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너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너서는 고대 아일랜드의 축제로, 빛의 신 루와 '모임'을 뜻하는 단어의 조합에서 유래되었다. 현대 아일랜드어로는 8월을 의미하며, 스코틀랜드 게일어, 맨어, 웨일스어, 브르타뉴어 등 켈트어파 언어에서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아일랜드 신화에서는 루가 대지 여신 탈티우를 기리기 위해 창설한 축제로, 곡물을 지키는 신과 인류를 위해 곡물을 쟁취하려는 루 사이의 투쟁을 주제로 한다. 중세 시대에는 테일틴에서 스포츠 경기, 거래, 결혼 등이 이루어졌으며, 현대에는 퍽 페어와 같은 축제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 이교도들은 루나사를 켈트 문화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중요한 기념일로 여기며, 8월 1일 또는 그 주변 시기에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 라바다 - 쿠 훌린
쿠 훌린은 아일랜드 신화의 영웅이자 얼스터 전설의 중심인물로, 쿨란의 개를 죽인 후 "쿨란의 사냥개"라는 뜻의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초인적인 힘과 용맹함, 뛰어난 무예를 지닌 전사로서 쿠얼릉거의 소도둑 전투에서 활약한 이야기가 유명하고 아일랜드 민족주의와 얼스터 연합주의 모두에게 상징적인 존재이다.
루너서 | |
---|---|
개요 | |
이름 | 루나사 |
다른 이름 | 루나사 (현대 아일랜드어) 루나스탈 (스코틀랜드 게일어) 루아니스틴 (맨어) |
유형 | 문화, 이교 |
하위 유형 | 켈트 다신교 켈트 신이교주의 |
관련 | 칼란 아우스트/개더링 데이, 램마스 |
설명 | 수확 시즌의 시작 |
기원 | 역사적으로 게일족이 기념, 현재는 아일랜드인, 스코틀랜드인, 맨섬인, 켈트 신이교도, 위카인들이 기념 |
날짜 | 8월 1일 |
축하 행사 | 첫 열매 봉헌 잔치 핸드패스팅 장터 운동 경기 대회 |
![]() | |
언어별 명칭 | |
아일랜드어 | Lúnasa ga |
스코틀랜드 게일어 | Lùnastal gd |
맨어 | Luanistyn gv |
웨일스어 | Gŵyl Awst |
2. 명칭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이 이름은 Lugnasadsga였다. 이는 신 루( Lugsga)와 모임( násadsga)의 조합인데, 접미사로 사용될 때는 강세가 없다.[2] 또 다른 이론은 이 단어가 ''násad''가 아닌 ''nás''(죽음)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1] 이후의 철자 표기에는 Luᵹ̇nasaḋsga, Lughnasadhsga 및 Lughnasasga가 있다.
현대 아일랜드어에서는 철자가 Lúnasaga인데, 이는 8월의 이름이기도 하다. 소유격 또한 Lúnasaga로, Mí Lúnasaga (8월)와[2] Lá Lúnasaga(Lúnasa의 날)와 같다.[3][4] 스코틀랜드 게일어( Gàidhliggd)에서 축제와 달은 모두 Lùnastalgd이라고 불린다.[5] 맨어( Gaelggv)에서 축제와 달은 모두 Luanistyngv이라고 불린다. 그 날 자체는 Laa Luanistyngv 또는 Laa Luanysgv라고 불릴 수 있다.[6]
웨일스어( Cymraegcy)에서 그 날은 Calan Awstcy로 알려져 있는데, 원래는 라틴어 용어[7]로 ''8월의 칼렌다''를 의미한다.[2] 브르타뉴어( brezhonegbr)에서 그 날은 Gouel Eostbr[8], 즉 "8월의 축제"로 알려져 있었다.
