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ext
블루베리는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관목 열매로,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20세기 품종 개량을 통해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었으며, 하이부시, 래빗아이, 로우부시 등으로 분류된다. 블루베리는 역사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의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생과, 가공식품, 요리 재료 등으로 널리 활용된다. 블루베리는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여 시력 개선, 혈압 감소, 근육 회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앵도나무속 - 넌출월귤
넌출월귤은 덩굴성 관목으로, 7월에 연분홍색 꽃을 피우고 9-10월에 붉은색 장과 열매를 맺으며, 온대 북반구의 서늘한 기후에서 자라는 크랜베리 식용 식물이다. - 산앵도나무속 - 월귤
월귤은 링곤베리 또는 카우베리로도 불리는 상록 활엽성의 작은 관목으로,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북방림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식용 열매와 잎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블루베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계 | 스노키속 시아노코커스절 |
학명 | Vaccinium sect. Cyanococcus |
명명자 | Rydb. |
특징 | |
크기 | 에서 |
종 및 품종 |
2. 역사
블루베리의 조상 식물은 남아메리카에 자생했으며, 카리브해 제도를 거쳐 북아메리카로 건너가 현재의 블루베리로 진화하였다.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오래전부터 야생 블루베리를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해 왔다.
전 세계적으로 수백 종의 블루베리가 존재한다. 다음은 그 목록의 일부이다.
19세기 말부터 북아메리카에서 야생종을 중심으로 품종 개량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하이부시, 래빗아이, 로우부시 등 다양한 계통의 품종이 개발되었다.
한국에는 1951년 하이부시 블루베리가 처음 도입되었고, 1962년에는 래빗아이 블루베리가 도입되었다.[76] 1968년 서울특별시 고다이라시에서 래빗아이 계통 품종의 상업 재배가 시작되었으며,[77] 이후 전국 각지로 재배가 확산되었다.
1971년 나가노현에 하이부시 계통 품종이 도입된 후, 군마현, 니가타현, 야마나시현, 미야기현 등 고랭지를 중심으로 재배가 확대되었다. 도호쿠 지방에서는 이와테현 이와테 대학의 공개 강좌를 통해 경제 재배가 확산되었다.[78]
1990년대 이후 빵 문화의 확산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는 블루베리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간토 지역에서는 관광 농원과 산지가 급증하였다. 2015년 이후 서울특별시가 생산량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77] 경기도, 충청북도, 전라북도 등에서도 재배가 활발하다. 도쿄도를 포함한 간토지역에서 블루베리 재배가 증가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간토 로무층으로 대표되는 화산재 토양이 널리 분포하여 배수가 용이하다는 점이다.[77]
3. 종
북아메리카에는 다양한 종류의 블루베리가 야생으로 자생하며, 그중에는 숲 바닥이나 늪 근처에서 자라는 ''V. myrtilloides'', ''V. angustifolium'', ''V. corymbosum'' 등이 있다.[2] 야생 블루베리는 교차 수분을 통해 번식하며, 각 씨앗은 서로 다른 유전적 구성을 가진 식물을 생성한다.[2] 어미 식물은 줄기줄기를 발달시켜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큰 덩어리(클론)를 형성한다.[2]
로우부시, 하이부시, 래빗아이 품종은 각각 ''V. angustifolium'', ''V. boreale'', ''V. mytilloides'', ''V. pallidum'', ''V. angustifolium'' × ''V. corymbosum'', 그리고 ''V. darrowii''와 ''V. corymbosum'', ''V. ashei''/''V. virgatum'' 등 다양한 종에서 유래한다.[6]
블루베리는 재배하거나 반야생 또는 야생 덤불에서 채취할 수 있다. 북미에서 가장 흔한 재배 종은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V. corymbosum'')이며, 20세기 초 뉴저지에서 처음 재배되었다.[8][6] "야생"(로우부시) 블루베리는 대서양 연안 주에서 서쪽으로 퀘벡까지, 남쪽으로 미시간과 웨스트 버지니아까지 분포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자연적인 "블루베리 황무지"를 형성한다.[5][6]
''Cyanococcus'' 블루베리는 절반으로 잘랐을 때 과육이 연한 녹색인 반면, 빌베리, 월귤, 허클베리는 전체적으로 붉거나 보라색이다.
