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스트 정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스트 정원은 16세기 궁궐 채마밭에서 시작하여 프로이센 왕국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모습을 바꾸며 베를린의 중심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의 아내 루이제 헨리에테에 의해 네덜란드식 정원으로 개조되었고, 이후 군사 훈련장, 나치 집회 장소 등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동독 시기 마르크스-엥겔스 광장으로 개명되었으며, 독일 통일 이후 공원 복원 운동을 거쳐 현재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루스트 정원은 16세기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의 궁정 채마밭으로 시작하여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해왔다. 처음에는 왕궁에 채소와 허브를 공급하는 실용적인 공간이었으나, 17세기 중반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의 부인 루이제 헨리에테에 의해 네덜란드식 정원으로 꾸며지면서 '루스트 정원'(Lustgarten|루스트가르텐de, 즐거움의 정원)이라는 이름을 얻고 시민들에게도 개방되었다.
[1]
웹사이트
Historical images of the Lustgarten
http://www.dhm.de/sa[...]
2. 역사
그러나 18세기 초, 군사력 증강에 힘썼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이 정원을 군사 훈련과 열병식을 위한 연병장으로 바꾸었다. 이후 나폴레옹 군대가 베를린을 점령했을 때도 연병장으로 사용되는 등 군사적 공간으로 활용되는 시기를 겪었다.
19세기 전반, 프로이센 왕국의 국력 신장과 함께 베를린이 재정비되면서 루스트 정원도 큰 변화를 맞이했다. 건축가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과 정원 설계가 페터 요제프 레네의 손길을 거쳐 신고전주의 양식의 공원으로 재탄생했으며, 북서쪽에는 알테스 무제움(구 박물관)이 세워졌다. 이 시기 루스트 정원은 분수와 잔디밭, 나무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공원의 모습을 갖추었다.
20세기 들어 루스트 정원은 다시 한번 격동의 역사를 반영하는 공간이 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다양한 정치 집회가 열리는 광장이었으며, 특히 사회주의와 공산주의 세력의 주요 집회 장소로 이용되었다. 나치가 집권한 후에는 아돌프 히틀러의 대규모 군중 동원 집회를 위해 포장된 광장으로 바뀌었고,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기마상도 이전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베를린 공습과 베를린 전투로 크게 파괴된 루스트 정원은 전후 동독 치하에서 '마르크스-엥겔스 광장'(Marx-Engels-Platz|마르크스-엥겔스-플라츠de)으로 개명되어 대규모 퍼레이드 장소로 사용되었다. 독일 재통일 이후 시민들의 요구로 1998년부터 레네의 설계를 바탕으로 다시 공원으로 복원되어, 현재는 베를린 대성당과 박물관 섬을 찾는 많은 시민과 관광객들의 휴식 공간으로 사랑받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6세기 ~ 17세기)
루스트 정원은 16세기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의 궁전에 딸린 채마밭으로 처음 만들어졌다. 이곳은 이후 프로이센 왕국의 중심지가 되는 베를린 왕궁의 일부가 되었다. 정원이 위치한 슈프레 강의 섬은 과거 피셔 인젤(Fischerinsel, 어부의 섬)이라 불렸으며, 남쪽에는 베를린과 쌍둥이 도시였던 쾰른(Cölln, 후에 베를린에 흡수됨)이 있었다. 섬 중앙부에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의 베를린 시 성이 있었고, 그 북쪽(현재의 박물관 섬 일부 포함)은 습지대였다. 15세기 중반 프리드리히 2세 철치후가 새로운 성을 지을 당시 기록에는 이 땅의 용도에 대한 언급이 없다.
1573년, 요한 게오르크 선제후가 왕궁을 확장하면서 이 땅은 왕실 주방에서 사용할 채소와 허브, 과수를 기르는 채소밭이 되었다. 그러나 17세기 전반에 벌어진 30년 전쟁으로 독일 전역과 베를린이 황폐해지면서 정원 역시 버려졌다.
전쟁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는 도시 재건에 힘썼다. 그의 네덜란드 출신 아내인 루이제 헨리에테(오라녜 공 프레데릭 헨드릭의 딸)는 황폐해진 채소밭을 네덜란드식 정원으로 바꾸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46년, 그녀는 군사 기술자 요한 마우리츠(Johann Mauritz)와 정원 설계사 미하엘 한프(Michael Hanff)의 도움을 받아 기하학적인 오솔길과 분수를 갖춘 정원을 조성하고, 이를 "루스트 정원"(Lustgarten, 즐거움의 정원)이라 이름 붙였다.
