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즈 거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즈 거상》은 영국 만화가 에드워드 린리 삼본이 그린 풍자 만화로, 1892년 《펀치》 잡지에 처음 게재되었다. 이 만화는 세실 로즈가 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전신선을 연결하려는 계획을 묘사하며, 로즈를 고대 로도스의 거상에 비유하여 그의 야망과 제국주의를 비판적으로 풍자한다. 만화는 아프리카 분할과 신제국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패러디를 통해 재해석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2년 작품 - 충성의 맹세
    충성의 맹세는 미국의 애국심 고취를 위해 만들어진 문구로, 여러 번의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나, 맹세 강요 및 종교적 문구로 인한 논란도 존재한다.
  • 영국의 만화 - 저지 드레드
    1977년 영국 만화 잡지 《2000 AD》에서 처음 등장한 저지 드레드는 존 와그너와 카를로스 에스케라가 창조한 캐릭터로, 디스토피아적 미래 도시 메가시티 원에서 '스트리트 저지' 조셉 드레드가 억압적인 법을 집행하는 이야기를 그리며 다양한 매체로 확장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 영국의 만화 - 자살토끼
    《자살토끼》는 앤디 라일리가 그린 만화 시리즈로, 여러 토끼들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자살을 시도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후속작과 관련 상품도 출시되었다.
  •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화 - 제2차 보어 전쟁
    제2차 보어 전쟁(1899-1902)은 영국의 남아프리카 팽창주의와 보어 공화국의 독립 갈등으로 발발, 금광 발견과 외국인 거주민의 권리 요구가 격화시키고 제임슨 습격 사건이 직접적 계기가 되어, 영국이 승리했으나 초토화 작전과 강제 수용소 설립으로 논란을 낳았으며, 남아프리카 역사와 국제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아프리카 식민화 - 제1차 보어 전쟁
    1880년부터 1881년까지 영국과 트란스발 공화국의 보어인 사이에 벌어진 제1차 보어 전쟁은 영국의 남아프리카 확장 정책에 반발한 보어인들이 독립을 위해 봉기하여 시작되었으며, 보어군의 승리로 1881년 프레토리아 협정, 1884년 런던 조약으로 트란스발 공화국이 자치를 획득하고 완전한 독립을 얻었다.
로즈 거상
배경
세실 로즈가 카이로에서 케이프타운까지 걸어가는 모습
세실 로즈가 카이로에서 케이프타운까지 걸어가는 모습
정보
제목로즈 거상
원제The Rhodes Colossus
종류사설 만화
발표년도1892년
발표 매체펀치
작가에드워드 린리 삼보른
주제세실 로즈

2. 역사적 배경

《로즈 거상》은 영국의 만화가 에드워드 린리 삼본이 그린 만평으로, 1892년 영국의 풍자 잡지 펀치에 처음 실렸다.[2] 이 만평은 당시 영국의 제국주의자 세실 로즈가 아프리카 대륙을 남북으로 잇는 전기식 전신선 건설을 추진하던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로즈는 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전신선을 연결하려는 야심 찬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1892년 12월 10일자 《펀치》는 이 만평을 게재하며, 로즈의 계획을 상세히 보도한 《더 타임스》 기사 일부와 로즈의 성격 및 야망을 풍자하는 에드윈 제임스 밀리컨의 시를 함께 실었다.[3][4][5] 이러한 만평과 풍자시를 함께 싣는 구성은 당시 《펀치》 잡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었다.[5]

만평의 제목이기도 한 "거상(Colossus)으로서의 로즈"라는 표현은 당시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로즈를 지칭하던 일종의 유행어, 혹은 농담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이 그림은 발표 이후 널리 알려졌으며,[2] 후대 역사 교과서 등에도 자주 인용되는 등 제국주의 시대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 중 하나가 되었다.[3]

2. 1. 세실 로즈와 제국주의

이 만화는 1892년 12월 10일자 《펀치》에 실렸으며, 세실 로즈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전기식 전신선을 연장하려는 계획에 대한 로즈의 제국주의적 야망을 드러내는 《더 타임스》의 최근 발췌문과 함께 실렸다. 《더 타임스》의 발췌문은 다음과 같다.

