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슈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슈호는 홋카이도 아칸마슈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 칼데라호로, 약 7,000년 전 화산 폭발로 생성되었다. 유입 및 유출 하천이 없는 폐쇄호이며, 빗물을 주 수원으로 한다. 과거에는 어류가 서식하지 않았으나, 1926년 이후 무지개송어 등이 방류되어 생태계가 변화했다. 1931년 세계 최고 투명도를 기록했으나, 이후 투명도는 저하되는 경향을 보인다. 호수 중앙에는 가무이슈 섬이 있으며, 주변에는 여러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데라호 - 도와다호
    도와다호는 아오모리현과 아키타현에 걸쳐 있는 도와다-하지만타이 국립공원의 북쪽에 위치한 2중 칼데라호이자 활화산으로, 일본에서 세 번째로 깊은 호수이며, 화산 활동의 역사와 풍부한 생태계, 관광지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칼데라호 - 천지
    천지는 백두산 칼데라에 위치하며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는 호수로, 비룡폭포로 물이 흘러나가고 호수 괴물 목격담이 전해지며, 남북정상회담 장소로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
  • 데시카가정 - 마슈산
    홋카이도에 있는 마슈산은 마슈 칼데라 가장자리에 솟아 있으며, 마슈 화산 붕괴 후 형성되었고, 마슈호와 주변 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분화구 벽이 특징적인 산이다.
  • 데시카가정 - 아토사누푸리산
    아토사누푸리산은 굿샤로 호 인근의 활화산으로, 용암 돔 군과 활발한 분기 활동이 특징이며 과거 유황 광산이자 현재는 가와유 온천과 함께 관광 명소이다.
  • 홋카이도의 호수 - 도야호
    도야호는 홋카이도 남서부에 위치한, 약 1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형성된 칼데라 호수로, 나카시마 섬이 있는 아름다운 경관과 주변의 화산, 온천, 그리고 지질학적 가치로 인정받는 관광지이다.
  • 홋카이도의 호수 - 아칸호
    아칸호는 홋카이도 동부 구시로시 북부에 위치한 둘레 30km의 호수로, 약 6,000년 전 화산 활동으로 형성되었으며, 특별천연기념물인 마리모와 홍연어가 서식하고, 온천과 아이누 코탄이 있어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마슈호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겨울철 마슈 호
기본 정보
위치데시카가, 구시로 종합진흥국, 홋카이도, 일본
호수 유형칼데라 호, 내륙 호
유입2개의 하천
유출지하 침투
유역 면적32.4 km²
호수 길이6 km
호수 면적19 km²
평균 수심137.5 m
최대 수심211.5 m
호수 용량2.86 km³
해안선 길이19.8 km
해발 고도351 m
카무이슈 섬
도시없음
결빙 시기12월 ~ 4월
투명도19.0 m
호수 정보
형태칼데라 호
담수 여부담수
호수 유형극빈영양호

2. 지리

홋카이도 동부 아칸마슈 국립공원에 위치한 마슈호는 일본에서 20번째로 넓은 호수이다. 약 7,000년 전 대규모 분화로 생성된 칼데라호로, 아이누어로는 '긴탄·카무이·도'(산신의 호수)라고 불린다. 마슈라는 명칭은 여러 설이 있으나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호수 중앙에는 가무이슈 섬이라는 작은 섬이 있고, 주변은 해발 600m 전후의 칼데라 벽과 해발 858m의 마슈 산(가무이누푸리, 신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마슈호는 유입 및 유출 하천이 없는 폐쇄호이며, 주 수원은 주변 지역의 강우에 의한 빗물이다. 토양에 함유된 유기물인산염 유입이 적고, 여름 기온 및 수온이 낮아 유기물 분해가 느리게 진행된다. 빗물로 이루어져 대기오염의 척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천 유출입이 없음에도 연간 수위 변동이 적은 것은 주변 가미노코이케 등으로 빠져나가는 복류수가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복류수는 호수 남동쪽 8km 지점의 사케마스(연어송어) 센터 니지베쓰 사무소 부근 및 다와다이라 등에서 관측된다.

