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만 16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만 16은 2013년 케빈 루만에 의해 발견된, 지구에서 약 6.5 광년 떨어진 이중 갈색 왜성계이다. 2010년에서 2011년 사이에 WISE(광역 적외선 탐사 위성)가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발견되었으며, 루만 16A와 루만 16B로 구성된다. 루만 16은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항성계이며, 가장 가까운 갈색 왜성계로, 알파 센타우리와 프록시마 센타우리 다음으로 가깝다. 루만 16B는 구름 덮개와 대기 조성을 가지고 있으며, 행성 탐색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행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L형 항성 - DEN 0255-4700
DEN 0255-4700은 칠레 대학교 연구팀이 발견한 지구에서 비교적 가까운 L형 왜성이며, 약 16.197광년 떨어져 있고, 표면 온도는 약 1400켈빈이며, 수소, 헬륨 외에 수증기, 메탄, 암모니아 등이 대기에 존재하고 1.7시간 주기로 빠르게 자전한다. - WISE 천체 - WISE 0855−0714
WISE 0855-0714는 WISE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 태양으로부터 7.43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낮은 온도와 특이한 대기 조성, 수증기, 메탄, 암모니아 등의 존재, 그리고 목성의 3~10배 정도의 질량을 가진 행성 질량 천체 또는 준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는 천체이다. - WISE 천체 - WISE J224607.57-052635.0
- 2013년 발견한 천체 - WISE 0855−0714
WISE 0855-0714는 WISE 우주 망원경에 의해 발견된 갈색 왜성으로, 태양으로부터 7.43 광년 거리에 위치하며 낮은 온도와 특이한 대기 조성, 수증기, 메탄, 암모니아 등의 존재, 그리고 목성의 3~10배 정도의 질량을 가진 행성 질량 천체 또는 준갈색 왜성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는 천체이다. - 2013년 발견한 천체 - C/2013 A1
C/2013 A1은 2013년에 발견된 비주기 혜성으로, 2014년 화성에 근접 통과하여 화성 유성우를 일으키고 전리층에 변화를 준 혜성이다.
루만 16 | |
---|---|
개요 | |
![]() | |
별자리 | 돛자리 |
분류 | 갈색 왜성 쌍성계 |
다른 이름 | 루만 16, 루만-WISE 1, WISE J104915.57−531906.1, DENIS-P J104919.0−531910, 2MASS J10491891−5319100, IRAS Z10473-5303, AKARI J1049166−531907, GSC2.2 S11132026703, GSC2.3 S4BM006703, TIC 119862115, GJ 11551 |
![]() | |
관측 정보 | |
기점 | J2000 |
겉보기 등급 | 16.20 |
특징 | |
분광형 | A: L7.5, B: T0.5 ± 1 |
i 등급 (DENIS 필터 시스템) | 14.94 ± 0.03 |
J 등급 (2MASS 필터 시스템) | 10.73 ± 0.03 |
J 등급 (DENIS 필터 시스템) | 10.68 ± 0.05 |
H 등급 (2MASS 필터 시스템) | 9.56 ± 0.03 |
KS 등급 (2MASS 필터 시스템) | 8.84 ± 0.02 |
KS 등급 (DENIS 필터 시스템) | 8.87 ± 0.08 |
고유 운동 | |
적경 방향 | -2768.511 ± 0.056 (± 0.030) |
적위 방향 | 358.472 ± 0.027 (± 0.047) |
연주 시차 | |
값 | 500.993 |
오차 | 0.050 |
궤도 요소 | |
공전 주기 | 26.55 ± 0.08 년 |
