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쿠라코토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쿠라코토바는 일본 고유의 수사법으로, 주로 와카에 사용되며, 5음절로 구성되어 특정 단어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연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원은 속담이나 주술적인 표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만엽집에서 자주 나타나지만, 헤이안 시대 이후에는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해졌다. 마쿠라코토바는 일본 외에도 다른 문화권에서도 유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그리스의 호메로스, 구약성경 등에서도 수식어를 활용한 사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어 - 중고 일본어
    중고 일본어는 794년부터 1185년까지 헤이안 시대에 사용된 일본어의 한 형태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파생되고, 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문자 체계로 사용하며, 주어-목적어-서술어 구조의 문법과 다양한 문법 요소, 고유어와 한자어를 어휘로 사용했다.
  • 일본어 - 이로하 노래
    이로하 노래는 일본어 가나 전체를 사용하여 지은 7·5조 가요 형식의 시로, 불교적 무상함을 노래하며, 가나 손글씨 연습과 일본어 순서 표기에 활용되었고, 작자 미상에 다양한 해석과 이야기가 전해진다.
  • 일본 문학 - 만엽집
    《만엽집》은 오토모노 야카모치가 20권으로 정리한 일본 고대 가집으로, 약 4,500수의 와카를 수록하고 있으며, 만요가나 표기, 동가와 방인가를 통해 언어학적 가치를 지니고, 일본 고대 문학 및 문화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이다.
  • 일본 문학 - 주게무
    주게무는 라쿠고 이야기에 등장하는 긴 이름을 가진 아이의 이름이자 이야기 자체를 가리키며, 아이의 장수와 행복을 기원하는 이름으로 인해 다양한 해프닝이 발생하는 이야기이다.
마쿠라코토바
개요
종류일본 와카 문학에서 특정 단어와 함께 사용되는 수식어
특징의미는 없지만, 특정 단어 앞에 붙어 그 단어의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리듬을 형성하는 역할을 함.
어원베개처럼 기대는 말이라는 뜻으로, 시의 운율을 맞추기 위해 사용됨.
용례の}} (나는 새의 아스카)
の}} (봄날의 카스가)
문학적 기능
와카특정 단어의 분위기를 강조하거나, 시의 리듬을 형성
혼카도리옛 노래의 일부를 인용할 때 사용되어, 원시의 분위기를 환기
우타마쿠라특정 지명이나 사물과 관련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함
역사
기원고지키 시대부터 사용된 오랜 전통을 가진 수사법
발전시대가 흐르면서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가지게 됨
예시
예시 1'아오니요시(あをによし)'는 '나라(奈良)'를 수식하는 마쿠라코토바
예시 2'히사카타노(ひさかたの)'는 '아마(天)' 또는 '소라(空)'를 수식하는 마쿠라코토바

2. 형식적 특징과 기능

마쿠라코토바는 일반적으로 다섯 음절로 이루어져 와카(和歌)와 같은 시가(詩歌)의 첫 구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2] 와카 외에도 고대 일본의 지리서인 《풍토기》(風土記) 등에서도 사용된 용례가 확인된다.

마쿠라코토바의 주된 기능은 특정 단어를 이끌어내는 관용적 수식어구 역할이다. 예를 들어 '아시히키노'(足引きの) 다음에는 '야마'(山, 산)나 '오'(峰, 봉우리)와 같은 단어가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마쿠라코토바는 특정 단어와 정해진 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헤이안 시대 이후 점차 형식화되면서 뒤따르는 구절과 의미상 직접적인 관련 없이 장식적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해졌다.[4] 이로 인해 후대로 오면서 본래의 의미나 유래를 알기 어려운 마쿠라코토바가 많아졌으며, 일부는 여전히 의미를 보충하지만 많은 경우 시의 전통을 따르는 장식적 구절로만 기능하게 되었다.[4]

마쿠라코토바는 일본 최고(最古)의 역사서인 《고지키》(古事記)와 《니혼쇼키》(日本書紀)에도 등장하는 문학 기법으로[2], 특히 《만요슈》(万葉集) 시대에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4음절 형태도 있었으나,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와 같은 가인들이 와카를 31음절로 정형화하는 과정에서 5음절 형태가 주류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905년 《고금와카집》(古今和歌集) 성립 이후로는 매우 형식적으로 사용되어, 《만요슈》 시대처럼 새로운 마쿠라코토바가 활발히 창작되지는 않았다.