주로 빌베리 등을 개량한 것으로, 미국 원산의 로우부시 블루베리와 하이부시 블루베리가 있다. 수백 종에 달하는 블루베리 품종 중 상당수는 미국에서 만들어졌지만,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에서 만들어진 품종도 있다.
3. 1. 하이부시 블루베리
하이부시 블루베리는 키가 큰(highbush) 블루베리 품종을 의미한다. 북미에서 가장 흔하게 재배되는 종은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V. corymbosum'')이다. 20세기 초 뉴저지에서 처음 재배가 시작되었다.[8][6]
미국 농무부 농업연구청(USDA-ARS)은 메릴랜드 벨츠빌 및 뉴저지 챗츠워스에서 블루베리 육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프레데릭 버논 코빌과 엘리자베스 콜먼 화이트의 협력으로 시작되었으며,[12] 코빌은 블루베리 연구를 통해 토양 산도의 중요성, 자가 수분 불가능성, 추위의 영향 등을 발견했다.[14]
다른 ''Vaccinium'' 종과의 교잡을 통해 미국 남부 기후에 적응한 품종을 만들었는데, 이를 통칭하여 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라고 한다.[10] 하이부시 품종은 노던 하이부시 계열, 서던 하이부시 계열, 하프 하이부시 계열의 3그룹으로 나뉜다.
1960년 미국 농무부(USDA)는 7가지 주요 품종을 선정했으나, 이들이 일본 기후에 모두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있었다. 일본에서는 미국산 품종 외에도 일본에서 개발된 품종도 재배되고 있다.
3. 1. 1.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
Vaccinium corymbosumla}}종을 개량한 품종군이다.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듀크', '블루크롭', '스파르탄' 등이 있다.3. 1. 2. 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
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는 북부 하이부시 블루베리를 개량하여 따뜻한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도록 만든 품종군이다.[10] 20세기 초, 뉴저지에서 처음 재배가 시작되었다.[8][6]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샤프블루'와 '오닐' 등이 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플로리다 대학교, 코네티컷 대학교, 뉴햄프셔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메인 주 등에서 개발된 남부 하이부시 품종을 도입하여 생산하고 있다.[20]
다음은 남부 하이부시 블루베리의 주요 품종 및 학명이다.
품종 | 학명 |
---|---|
엘리엇 블루베리 | Vaccinium elliottii|엘리오티la |
서던 블루베리 | Vaccinium formosum|포르모숨la |
블랙 하이부시 블루베리 | Vaccinium fuscatum|푸스카툼la (syn.|동의어영어 V. atrococcum|아트로코쿰la) |
헤어리 플루티드 블루베리 | Vaccinium hirsutum|히르수툼la |
업랜드 하이부시 블루베리 | Vaccinium simulatum|시물라툼la |
서던 블루베리 | Vaccinium tenellum|테넬룸la |
기타 | Vaccinium darrowii|다로우아이la |
3. 2. 래빗아이 블루베리
Vaccinium virgatum영어 (래빗아이 블루베리, syn. ''V. ashei'')는 하이부시 및 로우부시와는 다른 종으로 여겨진다.[5]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티프블루', '홈벨', '브라이트웰' 등이 있다.3. 3. 로우부시 블루베리