: 로즈 씨는 자신의 친구들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전신선을 북쪽으로 잠베지강을 건너 니아살랜드를 지나 탕가니카호를 따라 우간다까지 연장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게 전부가 아니다... 이 거대한 '몬테 크리스토'는 수단을 가로질러... 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육상 전신선을 완성할 것이다. 즉, 잉글랜드에서 아프리카 내 그녀의 모든 소유물 또는 식민지, 또는 '영향력' 범위까지.[4]

이 만화와 발췌문 뒤에는 로즈의 성격과 야망에 대한 에드윈 제임스 밀리컨의 풍자시가 이어졌다.[3] 풍자시와 이야기는 《펀치》 잡지의 만화와 함께 실리는 경우가 많았다.[5] 시에서 로즈는 "하나의 기업가이자 정치가"이자 "일곱 리그 부츠를 신은 거상"으로 묘사되며, "어둠에서 어둠까지 아프리카를 가로질러 흑인 해방을 진전시키고" 있다고 묘사된다. 그는 또한 "수완 좋은 상인"이자 "신앙심 깊은 십자군의 손길이 닿은 예리한 책략을 가진 외교관"으로 묘사된다.[5]

작품에서 사용된 "거상으로서의 로즈"라는 표현은 남아프리카에서 유래된 잘 알려진 농담으로, 《펀치》는 이전에 다른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이 농담을 사용한 바 있다.[3]

2. 2. 《펀치》와 풍자 만화

《로즈 거상》은 영국의 만화가 에드워드 린리 삼본이 그린 작품으로, 1892년 잡지 펀치에 처음 등장했다. 이 그림은 널리 재인쇄되었으며,[2] 이후 역사 교과서에서 표준적인 삽화로 사용되고 있다.[3]

이 만화는 1892년 12월 10일자 《펀치》에 실렸으며, 당시 세실 로즈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전기식 전신선을 연장하려는 계획에 대한 《더 타임스》의 최근 기사 발췌문이 함께 실렸다. 《더 타임스》 발췌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로즈 씨는 자신의 친구들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전신선을 북쪽으로 잠베지강을 건너 니아살랜드를 지나 탕가니카호를 따라 우간다까지 연장할 의향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게 전부가 아니다... 이 거대한 '몬테 크리스토'는 수단을 가로질러... 케이프타운에서 카이로까지 육상 전신선을 완성할 것이다. 즉, 잉글랜드에서 아프리카 내 그녀의 모든 소유물 또는 식민지, 또는 '영향력' 범위까지.[4]

이 만화와 발췌문 뒤에는 로즈의 성격과 야망을 다룬 에드윈 제임스 밀리컨의 풍자시가 이어졌다.[3] 《펀치》 잡지에서는 만화와 함께 풍자시나 이야기를 싣는 경우가 많았다.[5] 시에서 로즈는 "하나의 기업가이자 정치가"이자 "일곱 리그 부츠를 신은 거상"으로 묘사되며, "어둠에서 어둠까지 아프리카를 가로질러 흑인 해방을 진전시키고" 있다고 표현되었다. 또한 그는 "수완 좋은 상인"이자 "신앙심 깊은 십자군의 손길이 닿은 예리한 책략을 가진 외교관"으로 그려졌다.[5]

작품에서 사용된 "거상으로서의 로즈"라는 표현은 남아프리카에서 유래한 잘 알려진 말장난으로, 《펀치》는 이전에도 다른 많은 인물들을 대상으로 이 표현을 사용한 바 있다.[3]

3. 만화의 구성 및 상징

만화 '로즈 거상'은 세실 로즈고대 그리스로도스의 거상에 빗대어 형상화한 작품이다.[1] 이는 로즈의 거대한 야망과 아프리카 식민지화에 대한 그의 제국주의적 구상, 특히 '케이프에서 카이로까지' 정책을 시각적으로 상징한다.[1][2] 만화 속 로즈의 거대한 형상과 자세, 소지품 등은 당시 그가 아프리카 대륙에서 행사했던 막대한 권력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요소로 해석된다.[3]

3. 1. 로도스의 거상

삼본은 시각적 말장난을 통해 세실 로즈고대 그리스로도스의 거상, 즉 고대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묘사했다. 이는 로도스 항구에 다리를 넓게 벌리고 서 있는 거상의 전통적인 (그리고 건축학적으로는 실현 가능성이 낮은) 묘사를 따른 것이다.