마슈호는 높이 약 200m의 가파른 분화구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1] 유입구나 배수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세계적으로 가장 맑은 호수 중 하나이자 일본에서 가장 깊은 호수 중 하나로,[2] 1931년 8월에는 수중 투명도가 41.6m로 측정되었다. 이는 같은 시기 바이칼호의 40.5m보다 높은 수치였다.[1] 1950년대 이후 투명도는 20m에서 30m 사이를 유지하고 있는데,[3] 이는 붉은연어, 무지개송어 유입 및 산사태의 영향으로 추정된다.[4]

여름철 마슈호는 안개에 자주 가려지는데, 연간 약 100일 동안 호수 주변에 안개가 끼어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낸다.[6]

2. 1. 법적 위치

하천법에 따라 국토교통대신의 관리하에 있지 않다. 호수에 떠 있는 섬에는 나무가 있기 때문에 농림수산성의 관리하에 있지만, 호수 자체에는 나무가 없어 농림수산성의 관할도 아니다.[1] 1947년까지는 어용지로서 궁내성(등기상 소유자는 궁내대신) 관할이었으나, 궁내청 관리부가 "테시코쿠정에 소관 재산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선언하여 처리를 요청했고, 2001년 홋카이도 재무국, 홋카이도청, 테시코쿠정 등에 의한 협의회에 의해 무등기 상태로 국가가 관리하게 되었다.[1]

신비성과 환경 보전을 위해 수산 동물의 채집 포획을 할 경우, 홋카이도 지사의 특별 채포 허가를 얻어야 한다.[1] 또한, 칼데라 내벽 내부로의 출입은 일반인뿐만 아니라, 언론이나 연구자에 대해서도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1]

3. 생태계

과거 마슈호에는 어류가 서식하지 않고 일본긴다리도롱뇽만 서식했으나,[15] 1926년부터 무지개송어, 흰점무지개송어, 참갈겨니, 줄새우 등이 방류되어 자연 번식하고 있다. 1930년에는 징거미새우가 방류되어 정착했으며, 이들은 특정 외래 생물로 지정되어 있다.[16] 방류된 어류와 갑각류로 인해 물벼룩이 감소하고 식물 플랑크톤이 증가하여 수질 오염이 우려된다.

마슈호에 서식하는 식물 플랑크톤과 동물 플랑크톤은 다음과 같다.



호수 주변과 상부 사면에는 종비나무, 전나무, 자작나무 등이 섞인 상록수림과 자작나무 숲이 자라고 있다.

4. 역사

홋카이도 동부 아칸마슈 국립공원(阿寒摩周国立公園)에 위치한 마슈호는 일본에서 20번째로 넓은 호수이다.[13] 약 7,000년 전 대규모 분화로 생성된 칼데라호이며, 아이누어로는 '긴탄·카무이·도'(산신의 호수)라고 불린다. '마슈'라는 명칭은 여러 설이 있으나 그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호수 중앙에는 가무이슈섬이 있고, 호수 주변은 해발 600m 전후의 칼데라 벽과 남동쪽 끝의 마슈산(858m)으로 둘러싸여 있다. 마슈 산은 아이누어로 '가무이누푸리'(신의 산)라고 불린다. 호수 내부는 아칸 국립공원의 특별보호지구로 지정되어 개발 행위와 출입이 엄격하게 규제된다.

마슈호는 유입 및 유출 하천이 없어, 주변 지역의 강우에 의한 빗물이 주 수원이다. 토양에 함유된 유기물의 혼입이 매우 적고 인산염의 유입이 없으며, 여름의 기온 및 수온이 낮아 유기물의 분해가 서서히 진행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호수는 대기오염의 척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과거 방류한 담수어로 인해 물벼룩이 감소하여 식물성 플랑크톤이 증가하면서 수질 오염이 우려되기도 했다.

하천의 유출입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수위 변동은 적어, 주변의 가미노코이케로 빠지는 복류수가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까지의 조사 결과, 복류수는 호수 남동쪽 8km에 있는 사케마스(연어송어) 센터 니지베쓰 사업소 부근 및 다와다이라에서도 관측되고 있다.[14]

위성사진 (1999년)

4. 1. 화산 활동

마슈 칼데라는 3만 2천 년 전 이전에 형성되었다. 이 칼데라는 더 큰 쿠샤로 호 칼데라의 측화산인 성층화산의 잔해이다.[6] 현재의 칼데라를 만든 분출은 약 7,000년 전에 발생했다. 마지막 분출은 약 2,000년 전에 발생한 플리니식 분화로, 이때 부석이 그 지역에 떨어졌다.

마슈 화산은 화산폭발지수에서 6을 기록하고 있다.[9]

마슈 칼데라에서는 두 개의 화산이 성장했다. 호수 중앙에서 솟아오른 용암돔인 가무이슈 섬과 동쪽 해안의 가장 높은 지점을 형성하는 용암돔을 가진 가무이산이라는 성층화산이다. 세 번째 화산인 니시베쓰산은 가무이누푸리산에 인접해 있으며, 칼데라보다 오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산의 주요 암석은 안산암과 다사이트이다. 이 암석은 후기 플라이스토세부터 홀로세까지의 비알칼리성 화쇄류 또는 마피성 암석이다. 마슈 분화구와 니시베쓰산 주변의 일부 암석은 더 오래되어 중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것이다.[10]

다음 표는 마슈 화산과 가무이누푸리산의 분출 목록이다.[11]

