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로쿠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로쿠샤는 1873년 일본의 근대화를 목표로 설립된 지식인 단체이다. 모리 아리노리의 주도로 후쿠자와 유키치, 니시 아마네 등 당대 지식인들이 참여하여, 서구 사상을 소개하고 계몽 활동을 펼쳤다. 정기적인 연설회와 기관지 《메이로쿠 잡지》 발간을 통해 대중에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제공했으나, 1875년 언론 탄압으로 인해 활동이 중단되었다. 메이로쿠샤의 활동은 이후 일본 학술 및 교육 기관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학술 단체 - 일본지진학회
일본지진학회는 1880년 요코하마 지진을 계기로 설립되어 학술 활동을 통해 지진학 연구 발전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 메이로쿠샤 사람 - 오쿠다이라 마사유키
오쿠다이라 마사유키는 다테 무네나리의 아들로 태어나 오쿠다이라 마사토모의 양자가 되었고, 나카츠번의 마지막 번주로서 메이지 유신 이후 나카츠번 지사, 게이오기주쿠 수학, 미국 유학, 도쿄부 회의원, 시바구 구장을 역임하며 나카츠 지역 교육 발전에 기여한 일본 백작이다. - 메이로쿠샤 사람 - 니시무라 시게키
니시무라 시게키는 메이지 시대에 유교적 도덕관에 기반한 교육 정책을 추진하고 일본 고유의 가치를 지키면서 서양 문명을 수용할 것을 주장한 일본의 계몽 사상가이자 교육자이다. - 일본 고등 교육의 역사 - 삿포로 농학교
삿포로 농학교는 1876년 홋카이도에 개교하여 홋카이도 대학 농학부의 전신이 되었으며, 윌리엄 스미스 클라크 부학장의 격려와 일본 근대화에 기여한 인재 배출로 유명하다. - 일본 고등 교육의 역사 - 가토 히로유키
가토 히로유키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계몽 사상가, 교육자, 정치인으로, 천부인권론을 주창하며 계몽 운동에 앞장섰으나 사회 진화론을 수용하며 국가주의적 성향을 강화했고, 도쿄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며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 기여했으며 입헌정우회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펼쳤다.
메이로쿠샤 | |
---|---|
메이로쿠샤 | |
창립 | 1873년 |
해산 | 1889년 |
국가 | 일본 |
유형 | 학술 단체 |
목적 | 계몽주의 사상 전파 |
역사 | |
창립 배경 | 메이지 유신 이후 서구 문명 수용과 사회 개혁의 필요성 증대 |
주요 활동 | 학술 강연회 개최 메이로쿠 잡지 발행을 통한 서구 사상 소개 및 일본 사회 문제 토론 |
해산 이유 | 정부의 간섭과 내부 이념 갈등 심화 |
주요 인물 | |
설립자 | 모리 아리노리 |
주요 회원 | 후쿠자와 유키치 니시 아마네 가토 히로유키 쓰다 마미치 나카무라 마사나오 사쿠라이 마사루 미쓰쿠리 슈헤이 시부사와 에이이치 |
사상적 영향 | |
영향 받은 사상 | 계몽주의 자유주의 실용주의 |
사회에 미친 영향 | 일본 사회의 근대화 및 서구화 촉진, 교육 및 법률 제도 개혁에 기여 |
메이로쿠 잡지 | |
창간 | 1874년 |
폐간 | 1875년 |
발행 횟수 | 43권 |
주요 내용 |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철학 종교 과학 |
특징 | 다양한 분야의 서구 사상 소개 및 일본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 |
관련 인물 | |
학자 | 오카 가즈오 다카하시 마사아키 |
저널리스트 | 오야마 이쿠오 |
2. 설립 배경 및 목적
메이지 유신 이후, 1873년(메이지 6년)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모리 아리노리는 니시무라 시게키와 함께 서구의 학회를 본받아 지식인들을 결집하여 민중을 계몽할 목적으로 메이로쿠샤를 설립하였다.[3] 이들은 부국강병을 통해 서구 열강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3]
메이로쿠샤는 1873년(메이지 6년) 모리 아리노리가 니시무라 시게키 등과 함께 계몽 활동을 목적으로 결성한 모임이다. 모리 아리노리는 미국에서 귀국한 후 후쿠자와 유키치, 가토 히로유키, 나카무라 마사나오, 니시 아마네 등과 함께 메이로쿠샤를 만들었다. 모임 이름은 메이지 6년('''明'''治'''六'''年, '''메이'''지 '''로쿠'''넨)에 결성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정기 모임은 매월 1일과 16일에 열렸다.[3]
메이로쿠샤는 외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민심의 일신(民心の一新)'을 통해 진정한 문명국가로 나아가고자 했다.[3] 즉, 문명국의 국민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계몽주의를 추구했다.[3]
메이로쿠샤의 주요 구성원은 모리 아리노리, 니시무라 시게키 외에도 쓰다 마미치, 니시 아마네, 나카무라 마사나오, 미쓰쿠리 슈헤이, 스기 고지, 미쓰쿠리 린쇼, 가토 히로유키, 후쿠자와 유키치 등 당대 대표적인 지식인들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하급 무사나 서민 출신으로, 양학(洋學)에 능통하고 막부의 카이세이쇼 등에서 가르친 경험이 있었다. 또한, 서구 경험이 있고 존왕양이 사상을 경험하지 않았으며, 후쿠자와 유키치를 제외하고는 모두 메이지 신정부에서 관료로 일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에는 옛 막부 관료, 카이세이쇼 관계자, 게이오기주쿠 학생들을 모아 "관민조화"(官民調和, 정부와 민간의 조화)를 이루고자 했다. 또한, 학식이 있다고 인정받는 옛 다이묘나 일본 불교 정토진종의 한 갈래인 정토진종 본원사파의 승려, 일본은행이나 신문사의 직원, 가쓰 가이슈와 같은 옛 사족 등도 회원으로 받아들여 당대 일본의 쟁쟁한 인물들이 모였다.
