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박은 심장에서 수축기에 생성된 압력파가 동맥 벽을 움직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리학적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맥박의 강도, 속도, 리듬, 파형 등 다양한 특징을 통해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맥박 산소 측정법과 같은 기술로 맥박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도 한다. 맥박은 다양한 신체 부위에서 촉진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역사적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측정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학 - 혈압
혈압은 심장이 수축 및 이완할 때 혈관벽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수축기/이완기 혈압으로 표기되며, 심박출량, 혈관 저항 등에 영향을 받고, 고혈압, 저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 인자로 작용한다. - 심장학 - 고지혈증
고지혈증은 혈액 내 지질 수치가 높아져 발생하는 질환으로,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의 상승 유형에 따라 분류되며, 동맥경화증을 유발하여 심혈관 질환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통해 관리한다. - 심장혈관생리학 - 심박수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신체의 산소 요구량, 자율신경계,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아 변하며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심장혈관생리학 - 정맥
정맥은 폐정맥을 통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으로 운반하고, 전신 정맥을 통해 산소가 고갈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혈관계이며, 정맥판을 가지고 혈액 역류를 방지하고, 심장 수축, 골격근 펌프, 호흡 펌프 작용으로 심장으로 혈액을 귀환시키며, 정맥 혈전증, 문맥 고혈압, 정맥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생리학 - 항상성
항상성은 생명체가 생존을 위해 체온, 혈당, 혈액 pH, 수분 및 이온 균형 등 내부 환경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 음성 피드백 시스템, 신경계, 내분비계 등을 통해 조절된다. - 생리학 - 스트레스 요인
스트레스 요인은 개인이 환경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때 심리적, 신체적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으로, 지속시간, 강도, 예측 가능성, 통제 가능성에 따라 영향이 달라지며, 인지된 스트레스 척도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맥박 | |
---|---|
개요 | |
정의 | 손가락으로 동맥의 심장 박동을 촉진하여 느낄 수 있는 것 |
관련 신체 계통 | 순환계 |
작용 | 불수의적 |
방법 | 왕복 펌프를 사용하여 심장이 혈액을 펌프질하여 심장 주기 전체에서 불변하지 않는 혈류를 발생시켜 인식 가능 |
빈도 | |
인간 | 60–100회/분 |
기간 | 0.6–1초 (인간) |
측정 | |
측정 위치 | 요골 동맥 척골 동맥 상완 동맥 경동맥 대퇴 동맥 슬와 동맥 후경골 동맥 족배 동맥 |
측정 도구 | 청진기 혈압계 심전도 심음도 스피그모그래프 |
2. 생리학
클라우디우스 갈렌은 맥박을 묘사한 최초의 생리학자로 알려져 있다.[4] 맥박은 심장이 수축할 때 발생하는 종파가 동맥벽을 따라 전달되면서 생기는 압력 파동이다. 혈액이 혈관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때, 유연한 동맥벽이 팽창하고 수축하면서 맥박으로 감지할 수 있는 파동을 만들어낸다. 맥박수는 보통 1분당 박동수(beats per minute, BPM)로 기록된다.
맥박은 주로 동맥을 직접 만져서 확인하는 촉진을 통해 측정한다. 훈련된 사람은 촉진을 통해 수축기 혈압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그러나 심장이 이완할 때의 압력인 이완기 혈압은 맥박 촉진만으로는 알 수 없다.[20]
때때로 심박수와 맥박수가 다를 수 있는데, 이는 생리적 요구에 따라 심장이 뛰는 횟수와 말초 혈관에서 감지되는 맥박수가 차이 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심실성 조기 수축이나 심방 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경우, 심장은 뛰지만 혈액을 효과적으로 내보내지 못해 말초 맥박이 약하거나 느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맥박 결손'(pulse deficit)이라고 하며, 요골동맥을 촉진하면서 동시에 심첨 박동을 청진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정밀한 맥박 정보는 의료 장비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동맥 카테터를 변환기와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면 맥박 속도, 맥박 결손 등 다양한 생리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주로 집중 치료실이나 전신 마취 중인 환자에게 사용된다.
또한, 맥박 산소 측정법을 통해서도 맥박수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기기는 혈액 속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 상태에 따른 적외선 흡수율 변화를 감지하여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며[21],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혈류량의 주기적인 변화를 통해 맥박수를 계산한다.
