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마니아 문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마니아 문학은 10세기부터 시작되어 구교회 슬라브어 문학, 루마니아어 문학을 거쳐 근대와 현대로 발전했다. 중세 시대에는 슬라브어 문학이 주를 이루었으며, 르네상스 정신을 담은 네아고에 바사랍의 가르침이 주목할 만하다. 16세기에는 루마니아어 문자가 등장하며 초기 루마니아어 문학이 시작되었고, 18세기에는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트란실바니아 학파가 루마니아어 연구를 진행했다. 19세기에는 민족주의 문학이 성장하여 낭만주의, 사실주의적 특징을 보였으며, 주니메아 문학 서클을 통해 루마니아 문학의 황금기를 맞이했다. 20세기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았으나, 1989년 혁명 이후 검열이 사라지며 현대 문학이 발전했다. 루마니아 문학은 한국에도 소개되어 민주화와 사회 변화를 다룬 작품들이 공감을 얻고 있으며, 헤르타 뮐러의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세계적인 위상을 높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루마니아 문학 | |
---|---|
일반 정보 | |
언어 | 루마니아어 |
주요 장르 | 시 소설 희곡 수필 |
역사적 시기 | 중세 시대 르네상스 시대 계몽주의 시대 낭만주의 시대 현대 시대 |
역사 | |
초기 | 슬라브어의 영향과 종교 텍스트의 도입 |
중세 | 주로 종교적 저작물과 연대기 |
16세기 | 인쇄술 발달과 인문주의의 영향 |
17세기 | 정교회의 번역과 기록 문학의 발전 |
18세기 | 계몽주의 사상의 영향, 문학 창작 시도 |
19세기 |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운동의 영향, 현대 문학의 시작 |
20세기 | 전쟁과 공산주의의 영향, 문학의 다양한 실험 |
현대 | 사회 변화와 세계 문학과의 교류 |
주요 주제 및 특징 | |
주제 | 민족주의 종교 역사 사회적 불평등 개인주의 |
특징 | 전통 문화와 민속 요소 반영 유럽 문학의 영향 사실주의, 낭만주의, 상징주의, 모더니즘 등 다양한 문학 사조 반영 |
주목할 만한 작가 및 작품 | |
주요 작가 | 미하이 에미네스쿠 이온 크레앙거 리비우 레브레아누 에우제니우 바라 미르체아 엘리아데 니키타 스테네스쿠 마린 프레다 트리안 이브라 |
주요 작품 | 저녁별 (루치아파룰) 개구리 왕자 이온 마이톨라 미트라 아브라함의 책 가을이 온다 |
관련 기관 | |
관련 기관 | 루마니아 아카데미 루마니아 작가 연합 루마니아 문화원 |
추가 정보 | |
영향 | 발칸 반도 및 유럽 문학에 영향 |
문학의 특징 | 시적 언어와 상징주의 사용 민속적 요소와 역사적 배경 강조 전통과 현대 사이의 긴장 |
현재 경향 | 다양성과 실험성 추구 세계 문학과의 교류 증가 |
2. 중세 시대 문학
10세기부터 16세기까지 루마니아 문학은 주로 종교적인 내용과 슬라브어의 영향을 받았다. 루마니아 문학은 루마니아 민속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는데, 구전문학에는 도이나(서정시), 발라드, 호라(춤 노래), 콜린다(캐롤), 전래동화, 일화, 속담, 수수께끼 등이 있다. 민속 목가 발라드인 ''미오리차(Miorița)''는 루마니아 민속 문학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예 중 하나이다.[1]
2. 1. 슬라브어 문학
10세기 초부터 구교회 슬라브어가 현재 루마니아 영토였던 다뉴브 공국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가장 오래된 기록물은 1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발라키아와 몰도바 출신의 가장 초기 슬라브어 문서는 니코딤과 필로테이의 일련의 종교 성가와 그리고레 짬블럭의 전기적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두 1385년에서 1391년 사이에 작성되었다.[2]
