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19세기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사상에 기반하며, 자본주의적 세계화와 민족주의적 부르주아지, 세계주의적 프롤레타리아트 간의 갈등을 국제 체제의 불안정 요인으로 본다. 유물사관을 통해 역사를 물질적 욕구 충족과 계급 투쟁의 과정으로 이해하며, 신현실주의와 유사하게 구조적 이론의 관점을 가지나, 군사 정치적 측면보다는 경제적 측면에 집중한다. 이 이론은 레닌주의, 종속 이론, 세계 체제론, 신마르크스주의, 그람시주의, 비판적 안보론 등으로 확장되었으며, 각기 제국주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불평등,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구조, 헤게모니, 안보 개념 등에 대한 독자적인 분석을 제시한다. 이러한 마르크스주의적 접근은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국제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각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관계론 - 다자주의
다자주의는 여러 국가가 특정 원칙에 따라 협력하는 것으로, 강대국을 구속하고 소국에게 영향력을 부여하며 국제연합과 세계무역기구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지만, 최근 일방주의와 포퓰리즘 강화로 도전에 직면해 있다. - 국제관계론 - 간섭주의
간섭주의는 외세의 정권 교체를 포함하는 국제 정치 현상으로, 그 효과에 대해서는 내전 가능성 증가, 평화 유지 기여, 지역 불안정 심화 등 상반된 연구 결과가 존재한다. - 마르크스주의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마르크스주의 - 금융자본주의
금융자본주의는 금융 상품 거래를 통한 이윤 추구를 특징으로 하며, 금융 중개 기관의 성장과 부유층의 영향력 확대를 동반하고,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산업 자본주의의 변증법적 결과로 간주된다.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 | |
---|---|
개요 | |
유형 | 국제 관계 이론 |
하위 분야 | 마르크스주의 |
주요 특징 | |
핵심 개념 | 계급 투쟁 자본주의 제국주의 세계 혁명 |
주요 관심사 | 경제적 불평등 착취 세계 체제 종속 |
이론적 기반 | |
영향 | 마르크스주의 비판 이론 종속 이론 세계 체제 이론 |
주요 학자 | 블라디미르 레닌 레온 트로츠키 안토니오 그람시 이매뉴얼 월러스틴 로버트 콕스 길레스 립슐츠 |
주요 논쟁 | |
국가의 역할 | 국가를 계급 권력의 도구로 간주 |
자본주의의 본질 | 자본주의의 착취적이고 불평등한 성격 강조 |
제국주의의 영향 | 제국주의가 세계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주장 |
접근 방식 | |
종속 이론 | 중심부 국가와 주변부 국가 간의 불평등한 관계 분석 |
세계 체제 이론 |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구조와 역학 연구 |
신-그람시주의 | 헤게모니와 이데올로기가 국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2. 마르크스주의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19세기에 국제 체제의 주요 불안정 요인이 자본주의적 세계화, 더 구체적으로는 민족주의적 부르주아지와 세계주의적 프롤레타리아트라는 두 계급 간의 갈등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유물사관은 국내 및 국제 문제 모두에서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마르크스주의의 지침이 된다. 마르크스에게 인간의 역사는 물질적 욕구를 충족하고 계급 지배와 착취에 저항하기 위한 투쟁이었다. 마르크스주의는 신현실주의와 마찬가지로 구조적 이론이지만 군사 정치적 부문 대신 경제 부문에 초점을 맞춘다. 그 분석은 토대(생산 방식)와 상부구조(정치 제도) 간의 관계를 반영한다. 구조적 효과의 원천은 무정부 상태가 아니라 부당한 정치 제도와 국가 관계를 정의하는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이다.[1]
2. 1. 비판과 한계
경제적 환원주의는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의 중심적인 결함으로 간주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신그람시주의 학파는 이론을 더욱 발전시킬 것을 제안했다. 이들은 세계 자본주의, 국가 구조, 정치 경제적 제도를 결합하여 세계 패권 (이데올로기적 지배) 이론을 만들었다. 이 이론에 따르면, 패권은 세계 시스템의 핵심 지역 안팎의 강력한 엘리트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유지된다. 글로벌 거버넌스는 덜 발전하고 불안정한 주변 국가에 압력을 가하는 정치적, 경제적 제도로 구성된다.[1]인식론적 관점에서 마르크스주의는 비판 이론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문제 해결 이론인 영미 국제 관계의 지배적인 접근 방식보다 이러한 측면에서 우수하다. 다른 모든 비판 이론과 마찬가지로, 마르크스주의는 사회 변혁의 가능성과 이론이 권력에 기여하는 방식에 대한 규범적 관심을 가지고 있다. 현실주의자들은 이것이 정치적으로 동기 부여되었으며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지 않다고 본다. 마르크스주의의 규범적 단점은 계몽주의의 세계주의 이상을 장려함으로써 유럽 중심주의로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2]
현실주의와 자유주의는 마르크스주의 갈등 이론을 이념적 및 결과론적 이유로 비판한다. 후기 실증주의자는 마르크스주의자가 계급 투쟁을 인간 생활의 가장 중요한 측면이자 모든 인간의 역사와 행동을 이해하는 열쇠로 격상시키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미국 학계에서 주변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2018년 Sclofsky와 Funk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의 상위 10개 정치학 대학원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국제 관계 입문 수업 중 마르크스를 필수적으로 읽도록 한 곳은 한 곳뿐이었고, 선택적으로 읽도록 한 곳은 다른 한 곳이었다.[3]
3. 레닌주의
레닌은 제국주의를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로 규정하고, 제1차 세계 대전과 같은 전쟁이 자본주의 국가 간의 식민지 쟁탈전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했다.[1]
4. 종속 이론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관련된 종속 이론은 선진국이 다국적 기업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 개발 도상국에 침투하여 자본주의 체제에 편입시키고 천연자원을 수탈하며, 그 결과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종속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진보 진영은 종속 이론을 통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불평등한 관계를 비판하고, 미국 등 강대국의 영향력 아래에서 한국이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 겪었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기도 한다.