3. 측정
맥박은 심장의 박동에 의해 동맥 혈관 벽이 주기적으로 확장하고 수축하는 현상이다. 고대 로마의 의학자 클라우디우스 갈렌은 맥박을 체계적으로 묘사한 최초의 생리학자로 알려져 있다.[4] 심장이 수축기에 혈액을 내보낼 때 발생하는 압력파(종파)가 탄력 있는 동맥 벽을 따라 전달되면서 맥박으로 감지된다.
맥박은 신체 여러 부위의 동맥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주로 손목의 요골동맥이나 목의 경동맥 등이 이용된다. 맥박 측정은 심박수, 리듬, 강도 등을 평가하여 심혈관계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기본적인 방법이다. 간단한 촉진 외에도 동맥 카테터나 맥박 산소 측정기 등 다양한 기기를 이용한 정밀 측정이 가능하다.
3. 1. 측정 방법
클라우디우스 갈렌은 맥박을 묘사한 최초의 생리학자로 알려져 있다.[4] 맥박은 심장에서 수축기에 생성된 압력파가 동맥 벽을 통해 전달되는 현상이다. 혈액의 전진 운동이 유연한 동맥벽을 통해 파동을 만들고, 이것이 맥박으로 감지된다. 맥박수는 보통 분당 박동수(beats per minute, BPM)로 기록된다.
맥박을 측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촉진이다. 훈련된 관찰자는 손가락 끝으로 주로 손목의 요골동맥과 같은 신체 부위의 동맥을 눌러 맥박을 느낄 수 있다. 이 방법은 수축기 혈압을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데 유용하지만, 이완기 혈압은 촉진만으로는 알 수 없다.[20]
심박수는 생리적 요구에 따라 맥박수와 다를 수 있다. 심박수는 심장 청진 등을 통해 직접 측정하며, 맥박과는 구별된다. 맥박 결손(pulse deficit)은 심장 박동수와 말초에서 측정된 맥박수의 차이를 의미하는데, 요골동맥 촉진과 심첨 박동 청진을 동시에 시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심실성 조기 수축이나 심방 세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보다 정밀한 측정을 위해 동맥 카테터(동맥 라인)를 사용하기도 한다. 동맥에 직접 삽입된 카테터를 변환기와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면 맥박 속도, 맥박 결손, 혈압 등 다양한 생리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이 침습적 방법은 1970년대부터 중환자실이나 전신 마취 중인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맥박 산소 측정법은 비침습적으로 맥박과 혈중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이 장치는 손가락 끝이나 귓불 등에 부착하여 혈액 속 헤모글로빈이 산소와 결합한 정도에 따라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정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한다.[21] 이를 통해 맥박수와 함께 혈액의 산소 포화도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3. 2. 맥박 강도
맥박의 강도는 맥박의 압축성(Compressibility)이라고도 하며, 이는 수축기 혈압의 대략적인 지표이다. 맥박의 강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4][25].
'''반동맥'''(반동성 맥박)은 맥압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허탈맥'''(collapsing pulse)이라고도 불린다. 말초 혈관 저항의 저하 (발열, 빈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 동정맥루에서 나타남), 대동맥판 폐쇄 부전 등이 원인일 수 있다.
4. 맥박의 특징
맥박은 고대 로마의 의학자 클라우디우스 갈렌이 처음으로 묘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맥박은 심장이 수축기에 혈액을 내보낼 때 발생하는 압력파가 동맥을 따라 전달되는 현상이다. 이 압력파는 동맥벽을 움직이게 하며, 훈련된 사람은 촉각을 이용하여 이를 감지하고 수축기 혈압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심장이 이완할 때의 이완기 혈압은 맥박 촉진만으로는 알 수 없다.
맥박은 단순히 심장이 뛰는 횟수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적 정보를 담고 있다. 맥박의 속도, 규칙성, 크기, 긴장도, 파형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심혈관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로 활용된다.
현대 의학에서는 동맥 카테터를 변환기 및 오실로스코프에 연결하여 맥박 속도, 맥박 결손(심박수와 맥박수의 차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이러한 침습적 방법은 주로 집중 치료 환경에서 사용된다. 또한, 맥박 산소 측정법은 헤모글로빈의 산소 포화도에 따른 빛 흡수율 변화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맥박과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는 기술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맥박을 평가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들을 살펴본다.