''Vaccinium angustifolium''(로우부시 블루베리)는 산성 황무지, 늪지 및 개간지에서 자라며, 캐나다 매니토바에서 래브라도, 남쪽으로는 노바스코샤까지 분포한다. 미국에서는 메인에서 서쪽으로 아이오와, 남쪽으로는 버지니아까지 분포한다.[5][6] 로우부시 품종에는 ''V. angustifolium'', ''V. boreale'', ''V. mytilloides'', ''V. pallidum'', 그리고 ''V. angustifolium'' × ''V. corymbosum'' 등이 있으며, 콜럼버스 이전의 반야생 재배와 유사한 방식으로 재배된다.[6]
2015년 캐나다의 야생 및 재배 블루베리 생산량은 166,000톤으로 2.62억달러의 가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국에서 생산된 가장 큰 과일 작물로 전체 과일 가치의 29%를 차지한다.[29]
캐나다 대서양 연안은 북미 전체 야생/로우부시 연간 생산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며, 뉴브런즈윅 주가 2015년에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했고, 2016년에는 그 양이 더 증가했다.[31] 노바스코샤 주,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 주, 퀘벡 주 또한 주요 생산 지역이다.[32] 노바스코샤 주는 야생 블루베리를 공식 주 과일로 지정했으며,[33] 노바스코샤 주 옥스퍼드는 캐나다 야생 블루베리 수도로 알려져 있다.[34]
퀘벡 주는 야생 블루베리의 주요 생산지이며, 특히 사그네-생장 호와 코트노르드 지역에서 생산량이 많다. 이 두 지역은 퀘벡 주 전체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 퀘벡 주의 야생 블루베리 산업은 재배, 가공, 냉동 보관, 마케팅 및 운송의 수직적 통합을 통해 이익을 얻고 있다.[35] 평균적으로 퀘벡 주 야생 블루베리의 약 80%는 농장에서 수확되고(약 21,000톤), 나머지 20%는 공공 산림에서 수확된다(약 5,000톤).[35] 퀘벡 주 야생 블루베리 작물의 약 95%는 주 밖으로 수출하기 위해 냉동 보관된다.[35]
4. 형태
블루베리 성목의 높이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m에서 3m 사이이다. 줄기는 단생하거나 포기 형태로 자란다. 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줄이 있고, 시간이 지나면 갈라져 벗겨진다. 어린 가지는 옅은 회갈색이며 털이 있다.
잎은 난형에서 피침형이며, 길이가 1cm에서 8cm, 너비가 0.5cm에서 3.5cm이다. 가을에는 잎에 포함된 안토시아닌이라는 물질로 인해 붉은색으로 단풍이 든다. 겨울눈은 난형으로 홍자색이며, 6~10장의 아린(芽鱗, 싹을 싸는 비늘 모양의 잎)에 싸여 있고, 아린의 가장자리는 갈색이다.
꽃은 종 모양이며, 흰색, 옅은 분홍색 또는 빨간색이며, 때로는 녹색을 띤다. 개화 시기는 일본의 경우 4~5월이다.
열매는 지름이 5mm에서 16mm인 장과로 끝부분에 나팔 모양의 왕관이 있다. 처음에는 옅은 녹색이었다가 붉은색을 거쳐 익으면 균일하게 파란색을 띤다.[3] 분말 형태의 표피 왁스로 보호 코팅이 되어 있으며, 이를 "블룸"이라고 한다.[2]
5. 재배
블루베리는 산성 토양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잘 되는 곳을 선호한다. 농약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재배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와 과습에 모두 약하므로 배토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래빗아이 계통 품종은 자체 수분이 잘 되지 않아 한 그루만 심으면 열매가 잘 열리지 않으므로, 같은 계통의 다른 품종을 함께 심어야 한다. 하이부시 계통은 한 그루만으로도 열매가 열리는 품종도 있지만, 같은 계통의 다른 품종을 함께 심으면 열매가 더 잘 열리고, 더 큰 과실을 얻을 수 있다.
블루베리는 꺾꽂이로 번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새 순을 사용하는 '녹지 꺾꽂이'와 휴면기의 가지를 사용하는 '휴면지 꺾꽂이'가 있다. 재배 적지는 하이부시 계통이 한랭지에, 래빗아이 계통이 난지에 적합하며, 서던 하이부시 계통이 개발되어 난지에서도 맛있는 하이부시 계통 재배가 가능해졌다.