4. 1. 주요 학자
- 사미르 아민
- 앙드레 군더 프랑크
-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 이마누엘 월러스틴
- 조반니 아리기
- 로버트 콕스
- 스티븐 길
- 제임스 미텔만
- 크레이그 머피
- 마크 라퍼트
- 샌드라 윗워스
- 프레드 할리데이
- 저스틴 로젠버그
- 벤노 테쉬케
- 켄 부스
- 마이클 윌리엄스
- 앤드루 링클레이터
- 마틴 쇼
5. 세계 체제론
이매뉴얼 월러스틴이 제시한 세계 체제론은 세계를 중심부, 주변부, 반주변부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 이론은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구조적 불평등과 착취 관계를 설명하며, 중심부 국가가 주변부 국가를 착취하여 이윤을 얻는다고 주장한다.[1]
5. 1. 주요 학자
- 사미르 아민
- 앙드레 군더 프랑크
- 페르난두 엔히키 카르도주
- 이마누엘 월러스틴
- 조반니 아리기
- 로버트 콕스
- 스티븐 길
- 제임스 미텔만
- 크레이그 머피
- 마크 라퍼트
- 샌드라 윗워스
- 프레드 할리데이
- 저스틴 로젠버그
- 벤노 테쉬케
- 켄 부스
- 마이클 윌리엄스
- 앤드루 링클레이터
- 마틴 쇼
6. 신마르크스주의
신마르크스주의는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으로 돌아가 이론적 통찰력을 탐구하는 접근 방식이다. 이는 소련 및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의 해체 이후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의 부흥에 영향을 받았다.
6. 1. 신역사적 유물론
신마르크스주의는 카를 마르크스의 저작으로 돌아가 이론적 지견을 탐구하는 접근 방식이다. 소련 및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의 해체 이후에 발생한 마르크스주의의 르네상스에 영향을 받았다.[1]7. 그람시주의
안토니오 그람시의 저작에 영향을 받은 그람시주의는 이념, 제도, 물질 능력의 결절점을 탐구하며, 사회 세력, 국가, 지배적인 이념의 특정 조합이 세계 질서를 규정하고 지속시키는 방식을 분석한다.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이론적 기반을 역사화하고, 주체와 구조의 관계성을 찾아내어 두 이론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다.[4]
7. 1. 기원
안토니오 그람시의 저작에 많은 영향을 받은 마르크스주의 국제 관계 이론은 국제 관계론 및 국제 정치 경제학에 비판 이론을 적용하여, 국가 구성체의 특수한 윤곽을 형성하고 있는 이념·제도·물질 능력의 결절점을 탐구한다.[4]이 이론은 사회 세력, 국가, 지배적인 이념의 특정 조합이 세계 질서를 어떻게 규정하고 지속시키는지 분석한다. 칼 폴라니, 칼 마르크스, 니콜로 마키아벨리,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미셸 푸코 등을 국제 관계의 비판 이론의 주요 원천으로 인용한다.[4]
이 시각은 요크 대학교 명예 교수 로버트 콕스의 논문 "사회 세력, 국가, 세계 질서 - 국제 관계론을 넘어서" (『밀레니엄』 10권 2호, 1981년)[5]와 "그람시, 헤게모니, 국제 관계 - 방법에 대한 논고" (『밀레니엄』 12권 2호, 1983년)에서 제시되었다. 1981년 논문에서 콕스는 국제 관계론의 비판적 연구를 요구했다.
콕스는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활용하여 글로벌 정치 경제에서의 권력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그람시의 국가론, "역사 블록", 개별 및 집단 행동의 결정적인 틀로서의 물질 능력·이데올로기·제도의 지배적인 배치, 그리고 역사 블록을 만들어내는 "유기적 지식인"으로서 행동하는 엘리트라는 제반 개념 또한 유용하다고 평가받는다.