화산분출 시기연대 측정 기법VEI테프라 부피유형
마슈기원전 7400년 ± 200년보정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4440000000m3폭발성 분화
마슈기원전 6600년 ± 50년보정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611000000000m3중앙 분화구의 폭발성 분화, 화쇄류 및 칼데라 함몰
가무이산기원전 2750년 ± 100년보정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측면 분화구의 폭발성 분화
가무이산기원전 1400년 ± 100년보정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측면 분화구의 폭발성 분화
가무이산기원전 100년 ± 500년테프라연대학폭발성 분화
가무이산서기 300년 ± 75년보정된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폭발성 분화
가무이산서기 970년 ± 100년보정되지 않은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51000000000m3측면 분화구의 폭발성 분화 및 칼데라 함몰


5. 투명도

1931년 8월, 마슈호는 41.6m의 투명도를 기록하여 당시 바이칼호의 40.5m를 넘어 세계 최고 기록을 세웠다.[1] 이 기록은 1946년까지 유지되었으나, 1952년 조사에서는 29m로 저하되었고 이후에도 투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17] 2015년 8월 국립환경연구소의 조사에서는 투명도가 17.2m로 나타났다.[18]

투명도 저하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다. 1946년에서 1952년 사이에 투명도가 급격히 저하된 것은 사실이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21]


  • 생태계 변화: 붉은연어(히메마스)와 무지개송어(니지마스) 방류로 인한 플랑크톤 분포 변화가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하지만, 방류 후 20년 이상 투명도가 유지되었기 때문에 인과관계는 불분명하다.[21]
  • 지진: 1952년 도카치 앞바다 지진을 경계로 투명도가 저하되었다는 설이 있다.[22]
  • 관광객 증가: 관광객 증가로 인한 호수 내벽 사면 붕괴, 배기가스 등이 원인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 기타 요인: 에조사슴 증가 등도 투명도 저하의 원인으로 거론된다.

6. 가무이슈 섬

마슈호와 제3전망대, 마슈산, 가무이슈 섬


'''가무이슈 섬'''(中島|나카시마일본어)은 마슈호의 거의 중앙에 있는 작은 섬이다. 데이사이트질 용암돔의 정상 부분이 호수면 위로 드러난 것으로, 높이는 210m이며 둥글게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1960년 조사에 따르면 부엽토는 얕게 5cm~10cm였다.[23] 전나무, 박달나무, 털진달래, 넌출월귤이 주요 식생이며, 사사류와 고사리류는 매우 적다.[23]

"가무이슈(カムイシュ)"는 아이누어로 "가무이(カムイ)"(신, 또는 신과 같은 숭고한 영적 존재) + "슈(シュ)"(노파)를 의미한다. 아이누는 이 섬의 이름을 아이누의 구비문학인 유카라를 통해 지었다. 그 전설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전해진다.

아이누 사상에서는 자연에 모두 가무이가 깃들어 있다고 여겨진다. 현재 마슈호를 방문하는 관광 버스 안내나 관련 팜플렛 등에는 위와 같은 전승이 소개되고 있다. 아이누의 유카라는 구비문학이며, 아이누는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전설은 고문서가 아닌 구전에 의한 것이다.

7. 안개 낀 마슈호

태평양을 따라 북상하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홋카이도 연안에서 급격히 식으면서 짙은 안개가 발생한다. 안개 발생 빈도는 연안의 쿠시로시 주변이나 쿠시로 습원에 비해 다소 적다. 차가운 안개는 외륜산을 넘어 칼데라 안에 고여 호수면을 뒤덮는다. 짙은 안개가 끼면 위에서 호수면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안개를 틈타 도루묵 밀렵이 행해지기도 했다.

안개 낀 마슈호 전망대에서 바라본 풍경(2007년 9월)


마슈호는 예로부터 경승지로 알려져 있었지만, 교통이 불편하여 오랫동안 전국에서 찾는 관광객이 거의 없었다.

1966년 후세 아키라가 서정적인 고음으로 부른 가요곡 「안개 낀 마슈호」(작사: 미즈시마 테쓰, 작곡: 히라오 마사아키)가 히트하면서 마슈호의 인지도는 급상승했지만, “마슈호=안개, 신비의 호수”라는 이미지가 과도하게 고착된 측면도 있다. 당시 히라오 마사아키는 결핵을 앓아 가수의 길을 포기하고 작곡가로 전향할 것을 고려하고 있었으며, 직접 방문해 본 적이 없는 마슈호를 상상으로 그려 이 곡을 만들었다.

