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락탄티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락탄티우스는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 로마 제국 시대의 기독교 작가이자 수사학자였다. 북아프리카 출신으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요청으로 니코메디아에서 수사학 교수로 활동하다가 기독교로 개종한 후 박해를 피해 공직에서 물러났다. 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 크리스푸스의 라틴어 가정교사로 임명되어 트리어로 갔으며, 주요 저서로는 기독교 변증서인 《신성 교리》, 《신의 창조》, 《박해자들의 죽음에 관하여》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기독교 사상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종말론적 견해를 담고 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재조명받았으나, 사후 이단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2. 생애

락탄티우스는 북아프리카의 푸니[4] 또는 베르베르[5][6] 혈통으로 추정되며, 비기독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시카 베네리아에서 아르노비우스 밑에서 공부했으며, 젊은 시절에는 고향인 누미디아키르타 등지에서 수사학을 가르쳤다.[7]

초기에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부름을 받아 제국 동방의 주요 도시인 니코메디아에서 공식 수사학 교수로 활동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쌓았다.[8] 이곳 황궁에서 그는 여러 관리 및 학자들과 교류했으며, 훗날 황제가 되는 콘스탄티누스와 갈레리우스를 처음 만나기도 했다.[9] 그러나 기독교로 개종한 후,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가 시작되자(303년)[10][11][29][30] 교수직을 사임하고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히에로니무스에 따르면 그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후원자가 되기 전까지 저술 활동으로 생계를 유지했다고 한다.

이후 콘스탄티누스 1세는 노년의 락탄티우스를 발탁하여(311년 또는 313년경)[12] 자신의 아들 크리스푸스의 라틴어 가정교사로 임명했다.[12] 317년, 크리스푸스가 카이사르(부제)가 되어 트리어로 파견되자 락탄티우스도 그를 따라갔다.[13] 크리스푸스는 326년 아버지의 명령으로 처형되었으나,[13] 락탄티우스의 정확한 사망 시기와 상황은 알려지지 않았다.[13]

락탄티우스는 로마의 전통 종교를 믿는 교양인들을 대상으로 기독교를 변호하는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저서 신성 강요는 초기 기독교 사상을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꼽힌다. 그는 유려하고 정교한 라틴어 문체로 인해 후대, 특히 르네상스 인문주의자들에게 "기독교의 키케로"라 불리며 높이 평가받았다.[27][31]

2. 1. 초기 생애와 경력

푸니[4] 또는 베르베르[5][6] 출신인 락탄티우스는 기독교를 믿지 않는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는 누미디아의 시카 베네리아(오늘날 튀니지의 엘 케프에 해당하는 도시)에서 아르노비우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젊은 시절에는 고향인 누미디아의 키르타에서 수사학을 가르쳤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곳에서 "L. 카이킬리우스 피르마누스(L. Caecilius Firmianus)"라는 이름이 언급된 비문이 발견되기도 했다.[7]

락탄티우스는 초기에 성공적인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요청으로 니코메디아의 공식 수사학 교수가 되었으며, 아프리카에서 니코메디아까지의 여정은 현재는 소실된 그의 시 ''호도에포리쿰(Hodoeporicum)''에 묘사되어 있다.[8] 니코메디아의 황궁에서 그는 관리이자 논쟁가였던 소시아누스 히에로클레스 및 신플라톤주의 철학자 포르피리오스와 교류했다. 또한 이곳에서 훗날 황제가 되는 콘스탄티누스와 갈레리우스를 처음 만났는데, 락탄티우스는 이후 자신의 저술에서 갈레리우스를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를 주도한 인물로 비판적으로 묘사했다.[9][28] 기독교로 개종한 후,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가 궁정 내 기독교인들을 숙청하기 시작하고 첫 번째 "기독교인에 대한 칙령"(303년 2월 24일)을 발표하기 전에 교수직을 사임했다.[10][11][29][30]