- 맥박수 (Rate): 1분당 맥박이 뛰는 횟수.
- 리듬 (Rhythm): 맥박이 규칙적으로 뛰는지 여부.
- 크기 (Volume): 맥박의 강도 또는 진폭.
- 긴장도 (Tension): 맥박이 느껴지는 동맥의 단단함 정도.
- 파형 (Form): 맥박이 상승하고 하강하는 모양.
이러한 특징들은 각각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4. 1. 맥박수 (Rate)
맥박의 속도는 동맥 외부에서 촉각 또는 시각적 수단을 통해 관찰하고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분당 박동수(BPM)로 기록된다.일반적인 휴지 상태에서의 맥박 속도는 다음과 같다:[39]
신생아 (0-3개월) | 유아 (3 — 6개월) | 유아 (6 — 12개월) | 어린이 (1 — 10년) | 10세 이상의 어린이 및 성인 | 잘 훈련 받은 성인 운동선수 |
---|---|---|---|---|---|
100-150 | 90–120 | 80-120 | 70–130 | 60–100 | 40–60 |
맥박은 전반적인 심장 건강과 체력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낮을수록 좋지만 서맥은 위험할 수 있다. 매우 낮은 심박 증상이 오면 무기력함, 에너지 감소, 피로, 탈력감, 기력 상실, 실신 등을 유발할 수 있다.[40][23]
맥박수와 심박수는 관련이 있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심박수 발생과 맥박 발생 사이에는 맥파 전달 시간이라고 하는 지연이 있으며, 이는 부위에 따라 다르다. 마찬가지로 심박 변이도와 맥박 변이도 측정은 서로 다르다.[5] 건강한 사람의 경우, 맥박수는 심전도로 측정한 심박수에 가깝다.[5] 따라서 맥박수를 측정하는 것은 심박수를 추정하는 편리한 방법이다.[6]
'''맥박 결손'''(pulse deficit)은 맥박수와 심박수에 차이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맥박 결손이 있는 사람의 경우 심장 박동이 말초에서 박동을 유발하지 않아 맥박수가 심박수보다 낮다. 맥박 결손은 요골동맥에서 촉진과 심장 꼭대기 근처에서 청진기를 이용한 청진을 동시에 실시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맥박 결손은 심실 조기 수축이나 심방 세동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다.[7]
4. 2. 리듬 (Rhythm)
정상적인 맥박은 리듬과 강도가 규칙적이다. 맥박의 리듬이 불규칙한 경우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데, 주요 원인으로는 동성 부정맥, 심실 조기 수축과 같은 이소성 박동, 심방 세동, 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심방 조동, 방실 차단 등이 있다.맥박에서 박동이 간헐적으로 누락되는 것을 간헐 맥박(intermittent pulse)이라고 한다. 간헐 맥박은 규칙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규칙적 간헐 맥박''' (규칙적으로 불규칙한 맥박): 맥박 누락이 일정한 패턴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이맥 맥박이나 2도 방실 차단이 여기에 해당한다.
- '''불규칙적 간헐 맥박''' (불규칙적으로 불규칙한 맥박): 맥박 누락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는 경우이다. 대표적인 예로 심방 세동이 있다.
