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스 L. 밀렛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L. 밀렛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인이다. 그는 한국 전쟁 중 총검 돌격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1951년 2월 7일, 대한민국 안양 부근의 180고지 전투에서 중대를 이끌고 적진을 돌격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다. 이외에도 은성 훈장, 수훈 십자 훈장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으며,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 명예훈장 수훈자 - 윌리엄 F. 딘
윌리엄 F. 딘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육군 중장으로, 남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독일군 포로를 잡는 전공과 대전 전투에서의 용맹함으로 명예훈장을 받았으며, 한국 전쟁 중 북한군 포로로 억류되었다가 석방 후 영웅으로 귀환, 예편 후 샌프란시스코에 안장되었고 제주 4.3 사건 당시 미군정의 역할도 수행했다. - 한국 전쟁 명예훈장 수훈자 - 랄프 퍼켓
랄프 퍼켓은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운 미국 육군 장교로, 2021년 명예훈장을 수여받았으며, 전쟁 후에는 육군 보병학교와 특수전단에서 복무하고 콜롬비아 육군 란세로 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며, 퇴역 후에도 사회 활동에 공헌했다.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존 케리
존 케리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민주당 소속으로 매사추세츠주 연방 상원의원과 국무장관을 역임하고 2004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며, 현재는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기후변화 문제 담당 대통령 특사로 활동하고 있다. - 미국의 베트남 전쟁 참전 군인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돈 오버도퍼
돈 오버도퍼는 워싱턴 포스트에서 25년간 활동한 미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한국전쟁 참전 경험과 냉전 종식 및 한국 현대사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저널리즘과 국제 관계 분야에 기여했다. - 미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루이스 L. 밀렛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루이스 리 밀레트 |
출생일 | 1920년 12월 15일 |
출생지 | 메인주 |
사망일 | }} |
사망지 | 캘리포니아주 |
묻힌 곳 | 리버사이드 국립묘지 |
소속 | 미국 캐나다 |
복무 | |1942–1973 (미국 육군)}} |
최종 계급 | 대령 |
경력 | |
1938년 ~ 1940년 | 주 방위군 |
1940년 ~ 1941년 | 육군 항공대 |
1941년 ~ 1942년 | 캐나다 육군 |
1942년 ~ 1973년 | 미국 육군 |
2. 초기 생애
루이스 L. 밀렛은 1920년 12월 15일 메인 주 메캐닉 폴스에서 태어났다. 부모가 이혼한 후 어머니를 따라 매사추세츠 주 사우스다트머스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성장했다. 그의 할아버지는 미국 남북 전쟁 참전 용사였으며, 삼촌은 매사추세츠 주 방위군의 제101야전포병연대 소속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경험이 있었다.
2. 1. 군 입대
1938년, 다트머스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밀렛은 매사추세츠 주 방위군에 입대하여 삼촌이 복무했던 제101 야전 포병대에 합류했다. 1940년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사격 학교에 들어갔다. 당시 미국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자, 전투에 참여하기를 열망했던 밀렛은 1941년 중반에 탈영했다. 그는 미국 해병대에서 불명예 제대를 받은 친구와 함께 캐나다로 건너가 캐나다 육군에 입대했다. 캐나다 왕립 포병 연대에 배치되어 영국으로 파견되었으며, 독일군의 대영 공습 기간 동안 런던에서 대공 레이더 운용병으로 복무했다. 미국이 전쟁에 참전하자, 밀렛은 1942년 미국 육군으로 전속했다.제1 기갑 사단 제27 장갑 야전 포병 연대에 배속된 밀렛은 횃불 작전 기간 동안 튀니지에서 대전차전 포수로 복무했다. 그곳에서의 한 전투 중, 그는 탄약을 가득 싣고 불이 붙어 폭발 직전인 하프트랙을 운전하여 연합군 병사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시킨 후, 폭발 직전에 뛰어내려 목숨을 건졌다. 이 용감한 행동으로 그는 은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다른 전투에서는 하프트랙에 장착된 기관총으로 독일 메서슈미트 Bf 109 전투기를 격추시키기도 했다.
