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시미누스 다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시미누스 다자(Maximinus Daza)는 4세기 로마 황제이다. 본명은 다자(Daza)이며, 외삼촌인 갈레리우스의 요청으로 막시미누스라는 이름을 얻었다. 갈레리우스가 동방의 아우구스투스가 되면서 카이사르로 임명되어 시리아와 이집트를 통치했고, 이후 스스로 아우구스투스를 칭하며 내전을 겪었다. 기독교 박해를 갱신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리키니우스와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타르수스에서 사망했다. 그는 이집트에서 파라오 칭호를 받은 마지막 인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13년 사망 - 서진 회제
서진 회제는 혜제의 뒤를 이어 서진의 제4대 황제가 되었으나, 팔왕의 난과 오호 십육국 시대의 혼란 속에서 제대로 통치하지 못하고 사마월에게 정권을 빼앗긴 후 흉노족 유연에게 포로로 잡혀 독살되었다. - 발레리우스 씨족 - 디오클레티아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3세기 위기 이후 로마 제국을 안정시키기 위해 군사, 행정, 경제 개혁을 단행하고 사두정치 체제를 도입하는 등 중앙집권화를 추진했으나, 최고가격령 실패와 기독교 박해라는 어두운 면도 남겼으며, 그의 통치는 로마 제국의 전환점이자 후대 제국에 영향을 미쳤다. - 발레리우스 씨족 - 콘스탄티누스 1세
콘스탄티누스 1세는 로마 황제로, 군사 경험을 바탕으로 황제가 되었고, 밀라노 칙령으로 기독교를 공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를 건설했으며, 니케아 공의회를 통해 기독교 교리 정립에 기여했다. - 로마 파라오 - 트라야누스
트라야누스는 로마 황제로서 다키아 정복과 파르티아 원정으로 영토를 확장하고 원로원과 협력하여 '최고의 황제'로 칭송받았으며, 대규모 건축 사업과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로마 제국의 발전과 사회 시스템 개선에 기여했다. - 로마 파라오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막시미누스 다자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크시미누스 2세 다자 |
로마자 표기 | Makseuminuseu 2se Daja |
다른 이름 | 다자 마크시미누스 2세 마크시민 |
본명 | 다자 |
칭호 | 아우구스투스 (동방) |
출생일 | 기원후 270년경 11월 20일 |
출생지 | 펠릭스 로물리아나 근처, 로마 다키아, 로마 제국 (현재 감지그라드, 세르비아) |
사망일 | 기원후 313년 7월경 (42세) |
사망지 | 타르수스, 킬리키아 프리마, 로마 제국 (현재 튀르키예) |
종교 | 고대 로마 종교 |
통치 | |
즉위 | 기원후 310년 - 313년 7월 |
이전 통치자 | 갈레리우스 |
다음 통치자 | 리키니우스 |
공동 통치자 | 콘스탄티누스 1세 (서방) 막센티우스 (서방) |
카이사르 재임 기간 | 기원후 305년 5월 1일 – 310년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갈레리우스 (양아버지) |
어머니 | 갈레리우스의 여동생 |
자녀 | 2명 이상 |
기타 정보 | |
로마자 이름 | Gaius Valerius Galerius Maximinus |
![]() |
2. 이름
막시미누스 다자의 본명은 '다자'(Daza)로, 그가 태어난 일리리아 지역에서 유래한 고대 이름이다. 기독교 작가 락탄티우스가 제시한 '다이아'(Daia)는 오기로 여겨진다.
막시미누스 다자는 로마 황제 갈레리우스의 누이의 아들이었고, 도나우강 주변 다키아 속주(마케도니아 속주와 함께 일리리쿰에 속함)의 펠릭스 로물리아나 인근 가족 영지(현재의 동부 세르비아에 해당)에서 태어난 농민 출신이었다.[3] 그는 어린 시절부터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며, 로마 군대에 입대하여 높은 명성을 얻었다.