궤도 장반축 | 3.52 천문단위 |
궤도 이심률 | 0.344 ± 0.001 |
궤도 경사 | 79.92 ± 0.008 도 |
승교점 경도 | 130.02 ± 0.01 도 |
근점 인수 | 136.67 ± 0.09 도 |
근성점 통과 시기 | 2018.060 ± 0.003 |
물리적 특성 | |
구성원 | 루만 16A |
질량 (목성 질량) | 35.4 ± 0.2 |
질량 (태양 질량) | 0.034 |
반지름 (목성 반지름) | ~0.85 |
광도 | 0.0000219 |
표면 온도 | 1350 K |
자전 주기 | 6.94 시간 |
구성원 | 루만 16B |
질량 (목성 질량) | 29.4 ± 0.2 |
질량 (태양 질량) | 0.028 |
반지름 (목성 반지름) | ~1.04 |
광도 | 0.0000209 |
표면 온도 | 1210 K |
자전 주기 | 5.28 시간 |
추가 정보 | |
A와 B의 각거리 | 1.5 각초 |
예상되는 분리 거리 | 3 천문단위 |
2. 발견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외계 행성 및 생명 가능한 세계 센터의 연구원인 천문학자 케빈 루만이 2013년에 발견했다.[9] 이 발견은 NASA의 40cm 적외선 우주 망원경인 광역 적외선 탐사 위성(WISE)이 2010년 1월부터 2011년 1월 사이에 촬영한 이미지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루만은 서로 다른 에포크에서 촬영된 WISE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우 큰 고유 운동을 보이는 천체를 찾아내는 방식으로 루만 16을 발견했다. WISE가 사용한 특정 이미지는 2010년 1월 8일과 같은 해 7월 1일에 촬영된 것이다.[9]
루만 16은 태양으로부터 약 6.5 광년 거리에 위치하여 매우 가깝지만, 별들이 빽빽하게 밀집된 은하 평면 근처 하늘에 나타나기 때문에 발견이 어려웠다. 주변의 수많은 밝은 항성들로 인해 상대적으로 어두운 루만 16을 이전의 여러 탐사에서는 찾아내지 못했던 것이다.[11][9][10] 실제로 WISE 관측 이전에도 DSS, DENIS, 2MASS 등 여러 과거 관측 기록 사진에 루만 16이 포착된 바 있다.[9]
이 발견은 1948년 루이텐 726-8 이후 65년 만에 태양으로부터 10 광년 이내 거리에서 발견된 항성 또는 갈색 왜성이라는 점에서 주목받았다.[9]
2. 1. 동반성 발견

루만 16 시스템의 두 번째 구성 요소는 2013년, 루만에 의해 발견되어 주성 발견과 같은 논문에서 발표되었다. 이 동반성은 2013년 2월 23일 밤, 칠레에 위치한 제미니 남쪽 망원경의 제미니 다중 객체 분광기(GMOS)를 이용한 관측을 통해 확인되었다.[9]
관측 결과, 루만 16 시스템은 두 개의 갈색 왜성으로 이루어진 이중성임이 밝혀졌다. 이 두 구성 요소는 각각 '''루만 16 A'''와 '''루만 16 B'''로 명명되었다. 두 천체는 하늘에서 약 1.5 각초 떨어져 보이며, 이는 실제 거리로 약 3 AU(약 4억 5천만 킬로미터)에 해당한다. 둘 사이의 밝기 차이는 0.45 등급이다.[9] 이전의 WISE 관측 등에서는 해상도가 낮아 이 두 천체를 분리하여 관측하지 못했다.[9]
루만 16 A의 스펙트럼 분류는 L7형에서 L9형 사이로 추정되며, L8형 갈색 왜성인 2MASS J16322911+1904407과 비교되기도 한다.[9][16] 루만 16 B는 L형과 T형의 경계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16] 두 천체는 서로의 질량 중심을 약 25년 주기로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9]
2. 2. 이전 관측 기록
케빈 루만이 광역 적외선 탐사 위성(WISE)의 2010년~2011년 촬영 이미지에서 루만 16을 발견하기 이전에도, 이 천체는 여러 과거 관측 기록 사진에 이미 포착된 바 있다.[9] 하지만 루만 16은 매우 어둡고 별들이 밀집한 은하 평면 근처에 위치해 있어, 배경의 수많은 밝은 항성들 때문에 이전 탐사에서는 발견되지 못했다.[11][9][10]루만 16이 촬영된 과거 관측 기록은 다음과 같다.