4. 3. 크기 (Volume)
맥박의 크기는 동맥이 이완기와 수축기 상태에서 나타내는 확장 정도, 즉 동맥의 박동 폭을 의미한다. 이는 촉진 시 손가락을 얼마나 들어 올리는지로 느껴질 수 있다. 맥박 크기는 맥파의 진폭, 팽창, 용적 또는 부피라고도 불린다.맥박 크기는 맥압, 즉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41][42] 맥박의 크기에 따라 큰 맥박을 대맥(大脈, pulsus magnus|풀수스 마그누스la), 작은 맥박을 소맥(小脈, pulsus parvus|풀수스 파르부스la)이라고 부른다.[41][42]
4. 3. 1. 약한 맥박 (Hypokinetic pulse)
약한 맥박은 좁은 맥압을 나타낸다. 이는 낮은 심박출량 (쇼크, 울혈성 심부전에서 나타남), 저혈량증, 판막 질환 (예: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협착), 다카야수 동맥염 등에 기인할 수 있다.4. 3. 2. 강한 맥박 (Hyperkinetic pulse)
맥박이 솟는다는 것은 높은 맥압을 의미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낮은 말초 저항: 발열, 빈혈, 갑상선 중독증, hyperkinetisches Herzsyndrom|히퍼키네티셰스 헤르츠신드롬de (과다활동성 심장 증후군), 동정맥루, 뼈의 파제트병, 각기병, 간경변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 심박출량 증가 또는 일회 박출량 증가: 불안, 운동, 완전 방실 차단, 대동맥판 폐쇄 부전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 동맥 시스템의 신장성 감소: 동맥경화증, 고혈압, 대동맥 축착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맥박의 강도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보고될 수 있다:[8][9]
강도 | 설명 |
---|---|
0 | 없음 (맥박 촉지 불가) |
1 | 거의 촉지되지 않음 (미약함) |
2 | 쉽게 촉지됨 (정상) |
3 | 충만함 (강함) |
4 | 동맥류 또는 솟는 맥박 (매우 강함) |
높은 맥압을 나타내는 맥박을 '''반동맥'''(bounding pulse) 또는 '''허탈맥'''(collapsing pulse)이라고도 부른다. 이는 말초 저항의 저하(발열, 빈혈, 갑상선 기능 항진증, 동정맥루 등)나 대동맥판 폐쇄 부전 등이 원인일 수 있다.
4. 4. 긴장도 (Tension)
맥박의 긴장도는 주로 평균 동맥혈압에 의해 결정되며 이완기 혈압과 관련이 깊다. 긴장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낮은 긴장 맥박 (pulsus mollis): 맥박과 맥박 사이에 혈관이 부드럽게 느껴지거나 잘 만져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 높은 긴장 맥박 (pulsus durus): 맥박과 맥박 사이에도 혈관이 뻣뻣하게 느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긴장도는 요골동맥을 촉진하여 평가할 수 있다. 집게손가락부터 세 손가락을 동맥 위에 나란히 놓고, 가장 몸쪽에 가까운 손가락으로 동맥을 압박한다. 이때 어느 정도의 압력에서 가장 먼 쪽 손가락에 맥박이 느껴지지 않는지를 확인하여 긴장도를 판단한다.
- 약한 압력에도 맥박이 느껴지지 않으면 연맥(soft pulse)이라고 한다.
- 강한 압력을 가해야 맥박이 느껴지지 않으면 경맥(hard pulse)이라고 한다.
이러한 연맥과 경맥의 구분은 수축기 혈압의 상태와 연관이 있다.
4. 5. 파형 (Form)
맥박의 형태 또는 윤곽은 동맥파형도를 촉진하여 추정할 수 있다. 빠르게 상승하고 빠르게 하강하는 맥박(속맥, pulsus celer)은 대동맥판 역류에서 나타나며, 느리게 상승하고 느리게 하강하는 맥박(지맥, pulsus tardus)은 대동맥판 협착증에서 나타난다.수축기에 심장에서 발생하는 종파가 동맥벽을 따라 전파되면서 맥박이 형성된다. 맥박수는 동맥 바깥쪽에서 촉각이나 시각적 수단으로 관찰하고 측정하며, 분당 박동수(BPM)로 기록된다.
맥박 촉진을 통해 혈압을 측정하는 촉진법은 훈련된 관찰자가 수축기 혈압을 결정하는 편리한 방법이다. 그러나 이완기 혈압은 촉진법으로 관찰할 수 없다.[20]
심박수는 생리적 요구에 따라 맥박수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이 경우 심박수는 심장 끝부분(심첨부)에서 청진이나 가청음으로 결정하지만, 이는 맥박이 아니다. 맥박 결손(심장 박동과 말초 맥박의 차이)은 요골동맥의 촉진과 심첨 박동 청진을 동시에 수행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심실성 조기 수축이나 심방 세동이 있을 때 나타날 수 있다. 변환기와 오실로스코프에 연결된 동맥 카테터를 사용하면 맥박의 속도, 맥박 결손 및 기타 많은 생리학적 데이터를 쉽고 편리하게 시각화할 수 있다. 동맥 카테터는 전신 마취나 중환자실에서 많이 사용된다.
맥박은 맥박 산소 측정법으로도 측정할 수 있다. 이는 혈액 성분인 헤모글로빈의 산소화 및 탈산소화 상태에 따른 적외선 흡광도 변화율로부터 산소 포화도를 빠르고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며[21], 이 시간 변화로부터 맥박수를 산출한다.