당시 하사관이었던 밀렛은 이후 이탈리아 연합군 상륙 작전에 참여하여 살레르노 전투와 안치오 전투에서 싸웠다. 이 시기에 미 육군은 밀렛의 1941년 탈영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는 군사 재판에 회부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벌금 52USD를 지불하고 휴가 권한을 박탈당하는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불과 몇 주 후, 그는 전시 임관 제도를 통해 소위로 임관했다.
3. 제2차 세계 대전
1938년, 다트머스 고등학교 재학 중 매사추세츠 주 방위군에 입대하여 삼촌이 복무했던 제101 야전 포병대에 합류했다. 1940년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사격 학교에 들어갔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자, 싸우고 싶어 했던 밀렛은 1941년 중반 군을 탈영했다.
미국 해병대에서 불명예 제대한 친구와 함께 캐나다로 건너가 캐나다 육군에 입대했다. 캐나다 왕립 포병 연대에 배치되어 영국으로 파견되었고, 독일군의 영국 공습(더 블리츠) 기간 동안 런던에서 대공 레이더 운용병으로 복무했다. 미국이 전쟁에 참전한 후인 1942년, 밀렛은 다시 미국 육군으로 소속을 옮겼다. 이후 그는 북아프리카 전역과 이탈리아 전선에 참전하여 전투를 치렀다.
3. 1. 튀니지 및 이탈리아 전선
미국 육군 제1 기갑 사단 제27 장갑 야전 포병 연대에 배속된 밀렛은 횃불 작전 기간 동안 대전차포 사수로 튀니지에서 복무했다. 튀니지 전선에서의 전투 중, 그는 탄약을 가득 싣고 불타 폭발 직전인 하프트랙을 운전하여 동료 병사들로부터 멀리 떨어뜨린 후 폭발 직전에 뛰어내렸다. 이 행동으로 그는 은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또한, 하프트랙의 기관총으로 Bf 109 전투기를 격추시키기도 했다.하사관이었던 밀렛은 이후 이탈리아 전선으로 이동하여 살레르노 상륙 (아발란체 작전)과 안치오 전투에 참전했다. 이 무렵, 1941년의 탈영 사실이 미국 육군에 발각되어 군사 재판에 회부되었다. 그는 유죄 판결을 받고 52USD의 벌금형과 휴가 취소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불과 몇 주 후, 그는 소위로 전시 임관되었다.
4. 한국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메인주 루이스턴에 있는 베이츠 칼리지에서 3년간 수학하던 중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재소집되어 참전하였다.
1950년 12월, 밀렛 대위는 Stinson L-5 센티넬 연락기의 관측병으로 비행 중 북한 지역에 불시착한 남아프리카 공군 조종사 구출 작전에 참여하여 용감한 행동을 보였다.
1951년 2월 7일에는 제27보병연대 제2대대 E중대장으로서 경기도 평택시와 안양시 사이 소암리 부근(현재 오산 공군기지 위치)의 180고지 전투를 지휘했다.[15] 그는 중공군이 점령한 고지를 탈환하기 위해 직접 총검 돌격을 이끌어 전투를 승리로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 공로로 미국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훈장은 1951년 7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직접 수여했다. 이 전투가 벌어진 고지는 이후 총검 고지(Bayonet Hill)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또한 1951년 2월에 있었던 다른 총검 돌격에서의 공로로 수훈 십자 훈장도 받았다.
4. 1. 총검 돌격과 명예 훈장
한국 전쟁에 참전한 밀렛은 1951년 2월 7일 당시 대한민국 경기도에서 제27보병연대 제2대대 E중대 중대장으로 복무 중이었다. 이날 그는 평택시와 안양시 사이 소암리 부근(현재 오산 공군기지 위치)에서 중공군이 점령한 180고지에 대한 중대 공격을 이끌었다. 공격 중 한 소대가 적의 격렬한 기관총 및 소화기 사격에 발이 묶이자, 밀렛 대위는 다른 소대를 이끌고 합류한 뒤, 두 소대의 선두에 서서 고정된 총검을 들고 고지를 향해 돌격을 명령하고 직접 이끌었다.밀렛은 격렬한 백병전 속에서 직접 적군 병사들을 총검으로 찌르고 수류탄을 던지며 병사들을 독려했다. 그는 적진을 돌파하여 고지 정상의 적들을 몰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수류탄 파편으로 다리에 부상을 입었지만, 고지가 완전히 확보될 때까지 후송되기를 거부했다. 이 전투에서 약 50명의 적군이 사망했으며, 그중 약 20명은 총검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후 이 고지는 총검 고지(Bayonet Hill)로 알려지게 되었다. 육군 역사가 S.L.A. 마셜은 이 돌격을 "미군 역사상 콜드 하버 전투 이후 가장 완벽한 총검 돌격"이라고 평가했다.