3. 신화와 민속
아일랜드 신화에서 루나사는 신 루가 대지 여신의 죽음을 기리는 장례 경기로 처음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10] 루나사와 관련된 아일랜드 신화에는 여성이 납치되거나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붙잡혀 슬픔, 수치심, 탈진 또는 설명되지 않은 이유로 죽음을 맞이하는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10] 이는 그리스 신화의 페르세포네 이야기와 유사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10]
텔타운의 루나사 이야기는 루가 자신의 양어머니 타일티우를 기리기 위해 축제를 시작했다고 전한다.[11][12] (자세한 내용은 #탈티우의 희생 문단 참고)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나스의 집회 장소와 관련하여, 루가 자신의 두 아내인 자매 나스와 보이를 기리기 위해 축제를 만들었다고도 한다.[10][14][15] 한편, 루나사가 여름의 끝을 애도하는 행사였다는 이론도 존재한다.[16]
민속학자 메어 매크닐은 루나사의 후기 민속과 전통을 연구하여, 축제의 주요 주제가 루와 크롬 두브라는 두 신 사이의 수확을 위한 투쟁이라고 보았다.[17][18] (자세한 내용은 #루와 크롬 두브의 투쟁 문단 참고)
3. 1. 루와 크롬 두브의 투쟁
민속학자 메어 매크닐은 루나사 후기의 민속과 전통을 연구하며, 축제의 주요 주제가 두 신 사이의 수확을 위한 투쟁이라고 결론지었다. 한 신은 후대에 주로 크롬 두브라 불리며 곡식을 자신의 것으로 지키려 하고, 다른 신인 루는 인류를 위해 그 곡식을 빼앗으려 한다.[17][18] 이 투쟁은 때때로 곡물을 상징하는 여성 에이테네를 둘러싼 싸움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또한 루는 마름병을 상징하는 존재와 싸워 물리치는 모습으로도 나타난다.[17]
매크닐은 이러한 주제가 아일랜드 신화의 더 이른 시기, 특히 루가 발로르를 물리치는 이야기에서도 나타난다고 보았다.[17] 이 싸움은 마름병, 가뭄, 그리고 타는 듯한 여름 태양과 같은 자연의 위협을 극복하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9] 현존하는 민속에서는 루의 역할이 성 파트리치오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크롬 두브는 곡물 창고나 황소를 소유한 이교도 족장으로 등장하며, 성 파트리치오에게 저항하지만 결국 패배하고 기독교로 개종하게 된다. 크롬 두브는 크롬 크루아흐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으며, 다그다나 돈과 같은 신들과 유사한 특징을 공유한다.[17] 그는 곡물 여신 페르세포네를 납치하지만 수확 전에 그녀를 세상으로 돌려보내야 했던 하데스나 플루토와 같은 지하 세계 신화에 기반을 둔 인물일 수도 있다.[20]
3. 2. 탈티우의 희생
아일랜드 신화에 따르면, 루너서 축제는 신 루가 자신의 양어머니인 탈티우를 기리기 위해 시작한 장례 경기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11][12] 탈티우는 아일랜드의 드넓은 평원을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개간하는 힘든 일을 하다가 결국 탈진하여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11] 이러한 이야기는 탈티우가 인류에게 식량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대지 여신 또는 식물의 순환을 상징하는 존재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13] 그녀의 헌신적인 노력과 희생은 풍요로운 수확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역사적 관습
18세기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기록된 많은 루나사 관련 관습과 민속이 전해져 내려온다. 1962년에는 민속학자 마이르 맥네일이 루나사 축제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인 ''루나사의 축제''를 출판했다.[32] 맥네일은 현존하는 루나사 관습과 민속뿐만 아니라, 축제에 대한 초기 기록과 중세 문헌을 분석하여 8월 1일경에 열렸던 고대 축제의 여러 특징을 밝혀냈다. 그녀가 제시한 증거에 따르면 이 고대 축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포함했다.