한편, 『알렉산더 로망스』와 『바르람과 요사팟』과 같은 여러 기사도 소설의 슬라브어와 그리스어 번역본이 다뉴브 공국 전역에 널리 유통되었다.[3]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1519년에서 1521년 사이에 발라키아 영주 네아고에 바사랍[4]이 그의 아들 테오도시에게 쓴 도덕과 정치에 관한 일련의 가르침인 『네아고에 바사랍의 가르침』이다.[5] 르네상스 정신으로 쓰여진[6] 이 작품은 동남유럽 문학의 가장 오래된 걸작 중 하나로 여겨진다.[6]
2. 2. 초기 루마니아어 문학
16세기 초, 루마니아어 문자가 등장하면서 루마니아어 번역이 시작되었다. 네악슈의 편지(Neacșu's Letter)는 1521년 브라쇼브의 판사 겸 시장인 한스 벤크너에게 보낸 편지로, 루마니아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문서 중 하나이다.[7]15세기에는 슬라브어 종교 서적을 루마니아어로 번역한 것이 초기 루마니아어 책으로, 'Hurmuzaki Psaltirea', 'Codicele Voronețean', 'Psaltirea Voronețeană', 'Psaltirea Scheiană' 등은 몰도바 출신의 종교 서적으로, 바나트-후네도아라 지역에서 다른 언어로 쓰인 원고를 번역했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있다.[8]
1508년 데알루 수도원(Dealu Monastery)에서 슬라브어 종교 서적이 인쇄되었는데, 이는 다뉴브 공국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이었다.[9] 루마니아어로 인쇄된 최초의 책은 1559년 부제 코레시(Coresi)의 프로테스탄트 교리문답(catechism)이었고, 필립 몰도베아누(Filip Moldoveanul)가 인쇄했다.[11] 16세기 후반에는 그리스어와 슬라브어 책을 번역한 다른 책들이 인쇄되었다.[10] 1673년에는 몰도바의 주교인 도소프테이(Dosoftei)가 최초의 루마니아어 운문 시편집이자 최초의 루마니아어 시집을 출판했다.[12][13]
1582년에는 소도시 오러슈티에(Orăștie)에서 '오러슈티에 팔리아(Palia de la Orăștie)'라는 구약의 첫 번째 책들을 번역하여 인쇄하면서 루마니아어로 성경(Bible)을 출판하려는 초기 시도가 있었다. 이 책은 부제 셰르반(부제 코레시의 아들)과 마리엔 디아쿨(마리엔 서기관)이 번역했으며, 미하일 토르다슈 주교 등이 라틴어에서 번역하고 헝가리어(Hungarian language) 성경 번역을 사용하여 정확성을 확인했다. 1688년에는 부쿠레슈티 대주교 인쇄소에서 "부쿠레슈티 성경(Biblia de la București)"을 인쇄하면서 성경 전체가 루마니아어로 처음 출판되었으며,[14] 그레체아누 형제가 편찬했다.[15]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에서는 최초의 루마니아어 사전인 'Dictionarium Valachico-Latinum' (카란세베슈(Caransebeș), 약 1650년)이 등장하여 라틴어 모델을 명시적으로 사용했음을 보여주었고, 라틴어로 쓰인 최초의 루마니아어 문법은 'Institutiones linguae Valachicae' (크리샤나(Crișana), 약 1770년)였다.[16]
3. 근대 문학의 발전
16세기 몰다비아와 왈라키아에 루카 스트로이치(Luca Stroici), 페트루 체르첼(Petru Cercel) 등을 통해 휴머니즘이 처음 등장했다.[17] 17세기에는 폴란드와 예수회 학교를 거쳐 그리고레 우레체(Grigore Ureche), 미론 코스틴(Miron Costin), 이온 네쿨체(Ion Neculce) 등이 몰다비아 역사에 대한 연대기를 남기면서 휴머니즘이 확산되었다.[18] 페트로 모힐라(Petro Mohyla)의 키이우 대학을 본받아 영주인 마테이 바사랍(Matei Basarab)과 바실레 루푸(Vasile Lupu)는 쇼라 그레카 엣 라티나(Schola Graeca et Latina)와 이아시 대학과 같은 신고전주의 학교를 설립했다.[19]
디미트리에 칸테미르(Dimitrie Cantemir)는 왈라키아, 몰다비아, 오스만 제국의 역사와 Divanul sau gâlceava înțeleptului cu lumea|디반 또는 현인과 세상의 논쟁ro, 『신성 과학의 형언할 수 없는 이미지(The Indescribable Image of Sacred Science)』, 『논리학 개론(The Little Compendium of Logic)』과 같은 철학적, 종교적 논문을 저술한 주요 루마니아 휴머니스트이다.[20][21] 그는 1705년에 『상형 문자 역사(A Hieroglyphic History)』라는 암호 소설을 저술했다.[22]