이 전투에서의 용맹과 지휘력으로 밀렛은 미국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 훈장을 받게 되었다. 훈장은 1951년 7월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이 직접 수여했다. 또한 그는 1951년 2월에 있었던 다른 총검 돌격에서의 공로로 수훈 십자 훈장도 받았다.
밀렛 대위의 공식 명예 훈장 인용문은 다음과 같다.
E 중대 소속 밀렛 대위는 전투에서 타의 모범이 될 만한 용맹함과 용감성을 보여 뚜렷한 공을 세웠다. 그는 자신의 중대를 이끌고 강력한 적진에 대한 공격을 지휘하던 중, 제1 소대가 소화기, 자동화기, 대전차 사격에 꼼짝없이 갇혀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밀렛 대위는 제3 소대에게 전진 명령을 내리고, 두 소대의 선두에 서서 고정된 총검으로 불길이 휩쓸고 있는 언덕을 향해 돌격을 이끌었다. 격렬한 돌격에서 밀렛 대위는 적군 병사 2명을 총검으로 찌르고 과감하게 계속 전진하며 수류탄을 던지고, 적을 몽둥이로 때리고 총검으로 찌르는 한편, 부하들에게 격려의 함성을 지르며 앞으로 나아가도록 독려했다. 맹렬한 반격에도 불구하고, 일사불란한 백병전은 언덕 꼭대기까지 이어졌다. 그의 용감무쌍한 리더십과 개인적인 용기는 부하들에게 큰 영감을 주어 적진으로 돌격하게 했고, 그들은 총검을 치명적인 효과로 사용하며 적군을 맹렬하게 쫓아냈다. 이 치열한 공격 중에 밀렛 대위는 수류탄 파편에 부상을 입었지만, 목표가 달성되고 확고히 확보될 때까지 후송을 거부했다. 밀렛 대위가 보여준 뛰어난 리더십, 뚜렷한 용기, 그리고 완벽한 헌신은 위험한 임무의 성공적인 완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본인과 군의 영웅적인 전통에 최고의 영예를 안겨주었다.
4. 2. 남아프리카 공화국 조종사 구출
1950년 12월 5일, 밀렛 대위는 Stinson L-5 센티넬 연락기의 관측병으로 비행하고 있었다. 이때 남아프리카 공군 제2비행대 소속 18 전투 폭격 비행대에 배속된 J.F.O. 데이비스 대위가 조종하던 F-51D 머스탱 전투기가 북한 지역에 불시착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L-5 조종사는 추락한 머스탱 근처 도로에 기체를 착륙시켰고, 밀렛은 자신의 자리를 데이비스 대위에게 양보했다. 당시 불시착 지점은 적군에게 포위된 위험한 상황이었기에 이는 매우 용감한 행동이었다. L-5 조종사가 데이비스 대위를 태우고 이륙한 후 다시 현장으로 돌아왔을 때는 밀렛의 모습이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해가 지기 직전, L-5는 다시 돌아와 밀렛을 찾아 무사히 태울 수 있었다.5. 베트남 전쟁
한국 전쟁 이후, 밀렛은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 있는 레인저 학교를 다녔다. 그 후 제101공수사단에서 정보 장교로 복무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베트남에서는 논란이 많았던 피닉스 프로그램의 군사 고문으로 활동하며 베트콩 동조자를 색출하고 제거하는 임무를 수행했다.[7]
1959년에는 제101공수사단에서 소규모 부대 전술과 순찰 기술을 훈련하는 최초의 Recondo|리콘도영어 (정찰-특공대) 학교 사령관을 맡았다.[7] 1960년대 중반에는 매사추세츠주 포트 데번스에 있는 미국 육군 보안국 훈련 센터를 지휘했다. 또한 1963년에는 미주리주 파크 대학교에서 정치학 문학사 학위를 취득했다.[8]
밀렛은 1973년 대령 계급으로 군에서 퇴역했다. 그는 훗날 미국이 베트남에서 사실상 "포기했다"(quit)고 느꼈기 때문에 퇴역을 결심했다고 밝혔다.