- 디지털 스카이 서베이 (DSS): 1978년 4월 19일 (IR) 및 1992년 3월 9일 (적색)[9]
- 적외선 천문 위성 (IRAS): 1983년
- 라 실라 천문대 ESO 슈미트 망원경: 1984년 (적색)
- 가이드 스타 카탈로그 (GSC): 1995년
- 남천 심층 근적외선 관측 (DENIS): 1999년 2월 11일[9]
- 2 마이크론 전천 탐사 (2MASS): 1999년 5월 16일[9]
- 아카리 위성: 2007년
특히 1984년에 ESO 슈미트 망원경으로 촬영된 이미지에서는 루만 16이 위치각 138° 방향으로 길게 늘어진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 위치각은 2013년에 관측된 쌍성계의 분리된 모습과 유사하며, 이는 1984년과 2013년 사이의 기간이 이 시스템의 궤도 주기와 비슷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 관측 자료에서 확인된 루만 16의 밝기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에릭 E. 마마젝은 이 시스템에 루만 16이라는 이름을 제안했으며, 구성 요소는 루만 16A와 루만 16B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은 자주 업데이트되는 워싱턴 이중성 목록(WDS)에서 유래되었다. 케빈 루만은 이미 WDS에 "LUH"라는 발견자 식별자로 여러 이중성 발견을 등재한 바 있다. WDS 카탈로그는 현재 이 시스템을 식별자 10493−5319 및 발견자 지정 LUH 16으로 등재하고 있다.
루만 16은 두 개의 갈색 왜성인 루만 16 A와 루만 16 B로 이루어진 쌍성계이다. 두 천체는 서로의 중력에 묶여 약 3.5AU 거리를 두고 공전하고 있다. 이 쌍성계 전체는 태양계에 대해 상당한 고유 운동과 시선 속도를 가지고 움직이며,[9] 이는 지구에서 관측되는 천체의 위치 변화와 거리 변화로 나타난다. 이러한 운동 특성 분석을 통해 루만 16은 과거 태양계에 더 가까이 접근했다가 현재는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3] 루만 16의 자세한 천구상 위치, 거리, 운동에 대한 정보는 하위 문단에서 상세히 다룬다.
3. 명칭
루만 16이라는 이름은 원래의 식별자 WISE J104915.57−531906.1보다 기억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마마젝은 "이 물체를 24자 이름(공백 포함)으로 부르는 것은 어리석어 보인다"고 언급했다.[1] 다른 약칭으로는 "WISE J1049−5319"나 "WISE 1049−5319"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루만-WISE 1"이라는 이름도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이중성 전체를 가리킬 때는 루만 16AB라고도 한다.
4. 천체역학
4. 1. 천구 상 위치
루만 16은 남반구의 고물자리에 위치해 있다. 2015년 7월 기준으로, 루만 16의 구성 요소는 태양계를 제외하고 이 별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이다. 천구 좌표는 적경 10시 49분 18.723초, 적위 -53도 19분 09.86초이다.
4. 2. 거리
루만 16의 삼각 시차는 초기 측정에서 0.50051 ± 0.00011 각초로 발표되었으며, 이는 1.998 ± 0.0004 파섹(약 6.51 광년)의 거리에 해당한다. 이후 허블 및 가이아를 이용한 후속 관측을 통해 시차는 500.993 ± 0.050 mas (0.500993 ± 0.000050 각초)로 더욱 정밀하게 측정되었다. 이는 1.996036 ± 0.0002 파섹(약 6.509 광년)에 해당하는 거리이며, 약 50 천문단위까지 정확하다.
이 거리 측정값에 따르면 루만 16은 현재까지 알려진 갈색 왜성 중 지구에서 가장 가깝다.[9] 항성을 포함한 모든 천체 중에서는 프록시마 센타우리(약 4.2 광년, 1917년 발견), 켄타우루스자리 알파별 A와 B(약 4.4 광년, 1839년 발견), 그리고 단독 별인 버나드 별(약 6.0 광년, 1916년 발견)에 이어 5번째와 6번째로 가까운 천체이다.[14][15][10][11]
루만 16은 약 0.5 각초라는 상당히 큰 연주시차를 가지고 있으며, 연간 고유 운동 또한 적경 방향으로 약 2.8 각초, 적위 방향으로 약 0.4 각초로 매우 크다.[9]
단독 갈색 왜성 중 가장 가까운 것은 WISE 1506+7027로, 약 11.1 광년 거리에 있다. 더 가까운 약 7.3 광년 거리에는 WISE J085510.83-071442.5가 존재하지만, 이는 행성급 질량 천체 또는 준 갈색 왜성일 가능성이 높다.