2. 2. 기독교 개종과 박해

기독교로 개종한 후, 락탄티우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측근에서 기독교인들을 숙청하기 시작하고 첫 번째 "기독교인에 대한 칙령"(303년 2월 24일)을 발표하기 전에 니코메디아에서의 교수 직책을 사임했다.[10][11][29][30] 니코메디아에 있을 당시 그는 관리이자 논쟁가였던 소시아누스 히에로클레스 및 네오플라톤주의 철학자 포르피리오스와 교류했으며, 콘스탄티누스와 갈레리우스를 처음 만났다. 락탄티우스는 이후 자신의 저술에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당시 갈레리우스를 악당으로 묘사했다.[9][28]

라틴어 수사학자였던 그는 직책을 그만둔 후 히에로니무스에 따르면 가난하게 살았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가 그의 후원자가 되기 전까지 저술 활동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박해를 피해 니코메디아를 떠나 아프리카 북부로 이주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후 콘스탄티누스는 노년의 락탄티우스를 발탁하여 그의 아들 크리스푸스의 라틴어 가정교사로 임명했다.

2. 3. 콘스탄티누스 시대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박해 이후, 히에로니무스에 따르면 락탄티우스는 라틴어 수사학자로서 가난하게 살았으며, 콘스탄티누스 1세가 후원자가 될 때까지 저술 활동으로 생계를 유지했다.[29][30] 새로운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311년 또는 313년경 노년의 락탄티우스를 등용하여[12] 자신의 아들 크리스푸스의 라틴어 교사로 삼았다.[12][29][30] 당시 크리스푸스는 10세에서 15세 사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2] 317년, 크리스푸스가 카이사르(부제)로 임명되어 트리어로 파견되자, 락탄티우스도 그를 따라 트리어로 갔다.[13] 그러나 크리스푸스는 326년 아버지 콘스탄티누스 1세의 명령으로 사형당했다.[13] 락탄티우스가 언제, 어떤 상황에서 사망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3]

3. 작품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과 마찬가지로 락탄티우스는 고전 문학의 모델에 영향을 받았다. 히에로니무스는 그의 글쓰기 스타일을 높이 평가하며 "키케로에 필적할 만한 유려한 문장력"을 지녔다고 언급했지만, 동시에 "다른 사람들의 주장을 비판하는 것만큼 우리의 교리를 가르치는 데 열정적이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기독교 변증가로서의 한계를 언급하기도 했다.[14] 이러한 문체적 특징 때문에 초기 인문주의자들은 그를 "Cicero Christianus|키케로 크리스티아누스la"라고 부르기도 했다.[13] 그의 대표작인 『신성 교리』의 한 번역자는 락탄티우스가 "저술한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식, 달콤한 표현, 우아하고 세련된 문체 때문에 기독교 교부들 사이에서 항상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해 왔다"고 평가했다.[15]

