를 위해, 일부 동철선 열차가 매일 첫차부터 오후 7시까지 이 역에서 출발하거나 종착한다.

역 건물 밖은 홍콩 변경금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원칙적으로 외부 출입이 불가능하다. 출구에는 "주변 주민 외 출입 금지"라는 안내문이 있으며, 당국의 허가 없이 역 밖으로 나갈 경우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단, 뤄후 촌민은 예외이다.

참조

[1] 웹사이트 LCQ6 Annex II – Services of MTR East Rail Line and Ma On Shan Line and KMB in North District: Patronage and Train Loading of the MTR East Rail Line and Ma On Shan Line in the Past Five Years http://gia.info.gov.[...] HKSAR Government 2013-02-20
[2] Youtube KCR History before 1980 https://www.youtube.[...]
[3] 뉴스 When Guangzhou-Hong Kong through trains resumed service after a 30-year gap https://www.scmp.com[...] 2019-04-12
[4] 웹사이트 RE-OPENING OF LO WU STATION ON 6 FEBRUARY https://www.mtr.com.[...] 2023-02-04
[5] MTRsource 2014-11-14
[6] MTRsource 2014-11-14
[7] 웹사이트 Explosives found at train station on Hong Kong's border with mainland China https://www.scmp.com[...] 2020-02-02
[8] 웹사이트 【強制檢疫】條例訂明今年 5 月 7 日失效 https://www.thestand[...]
[9] 웹인용 羅湖站-邊境管制(鐵路)科 http://www.immd.gov.[...] 2017-02-26
[10] 문서 로우에서 오는 열차는 록마자우 역으로 가지 않으며, 성서이 역에서 환승해야 한다.
[11] 뉴스 九鐵羅湖站昨晨大停電 文匯報 1998-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