308년, 리키니우스가 ''아우구스투스''(정제)로 추대된 후, 막시미누스와 콘스탄티누스 1세는 ''필리 아우구스토룸''('정제의 아들')으로 선언되었지만, 막시미누스는 310년 사산 제국과의 전쟁 중 자신의 군대의 지지를 받아 스스로를 ''아우구스투스''로 칭하기 시작했다.[4] 311년 갈레리우스가 사망하자, 막시미누스는 동방 제국을 리키니우스와 자신 사이에 분할했다.[4] 리키니우스와 콘스탄티누스 1세가 공통의 대의를 추구하기 시작하자, 막시미누스는 이탈리아를 통제하던 찬탈자 막센티우스와 비밀 동맹을 맺었다.[4] 그는 313년에 리키니우스와 공개적으로 결별했다.[4] 그는 7만 명의 군대를 소집했지만, 4월 30일 헤라클레아 페린투스 인근의 치랄룸 전투에서 치명적인 패배를 겪었다.[4] 그는 먼저 니코메디아로 도망쳤고, 그 후 타르수스로 도망쳤으며, 그곳에서 다음 해 8월에 사망했다.[4]
막시미누스는 기독교 연대기에서 갈레리우스의 관용 칙령이 발표된 후 기독교 박해를 다시 시작한 것으로 인해 논란이 많은 인물로 기록되었다.[4] 그는 기독교인 추방을 요구하는 여러 도시의 요구에 따라 행동했다.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가 기록한, 티레 주민들이 올린 청원에 대한 한 칙령에서[5] 막시미누스는 이교적 정통성을 설명하며, 좋은 작물, 건강, 평화로운 바다를 바랄 수 있는 것은 "신의 자비로운 배려"를 통해서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이 경건하지 않은 자들의 헛된 허영의 파괴적인 오류[가] 온 세상을 수치로 덮었다"라고 비난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리키아와 팜필리아 도시에서 기독교인을 금지해 달라고 요청한 현존하는 비문(CIL III.12132, 아르칸다 출토)에서 막시미누스는 또 다른 비문에서 "그 길에서 벗어나[...] 무덤에서 벗어난 것처럼 기뻐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답했다.[6]
그는 외삼촌인 갈레리우스 (다키아와 트라키아 출신의 로마 황제)[2]의 요청으로 '막시미누스'(Maximinus)라는 이름을 얻었다. 황제로서 그의 공식 이름은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누스 다자'(Galerius Valerius Maximinus Daza)였다. 현대 학계에서는 '막시미누스 다자'(Maximinus Daza)로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이 형태는 비문이나 문헌 증거로는 나타나지 않는다.
3. 초기 생애 및 경력
305년, 외삼촌 갈레리우스가 동부의 아우구스투스(정제)가 되면서 막시미누스를 아들로 입양하고 후계자로 삼아 카이사르(부제) 지위에 올리고, 시리아와 이집트를 통치하도록 했다.
4. 내전
5. 기독교 박해
콘스탄티누스가 막센티우스를 물리친 후, 막시미누스는 프라이토리아니우스 사비누스에게 "우리의 지방민들이 권유와 아첨을 통해 신을 숭배하도록 하는 것이 더 낫다"라고 썼다.[7] 결국, 리키니우스와의 충돌 직전에 그는 갈레리우스의 칙령을 받아들였다. 리키니우스에게 패배한 후, 타르수스에서 죽기 직전에 그는 기독교인에게 집회, 교회 건립, 몰수된 재산의 복원 등의 권리를 부여하는 자체 관용 칙령을 발표했다.[8]
5. 1. 이집트의 파라오
기독교가 이집트에서 계속 확산되면서, 파라오라는 칭호는 새로운 종교 운동과 점점 더 양립할 수 없게 되었다. 막시미누스가 비기독교인이었다는 사실은 이집트의 사제들에게 그를 다른 외국 통치자들이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파라오로 부를 기회를 제공했다. 하지만, 로마 황제들은 이집트인들이 자신들에게 부여한 지위를 대부분 무시했으며, 그들의 신왕으로서의 역할은 이집트인들 스스로 국내에서만 인정했다.[11] 막시미누스는 파라오의 전통적인 칭호를 부여받은 마지막 인물이 될 것이다. 기독교 로마/비잔틴 황제나 이슬람 또는 현대 지도자 중 그 누구도 이 칭호를 부활시키지 않았다. 전통적인 파라오 칭호를 사용한 마지막 군주로서, 막시미누스의 죽음은 3,400년 된 직위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6. 죽음
막시미누스의 죽음은 "절망, 독, 그리고 신의 정의"로 다양하게 묘사되었다.[12]
유세비우스[13]와 락탄티우스[14]가 묘사한 그의 죽음에 대한 설명과 이집트 안트리비스에서 발견된, 막시미누스에게 귀속되기도 하는 사두정치 시대의 조상에서 그레이브스 안병증이 나타난 점을 근거로, 내분비학자 피터 D. 파파페트루는 막시미누스가 그레이브스병으로 인한 심각한 갑상선 중독증으로 사망했을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다.[15]
313년 리키니우스 황제와 완전히 결별했지만, 소아시아의 헤라클레아 폰티카 근교에서 벌어진 치랄룸 전투(en)에서 대패(4월 30일)한 후, 니코메디아를 거쳐 타르수스로 도주하여 8월에 사망했다.