> 곡물의 첫 수확물을 신성하게 거두어 높은 곳으로 가져가 묻는 제사; 모두가 참여하는 새로운 음식과 월귤(빌베리) 잔치; 신성한 황소 희생과 그 고기로 여는 잔치, 가죽과 관련된 의식, 그리고 어린 황소로 대체하는 의례; 여신을 위한 투쟁과 의례적 전투를 묘사하는 춤극; 언덕 꼭대기에 조각된 돌 머리를 설치하고 루를 흉내 내는 배우가 이를 제압하는 연극; 루가 괴물 재앙이나 기근을 물리치는 것을 상징하는 또 다른 연극; 빛나는 젊은 신 루 또는 그의 대리인이 주관하는 3일간의 축제. 마지막으로, 과도기가 끝나고 주신이 다시 제자리를 찾았음을 알리는 의식.[33]
중세 작가들이 묘사한 많은 관습들은 현대까지 이어졌으나, 기독교화되거나 이교적 종교색은 희미해졌다. 루나사는 옛 작물이 거의 소진되고 새 작물은 아직 익지 않은 시기였기에 농업 공동체에게는 어려운 때이기도 했다.[34]
아일랜드의 여러 주요 산과 언덕을 오르는 것은 루나사의 중요한 전통이었다. 일부 등반은 기독교 순례로 재해석되었으며, 대표적인 예가 7월 말 크로아흐 패트릭으로 향하는 리크 선데이 순례이다.[35] (#리크 선데이 순례 참조) 다른 언덕 정상 모임들은 세속적인 성격으로, 주로 젊은이들이 참여했다. 이베라 반도의 드룽 언덕(Drung Hill) 정상 순례는 1880년경 사라질 때까지 지역 루나사 축제의 일부였다.[36]
루나사 기간에는 월귤을 수확했으며,[37] 식사, 음주, 춤, 민속 음악, 게임, 중매 등이 이루어졌다. 또한 추 던지기, 헐링, 경마와 같은 운동 경기도 열렸다.[38] 일부 지역에서는 언덕을 오를 때 모두 꽃을 달고, 여름이 끝나감을 상징하며 정상에 꽃을 묻기도 했다.[39] 다른 곳에서는 수확한 첫 곡식 다발을 묻었다.[40]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막대기 싸움(faction fighting)을 벌이는 경우도 있었다.[41] 18세기 스코틀랜드 로디언 지방에서는 젊은 남성들이 경쟁적으로 깃발을 꽂은 토탄 탑을 쌓고, 며칠간 서로의 탑을 파괴하려 했으며 루나사 당일에는 '전투'를 벌였다.[42]
황소를 희생 제물로 바치는 풍습은 18세기 후반까지 아일랜드 가엘타흐트의 Cois Fharraigegle에서 크롬 두흐(Crom Dubhgle)에게, 그리고 스코틀랜드 로흐 메리(Loch Maree)에서는 성 마엘 루바(Máel Rubagle)에게 바쳐지는 것으로 기록되었다.[43] 수확한 첫 농작물로 특별한 식사를 만들었다.[44] 스코틀랜드 고원 지방에서는 Lunasduinn|루나스틴gla이라는 특별한 케이크를 만들었는데, 이는 신에게 바치던 제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45]
임볼크, 벨테인과 마찬가지로 루나사에도 성스러운 우물, 특히 클루티 우물(clootie well)을 방문하는 관습이 있었다. 방문객들은 우물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돌며 건강을 기원하고 동전이나 클루티(헝겊 조각)를 남겼다.[46] 아일랜드의 일부 야외 모임에서 봉화가 켜졌지만, 이는 드물고 축제에 부수적인 것이었다.[47]
전통적으로 루나사는 항상 8월의 첫날로 여겨졌다.[48] 그러나 근대에 들어 많은 모임과 축제가 가장 가까운 일요일, 즉 7월 마지막 일요일이나 8월 첫 번째 일요일로 옮겨졌다. 이는 수확기가 매우 바쁘고 날씨 예측이 어려워 평일에 일을 쉬기 어려웠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일요일은 어차피 쉬는 날이었으므로 축제를 열기에 적합했던 것이다. 그레고리력으로의 전환 역시 날짜 변경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48]
루나사 시기는 아일랜드에서 날씨가 예측 불가능한 때였다. "라마스 홍수(Lammas Floods)"로 알려진 폭우가 8월 초에 자주 발생하여 곡물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49] 루나사 기간의 불안정한 날씨와 이것이 수확에 미치는 중요성에 관한 많은 민속 속담이 전해진다.