6. 전역 이후
육군 퇴역 후 밀렛은 테네시주 트렌턴에서 부 보안관을 지냈다. 이후 캘리포니아주 아이딜와일드로 이주하여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거주했다. 그는 리버사이드 군을 포함한 전국 각지의 재향 군인 기념 행사에 정기적으로 참석했으며, 명예 훈장 수훈자 협회 및 외국 전쟁 군사 훈장 캘리포니아 지부의 회원이었다.
밀렛은 첫 번째 부인 버지니아 영과 이혼한 후, 1951년 명예 훈장 수여식에서 만난 위노나 윌리엄스(Winona Williams)와 재혼했다. 두 사람은 루이스 리 주니어, 티모시, 존, 엘리자베스 등 네 자녀를 두었으며, 1993년 위노나가 사망할 때까지 40년 이상 결혼 생활을 유지했다. 아들 중 한 명인 존 밀렛은 육군에 입대하여 2등 중사(Staff sergeant)까지 진급했으나, 1985년 시나이 반도에서의 평화 유지 임무를 마치고 귀국하던 중 발생한 에어 애로우 1285편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이 사고는 캐나다 뉴펀들랜드주 갠더에서 발생했으며, 존 밀렛을 포함해 240명 이상의 미군이 사망했다.
밀렛은 2009년 11월 14일, 89번째 생일을 한 달 앞두고 울혈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그는 사망 나흘 전 캘리포니아주 로마 린다의 제리 L. 페티스 기념 퇴역 군인 의료 센터(Jerry L. Pettis Memorial VA Medical Center)에 입원했으며, 생애 마지막 몇 년 동안 당뇨병을 포함한 여러 건강 문제로 고통받았다. 그의 장례식은 2009년 12월 5일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의 리버사이드 국립 묘지에서 거행되었으며, 묘지는 2구역 1910번에서 찾을 수 있다.
7. 유산 및 평가
루이스 L. 밀렛은 한국 전쟁에서의 영웅적인 행동으로 기억되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물과 장소가 존재한다. 그의 이름을 딴 도로나 공원이 조성되었고, 팜스프링스 명예의 거리에 이름이 새겨졌으며, 국립 보병 박물관에는 그의 전투 장면을 재현한 전시물이 설치되어 그의 용맹함을 후대에 전하고 있다.
7. 1. 기념
대한민국 오산 공군기지에는 밀렛 대령의 이름을 딴 '밀렛 로드'(Millett Road)가 있다.[10] 이 도로는 과거 밀렛이 총검 돌격을 이끈 베요넷 힐/180 고지 전투 기념비가 있는 180 고지까지 이어진다. 매년 이곳에서는 미 육군 제35 방공 포병 여단과 루이스 L. 밀렛 대령 180 고지 기념 VFW(재외 참전 용사) 포스트 8180의 주도로 기념 행사가 열린다.[10] 다만, 추가 연구에 따르면 실제 전투 장소는 수원시 북쪽, 안양시 근처인 것으로 밝혀졌다.[4][5]1999년 재향 군인의 날에는 팜스프링스 명예의 거리에 밀렛의 황금 종려 별이 헌정되었다. 이를 통해 그는 남부 캘리포니아주 사막 지역 출신 5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11][14]
2009년에는 캘리포니아주 샌 재신토에 새로 조성된 공원이 밀렛을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조지아주 포트 무어에 위치한 국립 보병 박물관(National Infantry Museum)에는 한국 전쟁 중 밀렛이 180 고지에서 감행한 총검 돌격을 묘사한 실물 크기 디오라마가 전시되어 있다. 이 디오라마는 밀렛이 북한군을 향해 총검을 겨누고 돌격을 이끄는 극적인 순간을 보여준다.[12]

8. 수상 내역
밀렛이 받은 무공훈장에는 명예 훈장, 수훈 십자 훈장, 은성 훈장, 2개의 공로 훈장, 3개의 동성 훈장, 4개의 퍼플 하트 훈장, 3개의 항공 훈장 등이 있다.
다음은 밀렛이 받은 훈장 및 표창 목록이다.