막시미누스는 사망 당시 결혼한 상태였으며, 8살 된 아들 막시무스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7살 딸이 있었다.
7. 유세비우스의 기록
교회사의 저술가인 유세비우스는 막시미누스가 탐욕과 미신에 사로잡혔으며, 매우 방탕한 삶을 살았다고 주장한다.[17] 유세비우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그는 어리석음과 술에 너무나 빠져서 술자리에서 정신이 나가고 미쳐버렸다. 술에 취해 명령을 내렸지만, 술이 깨고 나면 후회했다. 그는 음탕함과 방탕함에 있어서 그 누구도 자신을 능가하지 못하게 했고, 그 주변의 통치자들과 백성들에게 악행의 교사가 되었다. 그는 군대에게 온갖 종류의 연회와 무절제한 생활을 하도록 독려했고, 총독과 장군들에게 탐욕과 탐욕으로 백성을 학대하도록 부추겼는데, 마치 그들이 그와 함께 통치하는 자인 것 같았다.
> 그 남자의 방탕하고 뻔뻔한 행위를 굳이 말할 필요가 있을까, 그가 간통한 많은 사람들을 일일이 열거할 필요가 있을까? 그는 끊임없이 여성을 타락시키고 처녀를 강간하지 않고서는 도시를 지나갈 수 없었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오직 기독교인들만이 막시미누스에게 저항했다.[17]
> 왜냐하면 남자들은 불, 칼, 십자가형, 맹수, 깊은 바다, 사지 절단, 화형, 찌르기, 눈 뽑기, 몸 전체의 절단, 그리고 이 외에도 굶주림, 광산, 결박을 견뎌냈기 때문이다. 그들은 모두 하나님께 드려야 할 경외심을 우상에게 돌리는 것보다 종교를 위해 인내를 보였다.
> 그리고 여자들은 남자들보다 신성한 말씀의 가르침을 위해 덜 남자답지 않았으며, 남자들과의 갈등을 견뎌내고 동등한 미덕의 상을 받았다. 그리고 그들이 타락한 목적을 위해 끌려갔을 때, 그들은 몸을 불결함에 넘기기보다는 죽음을 택했다.
유세비우스는 막시미누스의 구애를 거절한 한 귀족 출신 기독교 여성에 대해 언급하며, 막시미누스가 그녀를 추방하고 그녀의 모든 재산과 자산을 압수했다고 기록했다.[17] 유세비우스는 그 소녀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지만, 티라니우스 루피누스는 그녀를 "도로테아"라고 부르며 그녀가 아라비아로 도망쳤다고 기록한다. 이 이야기는 알렉산드리아의 도로테아 전설로 발전했을 수 있다. 카이사르 바로니우스는 유세비우스의 기록에 나오는 소녀를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로 동일시했지만, 볼란디스트들은 이 이론을 거부했다.[17]
8. 가계도
wikitext
(고: ') |
style="text-align:left;" | |
참조
[1]
간행물
'On the Martyrs (Syrian), 6'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On the Deaths of the Persecutors
https://www.newadven[...]
[3]
웹사이트
Maximinus Daza
http://www.roman-col[...]
[4]
웹사이트
Re-cut colossal portrait head of Tetrach. Probably from Asia Minor. Late third to early fourth century.
http://laststatues.c[...]
Oxford University
[5]
웹사이트
Ecclesiastical History
http://www.newadvent[...]
2012-08-02
[6]
서적
The Interpretation of the New Testament in Greco-Roman Paganism
Mohr Siebeck
[7]
간행물
Ecclesiastical History
[8]
간행물
Ecclesiastical History
[9]
웹사이트
Life-size porphyry bust of Tetrarch. From Athribis (Augustamnica). 284-305.
http://laststatues.c[...]
2012
[10]
서적
Age of Spirituality: Late Antique and Early Christian Ar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77
[11]
논문
"The Emperor as Pharaoh: Provincial Dynamics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Imperial Authority in Roman Egypt, 30 B.C. - A.D. 69"
Dissertions of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2011
[12]
서적
Decline and Fall of the Roman Empire
[13]
간행물
Ecclesiastical History
[14]
웹사이트
On the Deaths of the Persecutors
https://www.newadven[...]
[15]
학술지
Maximinus Daia, a Roman emperor who may have had Graves' disease and died of a thyrotoxic crisis
http://www.hormones.[...]
[16]
간행물
Ecclesiastical History
[17]
웹사이트
Santa Dorotea di Alessandria su santiebeati.it
http://www.santiebea[...]
2020-0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