1951년 농림수산성홋카이도 농업시험장이 미국에서 하이부시 블루베리를 도입하면서 일본에 블루베리가 처음 소개되었다. 온난 지역에 대응하는 라비트아이 블루베리는 1962년에 농림수산성에 의해 도입되었으며,[76] 같은 해 미국 조지아주에서 도입되어 1968년부터 도쿄도고다이라시에서 상업 재배가 시작되었다.[77] 1971년에는 나가노현에 하이부시 계통 품종이 도입되어 군마현, 니가타현, 야마나시현, 미야기현 등 각 현에서 생산하게 되었다. 도호쿠 지방에서는 이와테현 이와테 대학에서 열린 공개 강좌를 통해 경제 재배가 널리 퍼졌다. 1990년 이후, 빵 문화의 침투와 건강 붐 등으로 간토 근교에 수확 체험을 위한 관광 농원과 산지가 급증했으며, 2015년 이후에는 도쿄도가 생산량 1위를 차지하고 있다.[77]
한국의 주요 재배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주요 재배 품종 | 특징 |
---|---|---|
홋카이도 | 요이치정, 니키정 | |
아오모리현 | 나카도마리정(구 나카사토정) | |
이와테현 | 이와테정, 오슈시(구 이사와정), 이치노세키시 | 국내 5-8위. 1976년 냉해 대책 작물로 도입.[79] |
미야기현 | 구리하라시(구 와카야기정), 오사키시](구 나루코정), 자오정 || | |
야마가타현 | 쓰루오카시, 사이가와시 | |
후쿠시마현 | 미하루마치, 타나쿠라마치 | |
이바라키현 | 쓰쿠바시, 가스미가우라시(구 지요다정), 오미타마시](구 미노리정) || 국내 2-4위. 쓰쿠바시는 "블루베리 시티" 선언. | |
도치기현 | 사노시, 오타와라시, 닛코시 | |
군마현 | 가와바촌, 누마타시, 마에바시시 | 국내 2-4위. 뽕밭에서 전작으로 재배 확대. |
사이타마현 | 미사토정, 구마가야시(구 고난정) | 국내 5-8위. 황폐한 뽕밭 이용. |
지바현 | 기사라즈시, 후쓰시, 무쓰자와마치, 지바시 | 국내 5-8위. 기사라즈시 중심. |
도쿄도 | 다마 지역(하치오지시, 히노시, 고다이라시, 고쿠분지시, 다치카와시, 네리마구 등) | 국내 1-4위. 고다이라시는 국내 재배 발상지.[77] |
가나가와현 | 오다와라시, 사가미하라시 | |
니가타현 | 니가타시 미나미구(구 시라네시), 시바타시 등 | |
나가노현 | 시나노정, 오마치시, 나가노시 | 국내 1-3위. 하이부시종 주산지. |
야마나시현 | 호쿠토시(구 아케노촌) | |
시가현 | 다카시마시(구 마키노정), 마이바라시](구 마이바라정) || | |
효고현 | 단바시](구 고리정, 구 이치지마정) || | |
에히메현 | 마쓰야마시, 도베정, 우치코정, 사이조시 | 국내 6-8위. |
구마모토현 | 야마토정](구 소요정) || | |
가고시마현 | 기리시마시 외 |
5. 1. 병충해 관리
''V. corymbosum''영어은 루마니아에서 해충과 질병 피해가 비교적 적은 편이지만, 계피 곰팡이, 모닐리아, 보트리오스파에리아, 고드로니아, 포몹시스, 잿빛곰팡이병, 나오히데마이세스 바키니, 털이슬버섯 등의 질병과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등의 해충에 주의해야 한다.[37]5. 1. 1. 질병
''V. corymbosum''영어은 루마니아에서 해충과 질병 피해가 비교적 적은 편이며, 가장 흔한 질병은 계피 곰팡이(Phytophthora cinnamomi), 모닐리아(Monilinia vaccinii-corymbosi), 보트리오스파에리아(Botryosphaeria corticis), 고드로니아(Godronia cassandrae), 포몹시스(Phomopsis sp.),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나오히데마이세스 바키니(Naohidemyces vaccinii), 털이슬버섯(Microsphaera penicillata var. vaccinii) 및 다양한 바이러스이다.[37]5. 1. 2. 해충
블루베리 재배 시 주의해야 할 해충으로는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등이 있다.[11] 이러한 해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천적을 이용하거나 유기농 살충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6. 효능 및 영양 성분
블루베리는 안토시아닌이라는 항산화 물질이 풍부하여 노화 방지, 시력 보호, 혈관 건강 개선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83] 특히, 블루베리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포도보다 30배 이상 많다.[83] 또한 프테로스틸벤 성분은 대장 염증 및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아연은 면역력 강화와 대장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블루베리는 비타민 C, 비타민 K, 망간, 식이섬유 등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100g당 의 비교적 낮은 열량을 가지며, 혈당 부하는 6이다.