마쿠라코토바와 뒤따르는 단어의 관계는 크게 의미적 연관성과 음성적 연관성으로 나눌 수 있다.[8]


  • 의미적 관계: 비유('아침 이슬'(朝露)처럼 사라지기 쉬운 '생명'(命)), 형용('풀 베개'(草枕)를 베고 자는 '여행'(旅)), 설명('들판의 새'(野つ鳥)인 '꿩'(雉)) 등이 있다.[8]
  • 음성적 관계: 동음 반복('소가'(ソガ) 지명 앞의 '마소가'(真麻, 좋은 삼베)[8]), 가케코토바(掛詞)처럼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한 연결('세다'(勢多)가 숫자 '이'(二)를 연상시켜 '니조산'(二上山)을 이끌어내는 경우[8]) 등이 있다.


대부분 시가의 첫 구에 위치하지만, 드물게 셋째 구에 사용되기도 한다. 시를 시작하고 이끄는 방식에서 조코토바(序詞)와 유사한 수사법으로 보기도 하는데, 17세기 학승 게이추는 조코토바를 '긴 마쿠라코토바'로, 민속학자 오리쿠치 시노부는 마쿠라코토바를 '압축된 조코토바'로 설명했다.[3]

현재까지 약 1100여 종이 확인되었으나[9], '아시히키노'나 '누바타마노'(ぬばたまの)처럼 유래나 정확한 의미가 불분명한 것도 많다. 이는 《만요슈》 시대에 이미 관용구처럼 굳어져 선례에 따라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후대 시가에서 마쿠라코토바는 《만요슈》 시를 암시하거나 고전적 분위기를 더하는 문학적 장치로 주로 기능한다.[2]

3. 역사와 기원

마쿠라코토바는 『만엽집』에서 현대 단가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마쿠라코토바"라는 용어 자체는 『고금와카집』의 가나 서문에 처음 등장하지만, 이때는 우타마쿠라의 의미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헤이안 시대 말기의 학자 겐쇼(顕昭)는 『고금집서주』(古今集序注)에서 후지와라 노리나가(藤原教長)의 설을 인용하며 "마쿠라코토바란 항상 쓰이는 말(常の詞)"이라고 기록했다.

과거에는 우타마쿠라의 하나로 여겨졌으며, "다음 말"(次詞, 후지와라 기요스케 『오의초』(奥義抄)), "마쿠라언"(枕言, 이마가와 료슌 『낙서로견』(落書露顕)), "관사"(冠辞, 가모노 마부치 『관사고』(冠辞考))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현재와 같은 의미로 "마쿠라코토바"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이치조 가네라의 『고금동몽초』(古今童蒙抄), 기요하라 노부카타(清原宣賢)의 『일본 서기초』(日本書紀抄) 등 중세 이후의 문헌에서부터이다.

와카 외에도 『풍토기』 등에서 사용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풍토기』에서는 이러한 예를 "속담"(諺)이라고 부르는데, 이를 통해 마쿠라코토바가 속담처럼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정형화된 문구로 취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0] 어원에 대해서는 다카사키 마사히데(高崎正秀)가 오리구치 시노부의 설을 인용하여 "혼이 깃든 말"(魂の宿る詞)이라고 설명하기도 했으나[11], 용어 자체가 중세 이후에 정립된 점을 고려하면, 시가의 서두에 온다는 의미에서 '머리맡' 또는 '시작'을 뜻하는 "마쿠라"(枕)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다.[12]