마슈호의 레스트하우스 내 매점 등에서는 "안개 통조림"이라는 관광 기념품이 판매되고 있다. 이 통조림은 실내에서 만들어지며, 안개는 들어있지 않다.[1]

8. 전망대

호수 서쪽에서 남쪽을 지나는 관광 도로에 제1전망대와 제3전망대가 있다(두 전망대 사이에 있던 산책로 및 제2전망대는 폐쇄되었다).[24][25] 한편, 호수 북쪽에는 우라마슈 전망대가 있다.[25]

; 제1전망대 (마슈호 가무이테라스)

대형 버스가 진입 가능하며 연중 이용 가능하다.[24] JR 쿠시로선 마슈역에서 노선버스 및 기간 한정 마을 순환 버스로 25분 거리이다.[24] 1층 휴게실과 옥상 테라스가 개수되어 2022년 7월 30일 "[https://mashuko-iozan.jp/mashuko-kamui-terrace 마슈호 가무이테라스]"로 새롭게 개장했다.[26]

; 제3전망대

제1전망대에 비해 방문객과 건물이 적다.[24] "하계에만 접근 가능"하며, 대형 버스는 주차할 수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자전거, 도보, 오토바이, 승용차를 이용하여 방문하는 여행객들이다.[24] JR 쿠시로선 마슈역에서 노선버스 및 기간 한정 마을 순환 버스로 30분 거리이다.[24]

; 우라마슈 전망대

우라마슈 전망대에서


버스편은 폐지되었으며, 동절기에는 폐쇄된다. 3개의 전망대 중 가장 고도가 낮은 곳에 위치하며, 다른 전망대가 안개에 덮여 있어도 호수면이 보이는 경우가 많다. 데시카가 쪽과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MASHU-KO (LAKE MASHU) http://www.ilec.or.j[...] International Lake Environment Committee 2008-10-15
[2] 서적 Japan Handbook Moon Publications, Inc. 1993-12
[3] 논문 GEMS/Water 摩周湖モニタリングデータブック http://www.cger.nies[...] Center for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2004-09
[4] 방송 NHK World HD Channel
[5] 웹사이트 Lake Mashu http://www.lake-akan[...] Akan Tourism Association & Community Development Promotion Organization 2008-10-15
[6] 서적 Hiking in Japan: An Adventurer's Guide to the Mountain Trails Kodansha International
[7] 웹사이트 Lake Mashu DATA (摩周湖DATA) https://www.masyuko.[...] 2024-05-31
[8] 서적 北海道 地名の旅—アイヌ語地名解 (Hokkaidō Chimei no Tabi — Ainugo Chimei Kai)
[9] 웹사이트 Large Volcano Explocivity Index http://www.allcountr[...] 2011-03-08
[10] 웹사이트 Hokkaido http://riodb02.ibase[...] Geological Survey of Japan, AIST 2010-09-28
[11] 웹사이트 Mashu: Eruptive History 2020-03-23
[12] 웹사이트 平成26年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湖沼面積 https://www.gsi.go.j[...] 2015-03-07
[13] 웹사이트 平成26年全国都道府県市区町村別面積調 湖沼面積20傑 http://www.gsi.go.jp[...] 2015-03-07
[14] 논문 摩周湖の水位変動と周辺湧水の水質 2002
[15] 웹사이트 摩周湖ファイル vol.3 http://www.town.tesh[...] 北海道弟子屈町 総合案内
[16] 논문 摩周湖に分布するザリガニについて
[17] 서적 カルデラの湖とアイヌの伝説 摩周湖・屈斜路湖
[18] 웹사이트 摩周湖は今(2015晩夏、写真による観測日記) http://www.cger.nies[...] 国立環境研究所 2016-01-28
[19] 웹사이트 摩周湖、澄んだ水は危険と隣り合わせ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16-01-28
[20] 웹사이트 摩周湖ベースラインモニタリング2007年調査結果について http://www.cger.nies[...] 国立環境研究所 2016-01-28
[21] 서적 カルデラの湖とアイヌの伝説 摩周湖・屈斜路湖
[22] 논문 北海道において保護すべき陸水
[23] 논문 摩周湖カムイシュ島の植生
[24] 웹사이트 阿寒国立公園満喫プロジェクト地域協議会 阿寒地域部会・摩周地域部会(第1回)(合同開催)添付資料 https://hokkaido.env[...] 北海道地方環境事務所 2022-07-31
[25] 웹사이트 太古の火山活動によって生まれたカルデラ湖、摩周湖の美しいレイクビュー! https://www.wbf.co.j[...] White Bear Family 2022-07-31
[26] 웹사이트 屋上テラスから摩周湖一望 レストハウスリニューアル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 2022-07-30
[27] 문서 화살표가 가리키는 판이 섭입 당하는 판, 그 반대쪽이 섭입하는 판
[28] 문서 소멸된 판
[29] 문서 백악기에서 고제3기 에 걸쳐 형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