18세기 트란실바니아에서는 이노켄티우 미쿠-클라인(Inocențiu Micu-Klein)의 블라주(Blaj) 학교를 중심으로 트란실바니아 학파(Școala Ardeleană)가 등장했다. 이들은 라틴어 학자이자 계몽 운동(Enlightenment)의 영향을 받아 루마니아어의 로망스어(Romance languages) 기원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했다.[23] 사무일 미쿠-클라인(Samuil Micu-Klein), 게오르게 싱카이(Gheorghe Șincai), 페트루 마이오르(Petru Maior) 등은 루마니아 역사(History of Romania)와 루마니아어에 관해 많은 저술을 남겼다.[24] 이온 부다이-델레아누(Ion Budai-Deleanu)의 "영웅-희극-풍자시"인 『치가니아다(Țiganiada)』는 민주주의(Democracy)와 계몽 사상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5]
3. 1. 휴머니즘 (16세기-17세기)
몰다비아와 왈라키아에 휴머니즘이 처음 등장한 것은 16세기로, 루카 스트로이치(Luca Stroici)와 페트루 체르첼(Petru Cercel)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상이 완전히 꽃을 피우기까지는 또 다른 한 세기가 걸렸다.[17]17세기에는 폴란드와 그곳의 예수회 학교를 통해 그리고레 우레체(Grigore Ureche), 미론 코스틴(Miron Costin), 이온 네쿨체(Ion Neculce) 등이 몰다비아 역사에 대한 연대기를 남기면서 휴머니즘이 확산되었다.[18] 페트로 모힐라(Petro Mohyla)의 키이우 대학을 본받아 영주인 마테이 바사랍(Matei Basarab)과 바실레 루푸(Vasile Lupu)는 쇼라 그레카 엣 라티나(Schola Graeca et Latina)와 이아시 대학과 같은 신고전주의 학교를 설립했다.[19]
가장 중요한 루마니아 휴머니스트는 디미트리에 칸테미르(Dimitrie Cantemir)로, 그는 왈라키아, 몰다비아, 오스만 제국의 역사와 Divanul sau gâlceava înțeleptului cu lumea|디반 또는 현인과 세상의 논쟁ro, 『신성 과학의 형언할 수 없는 이미지(The Indescribable Image of Sacred Science)』, 『논리학 개론(The Little Compendium of Logic)』과 같은 철학적, 종교적 논문을 저술했다.[20][21] 그는 또한 1705년에 『상형 문자 역사(A Hieroglyphic History)』라는 암호 소설을 저술했다.[22]
3. 2. 계몽주의 (18세기)
18세기 트란실바니아에서는 이노켄티우 미쿠-클라인(Inocențiu Micu-Klein)의 블라주(Blaj) 학교를 중심으로 트란실바니아 학파(Școala Ardeleană)가 등장했다. 이들은 라틴어 학자이자 계몽 운동(Enlightenment)의 영향을 받아 루마니아어의 로망스어(Romance languages) 기원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를 수행했다.[23] 사무일 미쿠-클라인(Samuil Micu-Klein), 게오르게 싱카이(Gheorghe Șincai), 페트루 마이오르(Petru Maior) 등은 루마니아 역사(History of Romania)와 루마니아어에 관해 많은 저술을 남겼다.[24] 이온 부다이-델레아누(Ion Budai-Deleanu)의 "영웅-희극-풍자시"인 『치가니아다(Țiganiada)』는 민주주의(Democracy)와 계몽 사상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25]4. 민족주의 문학의 성장 (19세기)
19세기 초, 루마니아에서는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면서 민족 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온 헬리아데 러둘레스쿠는 루마니아어 신문 쿠리에룰 로므네스크를 창간하고,[29] 부쿠레슈티 국립극장을 설립한 필하모닉 협회를 공동 설립했다.[31][30] 게오르게 아사키는 몰다비아에서 알비나 로므네아스카라는 유사한 출판물을 발간했다.