마쿠라코토바의 정확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초기에는 조코토바(序詞)와 유사한 것으로 여겨졌다. 에도 시대의 승려이자 학자인 게이추는 "조(詞)라는 것은 마쿠라코토바가 긴 것을 말한다"(『만엽대장기』(万葉代匠記))고 설명했으며[3], 오리구치 시노부 역시 조코토바가 짧아진 것이 마쿠라코토바라고 주장했다.[13][3] 최근에는 나카니시 스스무(中西進)가 조코토바와 마쿠라코토바를 모두 "연합 표현"(連合表現)으로 묶어 크게 구별할 필요가 없다고 보기도 한다.[14] 그러나 마쿠라코토바는 『풍토기』 등 노래가 아닌 문헌에서도 나타나는 반면, 조코토바는 주로 노래에서 사용되는 기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0]

마쿠라코토바의 기원에 대한 초기 연구는 가모노 마부치의 『관사고』처럼 와카의 운율을 맞추기 위한 장치로 보는 시각이 있었다. 하지만 가노 모로히라(鹿持雅澄)는 특정 땅을 찬미하는 말이 마쿠라코토바의 원형일 것이라고 주장했고(『마쿠라코토바고』(枕詞考)), 이 견해는 후대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근대에 들어 오리구치 시노부는 마쿠라코토바가 속담에서 유래했으며, 초기에는 노리토(祝詞)처럼 주술적인 힘을 가진 특별한 말(언령, 言霊)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그 의미가 희미해지고 언어유희적인 성격이 강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설명은 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15] 이러한 주장의 근거로는 『풍토기』나 기기가요(記紀歌謡) 등 오래된 문헌의 마쿠라코토바가 특정 지명, 신명, 인명 등 고유명사 앞에 놓여 대상을 찬양하는 표현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다는 점이 제시된다. 이것이 『만엽집』 시대에 이르면 일반 명사나 용언에 붙는 마쿠라코토바도 많이 사용되면서 그 범위가 확대된다.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의 시대에는 "아마자카루 히나"(天離る鄙일본어, 하늘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처럼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마쿠라코토바도 등장하여, 본래의 '찬미'라는 틀에서 벗어나 단순히 수식하는 5음절 구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에는 한문 지식의 증가 등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가장 큰 원인으로는 노래가 구전되는 '가창 문학'에서 문자로 기록되는 '서기 문학'으로 전환된 점이 꼽힌다.[16] 즉, 노래를 기록하고 다듬는 과정에서 더 복잡하고 다양한 마쿠라코토바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만엽집』에 많은 노래를 남긴 히토마로가 새롭게 만들거나 고쳐 쓴 마쿠라코토바가 매우 많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17]

기본적으로 마쿠라코토바의 성립에 관한 연구는 오리구치 시노부의 설을 바탕으로 일부 수정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오키나와의 고대 가요 등에서 마쿠라코토바의 기원을 찾으려는 후루하시 노부유키(古橋信孝)의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18] 하지만 『만엽집』에 나타난 마쿠라코토바 중에는 연상이나 고로아와세(語呂合わせ, 말장난)에 의한 것이 상당히 많고, 오리구치의 설명은 문자 자료가 없는 시대를 다루기에 증명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마쿠라코토바를 처음부터 언어유희의 일종으로 이해하려는 시각도 존재한다.[19]

『고금와카집』 이후에는 의미보다는 형식을 갖추거나 단어 전환의 재미에 중점을 두게 되면서 새로운 마쿠라코토바의 창작은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만엽집』에서 '후루'(降る, 내리다)에 사용되던 마쿠라코토바 '이소노카미'(石上)를 동음이의어인 '후리니시'(古りにし, 오래된)에 연결하거나, '아마'(天, 하늘), '요루'(夜, 밤), '아메'(雨, 비) 등에 쓰이던 '히사카타노'(久方の)를 '히카리'(光, 빛)에 연결하는 등, 기존 마쿠라코토바의 용법에 변화를 주는 경우도 많았다.