블루베리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지만, 몇몇 소규모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는 더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야 한다.[71]
블루베리는 생으로 먹거나 잼, 과실주, 주스, 과자 재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6. 1. 항산화제
항산화제는 세포에 해를 입히고 노화와 암과 같은 질병에 기여할 수 있는 자유 라디칼과 불안정한 분자로부터 신체를 보호한다.[84][85] 블루베리는 알려진 모든 과일 및 채소 중 항산화 활성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86][87][88][89] 블루베리는 항산화제가 풍부하고 폴리페놀 항산화제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플라바노이드는 항산화 수치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밝혀진 블루베리에 존재하는 항산화제의 한 종류다.[90][91]블루베리에는 안토시아닌, 기타 폴리페놀 및 잠재적인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예비 연구가 진행 중인 다양한 식물화학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대부분의 폴리페놀 연구는 블루베리의 하이부시 품종 (''V. corymbosu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지만, 로우부시 (야생) 블루베리 (''V. angustifolium'')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하이부시 품종에서 발견되는 값보다 높다.
6. 2. 노화와 암 예방
블루베리는 항산화제 함량이 높아 DNA에 해를 끼치는 자유 라디칼을 중화하는 능력이 있다. DNA 손상은 노화의 원인 중 하나이며, 암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2] 한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4주 동안 매일 1L의 블루베리와 사과 혼합 주스를 마셨다. 그 결과, 자유 라디칼로 인한 산화 DNA 손상이 20% 감소했다.[93]6. 3. 혈압
블루베리는 심장 질환의 주요 위험 요소인 고혈압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8주 동안 진행된 한 연구에 따르면, 심장 질환 위험이 높은 과체중인 사람들이 매일 약 56.70g (50g)의 블루베리를 섭취한 결과 혈압이 4~6% 감소했다.[94]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95][96]6. 4. 근육
블루베리 보충제는 분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손상을 줄임으로써 근육통을 예방하고 근육 기능 감소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97] 격렬한 다리 운동 후 10명의 여성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한 소규모 연구에서 블루베리가 근육 회복을 개선했다.[97]7. 요리
블루베리는 생과로 먹거나, 잼, 주스, 젤리, 파이, 머핀, 스무디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블루베리 잼은 블루베리, 설탕, 물, 과일 펙틴으로 만든다. 블루베리 소스는 블루베리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준비한 달콤한 소스이다. 블루베리 와인은 발효 및 숙성 과정을 거치는 베리의 과육과 껍질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로우부시 품종이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블루베리 떡과 같이 전통 음식과 결합한 퓨전 요리도 개발되고 있다.
블루베리를 활용한 요리는 다음과 같다.