19세기 유럽 전역에 퍼진 혁명적 민족주의 사상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열망하던 루마니아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져나갔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분위기는 1821년과 1848년 혁명으로 이어졌다.[32] 미하일 코걸니치아누(Mihail Kogălniceanu)가 발행한 다치아 리테라라(Dacia Literară)는 독창적인 민족 문학을 만들기 위해 프랑스 낭만주의(French Romanticism)를 루마니아 문학에 적용했고, 이러한 생각들을 널리 알렸다.[33]
파쇼프티스트 (1848년 혁명 이후 명명됨) 작가들의 작품들은 낭만주의(Romanticism)뿐만 아니라 신고전주의와 사실주의적 특징도 함께 보여주었다.[33] 바실레 알렉산드리(Vasile Alecsandri)는 시, 산문, ''키리차(Chirița)'' 희곡(1850-1875), ''데스포트 보다(Despot Vodă)''(1879)와 같은 역사극, 그리고 루마니아 민속 이야기 모음집 등을 통해 루마니아 문학에 기여한 다작 작가이다.[34] 콘스탄틴 네그루찌(Constantin Negruzzi)는 역사에서 영감을 얻어 소설 알렉산드루 럽슈네아눌(Alexandru Lăpușneanul)(1840)을 썼다.[35] 바실레 크를로바(Vasile Cârlova), 그리고레 알렉산드레스쿠(Grigore Alexandrescu), 안톤 판(Anton Pann), 알레쿠 도니치(Alecu Donici)도 파쇼프티스트 작가에 포함된다.[33]
1863년 이아시(Iași)에 티투 마이오레스쿠(Titu Maiorescu), 페트레 P. 카르프(Petre P. Carp), 바실레 포고르(Vasile Pogor), 테오도르 로세티(Theodor Rosetti), 야곱 네그루지(Iacob Negruzzi)가 설립한 문학 서클 주니메아(Junimea)는 1867년 잡지 ''Convorbiri Literare(콩보르비리 리테라레)''를 발간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에 가장 중요한 루마니아어 문학 출판물이 되었다.[36] 문학 비평가 티투 마이오레스쿠는 주니메아(Junimea)를 통해 루마니아 문학을 다른 유럽 문학 운동과 루마니아 민속에 조화시키는 방향을 제시했다.[37][38]
''Convorbiri Literare''에는 조르제 코슈부크(George Coșbuc)[39], 바르부 슈테퍼네스쿠 델라브란체아(Barbu Ştefănescu Delavrancea)[40] 등 많은 루마니아 작가들의 작품이 발표되었다.
주니메아(Junimea) 소속 작가 중 루마니아 문학의 4대 고전 작가로는 시인 미하이 에미네스쿠(Mihai Eminescu), 풍자 작가 이온 루카 카라잘레(Ion Luca Caragiale), 이오안 슬라비치(Ioan Slavici), 이온 크레앙거(Ion Creangă)가 꼽힌다.[45][46]
4. 1. 민족 각성기
19세기 초, 루마니아 민족주의 운동이 전개되면서 민족 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온 헬리아데 러둘레스쿠는 루마니아어 신문 『쿠리에룰 로므네스크』를 창간하고,[29] 부쿠레슈티 국립극장을 설립한 필하모닉 협회를 공동 설립했다.[31][30] 게오르게 아사키는 몰다비아에서 『알비나 로므네아스카』라는 유사한 출판물을 발간했다.4. 2. 파쇼프티즘 (1848년 혁명 전후)


19세기 유럽에 퍼져나가던 혁명적인 민족주의 사상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열망하던 루마니아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져나갔다. 이러한 민족주의적 태도는 1821년과 1848년 혁명으로 이어졌다.[32] 미하일 코걸니치아누(Mihail Kogălniceanu)가 발행한 다치아 리테라라(Dacia Literară)는 독창적인 민족 문학을 창조하기 위해 프랑스 낭만주의(French Romanticism)를 루마니아 문학에 적용했고, 이러한 사상들을 전파했다.[33]

파쇼프티스트(1848년 혁명 이후 명명됨) 작가들의 작품들은 낭만주의(Romanticism)뿐만 아니라 신고전주의와 사실주의적 특징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3] 바실레 알렉산드리(Vasile Alecsandri)는 시, 산문, ''키리차(Chirița)'' 희곡(1850-1875), ''데스포트 보다(Despot Vodă)''(1879)와 같은 역사극, 그리고 루마니아 민속 이야기 모음집 등을 통해 루마니아 문학에 기여한 다작 작가이다.[34] 콘스탄틴 네그루찌(Constantin Negruzzi)는 역사에서 영감을 얻어 소설 알렉산드루 럽슈네아눌(Alexandru Lăpușneanul)(1840)을 썼다.[35] 바실레 크를로바(Vasile Cârlova), 그리고레 알렉산드레스쿠(Grigore Alexandrescu), 안톤 판(Anton Pann), 알레쿠 도니치(Alecu Donici)도 파쇼프티스트 작가에 속한다.[33]