> 磯の上 降りにし恋の 神さびて 祟るに吾は いぞ寝かねつる|이소노카미 후리니시코이노 카미사비테 타타루니와레와 이조네카네츠루일본어

> (바위 위에 내린 옛 사랑이 신성하여, 재앙을 내리니, 나는 잠을 이루지 못하네)

> - 작자 미상, 『고금와카집』 권 19 비개(誹諧歌)

> ひさかたの 光のどけき 春の日に しづ心なく 花の散るらむ|히사카타노 히카리노도케키 하루노히니 시즈코코로나쿠 하나노치루라무일본어

> (오래도록 맑은 햇살의 봄날에, 편안한 마음 없이 꽃이 지는구나)

> - 기노 도모노리, 『고금와카집』 권 2 춘가 하

상대(上代) 문학에서는 '치하야부루'(千早振る), '토부토리노'(飛ぶ鳥の), '소라미츠'(空見つ)처럼 3음절이나 4음절의 마쿠라코토바도 일부 확인된다. 이를 통해 마쿠라코토바가 5음절로 정착된 것은 와카의 정형화와 관련이 깊다고 여겨진다. 정형화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소라미츠'를 '소라니미츠'(空に満つ, 하늘에 가득 차다)로 고친 인물도 히토마로로 추정되며(『만엽집』 권 1・29번), 마쿠라코토바의 창작과 재해석에 있어 그의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다. 『만엽집』에서는 대체로 5음절 마쿠라코토바가 사용되었으며, 7세기경에는 이러한 형태가 고정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대 한국어와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마쿠라코토바의 기원을 찾으려는 연구도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이루어졌으나[20], 오늘날 일본 학계에서는 대체로 그 연관성을 부정하는 경향이 있다. 마쿠라코토바 중에는 한반도와 관련된 것도 있는데, 예를 들어 '다쿠부스마'(栲衾)는 신라(新羅) 앞에 붙는 마쿠라코토바이다.[38] 이는 다쿠(닥나무 껍질 섬유)로 만든 천의 흰색과 신라의 일본식 발음 しらぎ|시라기일본어의 しら|시라일본어가 흰색을 의미하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4. 한국어와의 연관성 (논란)

마쿠라코토바 중 의미를 알기 어려운 것들을 중심으로 고대 한국어와의 연관성에 주목한 연구가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일본 학계에서는 두 언어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부정하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쿠라코토바 중에는 한반도와 관련된 것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栲衾|다쿠부스마일본어'는 신라(新羅) 앞에 붙는 마쿠라코토바이다.[38] 이는 '다쿠부스마'의 색깔이 흰 것과, 신라의 일본어 명칭인 'しらぎ|시라기일본어'에서 'しら|시라일본어'가 흰색을 의미하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

5. 일본 외의 예

마쿠라코토바는 일본 특유의 현상은 아니며, 다른 나라에서도 수식어의 일종으로, 세부 형식은 다르지만 비슷한 예가 존재한다.[1]

고대 그리스의 시인 호메로스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그는 등장인물들의 이름 앞에 수식어를 붙였다. 예를 들어 swift-footed Achilles|발 빠른 아킬레우스eng, crafty Aegisthus|교활한 아이기스토스eng, wily Odysseus|꾀 많은 오디세우스eng (또는 Odysseus of many wiles|꾀 많은 오디세우스eng) 등이 있다.[1] 또한 구약성경이나 페르시아어 텍스트 등에서도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1]

6. 마쿠라코토바 목록

마쿠라코토바의 많은 사례는 만요슈에서 발견된다.[5] 가장 첫 번째 시는 이것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보여준다.

> 籠もよ み籠持ち 掘串もよ み掘串持ち この岡に 菜摘ます子 家聞かな 告らさね|코 모 요 미코 모치 후쿠시 모 요 미부쿠시 모치 코노 오카 니 나 츠마스 코 이에 키카나 나 노라사네일본어

> そらみつ|소라 미츠일본어 大和の国は|야마토노쿠니 와일본어

> おしなべて 我れこそ居れ しきなべて 我れこそ座せ 我れこそば 告らめ 家をも名をも|오시나베테 와레 코소 오레 시키나베테 와레 코소 이마세 와레 코소 와 노라메 이에 오 모 나 오 모일본어

>

> 바구니를 가진 소녀, 예쁜 바구니,

> 삽을 가진 소녀, 예쁜 삽,

> 여기 언덕에서 싹을 모으는,

> 나는 너의 집을 묻고 싶어. 네 이름을 말해줘!