맥박의 크기가 변화하는 속도도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이는 맥박 자체의 빠르기(빈맥)나 느림(서맥)과는 다른 개념이다. 급격히 하강하는 속맥(pulsus celer)은 대동맥판 폐쇄 부전증에서 나타나고, 천천히 상승하고 천천히 하강하는 지맥(pulsus tardus)은 대동맥판 협착증에서 나타난다.[30][26][27][28]
몇 가지 특징적인 맥박 패턴은 임상적으로 중요하며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중복맥'''(Dicrotic pulse): 요골동맥의 맥파 하행각에서 두 번째 파동을 촉지할 수 있는 맥박이다. 심박출량이 적고 전신 혈관 저항이 높은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29][30], 장티푸스와 같은 열성 질환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 '''교호맥'''(Pulsus alternans): 강한 맥박과 약한 맥박이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으로, 심기능 저하, 울혈성 심부전, 심근 질환 등에서 나타나는 좋지 않은 의학적 징후이다. 앉거나 서 있는 자세에서 관찰하기 쉽고, 종종 갤럽 리듬(gallop rhythm)을 동반한다.
- '''이단맥'''(Pulsus bigeminus): 맥박이 두 개씩 쌍을 이루고 그 뒤에 휴지기가 나타나는 패턴이다. 조기 수축이나 2도 방실 차단 시에 발생한다.
- '''이봉성 맥박'''(Pulsus bisferiens): 한 번의 심장 주기에 두 번의 박동이 느껴지는 맥박으로, 두 박동 모두 수축기에 해당한다. 중복맥과는 다르며, 대동맥판 질환 환자에게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소견이다.
- '''기맥'''(Pulsus paradoxus): 숨을 들이쉴 때(흡기 시) 맥박이 현저히 약해지거나 촉지되지 않는 현상이다. 심장 압전이나 수축성 심낭염과 같이 심낭에 액체가 저류될 때 발생한다. 정상인은 흡기 시 맥박이 가장 강하게 느껴진다.
- '''요골-대퇴 지연''': 대동맥 축착증 환자의 경우, 대퇴동맥의 맥박이 요골동맥의 맥박보다 현저하게 늦게 느껴질 수 있다(대동맥판 폐쇄 부전증이 동반된 경우는 제외). 이를 요골-대퇴 지연(radio-femoral delay)이라고 하며[31], 상판상 대동맥 협착증에서도 관찰될 수 있다.
5. 맥박 측정 부위
맥박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동맥을 촉진하여 측정할 수 있다. 맥박 측정 부위는 크게 심장에 가까운 경동맥, 대퇴동맥, 상완동맥 등에서 측정하는 중심 맥박과, 손목의 요골동맥이나 발등의 발등동맥처럼 심장에서 먼 부위에서 측정하는 말초 맥박으로 나눌 수 있다.[15][32]
각 부위에서 느껴지는 맥박의 강도나 규칙성 등을 비교하는 것은 건강 상태에 대한 중요한 임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팔의 맥박 차이나 상지와 하지의 맥박 차이는 특정 혈관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다. 각 맥박 측정 부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5. 1. 중추 맥박
맥박 부위는 말초 맥박과 중추 맥박으로 나눌 수 있다. 중추 맥박에는 경동맥, 대퇴동맥, 상완동맥 맥박이 포함된다.[32]5. 2. 말초 맥박
맥박은 촉진하는 부위에 따라 중심 맥박과 말초 맥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말초 맥박은 심장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진 동맥에서 느껴지는 박동을 의미한다.[15] 중심 맥박으로는 경동맥, 대퇴동맥, 상완동맥 맥박 등이 있다.[15][32]말초 맥박은 주로 팔, 다리, 머리 및 목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서 촉진할 수 있으며, 각 부위별 상세한 위치와 촉진 방법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대표적인 말초 맥박 촉진 부위로는 손목의 요골 동맥과 자 동맥, 발등의 발등 동맥, 발목 안쪽의 뒤 정강 동맥 등이 있다.