1652년 네덜란드 건축가 요한 그레고르 멤하르트(Johann Gregor Memhardt)는 베를린 개조 계획의 일환으로 루스트 정원을 섬 북쪽까지 확장하여 조각 정원, 물가 정원, 채소밭 등으로 구성하는 안을 제안했다. 이 계획은 부분적으로만 실현되었지만, 정원은 현재의 베를린 대성당과 박물관 섬까지 넓어졌다. 멤하르트가 설계한 정원 내 휴식 공간(루스트하우스, Lusthaus) 등이 세워졌고, 채소밭에서는 당시 유럽에 드물었던 신대륙 작물인 감자와 토마토가 재배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1656년부터 1658년 사이 베를린을 둘러싸는 능보식 성곽과 해자가 건설되면서 루스트 정원의 규모는 다시 축소되었다. 한편, 1657년 프로이센의 박물학자이자 의사인 요한 지기스문트 엘스홀츠(Johann Sigismund Elsholtz)가 정원 책임자로 임명되어 이곳을 수준 높은 식물원으로 발전시켰다.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었던 루스트 정원은 당시 마땅한 공공 공간이 부족했던 베를린 시민들에게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었다.
2. 2. 프로이센 왕국 시대 (18세기 ~ 19세기)
1713년, 프로이센 왕국의 국왕으로 즉위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프로이센을 군사 국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이전 시대에 조성된 정원을 파괴하고 루스트 정원을 프로이센 군대의 훈련과 열병식을 위한 모래밭으로 만들었다. 비슷한 시기에 브란덴부르크 문 앞의 파리 광장과 그 남쪽의 라이프치히 광장 역시 군사 훈련 공간으로 바뀌었다. 1790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가 루스트 정원을 다시 공원으로 복원하려 했으나, 180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 군대가 베를린을 점령하면서 루스트 정원은 다시 프랑스 군대의 연병장으로 사용되었다.
19세기 전반, 프로이센 왕국은 국력 신장을 배경으로 수도 베를린의 대대적인 개조에 나섰다. 1824년부터 1828년까지 루스트 정원 북서쪽 끝에는 프로이센의 대표 건축가 카를 프리드리히 싱켈이 설계한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구 박물관(알테스 무제움)이 건설되었다. 중주(中洲) 북쪽을 박물관 지구로 만들고자 했던 싱켈의 구상에 따라, 1826년부터 1829년까지 정원 설계가 페터 요제프 레네가 루스트 정원을 새롭게 조성했다. 레네는 직사각형 잔디밭을 여섯 구역으로 나누는 방사형 길을 내고, 중앙에는 증기 기관으로 작동하는 높이 13m의 분수를 설치했다. 정원 양쪽으로는 밤나무 가로수를 심었다.
1894년부터 1905년 사이에는 루스트 정원 북쪽에 있던 기존 교회가 베를린 대성당으로 개축되었다. 한편, 1871년에는 중앙 분수 자리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기마상이 세워졌다.
2. 3. 바이마르 공화국과 나치 시대 (20세기 초 ~ 1945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루스트 정원은 여러 차례 대규모 정치 집회가 열리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특히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는 정당 집회가 자주 열렸다. 1921년 8월에는 극우 세력의 폭력에 반대하는 집회가 열려 약 50만 명의 군중이 모였다. 1922년 6월에는 당시 외무 장관이었던 발터 라테나우가 극우 테러 조직 콘술 소속 청년들에게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에 항의하여 25만 명이 루스트 정원에 모였다.
1933년 2월, 나치가 정권을 장악하자 이에 항의하는 집회가 열려 20만 명이 모이기도 했으나, 이는 나치 정권에 반대하는 마지막 대규모 집회가 되었다. 이후 나치 정권은 반대 집회를 금지했다. 1934년 나치 정권은 루스트 정원을 포장하고 기존에 있던 기마상을 이전시켜 집회를 열기 좋은 삭막한 광장으로 바꾸었으며, 이후 아돌프 히틀러는 이곳에서 여러 차례 대규모 군중 집회를 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45년, 루스트 정원은 연합군의 베를린 공습과 시가전인 베를린 전투 과정에서 크게 파괴되어 포탄 구덩이가 가득한 황무지가 되었다.
2. 4. 전후 동독 시대 (1945년 ~ 1990년)
1945년, 루스트 정원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베를린 공습과 베를린 전투 과정에서 심하게 파괴되어 포탄 구덩이로 가득한 황무지와 같은 상태가 되었다. 전후 독일 민주 공화국 (동독) 정부는 나치 정권 시절에 설치된 포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과거 군국주의적 색채를 완화하기 위해 광장 주변에 보리수 나무를 심었다. 광장의 이름은 사회주의 사상가인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이름을 따 "마르크스-엥겔스 광장"(Marx-Engels-Platzde)으로 변경되었다. 이 광장은 과거 베를린 왕궁이 철거된 후 남은 빈 땅과 함께 동독 정권의 대규모 퍼레이드나 집회 장소로 자주 활용되었다.
