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승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승합은 1949년 설립된 서울 시내버스 회사로, 1970년대까지 여러 회사로 분리되었으며, 이후 삼선버스를 합병했다.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으로 메트로버스에 지분 출자하고, 시내버스 사업 부문을 신설 법인에 양도했다. 현재는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등지를 운행하며, 강동공영차고지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승합 계열사 - 매일마을버스
매일마을버스는 1993년 서울승합의 계열사로 설립되어 고덕동과 강변역을 잇는 노선을 운행했으며, 2000년 서울승합에 흡수합병되었다. - 서울승합 계열사 - 삼선버스
삼선버스는 과거 서울에서 도시형 버스와 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했던 운수 회사로, 여러 노선 중 일부는 매각, 폐지, 지선버스 변경 등의 변화를 겪었다. - 194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천일고속
천일고속은 1949년에 설립되어 1970년부터 고속버스 운행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기업으로, 전국 주요 노선을 운행하며 우등고속버스 도입으로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켰고 본점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한다. - 194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유럽카
유럽카는 1949년 프랑스 파리에서 설립된 렌터카 회사로, 여러 기업에 인수 및 매각되는 과정을 거쳐 현재는 폴크스바겐 그룹 주도 컨소시엄의 소유이며, 스포츠팀 후원 및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과거 불공정 행위 논란이 있었다.
서울승합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서울승합 |
원어 | SEOUL SEUNG HAP CO.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2005년 12월 31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565)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유준하, 유한철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2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36,985,373,000원 (2020) |
영업이익 | 317,321,595원 (2020) |
순이익 | 1,355,667,026원 (2020) |
자산총액 | 17,947,212,286원 (2020.12) |
계열사 | 욱담 |
주주 | 유한철 : 100% |
종업원 | 446명 (2020.12) |
이전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서울승합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49년 8월 16일 |
이후 회사 | 분할신설 : 서울승합 분할존속 : 욱담 |
해체 | 2005년 12월 31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유한철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2. 회사 소개
서울승합은 1949년 8월 16일 서울 시내 택시회사들이 9인승 택시를 중형버스로 개조하여 공동 출자 형식으로 설립한 회사이다. 설립 당시 회사명은 서울승합자동차였으며, 157대의 버스를 보유하였다.[1] 1950년 서울승합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하고 190대의 버스를 보유하게 되었다.[1]
이후 여러 회사를 인수 합병하거나 분리하였다. 1973년 한일교통을 흡수 합병하였고, 1974년 동진상운(현 대흥교통)을 합병하였다. 1981년에서 1982년 사이에는 삼선버스를 계열사로 편입하였고, 1994년에는 마을버스 회사인 매일마을버스를 설립하였다. 2000년 7월에는 서울특별시의 계열사 합병 권고에 따라 삼선버스와 매일마을버스를 흡수 합병하였다.[1]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메트로버스를 설립하고 지분을 출자하였다. 2005년 12월 31일에는 기업 분할을 통해 시내버스 사업 부문을 신설 법인인 (주)서울승합에 양도하고, 기존 법인은 (주)욱담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건물 임대업을 하고 있다.[1]
2. 1. 1940년대 ~ 1970년대
- 1949년 8월 16일 화요일 : 서울 시내 택시회사들이 보유하였던 9인승 택시를 중형버스로 개조, 공동출자형식으로 서울승합자동차를 설립하였다. (보유 대수는 157대).
- 1950년 1월: 서울승합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보유댓수는 190대였다.
- 1968년: 김포 영업소를 철수하였다.
- 1969년: 용산구 한남동 영업소를 서울여객(현 도선여객,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으로 분리하였다.
- 1970년 10월 1일 목요일: 동대문구 청량리동 경양지점(홍릉영업소)을 경성여객(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으로, 성동구 성수동 뚝섬영업소를 한서교통(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으로 각각 분리하였다.
- 1971년 5월 26일 수요일: 영등포 지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오류동 오류영업소, 양남동 양남영업소 포함)을 보성운수(구로구 구로동)로 분리하였다.
- 1973년 1월 1일 월요일 : 당시 70번(천호동 ↔ 서울역)을 운행하던 한일교통을 흡수 합병하였다.
- 1974년 2월 1일 금요일 : 서부영업소를 서부운수(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가좌동)로 분리하였다.
- 1974년 6월 1일 토요일 :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영업소를 금성교통(현 대원교통,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으로 분리하고, 강동구 천호동 천호영업소는 서울승합으로 존속시켰다.