심지어 시골 다리를 쓸어가기도 한다."[50]
"8월은 사람들에게 빵이 필요한 만큼 이슬이 필요하다.
라마스 이후 옥수수는 밤낮으로 익는다."[51]
4. 1. 테일틴 대회
중세 시대 아일랜드에서는 매년 루나사마다 오늘날 미스주에 위치한 테일틴에서 Óenach Tailten|ga 또는 Áenach Tailten|ga(현대 아일랜드어 철자: Aonach Tailteann|ga)이라 불리는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 중세 기록에 따르면, 여러 왕들이 이 행사에 참석했으며, 행사 기간 동안에는 휴전이 선포되었다고 한다.[11][21][22] 이는 고대 올림픽과 비견될 만한 행사로, 의례적인 육상 경기와 스포츠 시합, 경마, 음악 공연과 이야기 경연, 상품 거래, 법률 선포 및 법적 분쟁 해결, 계약 체결, 그리고 중매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다.[11][21][22]특히 테일틴 대회에서는 독특한 임시 결혼 풍습이 있었다. 젊은 남녀가 나무로 만든 문에 뚫린 구멍을 통해 서로 손을 맞잡는 방식으로 임시 혼인 관계를 맺었다.[23] 이 임시 결혼은 정확히 1년하고 하루 동안 지속되었으며, 기간이 만료되면 양측의 합의 하에 아무런 불이익 없이 관계를 끝내거나 정식 결혼으로 이어갈 수 있었다.[11][24][25][26][27][28]
9세기 이후 Óenach Tailten|ga는 점차 불규칙적으로 열리다가 결국 중단되었다.[29]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테일티언 게임이라는 이름으로 현대적인 스포츠 및 문화 행사로 부활하기도 했다.[24][30]
한편, 루나사 시기에는 Óenach Carmain|ga이라는 또 다른 유명한 집회도 열렸는데, 이는 현재의 킬데어주 지역에서 개최되었다. 카르만 역시 여신으로 여겨지며, 테일티우와 유사한 배경 설화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0] Óenach Carmain|ga에서는 주로 음식, 가축, 외국 상품 등을 거래하는 시장이 크게 열렸다.[21] 이러한 고대 축제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15세기 문헌인 아일랜드 전설 ''토크마르크 에미르''("에머의 구애")에서 찾아볼 수 있다.[31]
4. 2. 리크 선데이 순례
아일랜드의 많은 주요 산과 언덕은 루나사 축제 기간에 오르는 전통적인 장소였다.[35]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산행 중 일부는 기독교 순례의 형태로 이어졌는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바로 리크 선데이(Reek Sunday)이다.[35] 리크 선데이는 매년 7월 말 크로아흐 패트릭(Croagh Patrick) 산 정상으로 향하는 연례 순례 행사로, 고대의 루나사 등반 전통이 기독교적으로 재해석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35]
5. 현대의 루나사
오늘날 아일랜드에서는 고대의 루나사 전통을 잇는 다양한 행사와 축제가 열리고 있다. 전통적인 산악 순례 중 일부는 여전히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데, 특히 크로흐 패트릭에서 열리는 '릭 선데이(Reek Sunday)' 순례는 매년 수만 명의 순례자가 참여하는 가장 유명한 행사이다.