3. 1. 주요 작품


  • `신의 창조` (De Opificio Deila, "신의 작품에 대하여")는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시기인 303년 또는 304년에 쓰인 변증적 저술이다.[38][13] 이 작품은 락탄티우스의 이전 제자였던 부유한 기독교인 데메트리아누스(Demetrianus)에게 헌정되었다.[38] 락탄티우스의 모든 저술에 깔린 변증 원리가 이 논고에서 잘 드러난다.[38][13]
  • `신성 교리` (Institutiones Divinae, Divinarum Institutionum Libri VIIla, "신적 제도")는 303년에서 311년 사이에 쓰여진 락탄티우스의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38][13][32] 이 책은 "이탈리아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 중 하나이자 최초로 날짜가 기록된 이탈리아 인쇄물"이었다.[39][18] 변증적 논문으로서, 이교 신앙의 무익함을 지적하고 이교 비판가들에 맞서 기독교의 합리성과 진실성을 확립하고자 했다.[40][19] 또한 라틴어로 기독교 신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최초의 시도였으며, 모든 반대자들을 잠재울 만큼 광범위한 규모로 계획되었다.[40][19] 히에로니무스는 그의 문체가 키케로에 필적할 만큼 유려하지만, 기독교 교리를 설명하는 데는 부족하다고 평가했다.[14] 패트릭 힐리(Patrick Healy) 역시 "락탄티우스의 강점과 약점은 그의 작품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아름다운 문체와 용어의 선택 및 적절성은 저자의 기독교 원리에 대한 이해 부족과 성경에 대한 거의 완전한 무지를 숨길 수 없다"고 지적했다.[38][13] 이 논고에는 20세기 초까지 단 두 개의 사본만 알려졌던 솔로몬의 찬가 중 19번째 찬가가 인용되어 있다.[41][34] 그러나 락탄티우스가 지구 구형설을 조롱한 것[42][21][35]은 훗날 코페르니쿠스에게 "유치하다"는 비판을 받았다.[43][22][36]
  • 『신성 교리』의 요약본(Epitomela)도 존재하며, 주제를 간략하게 다룬다.[44][15]
  • `신의 분노에 대하여` (De Ira Deila, "신의 분노")는 스토아 학파에피쿠로스 학파를 비판하는 작품이다.[44] 이 책에서는 신의 의인화 개념을 다루고 있다.
  • `박해자들의 죽음에 관하여` (De Mortibus Persecutorumla, "박해자들의 죽음")는 변증적 성격을 지니지만, 기독교 저술가들에게는 역사서로 취급받아 왔다.[38] 이 책은 기독교를 박해했던 로마 황제들의 죽음을 묘사한다. 대상 인물은 네로, 도미티아누스, 데키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렐리아누스 등 락탄티우스 이전 시대의 황제들과, 락탄티우스와 동시대 인물인 디오클레티아누스, 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 막시미누스 다이아이다.[38] 각 일화는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었지만, 마지막이자 가장 큰 박해에 대한 연대기로 여겨진다.[38] 특히 이 책에는 콘스탄티누스 1세기독교개종하기 전에 키 로 (Χι Ρο|키 로el, ☧) 환시를 보았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38] 락탄티우스는 니코메디아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정과 갈리아의 콘스탄티누스 궁정에 머물렀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 책을 저술했기 때문에, 기록된 사건에 대한 귀중한 1차 자료로 평가받는다. 전체 텍스트는 ''Lucii Caecilii liber ad Donatum Confessorem de Mortibus Persecutorumla''라는 제목이 붙은 단 하나의 사본에서만 발견된다.[38]
  • 시 `불사조` (de Ave Phoenicela)는 락탄티우스의 작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기독교적인 색채는 뚜렷하지 않다. 이 시는 신화 속의 새인 피닉스가 죽고 다시 태어나는 이야기를 다룬다. 이 시는 후대의 유명한 앵글로색슨 시 ''The Phoenix''의 주요 원전이 된 것으로 보인다.
  • `작품집` (Operala)은 락탄티우스의 저작들을 모은 것이다.
    1465년 필사본인 ''Opera''의 한 페이지. 다양한 색상의 펜 작업이 특징이다.
    이탈리아 수비아코의 수도원에서 인쇄된 초판본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 판본은 18세기 후반까지 이탈리아에 있었으며, 메시나의 빈첸초 마리아 카라파 공작 도서관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1817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보들리 도서관이 이 책을 입수하여 소장하고 있다.[45]

3. 2. 기타 작품

락탄티우스의 저술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기독교적 색채는 뚜렷하지 않은 시 『불사조』(De Ave Phoenice|la)가 있다. 이 시는 신화 속 새인 불사조가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는 이야기를 다룬다. 또한, 이 작품은 후대에 고대 영어로 쓰인 유명한 시 '불사조'의 주요 원전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

4. 사상

락탄티우스는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변증가이자 작가로 활동하며, 그의 사상은 주로 기독교 신앙을 변호하고 이교 사상을 비판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당대의 교육받은 로마 제국 지식인들에게 기독교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헬레니즘 철학수사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그의 사상은 크게 두 가지 주요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기독교 교리의 합리성과 진실성을 논증하고 이교 신앙의 허점을 파고드는 변증론이다. 대표적인 저서인 《신적 제도》(Divinae Institutionesla)는 라틴어로 기독교 신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초기 시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둘째는 세상의 마지막과 그리스도의 재림 이후에 대한 종말론이다. 그는 초대 교회의 일부 흐름을 따라 천년왕국설을 주장하며, 그리스도가 재림하여 지상에서 천 년 동안 다스릴 것이라고 보았다.