'''미국 훈장 및 표창'''
구분 | 훈장/표창 | 비고 |
---|---|---|
개인 훈장 | 명예 훈장 | |
수훈 십자 훈장 | ||
은성 훈장 | ||
공로 훈장 | 참나무 잎 클러스터 1개 포함 | |
동성 훈장 | "V" 장치 및 참나무 잎 클러스터 2개 포함 | |
퍼플 하트 훈장 | 참나무 잎 클러스터 3개 포함 | |
항공 훈장 | 참나무 잎 클러스터 2개 포함 | |
육군 표창 훈장 | ||
부대 훈장 | 대통령 부대 표창 | 참나무 잎 클러스터 3개 포함 |
근무 훈장 | 선행 훈장 | |
전역 및 근무 훈장 | 미국 방위 복무 훈장 | |
미국 전역 훈장 | ||
유럽-아프리카-중동 전역 훈장 | 화살촉 장치 및 근무 별 7개 포함 | |
제2차 세계 대전 승전 훈장 | ||
점령군 훈장 | ||
국방 복무 훈장 | ||
한국 봉사 훈장 | 근무 별 5개 포함 | |
군사 원정 훈장 | ||
베트남 봉사 훈장 | 근무 별 5개 포함 | |
유엔 한국 훈장 | ||
베트남 작전 훈장 | ||
대한민국 참전 훈장 | ||
근무 및 훈련 훈장 | 향토 예비군 훈장 | |
배지 및 탭 | 레인저 탭 | |
전투 보병 배지 | 2개 수여 | |
마스터 강하 배지 | ||
전문 사격 배지 | 무기장 3개 포함 |
구분 | 국가 | 훈장/표창 | 비고 |
---|---|---|---|
개인 및 부대 훈장 | 캐나다 | 캐나다 자원 봉사 훈장 | 은색 단풍잎, 해외 근무 버클 포함 |
1939-1945 전쟁 훈장 | |||
프랑스 | 무공 십자 훈장 1939–1945 | 야자 잎 포함 | |
남베트남 | 베트남 무공 십자 훈장 | 동성 훈장 포함 | |
베트남 기술 근무 훈장 | 1급 | ||
베트남 군 명예 훈장 | 1급 | ||
베트남 참모 근무 훈장 | 1급 | ||
대한민국 |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 ||
배지 | 태국 | 마스터 낙하산 배지 |
참조
[1]
웹사이트
$52 in 1944 → 2022 {{!}}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in2013do[...]
2022-02-07
[2]
간행물
South African Military History Society - Military History Journal Vol 4 No 3 - June 1978 The History of No 2 Squadron SAAF, in the Korean War. Col P.M.j. McGregor, SM
[3]
문서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location of Hill 180
[4]
웹사이트
Hallowed Ground Bayonet Hill, South Korea {{!}} HistoryNet
http://www.historyne[...]
2018-07-21
[5]
웹사이트
Commentary: Not our Hill 180
https://www.osan.af.[...]
2019-04-17
[6]
웹사이트
A TALE OF TWO HILLS: THE MYTH AND REALITY OF THE BATTLE OF BAYONET HILL
https://warroom.army[...]
2019-07-16
[7]
웹사이트
Military History: Interview with Colonel Lewis L. Millett
https://www.historyn[...]
2006-06-12
[8]
웹사이트
Lewis Millett
http://www.park.edu/[...]
2015-03-25
[9]
뉴스
The U.S. Army's Last Bayonet Charge
https://www.thedaily[...]
2020-07-21
[10]
웹사이트
Battle of Hill 180 remembered on 60th anniversary
http://www.usfk.mil/[...]
Eighth Army Public Affairs
2013-01-30
[11]
웹사이트
Palm Springs Walk of Stars: By Date Dedicated
http://www.palmsprin[...]
2012-12-08
[12]
웹사이트
US Army National Infantry Museum
http://www.usmilitar[...]
2012-11-17
[13]
웹사이트
Battle of Hill 180 remembered on 60th anniversary
http://www.usfk.mil/[...]
Eighth Army Public Affairs
2013-01-30
[14]
웹사이트
Palm Springs Walk of Stars: By Date Dedicated
http://www.palmsprin[...]
2012-12-08
[15]
뉴스
‘육박전 영웅’ 밀렛 대위를 아시나요
https://n.new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