케리주 킬로글린에서 매년 8월 초에 열리는 퍽 페어는 루나사 축제의 대표적인 현대적 계승 사례이다.[11][52] 이 외에도 최근 몇 년간 아일랜드의 여러 마을에서 루나사 축제와 박람회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그위도어,[53] 슬라이고,[54] 브랜든,[55] 래싱겐[56] 등지에서 열리는 이 축제들은 전통 음악과 춤, 공예 워크숍, 전통 이야기 공연, 시장 등을 포함하며 지역 문화 행사로 자리 잡고 있다. 클레어주의 야외 박물관인 크래건아웬에서는 매년 루나사 축제를 열어 역사 재현 배우들이 고대 게일 아일랜드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관련 유물을 전시한다.[57] 앤트림주의 캐릭퍼거스 성에서도 유사한 행사가 매년 개최되었다.[58] 2011년에는 아일랜드의 공영 방송 RTÉ가 크래건아웬에서 ''루나사 라이브''라는 프로그램을 생방송하기도 했다.[59]
아일랜드 디아스포라에서도 루나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일부 가족들은 여전히 8월을 가족 모임과 파티를 위한 전통적인 시기로 여기며, 현대적인 생활 방식에 맞춰 미국의 7월 4일과 같은 인접한 공휴일에 행사를 열기도 한다.[24][25]
문화적으로는 1990년 브라이언 프리엘의 희곡 ''루나사에서 춤을''과 이를 원작으로 한 1998년 동명의 영화를 통해 루나사가 언급되기도 했다.[60]
또한, 일부 현대 이교도, 특히 켈트 신이교주의 신봉자들은 루나사 또는 이와 유사한 이름의 축제를 기념한다. 이들의 기념 방식은 다양하며, 역사적 축제를 재현하려는 시도부터 다른 전통과 융합된 형태까지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61][62][63]
5. 1. 퍽 페어

퍽 페어는 매년 8월 초 아일랜드 케리주의 킬로글린에서 열리는 축제이다. 이 축제는 최소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대 루나사 축제의 명맥을 잇는 것으로 여겨진다.[11]
축제의 가장 독특한 점은 3일간의 행사 시작 시점에 야생 염소 한 마리를 잡아 마을로 데려와 '왕'(King Puck)으로 즉위시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지역 소녀가 '여왕'으로 뽑힌다. 축제 기간 동안에는 전통 음악과 춤 공연, 퍼레이드, 공예 워크숍, 말과 가축 시장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퍽 페어는 매년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지역의 주요 행사이다.[52]
5. 2. 신이교주의와 루나사
루나사 또는 이와 유사한 축제는 일부 현대 이교도, 특히 켈트 신이교주의 신봉자들이 기념한다. 일반적인 이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루나사 축제는 그 내용이 크게 다를 수 있다. 일부는 가능한 한 역사적인 축제를 재현하려고 시도하는 반면,[61] 다른 이들(예: 위카 신자)은 다양한 축제를 기반으로 기념하며, 게일 축제는 그중 하나일 뿐이다.[62][63]신이교도들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월 1일에, 남반구에서는 2월 1일에 루나사를 기념하며, 종종 전날 저녁 해 질 녘부터 축제를 시작한다.[64][65][66][67][68] 일부 신이교도들은 하지와 추분 사이의 천문학적 중간 지점 또는 이 지점과 가장 가까운 보름달에 기념하기도 한다.[69] 2022년에는 이 천문학적 중간 지점이 8월 7일(북반구) 또는 2월 4일(남반구)에 해당했다.[70]
켈트 재건주의 이교도들은 다신교 재건주의의 일환으로 고대 켈트 종교를 재건하고자 노력한다. 이들의 관습은 연구와 역사적 기록에 바탕을 두지만,[61] 현대 생활에 맞게 일부 수정될 수 있다. 그들은 다른 문화의 전통을 혼합하는 혼합주의적이거나 절충주의적 접근 방식을 피한다.[71]
게일 전통을 따르는 켈트 재건주의자들은 "첫 열매" 시기 또는 이 시기에 가장 가까운 보름달에 Lughnasadhgle를 기념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북동부에서는 흔히 블루베리 수확철이며, 태평양 북서부에서는 블랙베리가 축제의 주요 과일이 되는 경우가 많다.[25][71] 켈트 재건주의에서 Lughnasadhgle는 수확철의 시작에 대해 정령과 신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아직 익어가는 작물을 해치지 않도록 제물과 기도를 통해 그들을 달래는 시기로 여겨진다. 신 Lughgle는 이 시기에 많은 이들에게 존경받으며, 축제 당일 내리는 부드러운 비는 그의 현존과 축복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많은 켈트 재건주의자들은 또한 Lughnasadhgle에 여신 Tailtiugle를 기리며, Cailleachgle가 작물에 해를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 Lughgle에게 호소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력할 수 있다.[25][71][72][73]
위카 신봉자들은 가을 수확 축제 중 첫 번째 축제를 "루나사드(Lughnasadh)" 또는 "라머스(Lammas)"라고 부른다. 이 축제는 그들의 일 년의 수레바퀴에서 여덟 개의 연례 "사바트(Sabbat)" 중 하나로, 하지 다음이자 마본(Mabon)에 앞선다. 이 축제는 핸드파스팅을 하기에 가장 좋은 두 시기 중 하나로 여겨지며, 다른 하나는 벨테인이다.[74] 일부 위카 신봉자들은 빵으로 "곡물의 신" 형상을 만들어 굽고, 이를 상징적으로 희생하여 먹는 방식으로 이 휴일을 기념한다.[64]
참조
[1]
서적