만화 속에서 로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타운(오른쪽 발)에서 이집트카이로(왼쪽 발)까지 아프리카 대륙에 걸쳐 서서, 손에 쥔 전신선으로 거리를 재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을 추가적으로 식민지화하려 했던 그의 광범위한 "케이프에서 카이로까지" 구상을 보여준다. 그의 오른손에는 피스 헬멧이 들려 있고, 오른쪽 어깨에는 소총이 걸쳐져 있다.

로즈가 강력하고 팔을 벌린 채 거대하게 묘사된 모습은 아프리카 식민지화 과정에서 그가 행사했던 막대한 권력과 영향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의 거대한 크기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 대한 그의 엄청난 야망과 더 큰 영향력을 확보하려는 열망을 나타낸다.

3. 2. 전신선, 피스 헬멧, 소총

삽화 속 세실 로즈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오른쪽 발)에서 이집트 카이로(왼쪽 발)까지 전신선을 이용해 거리를 재는 모습으로 그려졌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을 남북으로 연결하려 했던 그의 제국주의적 구상인 "케이프에서 카이로까지" 정책을 상징한다. 로즈는 오른손에 피스 헬멧을 들고 있으며, 오른쪽 어깨에는 소총을 메고 있다.

로즈는 강력하고 팔을 벌린 자세로 서 있는데, 학자들은 이를 유럽의 아프리카 식민지화 과정에서 로즈가 가졌던 강력한 영향력과 대륙 전체에 대한 그의 야심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의 거대한 크기는 그의 엄청난 야망과 아프리카 대륙에서 더 큰 영향력을 얻고자 하는 열망을 나타낸다.

4. 만화의 영향 및 유산

로즈 거상 만평은 아프리카 분할신제국주의 시대를 시각적으로 상징하는 대표적인 이미지로 역사 관련 저술에서 널리 인용되어 왔다. 특히 만평에 담긴 "케이프에서 카이로까지"라는 구호가 유명해지면서, 원래 로즈가 구상했던 케이프-카이로 전신선 건설이라는 구체적인 맥락은 점차 잊히게 되었다.[3]

이 이미지는 후대에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상황을 풍자하거나 비판하기 위한 모티브로 자주 활용되었으며, 여러 만평가들에 의해 패러디되었다. 또한 세실 로즈라는 인물 자체와 그의 제국주의적 행보에 대한 평가는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그의 유산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11][12]

4. 1. 신제국주의 비판

1898년 발행된 미국의 만평 '태평양의 거인'; 미국 제국주의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승리한 후 아시아에서 펼치는 모습을 묘사하며, 샌본의 만평을 의도적으로 언급


이 만평은 아프리카 분할신제국주의 시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역사 관련 텍스트에서 널리 인용되었다. "케이프에서 카이로까지"라는 개념이 널리 알려지면서, 만평에서 나타난 전신선 건설이라는 원래의 맥락은 잘 언급되지 않는다.[3]

애덤 호흐실드는 그의 저서 ''레오폴드 2세의 유령: 식민지 아프리카의 탐욕, 공포, 영웅담''에서 로즈를 "미래의 남아프리카 정치인이자 다이아몬드 재벌"로 소개하며, 그가 할 수만 있다면 "행성을 합병하겠다"고 말했다고 전한다.[6]

남아프리카의 만화가 조나단 샤피로는 2009년 작품에서 이 만평을 패러디했다. 로즈 대신 중국 총리 원자바오를 그려 넣고, 당시 남아공의 국제 관계 및 협력 장관이었던 은코사자나 들라미니-주마를 꼭두각시처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했다. 아시아에서는 14대 달라이 라마가 이 광경을 지켜보는 것으로 그려졌다.[7] 이 패러디는 중국-아프리카 관계, 특히 중국-남아프리카 관계를 풍자한 것이다. 당시 달라이 라마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국제 평화 회의 참석 비자를 거부당했는데, 이는 중국의 외교적 압력 때문이라는 인식이 있었다.[8][9]