4. 3. 주니메아 (1863년 이후)
티투 마이오레스쿠(Titu Maiorescu), 페트레 P. 카르프(Petre P. Carp), 바실레 포고르(Vasile Pogor), 테오도르 로세티(Theodor Rosetti), 야곱 네그루지(Iacob Negruzzi)가 1863년 이아시(Iași)에 설립한 문학 서클 주니메아(Junimea)는 1867년 잡지 ''Convorbiri Literare(콩보르비리 리테라레)''를 발간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전반에 가장 중요한 루마니아어 문학 출판물이 되었다.[36] 문학 비평가 티투 마이오레스쿠는 주니메아(Junimea)를 통해 루마니아 문학을 다른 유럽 문학 운동과 루마니아 민속에 조화시키는 방향을 설정했다.[37][38]''Convorbiri Literare''에는 조르제 코슈부크(George Coșbuc)[39], 바르부 슈테퍼네스쿠 델라브란체아(Barbu Ştefănescu Delavrancea)[40] 등 많은 루마니아 작가들의 작품이 발표되었다.
주니메아(Junimea) 소속 작가 중 루마니아 문학의 4대 고전 작가로 꼽히는 인물은 시인 미하이 에미네스쿠(Mihai Eminescu), 풍자 작가 이온 루카 카라잘레(Ion Luca Caragiale), 이오안 슬라비치(Ioan Slavici), 이온 크레앙거(Ion Creangă)이다.[45][46]
미하이 에미네스쿠(Mihai Eminescu)는 많은 비평가들에게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루마니아 시인으로 평가받는다.[47] 그의 서정시는 루마니아 민속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칸트주의(Kantianism)[48],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의 철학[49], 불교 우주론(Buddhist cosmology)[50]과 관련이 있다. 대표작으로는 낭만주의 시 ''푸아레 알버스트러(Floare Albastră)''(1872), ''루체아펄(Luceafărul)''', 5편의 철학적 시 연작 ''편지(Letters)''(1881–1890)가 있다.[51][52]
이오안 슬라비치(Ioan Slavici)는 루마니아의 대표적인 소설가 중 한 명이다.[53] 그의 작품은 사실주의 빌둥스로만(Bildungsroman)으로 분류되며, 주로 트란실바니아(Transylvania)를 배경으로 도덕적, 심리적 내용을 다룬다.[55] 대표작으로는 소설 ''모아라 쿠 노록(Moara cu noroc)''과 ''포파 탄다(Popa Tanda)'', 소설 ''마라(Mara)'''가 있다.[55][56]
이온 루카 카라잘레(Ion Luca Caragiale)는 루마니아 최고의 희극(Comedy), 스케치, 익살극(Farce) 작가이다.[57] 대표적인 희곡으로는 ''오 노압테 푸르투노아서(O Noapte Furtunoasă)''(1879), ''오 스크리소아레 피에르두터(O Scrisoare Pierdută)''(1884), ''드-알레 카르나발루이(D-ale Carnavalului)''(1885)가 있다.[58]
이온 크레앙거(Ion Creangă)는 민속 이야기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하여 썼다.[59] 대표작으로는 ''하랍 알브(Povestea lui Harap Alb)'''(1877), ''퍼컬러(Păcală)''(1880), ''펫-프루모스 필 례페이(Făt-Frumos fiul Iepei)'' (1877)가 있다.[60] 그의 자전적 회상록 ''아미닌티르 딘 코필라리에(Amintiri din copilarie)''도 주목할 만하다.[61][60]
5. 20세기 문학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문학은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작품들이 등장하며 황금기를 맞이했다.[66][67][68] 1907년 루마니아 농민 반란을 다룬 리비우 레브레아누(Liviu Rebreanu)의 ''러스콜라(Răscoala)''("봉기"), 루치안 블라가(Lucian Blaga)의 철학적 글, 투도르 아르게지(Tudor Arghezi)의 시,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의 종교적 상징주의를 담은 소설 등이 대표적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시대에는 마린 프레다(Marin Preda)의 ''모로메치''(모로메테 가족)와 ''세상에서 가장 사랑받는 사람들'', 자하리아 스탄쿠(Zaharia Stancu)의 ''데스쿨츠(Desculț)''(맨발) 등이 농촌 생활과 공산 사회의 모습을 묘사했다. 니키타 스터네스쿠(Nichita Stănescu), 마린 소레스쿠(Marin Sorescu) 등은 주요 시인으로 활동했다.