관측 | 좌표 (J2000.0) | 관측 일시 | |||
---|---|---|---|---|---|
적경 | 적위 | 오차 (각초) | UTC | 율리우스일 | |
DSS | 10h 49m 25.4s | -53° 19′ 17.8″ | 0.40 | 1978년 4월 19일 0시 | 2443617.5 |
10h 49m 21.2s | -53° 19′ 12.9″ | 0.30 | 1992년 3월 9일 2시 | 2448690.6 | |
DENIS | 10h 49m 19.1s | -53° 19′ 10.6″ | 0.08 | 1999년 2월 11일 7시 | 2451220.8 |
2MASS | 10h 49m 18.9s | -53° 19′ 10.1″ | 0.06 | 1999년 5월 16일 14시 | 2451315.1 |
WISE | 10h 49m 15.7s | -53° 19′ 6.6″ | 0.07 | 2010년 1월 8일 19시 | 2455205.3 |
10h 49m 15.5s | -53° 19′ 5.8″ | 0.07 | 2010년 7월 1일 19시 | 2455379.3 | |
10h 49m 15.4s | -53° 19′ 6.3″ | 0.12 | 2011년 1월 5일 19시 | 2455567.3 |
4. 3. 태양계와의 근접성
루만 16은 지구로부터 약 6.52 광년 떨어져 있다.[9]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항성계 중에서 태양계와 세 번째로 가까운 거리이다. 가장 가까운 항성계는 알파 센타우리 삼중성계(약 4.37 광년)이며, 두 번째는 버나드 별(약 5.98 광년)이다.[14][15][10][11] 루만 16의 발견으로 이전까지 네 번째로 가까웠던 울프 359(약 7.78 광년)는 다섯 번째로 밀려났다.루만 16은 여러 기록을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갈색 왜성 중에서 가장 가까우며, 분광형 L형 왜성 중에서도 가장 가깝다. 또한, 동반성인 루만 16 B가 T형 왜성으로 확인될 경우, 가장 가까운 T형 왜성이 될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태양계에 매우 가까움에도 발견이 늦어진 이유는 루만 16이 별들이 빽빽하게 모여 있는 은하 평면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별빛 속에서 상대적으로 어두운 갈색 왜성을 찾아내기 어려웠던 것이다.
루만 16까지의 거리는 연주시차 측정을 통해 계산되었으며, 그 값은 약 0.5 각초로 상당히 크다. 또한, 연간 적경 방향으로 약 2.8 각초, 적위 방향으로 약 0.4 각초에 달하는 매우 큰 고유 운동을 보인다.[9]
참고로, 루만 16 외에 태양계와 가까운 갈색 왜성으로는 약 7.3 광년 거리에 있는 WISE J085510.83-071442.5(준 갈색 왜성일 가능성이 높음)와 약 11.1 광년 거리에 있는 WISE 1506+7027가 있다.
4. 4. 알파 센타우리와의 근접성
루만 16은 알파 센타우리에서 3.577ly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프록시마 센타우리로부터는 떨어져 있다. 이 거리는 루만 16을 알파 센타우리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별/갈색 왜성계로 만든다.[2] 루만 16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태양계가 알파 센타우리에서 가장 가까운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었다.두 시스템 모두 인접한 별자리에 위치하며, 지구에서 볼 때 하늘의 같은 영역에 나타나지만, 루만 16이 알파 센타우리보다 약간 더 멀리 떨어져 있다. 루만 16은 알파 센타우리 AB보다 프록시마 센타우리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데, 이는 지구에서 봤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4. 5. 고유 운동
가르시아 등(2017)이 발표한 루만 16의 고유 운동은 연간 약 2.79″이다. 이는 루만 16이 지구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값이다.[9] 연주시차 역시 약 0.5각초로 상당히 크다.[9]
더 자세히 보면, 루만 16은 연간 적경 방향으로 약 2.8각초, 적위 방향으로 약 0.4각초의 매우 큰 고유 운동을 가진다.[9] 이러한 큰 고유 운동 값은 루만 16이 우리 태양계에 매우 근접해 있음을 시사하는 중요한 단서 중 하나이다.