- 블루베리 아침 파르페
- 블루베리 떡
- 블루베리 스파클러
- 스무디
- 과일샐러드
8. 기타
세계 2차대전 중 영국의 전투기 조종사들은 블루베리를 섭취한 후 출격하면 야간 비행 시 공격 목표가 명확하고 선명하게 보인다고 하였다.[99]
미국자리공은 북미 원산으로, 일본에서는 귀화 식물로서 잡초화된 식물이다. 자리공과 비슷한 뿌리뿐만 아니라 블루베리처럼 보이는 열매에도 독이 들어 있어 잘못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발견하는 즉시 뽑아내는 것이 좋다.[81][82] 미국자리공은 다년생 초본이며, 블루베리와 같은 목본 식물은 아니지만, 키가 2000mm 정도까지 자라기 때문에 블루베리와 비슷한 외관을 보일 수 있다. 다만, 한 곳에 여러 개의 청자색 열매가 열리는 블루베리와는 달리, 하나의 과축에 많은 흑자색 열매가 열리는 점, 줄기가 붉은색을 띠어 블루베리와 같은 줄기가 아니라는 점에서 구별하기 쉽다.
2021년, 블루베리(로우부시와 하이부시 결합)의 전 세계 생산량은 110만 톤으로, 미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렸고, 그 뒤를 페루가 20%, 캐나다가 13%로 이었다.
참조
[1]
서적
''Vaccinium'' spp. (8.1: Blueberry). In: Biotechnology of Fruit and Nut Crops: Volume 29 of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Series
https://books.google[...]
CABI
2020-09-21
[2]
웹사이트
Wild Blueberry Fact Sheet A.2.0.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Wild Blueberry
https://www2.gnb.ca/[...]
Agriculture, Aquaculture and Fisheries, Province of New Brunswick, Canada
2020-02-05
[3]
웹사이트
Growing fruit: Highbush blueberries
https://extension.un[...]
University of New Hampshire Cooperative Extension
2020-02-05
[4]
웹사이트
Plants Profile: ''Vaccinium corymbosum'' L., Highbush blueberry
http://plants.usda.g[...]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2013-04-30
[5]
논문
MYBA From Blueberry (Vaccinium Section Cyanococcus) Is a Subgroup 6 Type R2R3MYB Transcription Factor That Activates Anthocyanin Production
2018-09-11
[6]
논문
Blueberry IPM: Past Successes and Future Challenges
Annual Reviews
2019-01-07
[7]
웹사이트
Canadian blueberries
http://www5.agr.gc.c[...]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Government of Canada
2020-02-05
[8]
뉴스
Blueberries – Celebrating 100 Years
https://www.blueberr[...]
US Highbush Blueberry Council
2020-02-05
[9]
논문
The Adulteration of Commercial Bilberry Extracts
https://d1wqtxts1xzl[...]
2021-05-16
[10]
웹사이트
Growing Highbush Blueberries
https://extension.un[...]
University of New Hampshire-Extension
2013-09-22
[11]
웹사이트
Wild Blueberry Network Information Centre
https://www.dal.ca/s[...]
2018-10-15
[12]
웹사이트
Blueberry Growing Comes to the National Agricultural Library
http://www.ars.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Magazine, Vol. 59, No. 5
2011-06-17
[13]
웹사이트
The History of ''Whitesbog Village''
http://www.whitesbog[...]
Whitesbog.org
2011-10-11
[14]
웹사이트
Early 20th Century Botanist Gave Us Domesticated Blueberries
https://www.scientif[...]
Scientific American
2013-09-21
[15]
뉴스
The Delicious Origins of The Domesticated Blueberry
http://daily.jstor.o[...]
2016-06-30
[16]
웹사이트
Blueberries
https://aggie-hortic[...]
Texas A&M University, AgriLife Extension Service
2019-04-27
[17]
웹사이트
Lowering the soil pH with sulfur
http://blueberries.m[...]
Michigan State University
2015-08-24
[18]
웹사이트
Fertilizing blueberries
https://www.hort.pur[...]
Purdue University, Department of Horticulture
2015-09-05
[19]
웹사이트
Cornell fruit: berry diagnostic tool
http://www.fruit.cor[...]
Cornell University, Department of Horticulture
2015-09-05
[20]
웹사이트
Where Are Blueberries Grown?
https://www.worldatl[...]