2013년 2월 1일, 정치 만화가 마틴 로슨은 ''가디언''에 샌본의 만평을 인용한 풍자 그림을 게재했다. 이 그림은 당시 영국 총리였던 데이비드 캐머런알제리 관련 정책과 말리에 대한 프랑스의 군사 개입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0]

4. 2.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의 유산

로즈는 신제국주의 시대와 유럽의 아프리카 식민지화를 상징하는 인물로 자주 언급된다. 오늘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로즈의 유산은 학자 패트릭 본드에 의해 "세계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고 파괴적인 것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11] 이는 그가 다양한 아프리카 민족과 맺은 수많은 사기적이거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조약을 통해 그들의 영토 일부를 넘겨받았던 사실에 근거한다.[12]

4. 3. 현대적 패러디



원본 만평은 아프리카 분할과 신제국주의 시대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대표적인 이미지로, 역사 관련 저술에서 자주 인용된다. "케이프에서 카이로까지"라는 구호가 널리 알려지면서, 만평이 처음 제안했던 전신선 건설이라는 구체적인 맥락은 점차 희미해졌다.[3]

로즈 거상 이미지는 이후 다양한 상황에서 패러디되었다. 1898년 미국의 한 만평은 '태평양의 거인'이라는 제목으로, 미국-스페인 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확장하려는 미국 제국주의의 모습을 로즈 거상에 빗대어 표현했다.

애덤 호흐실드는 그의 저서 ''레오폴드 2세의 유령: 식민지 아프리카의 탐욕, 공포, 영웅담''에서 로즈를 "미래의 남아프리카 정치인이자 다이아몬드 재벌"로 소개하며, 그가 할 수만 있다면 "행성을 합병하겠다"고 말할 정도로 거대한 야망을 가졌다고 묘사했다.[6]

2009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만화가 조나단 샤피로는 로즈 거상을 현대적으로 패러디했다. 그는 로즈 대신 당시 중국 총리였던 원자바오를 그려 넣고, 원자바오가 남아공의 국제 관계 및 협력 장관 은코사자나 들라미니-주마를 꼭두각시처럼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했다. 아시아 쪽에서는 14대 달라이 라마가 이 광경을 지켜보고 있다.[7] 이 만평은 아프리카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확대, 즉 중국-아프리카 관계를 풍자한 것이다. 특히 당시 남아공 정부가 중국의 외교적 압력으로 추정되는 이유로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국제 평화 회의에 달라이 라마의 비자 발급을 거부한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8][9]

2013년 2월 1일, 영국의 정치 만화가 마틴 로슨은 ''가디언''지에 로즈 거상 만평을 인용한 풍자 삽화를 게재했다. 이 삽화는 당시 영국 총리였던 데이비드 캐머런알제리 관련 정책과 말리에 대한 프랑스의 군사 개입을 지지하는 입장을 비판적으로 묘사했다.[10]

참조

[1] 뉴스 AN AFRICAN JOURNEY, FROM THE CAPE TO CAIRO (Published 1983)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3-11-13
[2] 웹사이트 Empires, Exceptions, and Anglo-Saxons: Race and Rule between the British and United States Empires, 1880–1910 http://www.indiana.e[...]
[3] 간행물 Constructing the Colossus: the Origins of Linley Sambourne’s Greatest Punch Cartoon https://www.academia[...] 2012
[4] 뉴스 Mr. Rhodes and British South Africa https://www.thetimes[...] The Times 1892-11-30
[5] 서적 "Punch, Volume 103, 10 December 1892" https://www.gutenber[...]
[6] 서적 King Leopold's Ghost: A Story of Greed, Terror, and Heroism in Colonial Africa Houghton Mifflin Company
[7] 웹사이트 The Rhodes Colossus – 118 Years Later https://www.zapiro.c[...] 2009-04-05
[8] 뉴스 Dalai Lama denied visa for South Africa peace conference http://edition.cnn.c[...] CNN 2009-03-23
[9] 뉴스 Tibetans blame China for Dalai Lama visa denial http://mg.co.za/arti[...] Mail & Guardian 2009-03-23
[10] 뉴스 Cameron's African adventur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2-01
[11] 논문 In South Africa, "Rhodes Must Fall" (While Rhodes' Walls Rise) http://dx.doi.org.su[...] 2019
[12] 서적 Modern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 Global Perspective Pearson Education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