4. 6. 시선 속도
A 구성 요소의 시선 속도는 23.1km/s ± 1.1km/s이고, B 구성 요소의 시선 속도는 19.5km/s ± 1.2km/s이다. 시선 속도 값이 양수이므로, 이 시스템은 현재 태양계에서 멀어지고 있다.이 값들과 Sahlmann & Lazorenko (2015)가 제시한 질량비 0.78을 바탕으로 계산하면, 이 시스템의 중심 시선 속도는 약 21.5km/s이다.[3] 이는 루만 16이 약 36,000년 전에 약 5.05ly의 최소 거리까지 태양계에 접근했다가 멀어졌음을 의미한다.
5. 궤도와 질량
루만 16의 최초 발견 논문에서 루만 외 (2013)는 구성 요소의 공전 주기를 약 25년으로 추정했다.
가르시아 외 (2017)는 31년에 걸친 기록 관측을 사용하여 27.4년의 공전 주기와 3.54AU의 긴반지름을 발견했다. 이 궤도는 0.35의 이심률과 79.5°의 궤도 경사를 갖는다. 구성 요소의 질량은 각각 34.2(+1.3−1.2) 목성 질량과 27.9(+1.1−1.0) 목성 질량으로, 질량비는 약 0.82로 밝혀졌다.
2018년 가이아 DR2의 데이터를 통해 궤도는 27.5±0.4년의 주기로 정제되었으며, 긴반지름은 3.56AU±0.025AU, 이심률은 0.343±0.005, 경사각은 100.26±0.05° (2017년 연구에서 발견된 것과 반대 방향)이다. 질량은 33.51(+0.31−0.29) 목성 질량과 28.55(+0.26−0.25) 목성 질량으로 추가적으로 정제되었다. 2024년에는 거리와 궤도가 더욱 정제되어 3.52AU의 긴반지름(500.993 mas의 시차를 가정), 0.344±0.001의 이심률, 79.92±0.001°의 경사각이 도출되어 이전 측정과 일치하는 경사각을 보였다. 두 번째 구성 요소의 질량은 첫 번째 구성 요소의 83.05±0.06%이다. 개별 질량은 35.2±0.2 목성 질량과 29.4±0.2 목성 질량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궤도와 구성 요소 질량에 대한 이전의 모든 추정치와 일치한다.
갈색 왜성의 자전 주기를 투영된 회전 속도와 비교해 보면, 두 갈색 왜성이 거의 적도 방향으로 관측되며, 궤도에 잘 정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나이
2013년 발견 직후 초기 연구에서는 루만 16이 은하 원반에 속할 확률이 96%이며, 젊은 이동성 성단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리튬 흡수선을 분석한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의 최대 나이를 약 30억 년에서 45억 년(Gyr) 사이로 추정했다.[4][5] 이후 초대형 망원경(VLT) 관측을 통해 최소 1억 2천만 년(Myr)보다는 오래된 천체임이 밝혀졌다.[6]
그러나 2022년, 루만 16이 새롭게 발견된 오세아누스 이동성 성단의 일원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 성단의 나이는 약 5억 1천만 년(Myr)으로 추정된다. 2024년 연구에서는 루만 16의 나이를 4억 년에서 8억 년 사이(Myr)로 추정하며 오세아누스 성단과의 연관성을 뒷받침했다. 다만, 루만 16을 이루는 두 구성 요소의 나이 추정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구름 덮개로 인해 냉각 효율이 다르거나, 부정확한 광도 측정 또는 진화 모델 자체의 오류 때문일 수 있다.