다양한 부위의 말초 맥박을 비교하는 것은 중요한 임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 요골 동맥의 맥박이 뚜렷하게 다르거나 불균등하다면, 해당 동맥의 이상, 대동맥 축착, 대동맥염, 대동맥 박리, 말초 색전증 등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또한 상지와 하지의 맥박 차이는 대동맥 축착, 대동맥염, 대동맥 분기부의 협착 또는 폐색, 대동맥 박리, 의인성 대혈관 손상, 동맥경화성 폐색 등 다양한 혈관 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5. 2. 1. 상지 (팔)

상지에서는 다음과 같은 부위에서 맥박을 촉진할 수 있다.
- '''겨드랑 동맥 맥박''': 겨드랑이의 가쪽 벽 아래쪽에 위치한다. (액와 동맥)
- '''상완 동맥 맥박''': 팔꿈치 근처 위팔 안쪽에 위치하며, 유아의 경동맥 맥박 대신 자주 사용된다. (상완 동맥)
- '''요골 동맥 맥박''': 손목의 가쪽에 위치한다. (요골 동맥). 해부학적 코담배갑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요골 동맥 맥박은 세 손가락으로 측정하는데, 심장에 가장 가까운 손가락은 맥압을 막고, 가운데 손가락은 혈압을 대략적으로 추정하며, 심장에서 가장 먼 손가락(보통 약지)은 두 동맥(얕은 손바닥 활과 깊은 손바닥 활) 연결로 인한 자 동맥 맥박의 영향을 없애는 데 사용한다.
- '''자 동맥 맥박''': 손목의 안쪽에 위치한다. (자 동맥)
5. 2. 2. 하지 (다리)
- '''대퇴 동맥 맥박''': 서혜 인대의 중간 지점, 즉 치골 결합과 앞위 엉덩뼈 가시 사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 (대퇴 동맥)
- '''슬와 동맥 맥박''': 무릎 위, 슬와 오목에서 촉진한다. 환자는 무릎을 약 124° 구부리고, 의료 제공자는 두 손으로 무릎을 잡고 무릎 뒤쪽의 슬와 동맥을 찾는다. (슬와 동맥)
- '''발등 동맥 맥박''': 발등의, 긴 엄지 폄근의 가쪽 바로 옆에 위치한다. (발등 동맥)
- '''뒤 정강 동맥 맥박''': 복숭뼈 안쪽 2cm 아래, 그리고 안쪽 복숭뼈에서 2cm 뒤쪽에 위치한다. (뒤 정강 동맥) 피멘타 점 위에서 쉽게 촉진할 수 있다.
5. 2. 3. 두경부 (머리 및 목)

- '''경동맥 맥박''': 목의 경동맥에서 찾을 수 있다. 환자가 앉거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부드럽게 촉진해야 한다. 촉진 시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 수용체가 자극되어 심각한 서맥(느린맥)을 유발하거나, 민감한 사람의 경우 심장이 멎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양쪽 경동맥을 동시에 촉진해서는 안 된다. 이는 머리로 가는 혈류를 제한하여 실신이나 뇌 허혈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흉쇄유돌근(목빗근)의 앞쪽 경계, 설골(목뿔뼈) 위, 갑상연골(방패연골) 가쪽에서 맥박을 느낄 수 있다.
- '''안면 동맥 맥박''': 아래턱뼈(하악골) 위, 입꼬리와 같은 선상에서 찾을 수 있다.
- '''천측두 동맥 맥박''': 귀 바로 앞 관자놀이 부근에서 찾을 수 있다.
머리의 여러 부위에서 맥박을 느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머리 안에서 심장 박동 소리가 들리는 경우는 드물다. 만약 귀나 머릿속에서 맥박 소리가 들린다면 이는 박동성 이명일 수 있으며, 특정 의학적 상태나 혈관 이상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34]
6. 역사
클라우디우스 갈렌은 맥박을 묘사한 최초의 생리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4] 맥박을 처음으로 측정한 인물은 고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의사 헤로필로스(기원전 335~280년경)로 알려져 있다. 그는 맥박 측정을 위해 물시계를 고안했다.[16][35]
13세기 페르시아의 시인 잘랄루딘 루미는 그의 시에서 "현명한 의사가 환자의 맥박을 측정하고 그의 상태를 알게 되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당시 맥박 측정이 비교적 일반적인 의료 행위였음을 시사한다.[17][36]
맥박수를 정확하게 측정한 최초의 인물은 이탈리아의 의사이자 생리학자인 산토리오 산토리오(1561-1636)이다. 그는 팔실로기움(''pulsilogium'')이라는 진자 형태의 도구를 발명했으며, 이는 훗날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연구되기도 했다.[18][37] 약 한 세기 후, 또 다른 의사인 드 라크루아는 산토리오가 발명한 팔실로기움을 사용하여 심장 기능을 검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pulse
https://medical-dict[...]