> 야마토의 땅, 하늘이 보이는

> 그것은 모두 내 영역이고 나는 그 모든 것을 다스린다.

> 나는 너에게 나의 집과 이름을 말해주리라.[6]

이 시에서 そらみつ|소라 미츠일본어(문자 그대로 "하늘에 보임" 또는 "하늘이 펼쳐짐")는 지명 야마토를 수식한다.

일부 역사적인 마쿠라코토바는 현대 일본어에서 원래 암시했던 용어를 대체하면서 그 의미에 대한 일반적인 단어로 발전했다. 예를 들어, 庭つ鳥|니와 츠 토리일본어(정원의 새)는 고전 일본어에서 鶏|카케일본어(닭)의 마쿠라코토바였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niwatori|니와토리일본어가 후자의 단어를 완전히 대체하여 "닭"의 일상적인 단어가 되었다(つ|츠일본어 조사는 생략됨).

마쿠라코토바의 예시로서 『백인일수』에서 다음 일본 전통 시가를 들 수 있다.

> あしひきの|아시히키노일본어 山鳥の尾の しだり尾の ながながし夜を ひとりかも寝む|야마도리노오노 시다리오노 나가나가시요오 히토리카모네무일본어

> — 가키노모토 히토마로

이 시가의 처음에 놓인 "あしひきの|아시히키노일본어"가 마쿠라코토바라고 불리는 것이다. 마쿠라코토바는 그 대부분이 이러한 5음절로, 처음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 "あしひきの|아시히키노일본어"라는 구절은 그 다음의 "山|야마일본어"라는 단어를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즉, 이 "あしひきの|아시히키노일본어"라는 구절이 있으면 그 다음은 반드시 "山|야마일본어"라는 단어가 오는 약속이 되어 있으며, 겉보기에는 수식어와 같은 문장의 형태가 된다. 이처럼 마쿠라코토바는 특정 단어와 결합된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헤이안 시대 이후의 경우에는 노래의 의미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또한 마쿠라코토바는 시가의 첫 구절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이 셋째 구절에도 놓인다.

> 桜花 咲きにけらしも|사쿠라바나 사키니케라시모일본어 '''あしひきの|아시히키노일본어''' 山の峡より 見ゆる白雲|야마노카히요리 미유루시라쿠모일본어

> — 기노 쓰라유키, 『고금와카집』 권 제1 춘가상

마쿠라코토바 중에는 "飛ぶ鳥の 明日香|토부토리노 아스카일본어…"처럼, 아스카라고 쓰고 "아스카"라고 읽는 근거가 되는 것도 있다.

> '''飛ぶ鳥の|토부토리노일본어''' 明日香の里を 置きて去なば 君があたりは 見えずかもあらむ|아스카노사토오 오키테이나바 키미가아타리와 미에즈카모아라무일본어

> — 『만요슈』 권 제1

"아스카"는 "明日香일본어"라고도 표기되므로, "飛鳥일본어"는 마쿠라코토바에 의해 표기와 훈의 관계가 정해진 것이라고 한다.

마쿠라코토바와 거기에 결합되는 단어와의 관계를 분류한 것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있지만, 가장 대략적인 분류를 행한 사카이다 시로의 설[8]에 따라 나타내면,

1. 의미 관계로 걸리는 것

2. 음성 관계로 걸리는 것

이 된다. 게다가 (1)은


  • "朝露の 消えやすき命|아사츠유노 케야스키 이노치일본어…"와 같은 비유적 관계 (아침 이슬은 사라지기 쉽고, 그 이슬처럼 덧없는 생명)의 것
  • "草枕 旅|쿠사마쿠라 타비일본어…"와 같은 형용적인 것 (여행은 풀을 베개로 삼는 것이므로)
  • "野つ鳥 雉|노츠토리 키지일본어…"와 같은 설명적인 것 (들의 새인 꿩)