7. 행성 탐색
2013년 12월, 이 시스템의 궤도 운동에서 섭동이 보고되었는데, 이는 시스템 내에 세 번째 천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 잠재적 동반성의 공전 주기는 몇 달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두 갈색 왜성 중 하나를 공전하는 궤도를 의미했다. 만약 동반성이 존재한다면, 그 질량은 갈색 왜성의 질량 한계보다 작아야 했는데, 그렇지 않다면 직접적인 이미징을 통해 이미 감지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측정에 오류가 없다고 가정했을 때, 이러한 섭동이 잘못된 신호일 확률(허위 양성)을 0.002%로 매우 낮게 추정했다. 만약 이 발견이 확인되었다면, 이는 천체측정법을 통해 발견된 최초의 외계 행성이 되었을 것이다. 연구팀은 이 행성의 질량이 몇 목성 질량에서 30 목성 질량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지만, 질량이 이보다 더 큰 행성은 자체적으로 더 밝아 별의 겉보기 위치(광심)에 영향을 미치므로, 오히려 천체측정법을 이용한 행성 탐지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나 이후 거대 마젤란 망원경을 이용한 루만 16의 정밀한 천체측정 관측 결과, 20일에서 300일 사이의 주기로 두 갈색 왜성 중 하나를 공전하는 2 목성 질량보다 큰 질량을 가진 제3의 천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루만 16 시스템이 적어도 가까운 거리에는 거대한 행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을 통해 이 시스템에 추가적인 갈색 왜성이 존재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 관측은 1년에서 2년 사이의 공전 주기를 가지는 해왕성 질량(약 17 지구 질량) 정도의 천체 역시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이전에 제기되었던 외계 행성 후보의 존재 가능성을 크게 낮추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을 이용한 추가 관측에서는 400일에서 5000일 사이의 궤도를 도는 1.5 해왕성 질량보다 큰 행성의 존재 가능성을 배제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도 2일에서 400일 사이의 비교적 짧은 주기를 가지면서 질량이 3 해왕성 질량 미만인 행성의 존재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는 상태이다.
8. 대기
Gillon 등의 2013년 연구에 따르면 루만 16B는 자전하면서 표면 밝기가 일정하지 않게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 2013년 5월 5일, Crossfield 등은 유럽 남방 천문대의 초대형 망원경(VLT)을 사용하여 루만 16 시스템을 5시간 동안 직접 관찰했는데, 이는 루만 16B가 한 바퀴 완전히 자전하는 시간과 같다. 이 연구는 Gillon 등의 관측 결과를 재확인하며, 루만 16B의 중간 위도 지역에 큰 어두운 영역이 있고, 위쪽 극 근처에는 밝은 영역이 있으며, 다른 부분들은 얼룩덜룩한 밝기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밝기 변화가 "얼룩덜룩한 전역 구름" 때문이며, 어두운 영역은 두꺼운 구름층을, 밝은 영역은 구름층 사이의 구멍으로 내부에서 빛이 새어 나오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루만 16B의 밝기 패턴은 매일 빠르게 변화한다. 루만 16B는 지금까지 알려진 갈색 왜성 중에서 광도 변화가 가장 큰 천체 중 하나로, 때로는 밝기가 20% 이상 변하기도 한다.[7] 2MASS J21392676+0220226만이 루만 16B보다 더 큰 밝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Heinze 등은 2021년 연구에서 알칼리 금속인 칼륨과 나트륨의 스펙트럼 선에서 변화가 관측됨을 보고했다. 이들은 이러한 변화가 구름 덮개의 변화로 인해 염화물과의 지역적인 화학적 평형 상태가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번개나 오로라 현상도 가능성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7]
루만 16B의 광도 곡선은 차등 자전의 증거를 보여준다. 즉, 적도 지역과 중간 위도 지역이 서로 다른 속도로 자전한다는 증거가 있다. 주요 자전 주기는 5.28시간으로, 이는 적도 지역의 자전 주기에 해당한다. 한편, 루만 16A의 자전 주기는 6.94시간일 가능성이 높다.
