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각 중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각 중독은 맥각균에 오염된 곡물 섭취, 특히 호밀 섭취로 발생하는 중독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경련성 증상(발작, 근육 경련, 환각 등)과 괴저성 증상(혈관 수축으로 인한 손가락, 발가락 괴사)이 나타난다. 역사적으로 유럽에서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성 안토니의 불"로 불리며 종교적, 문화적 해석과 연결되기도 했다.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고발자들의 증상과 연관되어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곡물 관리 시스템 발달로 인해 발생 빈도가 매우 낮다. 예방을 위해서는 오염된 곡물을 제거하고, 윤작 등의 농업적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계 질환 - 앨리스 증후군
앨리스 증후군은 시각, 촉각, 청각, 신체 이미지 인지 등 다양한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사물이 왜곡되어 보이는 감각 인지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 왜곡을 특징으로 하며, 뇌의 혈류 이상, 감염성 질환, 편두통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신경계 질환 - 신경통
신경통은 특정 말초 신경 영역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통칭하며, 원인 불명의 특발성부터 대상 포진 후 신경통과 같은 증후성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작성 통증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질환으로, 통증 병력, 신체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약물, 물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맥각 중독 | |
---|---|
일반 정보 | |
![]() | |
동의어 | 세인트 앤서니의 불 맥각 독성증 |
로마자 표기 | Eogeot-ijeum |
라틴어 | |
상세 정보 | |
분야 | 해당 없음 |
증상 | convulsive ergotism: 경련, 설사, 감각이상, 조증, 정신병, 두통, 구역질, 구토 gangrenous ergotism: 탈피, 약한 말초 맥박, 말초 감각 상실, 부종 |
합병증 | 해당 없음 |
발병 | 해당 없음 |
지속 기간 | 해당 없음 |
유형 | 경련성 괴저성 |
원인 | 장기간 맥각 중독 |
위험 요소 | 해당 없음 |
진단 | 해당 없음 |
감별 진단 | 해당 없음 |
예방 | 해당 없음 |
치료 | 해당 없음 |
약물 | 해당 없음 |
예후 | 해당 없음 |
빈도 | 해당 없음 |
사망 | 해당 없음 |
2. 원인
맥각 중독은 주로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다.
- 곰팡이 ''Claviceps purpurea''에 오염된 곡물(특히 호밀)을 섭취하는 경우[3]
- 메틸에르고메트린, 에르고타민 등 맥각 기반 약물을 과다 복용하거나, 에리스로마이신과 같은 강화제와 상호작용하는 경우
- 수유를 통해 어머니로부터 아이에게 맥각 알칼로이드가 전달되는 경우
3. 증상
맥각 중독의 증상은 크게 경련성 증상과 괴저성 증상으로 나눌 수 있다.[1]
맥각 곰팡이가 생성하는 활성 화합물인 맥각 알칼로이드는 심각한 혈관 수축을 일으켜 괴저 및 경련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맥각 알칼로이드는 인체 내 신경전달물질과 호르몬을 모방하여 환각을 일으키고 호르몬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만성적인 맥각 알칼로이드 노출은 뇌하수체에 작용하여 자연 유산 및 불임과 같은 생식 문제와 관련이 있다.[1]
3. 1. 경련성 증상
경련 증상에는 고통스러운 발작과 경련, 설사, 이상감각, 가려움증, 조증 또는 정신병을 포함한 정신적 영향, 두통, 구역질 및 구토가 포함된다.[1] 일반적으로 위장관 영향이 중추 신경계 영향보다 먼저 나타난다.