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2)는

  • "ま'''そが'''よ '''蘇我'''の子ら…|마'''소가'''요 '''소가'''노 코라일본어…"와 같은(소가-소가) 동음 반복의 예
  • "せた '''二上山'''…|세타 '''니죠산'''일본어…"과 같은, "せた|세타일본어"에서 숫자인 "二|니일본어"에 걸리는 카케코토바와 같은 용법


으로 분류할 수 있다. 매우 대략적으로 나타내면, 음으로 걸리는 것과 의미로 걸리는 것의 2종류가 마쿠라코토바에는 인정된다. 한편 "あしひきの|아시히키노일본어"나 "ぬばたまの|누바타마노일본어"와 같이, 여러 설이 있지만 유래를 알 수 없는 마쿠라코토바도 많다. 이것은 『만요슈』 시대에는 이미 고정되어 있었으며, 선례에 따라 계속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마쿠라코토바는 메이지 시대까지의 것을 수집한 후쿠이 큐조의 조사[9]에 따르면, 1100종에 가까운 것이 존재한다.[7]

※ 이하 오십음도 순.

참조

[1] 서적 The Holy Kojiki -- Including, the Yengishiki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7-07-01
[2] 서적 Nihongi: Chronicles of Japan from the Earliest Times to A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08-01-01
[3] 서적 Orikuchi Shinobu Complete Works (折口信夫全集) Volume 1
[4] 서적 Kokin WakashÅ«: The First Imperial Anthology of Japanese Poetry : with Tosa Nikki and Shinsen Wak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5
[5] 서적 The Manyoshu: a New and Complete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Hokuseido Press 1967
[6] 서적 Hitomaro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7] 웹사이트 Makura kotoba {{!}} Waka Poetry https://www.wakapoet[...] 2022-04-08
[8] 간행물 枕詞と序詞 平凡社 1955
[9] 서적 枕詞の研究と釈義 不二書房 1927
[10] 서적 古代歌謡論
[11] 강좌 万葉集の枕詞 春陽堂書店
[12] 강좌 万葉集の枕詞 有精堂
[13] 서적 折口信夫全集 第1巻
[14] 논문 万葉集の連合表現 塙書房 1973
[15] 서적 折口信夫全集 第1巻など
[16] 논문 人麻呂の枕詞について 塙書房 1972
[17] 논문 枕詞における人麻呂の独創性
[18] 서적 古代和歌の発生
[19] 논문 言語遊戯としての枕詞
[20] 서적 萬葉集枕詞辞典 小学館 1990
[2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大辞林(第三版) 茜さす https://kotobank.jp/[...]
[22]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明星の https://kotobank.jp/[...]
[23]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赤ら引く https://kotobank.jp/[...]
[24]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秋風の https://kotobank.jp/[...]
[25]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秋草の https://kotobank.jp/[...]
[26]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第三版) 朝霧の https://kotobank.jp/[...]
[27]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第三版) 朝露の https://kotobank.jp/[...]
[28]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天雲の https://kotobank.jp/[...]
[29]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第三版) 石上 https://kotobank.jp/[...]
[30]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第三版) 妹が着る https://kotobank.jp/[...]
[3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第三版) 大君の https://kotobank.jp/[...]
[32]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神風や https://kotobank.jp/[...]
[33]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 千早振る https://kotobank.jp/[...]
[34] 웹사이트 学研全訳古語辞典 https://kobun.weblio[...]
[35] 기타 日本語はどこから生まれたか―「日本語」・「インド=ヨーロッパ語」同一起源説 https://www.meijigak[...] ベスト新書
[36] 웹사이트 コトバンク デジタル大辞泉・大辞林(第三版) 水鳥の https://kotobank.jp/[...]
[37] 문서 당긴다는 뜻의 하루와 봄이라는 뜻의 하루가 동음이의관계에 있음
[38] 문서 닥나무로 만든 침구의 일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