Biller 등은 2024년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의 미드 적외선 기기(MIRI) LRS와 NIRSpec을 사용하여 루만 16의 두 구성 요소를 각각 8시간과 7시간 동안 관측했다. 이 관측을 통해 L형 및 T형 왜성에서 흔히 발견되는 수증기, 일산화 탄소, 메탄의 흡수선이 두 갈색 왜성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루만 16A는 8.5 μm 이상의 파장에서 평탄한 스펙트럼을 보이는데, 이는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규산염 구름의 존재를 시사한다. 관측으로 얻어진 광도 곡선은 두 구성 요소 모두 밝기가 변하며, 루만 16B가 루만 16A보다 훨씬 더 큰 변화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밝기 변화는 파장에 따라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연구진은 일산화 탄소(CO) 흡수 밴드와 일치하는 2.3 μm 및 4.2 μm 파장, 그리고 규산염 흡수와 일치하는 8.3–8.5 μm 파장에서 밝기 변화의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대기의 서로 다른 세 깊이에서 평균 압력이 변화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연구진은 얼룩덜룩한 구름이 밝기 변화의 원인인지 확인하기 위해 모델과 비교했다. 루만 16A에서는 높은 고도에 작은 규산염 입자로 이루어진 구름이 발견되었지만, 이것이 얼룩덜룩한 구름층일 가능성은 낮다고 보았다. 루만 16B에서는 이러한 작은 규산염 입자의 특징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대기 깊은 곳에 더 큰 입자로 이루어진 규산염 구름이 존재할 가능성은 있다. 연구진은 또한 일반 대기 순환 모델(GCM)과 핫스팟 모델도 테스트했지만, 실제 관측된 광도 곡선은 이러한 모델들의 예측보다 더 복잡한 양상을 보였다.
TESS 우주 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다니엘 아파이, 도메니코 나르디엘로, 루이지 R. 베딘 연구팀은 루만 16 AB 갈색 왜성이 목성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며, 빠른 속도의 바람이 적도와 평행한 줄무늬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8]
9. 전파 및 X선 활동
Osten 등(2015)의 연구에서는 호주 텔레스코프 컴팩트 어레이를 사용하여 전파 영역에서, 찬드라 X선 관측소를 사용하여 X선 영역에서 루만 16을 관측하였다. 이 관측에서 루만 16 AB에서는 어떠한 전파나 X선 활동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극저온 왜성의 전파 및 X선 광도에 대해 현재까지 얻어진 가장 강력한 제약 조건을 제시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문서
[4]
학술지
Signatures of Cloud, Temperature, and Gravity from Spectra of the Closest Brown Dwarfs
2014-08
[5]
학술지
Resolved Near-infrared Spectroscopy of WISE J104915.57-531906.1AB: A Flux-reversal Binary at the L dwarf/T Dwarf Transition
2013-08
[6]
학술지
VLT X-Shooter spectroscopy of the nearest brown dwarf binary
2015-09
[7]
학술지
Weather on Other Worlds. VI. Optical Spectrophotometry of Luhman 16B Reveals Large-amplitude Variations in the Alkali Lines
[8]
웹사이트
Vents et jets découverts sur Luhman 16 AB, la naine brune la plus proche de la Terre
https://www.insu.cnr[...]
Institute for Earth Sciences and Astronomy, [[National Centre for Scientific Research]]
2024-08-01
[9]
웹사이트
Discovery of a Binary Brown Dwarf at 2 parsecs from the Sun Penn State Science
http://science.psu.e[...]
[10]
웹사이트
The Closest Star System Found in a Century Penn State Science
http://science.psu.e[...]
[11]
웹사이트
Howdy, Neighbor! New Twin Stars Are Third Closest to the Sun Slate
http://www.slate.com[...]
[12]
arXiv
Individual, Model-Independent Masses of the Closest Known Brown Dwarf Binary to the Sun
https://arxiv.org/ab[...]
[13]
arXiv
On the Nearby Binary Brown Dwarf WISE J104915.57-531906.1 (Luhman 16)
https://arxiv.org/ab[...]
[14]
문서
[15]
문서
[16]
웹사이트
WISE Nabs the Closest Brown Dwarfs Yet Discovered Universe Today
http://www.univers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