World Atlas
2019-04-27
[21]
뉴스
Record year makes Oregon top blueberry producer
https://www.capitalp[...]
2019-04-27
[22]
웹사이트
Top 10 Blueberry Producing States In America
https://www.worldatl[...]
World Atlas
2019-04-27
[23]
웹사이트
Home: Welcome to the Town of Hammonton
http://www.townofham[...]
Town of Hammonton
2013-11-06
[24]
웹사이트
The Beautiful Blueberry!
http://www.pineypowe[...]
Pineypower.com
2018-07-10
[25]
웹사이트
Hammonton Chamber of Commerce
https://www.hammonto[...]
Hammontonnj.us
2018-07-10
[26]
웹사이트
Maine's Famous Blue Fruit
https://visitmaine.c[...]
Maine Office of Tourism
2022-01-22
[27]
웹사이트
Wild Blueberry Culture in Maine
https://extension.um[...]
Cooperative Extension: Maine Wild Blueberries, University of Maine
2016-04-20
[28]
웹사이트
State Berry – Wild Blueberry
http://www.maine.gov[...]
Secretary of State for Maine, Matthew Dunlap
2017-07-08
[29]
웹사이트
Fruit and vegetable production, 2015 – Canada
http://www.statcan.g[...]
Statistics Canada
2016-05-18
[30]
웹사이트
British Columbia Blueberries
http://www.bcblueber[...]
BC Blueberry Council
2013-11-06
[31]
웹사이트
New Brunswick to become world's largest producer of wild blueberries
http://www2.gnb.ca/c[...]
Government of New Brunswick, Department of Agriculture, Aquaculture and Fisheries
2016-05-18
[32]
웹사이트
Blueberry varieties – Canada. In: The changing face of the Canadian fruit and vegetable sector: 1941 to 2011
http://www.statcan.g[...]
Statistics Canada
2016-05-18
[33]
웹사이트
Official emblems and symbols
http://www3.sympatic[...]
[34]
웹사이트
Wild blueberry trivia
http://www.nswildblu[...]
Wild Blueberry Producers Associations of Nova Scotia
2016-05-18
[35]
웹사이트
Wild Blueberry Production Guide in a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rvey of the Wild Blueberry Industry in Québec
http://perlebleue.ca[...]
Ministère de l'Agriculture, des Pêcheries et de l'Alimentation du Québec
2015-02-04
[36]
서적
Fif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Vaccinium Culture
International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2006-08-25
[37]
학술지
Researches on the presence and aggressivity of the blueberry root rot (''Phytophthora cinnamomi'') in a Dâmbovița county plantation
2018
[38]
뉴스
Where blueberries grow
https://www.blueberr[...]
U.S. Highbush Blueberry Council
2020-07-27
[39]
웹사이트
Harvesting commences at one of Zimbabwe's bigger blueberry projects
https://www.thezimba[...]
2020-07-03
[40]
웹사이트
Propagação eficiente de mirtilo
http://www.grupocult[...]
2016-09-13
[41]
웹사이트
Australian Blueberry Growers' Association
http://www.australia[...]
Australianblueberries.com.au
[42]
간행물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GAIN Report
http://www.fas.usda.[...]
2011-06-30
[43]
웹사이트
Argentina Blueberries Voluntary 2005
http://www.fas.usda.[...]
Foreign Agricultural Service
2005-01-12
[44]
웹사이트
List of Goods Produced by Child Labor or Forced Labor
http://www.dol.gov/i[...]
[45]
웹사이트
Catching the Toxic Drift: How Pesticides Used in the Blueberry Industry Threaten Our Communities, Our Water and the Environment
http://www.environme[...]
2005-08-16
[71]
웹사이트
その情報は「確かな情報」ですか?
https://hfnet.nibioh[...]