Ireland's Immortals: A History of the Gods of Irish Myth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12-04
[2]
서적
Foclóir Gaeďilge agus Béarla an Irish–English Dictionary
The Educational Company of Ireland, Ltd
[3]
서적
The Oxford pocket Irish dictionary: Béarla–Gaeilge, Gaeilge–Béarla / English–Irish, Irish–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Focloir Poca English – Irish / Irish – English Dictionary – Gaeilge / Bearla
French European Publications
[5]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Scottish-Gaelic
Hippocrene Books
[6]
웹사이트
English/Manx Dictionary
http://www.gaelg.iof[...]
mannin.info
2012-04-03
[7]
서적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8]
서적
Annales de Bretagne
[9]
문서
Kelly, Eamonn. "The Iron Age". In Ó Floinn, Raghnal; Wallace, Patrick (eds). Treasures of the National Museum of Ireland: Irish Antiquities. National Museum of Ireland, 2002. p. 142.
[10]
간행물
Festivals, Deaths, and the Sacred Landscape of Ancient Ireland
2003-09
[11]
문서
Monaghan, pp.297–299
[12]
뉴스
The story of La Lughnasa, first day of Ireland's ancient harvest festival
https://www.irishtim[...]
2023-07-10
[13]
문서
Monaghan, pp.436–437
[14]
서적
New Grange (Brugh Na Boinne) and Other Incised Tumuli in Ireland: The Influence of Crete and the Ægean in the Extreme West of Europe in Early Times
https://books.google[...]
Hodges, Figgis, & Company, Limited
1912
[15]
서적
The Geomantic Year: A Calendar of Earth-Focused Festivals That Align the Planet with the Galaxy
https://books.google[...]
iUniverse
2006-11-16
[16]
서적
Lammas: Celebrating Fruits of the First Harvest
https://books.google[...]
Llewellyn Worldwide
2001
[17]
문서
MacNeill, Máire. The Festival of Lughnasa. p.416
[18]
문서
"Landmarks of the people: Meath and Cavan places prominent in Lughnasa mythology and folklore". Ríocht na Midhe, 11. Meath Archaeological & Historical Society, 2000. pp.236–237
http://eprints.mayno[...]
[19]
문서
Fionn Mac Cumhaill: Images of the Gaelic Hero
Gill & MacMillan
[20]
문서
Lammas: Celebrating Fruits of the First Harvest
Llewellyn Worldwide
[21]
문서
Early Irish Farming
Dublin Institute for Advanced Studies
[22]
문서
Cattle-lords and Clansmen: The Social Structure of Early Ireland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23]
문서
Monaghan, p.444
[24]
서적
The Silver Bough
William MacLellan
[25]
서적
The Year in Ireland: Irish Calendar Customs
https://archive.org/[...]
Mercier
[26]
서적
The Celts
Penguin
[27]
서적
Ancient laws of Ireland, published under direction of the Commissioners for Publishing the Ancient Laws and Institutes of Ireland
W.S. Hein
[28]
웹사이트
Llewellyn Worldwide – Articles: Traditional Lughnasadh with a Modern Twist
http://www.llewellyn[...]
2015-06-22
[29]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30]
서적
A Dictionary of Celtic My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1]
뉴스
8 Facts To Know About Lughnasadh, Pagan Harvest Festival
http://www.huffingto[...]
2016-07-29
[32]
웹사이트
'Four Courts Press : The Festival of Lughnasa'
http://www.fourcourt[...]