1989년 혁명 이후에는 검열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창작이 이루어졌다. 미르체아 커르터레스쿠(Mircea Cărtărescu), 가브리엘라 아다메슈테아누(Gabriela Adameșteanu), 도이나 루슈티(Doina Ruști) 등이 현대 문학을 이끌고 있으며, 2009년에는 헤르타 뮐러(Herta Müller)가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5. 1. 전간기 문학 (1918년-1945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루마니아 문학은 황금기를 맞이하여 다양한 주제와 형식의 작품들이 등장했다.[66][67][68] 이 시기에는 역사 소설, 농촌 생활을 묘사한 소설, 전쟁 소설, 낭만적 사랑 이야기, 계급 갈등, 실존주의적 주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문학 작품이 출판되었다.[69][70]
리비우 레브레아누(Liviu Rebreanu)는 1907년 루마니아 농민 반란에서 영감을 받은 ''러스콜라(Răscoala)''("봉기", 1932), 루마니아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배경으로 한 ''포두레아 스펀주라치올르(Pădurea Spânzuraților)''("교수대의 숲(Forest of the Hanged)", 1922)과 같은 작품을 통해 전통 사회와 당시의 정치적 사건을 묘사했다. 그의 소설 ''이온(Ion)''(1920)은 20세기 초 트란실바니아 농민과 지식인의 삶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가장 많이 읽히는 루마니아 소설로 꼽힌다.[71]
루치안 블라가(Lucian Blaga)는 글을 통해 오늘날까지 완벽하게 이해되지 않은 복잡한 철학 체계를 발전시킨 루마니아의 주요 예술적 인물 중 한 명이다.

투도르 아르게지(Tudor Arghezi)는 미하이 에미네스쿠(Mihai Eminescu) 이후 50년 만에 루마니아 시에 혁명을 일으켜 현대 루마니아 시의 새로운 기둥을 세웠다.
미르체아 엘리아데(Mircea Eliade)는 종교 분야의 위대한 역사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소설은 현대 루마니아 예술의 길을 열어주는 신비로운 기독교 이전의 상징주의를 보여준다.
이 외에도 호르텐시아 파파닷-벤게스쿠(Hortensia Papadat-Bengescu) (''콘체르트 딘 무지카 데 바흐(Concert din muzică de Bach)''("바흐 콘서트")), 카밀 페트레스쿠(Camil Petrescu) (''울티마 노압테 데 드라그오스테, 잉티아이아 노압테 데 러즈보이(Ultima noapte de dragoste, întâia noapte de război)''("사랑의 마지막 밤, 전쟁의 첫 번째 밤")), 마테이우 카라갈레(Mateiu Caragiale) (''크라이 데 쿠르테아-베케(Craii de Curtea-Veche)''("옛 궁정의 난봉꾼들")), 조르제 컬리네스쿠(George Călinescu) (''에니그마 오틀리에이(Enigma Otliei)''("오틸리아의 수수께끼")), 미하일 사도베아누(Mihail Sadoveanu) 등이 이 시대를 대표하는 작가들이다.