락탄티우스는 유려한 문체와 논리적인 서술로 '기독교의 키케로'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으나, 성경 해석이나 일부 사상에 대해서는 후대에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그의 저술은 당시 기독교가 로마 사회에 뿌리내리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 1. 변증론

락탄티우스는 교육받은 로마 제국의 전통 종교 신자들에게도 이해될 수 있는 용어로 기독교를 설명하고자 변증적 저술을 남겼다. 그는 헬레니즘 철학자들의 비판에 맞서 기독교 신앙을 옹호했으며, 그의 저서 《신적 제도》(Divinae Institutionesla)는 기독교 사상을 체계적으로 제시한 초기 사례로 평가받는다.

주요 변증적 저술은 다음과 같다.

  • 《신의 창조》(De opificio Deila):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기간인 303년 또는 304년에 쓰였다. 이 책은 부유한 기독교 신자이자 저자의 전 제자였던 데메트리아누스에게 헌정되었다. 락탄티우스의 모든 저술에 나타나는 변증적 원리가 이 논문에 잘 드러나 있다.[13]
  • 《신적 제도》(Institutiones Divinaela): 303년과 311년 사이에 저술된[13] 락탄티우스의 가장 중요한 작품이다. 이 책은 "이탈리아에서 인쇄된 최초의 책 중 하나이자 최초로 날짜가 기록된 이탈리아 인쇄물"이었다.[18] 변증적 논문으로서 이교 신앙의 무의미함을 지적하고, 이교도 비평가들의 주장에 반박하며 기독교의 합리성과 진실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또한 라틴어로 기독교 신학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려는 최초의 시도였으며, 모든 반대 의견을 잠재울 만큼 포괄적인 규모로 기획되었다.[19] 하지만 패트릭 힐리(Patrick Healy)는 "락탄티우스의 강점과 약점은 그의 작품에서 가장 잘 드러난다. 아름다운 문체와 용어의 선택과 적절성은 저자의 기독교 원리에 대한 이해 부족과 성경에 대한 거의 완전한 무지를 숨길 수 없다"고 비판하기도 했다.[13] 이 논문에는 20세기 초까지 알려진 두 개의 솔로몬의 시편 중 하나인 열아홉 번째 시편의 인용구가 포함되어 있다.[20] 한편, 그가 지구가 둥글다는 생각을 조롱한 것[21]은 훗날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에 의해 "유치하다"는 비판을 받았다.[22]
  • 《박해자들의 죽음에 관하여》(De mortibus persecutorumla): 변증적 성격을 띠면서도, 락탄티우스가 니코메디아의 디오클레티아누스 궁정과 갈리아의 콘스탄티누스 궁정에 있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해 귀중한 1차 사료로 간주된다. 락탄티우스는 이 저술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나는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이 모든 일을 이야기하며, 이처럼 중요한 사건들의 기억이 사라지지 않도록, 그리고 미래의 어떤 박해자 역사가가 진실을 왜곡하지 않도록 정확하게 일어난 대로 기록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다." [23]
    이 책은 네로, 도미티아누스, 데키우스, 발레리아누스, 아우렐리아누스 등 이전 시대의 기독교 박해자들뿐만 아니라, 락탄티우스와 동시대 인물이었던 디오클레티아누스, 막시미아누스, 갈레리우스, 막시미누스 다이아, 막센티우스의 죽음을 묘사한다. 각 일화는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도록 배열되었지만, 마지막이자 가장 큰 박해의 연대기로 여겨진다. 특히 콘스탄티누스 1세가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 키 로(Chi Rho) 상징을 보았다는 이야기가 이 책에 보존되어 있다. 전체 본문은 '루키우스 카이킬리우스의 도나투스 신부에게 보내는 박해자들의 죽음에 관한 편지'(Lucii Caecilii liber ad Donatum Confessorem de Mortibus Persecutorumla)라는 제목의 단일 사본으로만 전해진다.[13]
  • 《신적 제도》의 《요약》(Epitomela): 《신적 제도》의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한 논의이다.[15]