[2]
웹사이트
Pulse
https://medlineplus.[...]
2024-11-25
[3]
웹사이트
sphygmograph
https://medical-dict[...]
[4]
문서
Temkin 165;BBC[a]
[5]
논문
Differences in pulse rate variability with measurement site
2020-02-21
[6]
웹사이트
Pulse Rate Measurement
http://www.webmd.com[...]
WebMD
2011-03-14
[7]
논문
Pulse deficit in atrial fibrillation — a different perspective on rhythm or rate control strategy
2021-11-30
[8]
웹사이트
www.meddean.luc.edu
http://www.meddean.l[...]
2009-05-20
[9]
웹사이트
Vascular Surgery, University of Kansas School of Medicine
http://www.kumc.edu/[...]
2009-05-20
[10]
서적
Mechanisms of Clinical Signs – EPub3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01-02
[11]
서적
Evidence-Based Physical Diagnosis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01-02
[12]
논문
Evaluation of the tardus-parvus pattern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and nonatherosclerotic renal artery stenosis
http://www.jultrasou[...]
2018-01-02
[13]
서적
Case Files: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Companies, Inc.
2007
[14]
서적
Clinical Sonography: A Practical Guid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8-01-02
[15]
서적
Atlas of Adult Physical Diagnosi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20-10-03
[16]
논문
The Pulse from Ancient to Modern Medicine
[17]
웹사이트
Rumi poem on the afflicted patient
https://ganjoor.net/[...]
2022-12-16
[18]
논문
The Pulsilogium of Santorio: New Light on Technology and Measurement in Early Modern Medicine
2017
[19]
웹사이트
疎密波(そみつは)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1-14
[20]
웹사이트
血圧測定(触診法)【ナース専科】
https://medical-term[...]
2024-02-22
[21]
간행물
Pulse Oximetry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12-31
[22]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National Ites of Health
https://www.nlm.nih.[...]
2016-07-05
[23]
웹사이트
Pulse Rate Measurement
http://www.webmd.com[...]
WebMD
2011-03-14
[24]
웹사이트
www.meddean.luc.edu
http://www.meddean.l[...]
2009-05-20
[25]
웹사이트
Vascular Surgery, University of Kansas School of Medicine
http://www.kumc.edu/[...]
2009-05-20
[26]
논문
Evaluation of the tardus-parvus pattern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and nonatherosclerotic renal artery stenosis
http://www.jultrasou[...]
2018-01-02
[27]
서적
Case Files: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Companies, Inc.
2007
[28]
서적
Clinical Sonography: A Practical Guide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8-01-02
[29]
서적
Mechanisms of Clinical Signs - EPub3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01-02
[30]
서적
Evidence-Based Physical Diagnosis E-Book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8-01-02
[31]
웹사이트
Radiofemoral delay (Concept Id: C0425577)
https://www.ncbi.nlm[...]
2024-02-21
[32]
서적
Atlas of Adult Physical Diagnosis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20-10-03
[33]
간행물
Anatomy, Abdomen and Pelvis: Inguinal Ligament (Crural Ligament. Poupart Ligament)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4-02-22
[34]
웹사이트
耳鳴りがしていますか? 耳鳴りについて知っておくべき5つの事実
https://www.msdmanua[...]
2024-01-16
[35]
논문
The Pulse from Ancient to Modern Medicine
[36]
웹사이트
Rumi poem on the afflicted patient
https://ganjoor.net/[...]
2022-12-16
[37]
간행물
The Pulsilogium of Santorio: New Light on Technology and Measurement in Early Modern Medicine
2017
[38]
웹사이트
Dorlands Medical Dictionary:pulse
http://www.mercksour[...]
[39]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http://www.nlm.nih.g[...]
[40]
웹인용
Pulse Rate Measurement
http://www.webmd.com[...]
WebMD
2011-03-14
[41]
웹사이트
http://www.meddean.l[...]
[42]
웹인용
Vascular Surgery, University of Kansas School of Medicine
https://web.archive.[...]
2009-05-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SK, 로봇가전 브랜드 '나무엑스' 선보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