国立健康・栄養研究所
2021-04-15
[72]
논문
Blueberry effects on dark vision and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placebo-controlled crossover studies
2014-11-00
[73]
논문
Effects of blueberry and cranberry consumption on type 2 diabetes glycemic control: A systematic review
2018-01-00
[74]
논문
Effects of blueberry supplementation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7-03-00
[75]
웹사이트
Blueberry production in 2020;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http://www.fao.org/f[...]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2-00-00
[76]
웹사이트
ブルーベリー - 先進植物工場研究施設
http://web.tuat.ac.j[...]
[77]
뉴스
【東京探Q】ブルーベリー なぜ都内が収穫量日本一?立地生かし観光農園発展:日持ちしない特徴 近さ有利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2-12-19
[78]
서적
ブルーベリー大図鑑-品種読本-
[79]
간행물
岩手の旬夏編 ブルーベリー
http://www.ja-iwate.[...]
JA岩手県中央会
[80]
문서
特産果樹生産動態等調査2015年による。
[81]
웹사이트
自然毒のリスクプロファイル:高等植物:ヨウシュヤマゴボ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22-12-28
[82]
뉴스
ブルーベリー似でも食べないで!有毒ヨウシュヤマゴボウ、揖斐川で繁殖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
2020-08-27
[83]
뉴스
블루베리 음료의 실태, 알고 보니 '포도 주스만도 못해'
http://www.tvreport.[...]
TV리포트 연예
2010-10-14
[84]
논문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https://www.ncbi.nlm[...]
1993-09-01
[85]
논문
Biology of ageing and role of dietary antioxidants
https://pubmed.ncbi.[...]
2014-00-00
[86]
논문
Analysis of botanicals and dietary supplements for antioxidant capacity: a review
https://pubmed.ncbi.[...]
2000-07-00
[87]
논문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of common fruits
https://pubmed.ncbi.[...]
2008-09-24
[88]
웹인용
2022 What are the benefits of blueberries? - healthycraft
https://healthycraft[...]
2022-06-21
[89]
논문
Lipophilic and hydrophilic antioxidant capacities of common foods in the United States
https://pubmed.ncbi.[...]
2004-06-16
[90]
논문
Absorption of anthocyanins from blueberries and serum antioxidant status in human subjects
https://pubmed.ncbi.[...]
2002-12-18
[91]
논문
The effect of wild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consumption on postprandial serum antioxidant status in human subjects
https://pubmed.ncbi.[...]
2002-10-00
[92]
논문
Endogenous DNA damage in humans: a review of quantitative data
https://pubmed.ncbi.[...]
2004-05-00
[93]
논문
Impact of multiple genetic polymorphisms on effects of a 4-week blueberry juice intervention on ex vivo induced lymphocytic DNA damage in human volunteers
https://pubmed.ncbi.[...]
2007-08-00
[94]
논문
Blueberries decreas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obese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https://pubmed.ncbi.[...]
2010-09-00
[95]
논문
Six weeks daily ingestion of whole blueberry powder increases natural killer cell counts and reduces arterial stiffness in sedentary males and females
https://pubmed.ncbi.[...]
2014-07-00
[96]
논문
Daily blueberry consumption improves blood pressure and arterial stiffnes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pre- and stage 1-hypertensio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https://pubmed.ncbi.[...]
2015-03-00
[97]
논문
Effect of New Zealand blueberry consumption on recovery from eccentric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https://www.ncbi.nlm[...]
2012-05-07
[98]
뉴스
[슈퍼푸드, 베리 넌 누구냐 ③] 눈으로 먹는 블루베리 레시피
http://news.heraldco[...]
헤럴드경제
2016-08-04
[99]
뉴스
야생 블루베리 100알이 한병에 쏙 eye좋아~
http://www.fnn.co.kr[...]
포커스신문 생활/문화
2011-01-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하고 싶은 걸 배웁니다” 농업인이 원하는 맞춤형 강의
OTT 보는 나, 오늘도 패배했다 [.txt]
블루베리 두고 ‘특허’ 소송전···대법 “1년 이내 판매됐더라도 신규성 부정 안돼”
"불신 커질 것" 한우협회 반발…농산물 개방 압박 우려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