4. 2. 종말론

1420년에서 1430년경 플로렌스(Florence)에서 구글리엘미노 타냐글리아(Guglielmino Tanaglia)가 쓴 르네상스 사본에 있는 락탄티우스(Lactantius)의 ''신의 제도(Divinae institutiones)'' 서두


초기 교회의 다른 많은 저술가들처럼, 락탄티우스는 천년왕국설적 견해를 취했다. 그는 그리스도의 재림 이후 지상에서 천 년간의 통치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학자 찰스 E. 힐(Charles E. Hill)에 따르면, "4세기 초 락탄티우스에게서 우리는 더 '진정한' 형태의 천년설을 되살리려는 단호한 시도를 본다."[16] 락탄티우스는 시빌라의 예언을 광범위하게 인용했는데, 비록 오늘날 시빌라 신탁은 위작으로 여겨지지만 당시에는 그렇지 않았다. 그의 저서 ''신의 제도(The Divine Institutes)'' 7권은 그가 유대교, 기독교, 이집트, 이란의 종말론적 자료에 대해 잘 알고 있었음을 보여준다.[17]

그러나 종말의 시기를 정확히 밝히려는 시도는 사도행전 1장 7절("아버지께서 자기의 권능으로 정하신 시대나 때는 너희가 알 바 아니니라")[17] 이나 마가복음 13장 32절("그러나 그 날과 그 시간은 아무도 모르나니 하늘의 천사들도, 아들도 모르고 오직 아버지만 아시느니라")과 같은 성경 구절과 모순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5. 평가와 유산

(내용 없음)

5. 1. 긍정적 평가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과 마찬가지로 락탄티우스는 고전적인 글쓰기 방식을 따랐다. 히에로니무스는 그의 글쓰기 스타일을 칭찬하며 "툴리우스에 필적할 만한 유려한 문장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14] 이러한 유려한 문체 덕분에 초기 인문주의자들은 그를 "기독교 키케로"(Cicero Christianus)라고 부르기도 했다.[13] ''신제도''의 한 번역자는 락탄티우스가 "저술한 내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식, 달콤한 표현, 우아하고 세련된 문체 때문에 기독교 교부들 사이에서 항상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해 왔다"고 기록했다.[15]

5. 2. 현대의 유산

불분명한 이유로 그는 사후 이단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6세기의 겔라시우스 교령은 그의 저술을 외경으로 규정하고 읽지 말 것을 선고했다.[24] 르네상스 시대의 인문주의자들은 그의 신학보다는 정교한 라틴어 수사법 때문에 그에게 다시 관심을 가졌다. 그의 저술은 15세기에 여러 차례 필사본으로 복사되었고, 1465년 독일인 아놀드 판나르츠와 콘라트 슈바인하임에 의해 수비아코 수도원에서 최초로 인쇄되었다. 이 판본은 인쇄 날짜가 표기된 이탈리아 최초의 책이자, 어디에도 사용된 적이 없는 최초의 그리스 알파벳 글꼴을 사용한 책이었다. 이 글꼴은 인쇄 과정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며, 초기 페이지에는 그리스어 텍스트가 비어 있다. 아마도 이탈리아에서 인쇄된 네 번째 책이었을 것이다. 이 판본의 한 권은 2000년 경매에서 100만달러가 넘는 가격에 팔렸다.[25]