3. 주요 구성원 및 특징
주요 구성원들은 서구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 근대화를 추구했으며, 민중 계몽을 통해 문명국 국민을 만들어야 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활동했다.
회원으로는 옛 막부 관료, 카이세이쇼 관계자, 게이오기주쿠 출신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물들이 참여하여 "관민조화"(官民調和)를 이루고자 했다. 학식이 있다고 평가받는 옛 다이묘, 정토진종 승려, 일본은행 직원, 언론인 등도 회원으로 활동했다.[3]
3. 1. 주요 인물
모리 아리노리, 니시무라 시게키를 비롯하여 쓰다 마미치, 니시 아마네, 나카무라 마사나오, 미쓰쿠리 슈헤이, 스기 고지, 미쓰쿠리 린쇼, 가토 히로유키, 후쿠자와 유키치 등 당대 일본 대표 지식인들이 메이로쿠샤에 참여했다.[3] 이들은 대부분 하급 무사나 서민 출신으로 양학을 공부하고 막부 카이세이쇼 등에서 가르쳤으며, 후쿠자와 유키치를 제외하면 모두 메이지 신정부 관료로 일했다는 공통점이 있다.[3]
"관민조화"(官民調和, 정부와 민간의 조화)를 목표로 옛 막부 관료, 카이세이쇼 관계자, 게이오기주쿠 학생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학식이 뛰어나다고 인정받은 옛 다이묘, 정토진종 승려, 일본은행 및 신문사 직원, 가쓰 가이슈 같은 옛 사족 등 다양한 배경의 인물들도 참여했다.[3]
번서조사, 개성학교, 대학 남교, 도쿄 의학교 등 훗날 도쿄 제국대학 전신이 되는 교육 기관 및 게이오기주쿠 관계자가 다수 참가했다.
메이로쿠샤 주요 인물 및 관계자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주요 경력 및 소속 |
---|---|
스기타 겐탄 | 게이오기주쿠 의학소 부속 진료소 주임 |
스기우라 고조 | 개성학교장 |
아키야마 고타로 | 게이오기주쿠장 |
마에지마 미쓰루 | 호치 신문 사장 |
나가요 센사이 | 도쿄 의학교 교장 |
하야시 아리토시 | 게이오기주쿠, 마루야 상사 설립 |
에드워드 해리스 | 대학 남교 교수 |
오쿠다이라 마사모토 | 구 나카쓰번주 |
소다 헤이고로 | 게이오기주쿠 |
누마마 모리이치 | 오메이샤 설립자 |
후루사와 우로 | 오사카 매일신문 사장 |
후쿠치 겐이치로 | 도쿄 니치니치 신문 주필 |
시마지 모쿠라이 | 조도진종 혼간지파 |
요시하라 시게토시 | 일본은행 총재 |
요츠야 준사부로 | 게이오기주쿠 |
후지노 젠조 | 게이오기주쿠장 |
마쓰다 미치유키 | 도쿄부 지사 |
가메이 고레미 | 구 쓰와노번주 |
다테 무네나리 | 구 우와지마번주 |
다카하시 고레키요 | 일본은행 총재, 대장대신 |
이시카와 슌다이 | 조도진종 혼간지파 |
구보타 조 | 게이오기주쿠 |
사무엘 로빈스 브라운 | 선교사, 신학숙 설립 |
우에키 에모리 | 릿시샤 설립자 중 한 명 |
가쓰 야스요시 | 외무대승, 해군대보 |
난조 분유 | 범어학자 |
기쿠치 다이로쿠 | 도쿄 제국대학 총장, 제18대 문부대신 |
도야마 마사카즈 | 도쿄 제국대학 총장 |
미쓰쿠리 요시키 | 도쿄 제국대학 이과대학 학장 |
와타나베 온 | 도쿄 외국어학교 교장 |
아사이 하루후미 | 좌원 오등 의관 |
윌리엄 그리피스 | 대학 남교・개성학교 교수 |
오쓰키 후미히코 | 국어학자 |
가시와바라 다카오 | 구 적숙 숙두, 슨푸 병원 이등 어의 |
간다 고헤이 | 문부소보 |
구키 류이치 | 제실 박물관 총장 |
사카타니 론로 | 오카야마흥양관 초대 관장 |
시미즈 우자부로 | 양서 의료 기계 판매업 "미즈호야 상점" 점주 |
스기 겐지 | 번서조사 교수 |
세라 타이치 | 통계학사 부사장 |
다카기 사부로 | 주미변무관 서기관 |
다나카 후지마로 | 문부대보 |
쓰지 신지 | 대학 남교장, 초대 문부차관, 대일본교육회 회장 |
쓰다 센 | 학농사 농학교 개설 |
도미타 데쓰노스케 | 일본은행 총재 |
하타케야마 요시나리 | 가고시마 개성학교 교장 |
히다 쇼사쿠 | 게이오기주쿠 |
후루카와 마사오 | 게이오기주쿠 |
미쓰쿠리 아키라 | 번서조사 교수 보조 |
3. 1. 1. 모리 아리노리