2. 5. 독일 통일 이후 (1990년 ~ 현재)
독일이 다시 통일된 후 1991년, 루스트 정원을 과거의 광장 모습에서 다시 공원으로 되돌리려는 시민 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1997년 베를린시 상원은 조경 건축가 한스 로이들(Hans Loidl)에게 렌네의 계획 정신을 살린 새로운 공원 설계를 의뢰했다.
1998년에 공원 재조성 공사가 시작되었고, 과거 나치 시대와 동독 시절의 딱딱한 광장 이미지를 벗고 다시 잔디밭과 분수가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현재 루스트 정원은 많은 베를린 시민들과 방문객들이 즐겨 찾는 휴식처이자 역사적인 장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 한국과의 연관성
루스트 정원은 독일 현대사의 격동기를 함께 겪어온 공간으로, 이는 한국의 광화문 광장과 유사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루스트 정원은 다양한 정치 세력들의 목소리가 분출되는 주요 집회 장소였다. 특히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의 정당 집회가 자주 열렸으며, 1921년 8월에는 극우 세력의 폭력에 반대하는 50만 명 규모의 대규모 시위가 열리기도 했다. 1922년 6월에는 외무 장관 발터 라테나우가 극우 테러 조직 콘술에 의해 암살되자, 25만 명의 시민이 모여 그를 추모하고 폭력에 항의했다.
그러나 1933년 나치가 정권을 장악하면서 루스트 정원의 성격은 크게 변질되었다. 나치 집권 직전인 1933년 2월, 나치에 반대하는 20만 명 규모의 마지막 집회가 열렸으나, 이후 모든 반정부 집회는 금지되었다. 1934년에는 정원이 포장되고 기마상이 이전되면서 시민들의 공간보다는 아돌프 히틀러의 대규모 군중 동원을 위한 선전의 장으로 전락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루스트 정원은 베를린 공습과 베를린 전투로 인해 폐허가 되었다. 이후 들어선 독일 민주 공화국 (동독) 정부는 히틀러 시대의 포장을 유지하면서도, 군국주의적 색채를 지우기 위해 주변에 보리수를 심고 광장의 이름을 "마르크스-엥겔스 광장"으로 바꾸었다. 이곳은 철거된 베를린 왕궁 터와 함께 동독 정권의 체제 선전을 위한 대규모 퍼레이드 장소로 이용되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루스트 정원을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리려는 시민 운동이 일어났다. 1997년 베를린시는 조경 건축가 한스 로이들(Hans Loidl)에게 공원 설계를 의뢰했고, 1998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어 다시 잔디밭과 분수가 있는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이처럼 루스트 정원은 정치적 격변기를 거치며 집회와 시위, 체제 선전의 공간으로 이용되다가 마침내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는 분단과 통일, 민주주의의 역사를 공유하는 한국의 광화문 광장과 같이, 한 국가의 역사적 아픔과 미래를 향한 희망을 동시에 상징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참조
[2]
웹사이트
Staatliche Museen zu Berlin – Museums
https://web.archive.[...]
Smb.museum
2011-12-28
[3]
뉴스
The Entry of the Troops into Berlin
http://www.britishne[...]
2017-02-28
[4]
서적
Evangelische Kirchen in Berlin
CZV-Verlag
1986
[5]
뉴스
Great Peace Demonstrations in Berlin
http://www.britishne[...]
2017-02-28
[6]
서적
The human tradition in modern Europe, 1750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7]
웹사이트
Widerstandsgruppe um Herbert Baum. "Dieser von Bildhauer Jürgen Raue gestaltete Gedenkstein wurde 1981 im Auftrag des Magistrats von Berlin (Ost) ohne nähere Informationen über die Widerstandsaktion im Lustgarten aufgestellt"
http://www.gedenktaf[...]
[8]
문서
Peter Bloch, Waldemar Grzimek: Die Berliner Bildhauerschule im neunzehnten Jahrhundert. Propyläen, Frankfurt am Main / Berlin / Wien 1978, S. 154, Abbildung des zerlegten Denkmals im Eosanderhof des Schlosses S. 249
[9]
웹사이트
Jetzt aufgetauchtes Gutachten belegt {{!}} DDR hätte Stadtschloss für 32 Millionen Mark retten können
http://www.bild.de/r[...]
2016-08-29
[10]
웹인용
Historical images of the Lustgarten
https://web.archive.[...]
2018-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