2017-08-01
[33]
문서
'MacNeill, Máire. The Festival of Lughnasa: A Study of the Survival of the Celtic Festival of the Beginning of Harvest'
Oxford University Press
[34]
웹사이트
'Gráinseach Ailt an Chaistín (St. Johnston) : The Schools'' Collection'
https://www.duchas.i[...]
2022-02-13
[35]
문서
Monaghan, p.104
[36]
서적
The Iveragh Peninsula: A Cultural Atlas of the Ring of Kerry
https://www.academia[...]
Cork University Press
2009
[3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eltic Mythology and Folklore
Infobase Publishing
[38]
서적
The Festival of Lughnasa
[39]
서적
The Festival of Lughnasa
[40]
서적
The Festival of Lughnasa
[41]
서적
The Festival of Lughnasa
[42]
서적
The Festival of Lughnasa
[43]
서적
The Festival of Lughnasa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Stations of the Sun: A History of the Ritual Year in Britain
Oxford University Press
[48]
서적
The Year in Ireland: Irish Calendar Customs
https://archive.org/[...]
Mercier
[49]
웹사이트
Certain Days
https://www.duchas.i[...]
2022-02-13
[50]
웹사이트
Glassalts {{!}} The Schools' Collection
https://www.duchas.i[...]
2022-02-13
[51]
웹사이트
Sayings of the Seasons
https://www.duchas.i[...]
2022-02-13
[52]
뉴스
Puck Fair festival asked to leave goat out of it
https://www.bbc.co.u[...]
BBC News
2015-08-04
[53]
웹사이트
Loinneog Lúnasa
http://loinneoglunas[...]
2013-08-01
[54]
웹사이트
Sligo Lúnasa Festival
http://www.sligotour[...]
Sligo Tourism
2013-08-01
[55]
웹사이트
Festival of Lughnasa – Cloghane & Brandon
http://www.irelandvi[...]
2013-08-01
[56]
웹사이트
Rathangan Lughnasa Festival
http://kildare.tv/ra[...]
Kildare.tv
2013-08-01
[57]
웹사이트
Lughnasa Festival at Craggaunowen
http://www.shannonhe[...]
Shannon Heritage
2013-08-01
[58]
웹사이트
Lughnasa Fair returns to Carrickfergus Castle
http://www.carrickad[...]
2013-08-01
[59]
웹사이트
Lughnasa Live
http://www.rte.ie/tv[...]
Raidió Teilifís Éireann
2013-08-01
[60]
서적
Brian Friel's (Post) Colonial Drama: Language, Illusion, and Politics
Syracuse University Press
[61]
서적
Introduction to new and alternative religions in America
Greenwood Press
[62]
서적
Drawing Down the Moon: Witches, Druids, Goddess-Worshippers, and Other Pagans in America Today
Beacon Press
[63]
서적
Complete Idiot's Guide to Celtic Wisdom
Alpha Press
[64]
서적
The Spiral Dance: A Rebirth of the Ancient Religion of the Great Goddess
https://archive.org/[...]
Harper and Row
[65]
서적
Handbook of Contemporary Paganism
Brill Publishers
[66]
서적
Witchcraft and Paganism in Australia
Melbourne University Press
[67]
서적
Dancing Under an African Moon: Paganism and Wicca in South Africa
Zebra Press
[68]
서적
Sunwyse: Celebrating the Sacred Wheel of the Year in Australia
Hihorse Publishing
[69]
웹사이트
Equinoxes, Solstice, Cross Quarters shown as seasonal cusps, worshipped by pagans and later religious holidays
http://www.archaeoas[...]
Archaeoastronomy.com
2013-03-05
[70]
웹사이트
2022 Equinox, Solstice & Cross-Quarter Moments
https://www.archaeoa[...]
archaeoastronomy
2022-07-08
[71]
서적
McColman (2003)
[72]
서적
Bonewits's Essential Guide to Druidism
Kensington Publishing Group
[73]
서적
The Silver Bough
William MacLellan
[74]
서적
Eight Sabbats for Witches
Phoenix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