모리 아리노리는 메이로쿠샤 설립을 주도했으며, 초대 문부대신을 역임했다.[3] 그는 부국강병을 위해서는 인재 육성이 시급하며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지적으로 향상해야 한다"고 생각했다.[3] 구미에서 견문한 "학회"를 일본에 처음으로 설립하고자 니시무라 시게키와 상의하여, 당시 27세였던 후쿠자와 유키치를 회장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고사하여, 모리가 초대 사장에 취임했다.[3]3. 1. 2. 후쿠자와 유키치
후쿠자와 유키치는 게이오기주쿠를 설립했으며, 'speech'를 '연설'로 번역하는 등 일본 근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3] 메이로쿠샤 연설회는 츠키지세이요켄(築地精養軒)에서 열렸으며, 서양음식을 즐기는 모임이기도 했다.[4]3. 1. 3. 니시 아마네
니시 아마네는 서양 철학을 일본에 소개하고 계몽사상가로 활동했다.[3] 메이로쿠샤의 주축 회원 중 한 명이었다.[3]3. 1. 4. 가토 히로유키
가토 히로유키는 번서조사 교수로, 초기에는 자유민권론을 주장했으나, 후에는 국가주의적 입장으로 선회하였다.3. 1. 5. 나카무라 마사나오
나카무라 마사나오는 영국 유학을 통해 서구 사상을 접하고 이를 일본에 소개하는 데 힘썼다.3. 1. 6. 츠다 마미치
법학자이자 계몽사상가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3]3. 1. 7. 미쓰쿠리 린쇼
와불 법률학교 초대 교장을 역임했다.[3]4. 활동 내용
메이로쿠샤는 정기 연설회와 기관지 "메이로쿠 잡지" 발행을 통해 계몽 활동을 전개했다.[3] 연설회는 서양 요리점 츠키지세이요켄(築地精養軒)에서 열렸으며,[4] 여기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메이로쿠 잡지에 글을 실었다.
후쿠자와 유키치가 'speech'를 번역해 만든 '연설'이라는 새로운 형식을 통해 회원들은 다양한 주제로 토론하고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공유했다. 메이로쿠 잡지는 이러한 연설회 내용을 담아 대중에게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전달했고, 호당 평균 3200부가 발행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
1875년 태정관 정부가 중상 및 비방 금지법과 신문조례를 포고하여 언론을 탄압하자, 메이로쿠 잡지는 43호를 끝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메이로쿠샤는 메이로쿠카이(明六会)로 이름을 바꾸고 후쿠자와 유키치를 초대 회장으로 선임하여 도쿄 학사회원과 제국학사원에서 강의를 열었고, 이는 훗날 일본학사원의 기반이 되었다.
5. 활동 중단 및 영향
1875년 태정관 정부가 참방률, 신문지 조례를 시행하여 언론을 탄압하자, 《메이로쿠 잡지》는 43호를 끝으로 발행이 중단되었다.[3] 이후 메이로쿠샤는 메이로쿠카이(明六会)로 이름을 바꾸고 후쿠자와 유키치를 초대 회장으로 선임하여 도쿄 학사회원과 제국학사원에서 강의를 열었으며, 이는 훗날 일본학사원의 기반이 되었다.[4] 《메이로쿠 잡지》의 발행은 중단되었지만, 논문 발간은 문부성 직할의 도쿄 학사회원, 제국학사원으로 이어졌다.
6. 한국과의 관계
메이로쿠샤는 유길준, 박영효 등 한국 초기 개화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들은 메이로쿠샤의 활동을 통해 서구 문물을 접하고, 조선 개혁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메이로쿠샤 구성원 중 일부가 조선에 대해 침략적 태도를 보였다는 점을 비판하며, 메이로쿠샤의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균형 있게 평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invention of religion in Japan
2012-10-03
[2]
웹사이트
明六社と福澤
http://www.keiocampu[...]
2013-05-00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00으로 표기. 정확한 날짜를 알 수 없으므로 임의의 값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3]
문서
演説会
[4]
문서
築地精養軒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