5. 2. 사회주의 시대 문학 (1945년-1989년)

마린 프레다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중요한 루마니아 소설가이다. 소설 《모로메치》(모로메테 가족)는 전쟁 전 루마니아의 평범한 농민 가족의 삶과 어려움, 그리고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산주의 도래 시기를 묘사한다.[72] 가장 중요한 책은 《세상에서 가장 사랑받는 사람들》로, 공산 사회의 잔혹한 모습을 묘사한다. 자하리아 스탄쿠는 1948년 소설 《데스쿨츠(Desculț)》(맨발)를 출판했다. 프레다와 스탄쿠는 모두 루마니아 남부 텔레오르만 주 출신으로, 작품에서 농촌 생활을 묘사했다.[72]
주요 시인으로는 니키타 스터네스쿠, 마린 소레스쿠, 아나 블란디아나, 레오니드 디모브, 슈테판 아우구스틴 도이네슈가 있다.[72] 이 시대 소설가로는 라두 투도란, 단편 소설가, 소설가, 수필가이자 문학 비평가인 미르체아 네델치우가 있다.[72]
루마니아 외부에서는 외젠 이오네스코와 에밀 치오란이 국가 정신을 대표했다. 이오네스코는 부조리 연극의 주요 극작가 중 한 명이다. 희곡은 가장 진부한 상황을 조롱하며 인간의 고독과 존재의 하찮음을 묘사한다. 치오란은 작가이자 철학자였다.[72]
5. 3. 현대 문학 (1989년 이후)
1989년 혁명 이후, 루마니아 문학은 검열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펼치고 있다. 미르체아 커르터레스쿠(Mircea Cărtărescu)는 현대 루마니아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이다. 가브리엘라 아다메슈테아누(Gabriela Adameșteanu), 도이나 루슈티(Doina Ruști) 등 여성 작가들의 활동도 두드러진다. 2009년, 루마니아 출신 독일 작가 헤르타 뮐러(Herta Müller)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현대 루마니아 작가 목록은 다음과 같다.
작가 이름 |
---|
가브리엘라 아다메슈테아누(Gabriela Adameșteanu) |
Ștefan Agopian|슈테판 아고피안ro |
라두 알둘레스쿠(Radu Aldulescu) |
니콜라에 브레반(Nicolae Breban) |
Svetlana Cârstean|스베틀라나 컨스테안ro |
미르체아 커르터레스쿠(Mircea Cărtărescu) |
트라이안 티. 코쇼베이(Traian T. Coșovei) |
게오르게 크러추니(Gheorghe Crăciun) |
Alexandru Ecovoiu|알렉산드루 에코보이우ro |
두미트루 갤레샤누(Dumitru Găleșanu) |
라두 파벨 게오(Radu Pavel Gheo) |
Ioan Groșan|이온 그로샨ro |
Florin Iaru|플로린 이아루ro |
클라우디우 코마르틴(Claudiu Komartin) |
Ion Bogdan Lefter|이온 보그단 레프터ro |
노르만 마네아(Norman Manea) |
Dan C. Mihăilescu|단 C. 미허일레스쿠ro |
Grid Modorcea|그리드 모도르체아ro |
헤르타 뮐러(Herta Müller) |
Ion Mureșan|이온 무레샨ro |
미르체아 네델치우(Mircea Nedelciu) |
이오아나 퍼르훌레스쿠(Ioana Pârvulescu) |
도라 파벨(Dora Pavel) |
두미트루 라두 포페스쿠(Dumitru Radu Popescu) |
Simona Popescu|시모나 포페스쿠ro |
Sorin Preda|소린 프레다ro |
도이나 루슈티(Doina Ruști) |
Tudor Dumitru Savu|투도르 두미트루 사부ro |
Dan Sociu|단 소치우ro |
Cecilia Ștefănescu|체칠리아 슈테파네스쿠ro |
Ion Stratan|이온 스트라탄ro |
보그단 수체아바(Bogdan Suceavă) |
Cristian Teodorescu|크리스티안 테오도레스쿠ro |
두미트루 쩌페네아그(Dumitru Țepeneag) |
6. 주요 작가 및 작품 연대표
(사후 출판)
(Românii supt Mihai-Voievod Viteazul)
(Concert din Muzică de Bach)
(Craii de Curtea-Veche)
(Ultima noapte de dragoste, întâia noapte de război)
(Întâmplări în Irealitatea Imediată)
(Libertatea de a Trage cu Pușca)
(Ultimele sonete închipuite ale lui Shakespeare)
(Faruri, Vitrine, Fotografii)
(Cel mai iubit dintre pământeni)
(Amantul Colivaresei)
(Coaja lucrurilor, sau Dansând cu Jupuita)
(Orbitor. Aripa stângă)
(Proorocii Ierusalimului)
(Orbitor. Aripa dreapt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