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트로버스는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설립된 버스 운송 회사이다. 간선버스 260번, 273번, 지선버스 2227번, 심야버스 N26번 등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여러 노선의 운행 및 폐선, 타 회사와의 공동 배차, 노선 변경 등의 변화를 겪었다. 현재 KGM커머셜, 우진산전, 현대자동차, 하이거 버스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정평운수
정평운수는 2004년 설립되어 서울 강서구와 송파구에 본사를 두고 4433번, 6642번 등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며, 친환경 차량 도입으로 대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메트로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메트로버스 주식회사 |
원어 | Metro Bus Corporation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2004년 7월 1일 |
장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
국가 | 대한민국 |
경영진 | |
대표 이사 | 최윤준 |
산업 정보 | |
산업 | 운수업 |
자본금 | 2,100,000,000원 (2021.12) |
매출액 | 23,764,077,615원 (2021) |
영업 이익 | 393,850,780원 (2021) |
순이익 | 615,656,310원 (2021) |
자산 총액 | 10,537,730,772원 (2021.12) |
주주 정보 | |
주주 | 북부운수주식회사: 42.86% 주식회사 서울승합: 28.57% 주식회사 대원교통: 28.57% |
직원 정보 | |
종업원 | 291명 (2021.12)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메트로버스 |
2. 연혁
- 2004년 7월 1일: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과 함께 회사 창립[1]
- 2005년 5월 16일: 간선버스 200번 폐선, 간선버스 273번 신설 운행[1]
- 2006년 1월 12일: 간선버스 260번 종점을 온수동 종점에서 양천공영차고지로 변경, 간선버스 342번 폐선[1]
- 2006년 7월 20일: 지선버스 3317번 폐선[1]
- 2009년 7월 11일: 맞춤버스 8300번 폐선[1]
- 2009년 12월 21일: 맞춤버스 8361번 폐선[1]
- 2010년 7월 31일: 영인운수, 송파상운 컨소시엄 탈퇴[1]
- 2011년 8월 25일: 간선버스 300번을 370번과 노선 통합[1]
- 2012년 3월 16일: 간선버스 260번을 국회의사당역, 370번 노선을 서대문역으로 노선 단축[1]
- 2012년 8월 28일: 간선버스 260번을 여의도역 경유로 변경[1]
- 2013년 4월 19일: 심야버스 N26번을 다모아자동차와 공동배차로 운행 개시[1]
- 2014년 1월 16일: 간선버스 262, 지선버스 2016, 2227번 운행 개시와 함께 간선버스 370번을 대원여객으로 이관[1]
- 2014년 12월 23일: 지선버스 2312번 운행 개시[1]
- 2017년 8월 18일: 260, 2227번 신내3지구 경유[1]
- 2022년 6월 27일 : 지선버스 2227번 중곡동에서 광나루역으로 연장[1]
2. 1. 설립 초기 (2004년 ~ 2010년)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당시 북부운수, 영인운수, 대원교통, 서울승합, 송파상운이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되었다. 2010년 7월 31일부로 영인운수와 송파상운이 컨소시엄에서 탈퇴한 이후 현재 주주는 북부운수, 서울승합, 대원교통이다. 한때 강동공영차고지에 강동영업소를 두었으나,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던 간선버스 370번을 대원여객으로 운행 회사를 변경하면서 철수하였다.2. 2. 컨소시엄 변화 및 노선 조정 (2010년 ~ 현재)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 때 북부운수, 영인운수, 대원교통, 서울승합, 송파상운 등이 지분을 출자해 설립되었다. 2010년 7월 31일부터 영인운수와 송파상운이 컨소시엄에서 탈퇴한 이후 현재 주주는 북부운수, 서울승합, 대원교통이다. 한때 강동공영차고지에 강동영업소를 두었으나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던 간선버스 370번을 대원여객으로 운행 회사를 변경하면서 철수하였다.3. 운행 노선
(분)
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