3. 2. 괴저성 증상
건성 괴저는 곰팡이의 에르고타민-에르고크리스틴 알칼로이드에 의해 유도된 혈관 수축의 결과이다. 이것은 손가락과 발가락과 같이 혈관이 덜 분포된 원위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증상으로는 박리, 약한 말초 맥박, 말초 감각의 상실, 부종 및 궁극적으로 영향을 받은 조직의 사망 및 손실 등이 있다. 혈관 수축은 혈관 확장제로 치료한다.[2]4. 역사
맥각 중독은 역사 속에서 여러 차례 기록되었으며, 특히 유럽에서 자주 발생했다. 944년 프랑스에서는 맥각 중독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환각, 괴저, 경련 등의 증상을 겪었다.[5] 중세 시대에는 괴저성 맥각 중독을 "성스러운 불" 또는 "성 안토니오의 불"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성 안토니우스 수도회 수도사들이 이 병을 치료하는 데 뛰어났기 때문이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헤임스크링글라is에는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2세가 헤이스팅스 전투 직후 맥각 중독으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12세기 연대기 작가 조프루아 드 브뢰이유 드 비조아는 프랑스 리무쟁 지역에서 발생한 괴저성 맥각 중독이 성 마르샬과 관련이 있다고 기록했다. 1129년경 파리에서 발생한 맥각 중독은 성 주느비에브의 유물로 치유되었다고 전해지며, 11월 26일 "불타는 자들의 축일"에 이를 기념했다.[6]
1676년 드니 도다르는 프랑스 왕립 과학 아카데미에 보낸 편지에서 맥각과 빵 중독의 관계를 보고했다. "맥각 중독"이라는 용어는 1853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19세기까지 맥각 중독은 여러 차례 유행했다. 선진국에서는 호밀을 주의 깊게 검사하면서 발병이 줄었지만, 1951년 프랑스 퐁생테스프리에서는 맥각 중독과 유사한 심각한 발병으로 5명이 사망하기도 했다.[8] 이 사건은 존 그랜트 풀러의 저서 ''성 안토니의 불의 날''에 자세히 묘사되어 있다.[9]
기원전 3세기 말의 늪 시체인 그라우발레 남자의 창자에서 맥각 자낭각이 발견되기도 했다.[10] 맥각을 제분하면 붉은 가루가 되는데,[11] 밝은 색 곡물에서는 쉽게 보이지만 어두운 호밀가루에서는 눈에 띄지 않는다. 2001년 에티오피아에서는 오염된 보리로 인해 맥각 중독이 발생하기도 했다.
1692년 세일럼 마녀 재판과 맥각 중독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 참조)
4. 1. 세일럼 마녀 재판과의 연관성 (논란)
1976년, 린디 R. 카포럴(Linnda R. Caporael)은 사이언스에 기고한 논문에서 맥각 중독의 경련성 증상이 세일럼 마녀 재판 당시 고발자들이 보인 증상과 유사하다고 주장했다.[15] 카포럴은 피부에 기어가는 듯한 느낌, 손가락 저림, 현기증, 이명, 두통, 감각 장애, 환각, 고통스러운 근육 수축, 구토, 설사, 그리고 조증, 우울증, 정신병, 섬망과 같은 심리적 증상이 모두 세일럼 마녀 재판 기록에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또한, 당시 세일럼 지역에는 호밀이 풍부했고, 호밀이 맥각균에 오염될 수 있는 기후 조건이었다고 덧붙였다.[15] 1982년, 역사학자 메리 킬본 마토시안은 아메리칸 사이언티스트에 실린 논문에서 카포럴의 이론을 지지하며, "마법에 걸린" 증상이 맥각 중독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증상과 유사하다고 주장했다.[16]하지만 맥각 중독이 세일럼 마녀 재판의 원인이라는 가설은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여러 학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카포럴의 논문이 발표된 지 1년 만에 역사학자 니콜라스 스파노스와 잭 고틀리브는 같은 저널에서 이 이론을 반박했다.[17] 스파노스와 고틀리브는 맥각 중독이 실제로 세일럼에 존재했다면, 증상이 개인별이 아닌 가구별로 나타났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즉, 온 가족, 특히 모든 어린이가 증상을 보였어야 했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맥각 중독의 전형적인 증상인 기어가는 감각, 저림, 현기증, 이명, 구토, 설사 등은 세일럼 사건 기록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경련성 맥각 중독은 비타민 A 결핍으로 고통받는 공동체에서만 발생하는데, 유제품을 쉽게 구할 수 있었던 세일럼 주민들은 비타민 A가 부족할 이유가 없었다고 강조했다.[18]
이러한 반론에도 불구하고, 역사학자 레온 해리어는 가구 구성원 중 일부만 증상을 보인 것은 그들이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리세르그산 디에틸아미드(LSD)와 화학적으로 유사한 맥각은 일반적인 사람의 위산 환경, 특히 제대로 조리된 음식에서는 살아남지 못하지만, 영양실조나 위궤양 출혈이 있는 사람들은 위벽을 통해 독소를 흡수하여 혈류로 직접 들어갈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인류학자 H. 시드키는 맥각 중독이 세일럼 마녀 재판 수세기 전부터 알려져 있었고, 그 증상은 당시 사람들이 충분히 인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9]
2003년에는 서로 다른 자낭균 균주, 즉 맥각균(Claviceps purpurea)에서 생성된 맥각과 서로 다른 토양에서 자란 맥각이 서로 다른 맥각 알칼로이드 성분을 생성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이는 서로 다른 유행병에서 맥각 중독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인강 동쪽의 유럽에서 온 맥각에서 고농도로 존재하는 알칼로이드는 경련성 맥각 중독을, 서쪽에서 온 맥각은 괴저성 맥각 중독을 유발했을 수 있다.[20]
5. 예방
곡류의 맥각 제거는 수확물을 소금물 용액에 넣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맥각은 뜨고 건강한 곡물은 가라앉는다.[4] 감염된 밭은 깊이 갈아야 한다. 맥각은 흙 속 2.5cm 이상 묻히면 발아할 수 없으며 따라서 포자를 공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는다. 맥각 포자는 1년만 살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하지 않은 식물을 사용하여 윤작을 하면 감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윤작과 깊이 갈기, 예를 들어 깊은 보습 쟁기질은 21세기 많은 곡물 작물이 "무경운" 방식으로 파종되기 때문에 맥각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토양 침식을 줄이기 위해 새 작물을 이전 작물의 그루터기에 직접 파종한다). 맥각 확산을 제한하기 위해 야생 및 탈출한 풀과 목초지를 꽃이 피기 전에 깎을 수 있다.