콕스의 동료인 스티븐 길 (요크 대학교 교수)은 삼극위원회가 "유기적 지식인"으로서 행동하며, 신자유주의와 워싱턴 컨센서스라는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만들어냈는지를 밝히는 데 기여했다.[6]
7. 2. 이론적 접근
국제 관계론 및 국제 정치 경제학에 비판 이론을 적용하여, 국가 구성체의 특수한 윤곽을 형성하고 있는 이념, 제도, 물질 능력의 결절점을 탐구하는 접근 방식은 안토니오 그람시의 저작에 많은 영향을 받았기 때문에 그람시주의라고 불린다.[4]그람시주의는 사회 세력, 국가, 지배적인 이념의 특정 조합이 세계 질서를 어떻게 규정하고 지속시키는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람시주의 접근 방식은 특정 세계 질서의 일부로서 현실주의와 자유주의의 이론적 기반 자체를 역사화하고, 주체와 구조의 관계성을 찾아냄으로써 두 이론 조류가 안고 있던 막다른 골목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칼 폴라니, 칼 마르크스, 니콜로 마키아벨리, 막스 호르크하이머, 테오도어 아도르노, 미셸 푸코 등을 국제 관계 비판 이론의 주요 원천으로 인용한다.[4]
국제 정치 경제학의 주류에서는 국가의 존재론적 중심성에 대해 묻지 않지만, 그람시주의는 트랜스내셔널한 역사적 유물론과 오버비크가 명명한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국가 구성체와 국가 간의 정치를 자본 축적 및 계급 형성의 트랜스내셔널한 역동성의 계기로 간주한다"라고 주장한다.[7] 주체와 객체의 분리를 거부하고, 역동적 전체로서의 현실에 대한 변증법적 이해를 적용함으로써, 주류 시각인 실증주의나 구성주의와 대조적이다.[8]
7. 3. 헤게모니
안토니오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은 현실주의의 그것과 구별된다. 현실주의는 헤게모니를 "국가의 우월한 힘"으로 본다[9]。그람시주의는 계급 관계에 따라 헤게모니를 본다. 제도 등을 통해 그 지배를 정당화하고 있다면, 계급은 헤게모니로 간주된다[10]。계급이 이와 같이 지배를 확립했을 때, 그 계급은 "역사 블록"을 구성한다. 세계화 때문에 신자유주의적인 "초국가적 역사 블록"이 존재하고 있거나, 등장하고 있다고 그람시주의는 논한다.7. 4. 대항 헤게모니
대항 헤게모니는 사회·경제·정치 제도의 기능에 대한 대체적인 규범 해석이다. 대항 헤게모니가 충분히 성장하면 기존의 "역사 블록"을 포괄하고 이를 대체한다. 그람시주의는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용어인 "참호전"과 "기동전"을 사용하여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한다.[4] 참호전에서는 대항 헤게모니 운동이 설득 또는 선전을 통해 지배적 질서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수를 늘리려고 시도한다. 기동전에서는 폭력적이거나 민주적인 방식으로 기존의 헤게모니를 몰아낼 정도로 성장한 대항 헤게모니가 스스로를 새로운 "역사 블록"으로 확립한다.7. 5. 비판
그람시주의 분석은 여러 면에서 비판받아 왔다. 그람시주의가 다른 마르크스주의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헤게모니 질서인 자본주의의 실패를 지나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4]7. 6. 주요 학자
- 로버트 콕스
- 스티븐 길
- 제임스 미텔만
- 크레이그 머피
- 마크 라퍼트
- 샌드라 윗워스
8. 비판적 안보론 (Critical Security Studies)
그람시주의 및 비판 이론의 시각에서 안전 보장 개념을 고찰하는 접근 방식이다. '웨일스 학파'라고도 불리며, 주요 연구 거점은 웨일스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이다.[1]
9. 기타 주요 학자
- 앤드루 링클레이터
- 마틴 쇼
참조
[1]
웹사이트
Guide to International Relations II: Marxism and Constructivism
http://www.theworldr[...]
2014-05-15
[2]
웹사이트
Journal of Politics
https://web.archive.[...]
2015-10-23
[3]
간행물
The Specter That Haunts Political Science: The Neglect and Misreading of Marx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Comparative Politics
https://academic.oup[...]
2018-02-01
[4]
서적
The Ideologies of Theory: Essays 1971-1986
Routledge
[5]
문서
遠藤誠治訳「社会勢力、国家、世界秩序――国際関係論を超えて」坂本義和編『世界政治の構造変動(2)国家』岩波書店、1995年。
[6]
문서
遠藤誠治訳『地球政治の再構築――日米欧関係と世界秩序』朝日新聞社・朝日選書、1996年。
[7]
문서
Henk Overbeek, Transnational Historical Materialism in Global Political Economy: Contemporary Theories (ed. Ronan Palan), Routledge: 2000, pp. 168-9.
[8]
문서
ibid., pp. 168-9.
[9]
문서
Theodore H. Cohen, Global Political Economy: Theory and Practice, Pearson: 2005, pp. 130-131.
[10]
문서
ibid., p. 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