참조

[1] 서적 The Making of a Christian Empire: Lactantius and Rome Cornell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The Phoenix through the Ages https://www.swarthmo[...] 2022-11-17
[3] 서적 Early Christian Latin Poets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서적 A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P. Smith 1967
[5] 서적 Annales de la Société d'histoire et d'archéologie de l'arrondissement de Saint-Malo https://books.google[...]
[6] 서적 Dérives https://books.google[...]
[7] 서적 Chronologie d. altchr. Lit.
[8] 서적 Latin Literature: A Histo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016-08-29
[9] 서적 Constantine, Roman Emperor, Christian Victor
[10]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11] 서적
[12] 서적 Constantine: Dynasty, Religion and Power in the Later Roman Empire
[13] 웹사이트 Lucius Caecilius Firmianus Lactantius http://www.newadvent[...] 2016-02-26
[14] 서적 On the Deaths of the Persecutors: A Translation of De Mortibus Persecutorum by Lucius Cæcilius Firmianus Lactantius http://www.evolpub.c[...] Evolution Publishing
[15] 서적 The Works of Lactantius http://www.ccel.org/[...]
[16] 잡지 Why the Early Church Finally Rejected Premillennialism http://www.mountainr[...] 1996-01
[17] 서적 Visions of the En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The Rubrics of the First Book of Lactantius Firmianus's On the Divine Institutes Against the Pagans Begin http://www.wdl.org/e[...] 2011-10-17
[19] 서적 The Divine Institutes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 서적 The Odes of Solomon Oxford UP
[21] 웹사이트 Divine Institutes, Book III Chapter XXIV http://www.ccel.org/[...]
[22] 웹사이트 The Revolutions of the Heavenly Spheres http://www.webexhibi[...]
[23] 서적 On the Deaths of the Persecutors http://www.evolpub.c[...]
[24] 웹사이트 Gelasian Decree http://patristica.ne[...]
[25] 웹사이트 Lot 65 Sale 6417 LACTANTIUS, Lucius Coelius Firmianus (c. 240–c. 320). Opera. http://www.christies[...] 2010-12-29
[26] 서적 The Making of a Christian Empire: Lactantius and Rome
[27] 서적 The Works of Lactantius http://www.ccel.org/[...]
[28] 서적 Constantine, Roman Emperor, Christian Victor
[29]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30] 서적
[31] 웹사이트 Lot 65 Sale 6417 LACTANTIUS, Lucius Coelius Firmianus (c. 240–c. 320). Opera. http://www.christies[...] 2010-12-29
[32] 서적 ボッティチェリ《プリマヴェラ》の謎 ルネサンスの芸術と知のコスモス、そしてタロット 勁草書房
[33] 서적 The Divine Institutes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34] 서적 The Odes of Solomon Oxford UP
[35] 웹사이트 Divine Institutes, Book III Chapter XXIV http://www.ccel.org/[...]
[36] 서적 The Revolutions of the Heavenly Spheres http://www.webexhibi[...]
[37] 서적 한눈에 보는 성경 조직신학
[38] 웹사이트 Lucius Caecilius Firmianus Lactantius http://www.newadvent[...] 2016-02-26
[39] 웹인용 The Rubrics of the First Book of Lactantius Firmianus's On the Divine Institutes Against the Pagans Begin http://www.wdl.org/e[...] 2014-03-01
[40] 서적 The Divine Institutes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41] 서적 The Odes of Solomon Oxford UP
[42] 웹인용 Divine Institutes, Book III Chapter XXIV http://www.ccel.org/[...]
[43] 서적 The Revolutions of the Heavenly Spheres http://www.webexhibi[...]
[44] 서적 The Works of Lactantius http://www.ccel.org/[...]
[45] 웹사이트 Polonsky Foundation Digitization Project: full scan of Lucius Coelius Firmianus Lactantius, Opera http://viewer.bodlei[...] 2015-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