화학적 방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상업적 운영에서는 경제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며, 그러한 방제 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유리한 조건에서는 맥각 포자의 발아가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6. 진단
곡물 또는 풀 이삭에서 짙은 보라색 또는 검은색의 맥각 병체를 확인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식물에서 맥각 병체는 일반 곡물 낱알보다 크지만, 밀의 종류에 따라서는 더 작을 수 있다.
역사적으로 맥각균에 오염된 곡물을 섭취하면 맥각 중독이 발생하기도 한다.[1] 수유를 통해 어미에게서 자식에게로 알칼로이드가 전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젖먹이에게도 맥각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1]
7. 치료
건성 괴저는 에르고타민-에르고크리스틴 알칼로이드 균에 의해 일어나는 혈관 수축의 결과이며, 혈관 확장제로 치료한다.[23][2]
8. 대한민국 현황
현대적인 곡물 생산, 유통, 저장 시스템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맥각 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련 기관에서 곡물 및 식품 안전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식품 안전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책적 지원을 통해 국민 건강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9. 문화 및 종교적 관점
중세 유럽에서 맥각 중독은 때때로 신의 징벌이나 마법으로 해석되었다. 특히 환각과 경련과 같은 증상은 악마 들림 혐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21] 이 질병은 "성스러운 불" 또는 "성 안토니의 불"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성 안토니우스 수도회의 수도사들이 이 질병 치료에 특히 성공적이었기 때문이다.[21] 마티아스 그뤼네발트의 그림 "성 안토니오의 유혹"에는 진행성 맥각 중독 환자가 묘사되어 있다.
10. 환경적 요인
춥고 습한 날씨는 맥각균의 성장을 촉진하며, 곡물의 열악한 저장 환경은 오염 위험을 증가시킨다. 현대에는 농업 관행의 변화와 질병에 강한 작물 품종의 도입으로 인해 맥각 중독이 거의 사라졌다.[22]
참조
[1]
논문
History of ergot alkaloids from ergotism to ergometrine
http://dx.doi.org/10[...]
1995-06
[2]
논문
Successful treatment of ergotism with Iloprost—a case report
1998-06
[3]
웹사이트
Has Ergot Altered Events in World History?
https://cropwatch.un[...]
unl.edu
2017-08-17
[4]
웹사이트
Ergot of Small Grain Cereals and Grasses and Its Health Effects on Humans and Livestock
http://ianrpubs.unl.[...]
2011
[5]
논문
French Revolution
http://dx.doi.org/10[...]
2024-08-06
[6]
웹사이트
Missale Parisiense
http://gallica.bnf.f[...]
[7]
문서
cockspur
[8]
서적
Principles and Practice of Toxicology in Public Health
Jones & Bartlett
[9]
서적
The Day of St Anthony's Fire
Hutchinson
[10]
논문
The intestines of a more than 2000 years old peat-bog man: microscop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14C-dating
2008-03
[11]
웹사이트
Bread, Madness and Christianity
http://ianchadwick.c[...]
2013-11-09
[12]
서적
Pharmacotheon: Entheogenic Drugs, their Plant Sources and History
Natural Products
[13]
간행물
LSD: My Problem Child
McGraw-Hill
[14]
간행물
Molecule of the Month
http://www.chm.bris.[...]
School of Chemistry, [[University of Bristol]]
2003-10
[15]
논문
Ergotism: The Satan Loose in Salem
1976-04
[16]
논문
Ergot and the Salem Witchcraft Affair
1982-07
[17]
논문
Ergotism and the Salem Village Witch Trials
1976-12
[18]
서적
Satan & Salem: The Witch-Hunt Crisis of 1692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19]
서적
Witchcraft, Lycanthropy, Drugs and Disease: An Anthropological Study of the European Witch Hunts
"[[Peter Lang (publishing company)|Peter Lang]]"
[20]
논문
Convulsive ergotism: epidemics of the serotonin syndrome?
2003-07
[21]
서적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http://dx.doi.org/10[...]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8-01
[22]
논문
Immunotherapy-Resistant Cancers Eliminated in Mouse Study
http://dx.doi.org/10[...]
2020-09-05
[23]
저널 인용
Successful treatment of ergotism with Iloprost—a case report
1998-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