- 1974년: 동진상운(현 대흥교통)을 합병 흡수하였다.
- 1975년: 성동구 마장동 마장영업소를 대흥교통(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으로 분리하였다.
2. 2. 1980년대 ~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전
- 1981년 ~ 1982년: 삼선버스를 계열사로 편입하였다.
- 1985년 2월: 현대교통(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으로부터 도시형버스 541-1번(남가좌동 ↔ 고덕동 간, 이후 폐선)을 인수받았다.
- 1987년: 대성운수에서 도시형버스 240번(금광동 ↔ 고속터미널 간)을 인수받았다.
- 1994년: 당시 계열사로 강동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매일마을버스를 설립하였다.
- 1995년 4월: 서울특별시 냉방형 도시형 버스 (운행 노선: 21-2번, 500번, 현재 3412번)를 처음 도입하였다.
- 1995년 11월: 서울특별시 버스카드 단말기 장착 버스를 운행 개시하였다.
- 1995년 ~ 1996년: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의 영향으로 보유 댓수를 감축하였다.
- 1996년 10월: 서울 시내 버스 수익 관련 이슈로 언론에 보도되었다.
- 2000년 7월: 서울특별시의 계열사 합병 권고로 삼선버스와 매일마을버스 2개사를 흡수 합병함과 동시에 매일마을버스에서 운행하던 무번호의 마을버스 2개의 노선에 노선번호를 1번과 1-1번으로 각각 부여하였다.
- 2000년 12월: 강동구 마을버스 1번, 1-1번이 지역순환버스 480번 (도시형버스 880번, 현 지선버스 3212번), 480-1번 등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 2001년: 지역순환버스 480-1번이 폐선되었다.
- 2003년: 지역순환버스 480번이 도시형버스 880번 (현 지선버스 3212번)으로 승격하였는데, 다만, 880번은 지역순환버스 운임을 받았다.
2. 3.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개편으로 서울승합은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메트로버스를 설립하고 지분을 출자했다.[1] 이 과정에서 하남 상산곡영업소와 광역버스 9301번(구 1007번)을 대원여객에 매각하고, 대원여객의 차량 및 면허를 인수받았다.[1]2005년 12월 31일, 기업 분할을 통해 시내버스 사업 부문은 신설 법인인 (주)서울승합에 양도하고, 기존 법인은 (주)욱담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건물 임대업을 하고 있다.[1]
2010년 1월 8일, 간선버스 361번의 종점을 영등포역에서 고속터미널로 단축하고 노선 번호를 342번으로 변경했다. 같은 해 8월 21일, 지선버스 3318번을 개통하여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2012년 4월 27일, 지선버스 3320번을 개통했다. 2013년 3월 19일, 지선버스 3321번을 개통하여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 운행을 시작했고, 간선버스 342번의 종점을 반포동 고속터미널에서 동작역으로 연장하며 노선 번호를 351번으로 변경했다.
2013년 9월 13일, 심야버스 N30번을 개통했다. 같은 해 9월 26일, 지선버스 3320번과 3321번을 지선버스 3321번으로 통합하고 종점을 천호동 사거리에서 성내동 강동구청역으로 연장했다. 또한, 간선버스 351번의 강일동 리버파크 9, 10단지 구간을 단축했다.
2017년 2월 4일, 간선버스 351번 노선을 압구정로데오역으로 단축하고 노선 번호를 342번으로 변경했다.
3. 운행 노선
2025년 1월 7일 기준이다.[2]
서울승합은 간선버스와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340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남역 | 7~10 | 34 | 구 43번 변경 |
342번 | 강동공영차고지 | 압구정로데오역 | 7~14 | 26 | 구 21, 351번 단축 |
3212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변역 | 12~20 | 10 | 구 880번, 구 480번, 구 강동 매일마을 1번 |
3318번 | 강동공영차고지 | 마천동 | 11~20 | 12 |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 |
3321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동구청 | 15 | 8 |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 |
3411번 | 강동공영차고지 | 대치동 | 7~16 | 17 | 구 569번 연장 |
3412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남역 | 10~18 | 21 | 구 500, 4417번 통합 (기존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폐쇄, 2021.4.17) |
3413번 | 강동공영차고지 | 수서경찰서 | 5~12 | 25 | 구 813, 813-2번 |
8332번 | 강동리버스트상가 | 천일초교사거리 | 17~20 | 2 | 2024년 3월 11일 신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 |
N30번 | 강동공영차고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45~50분, 6회 | 4 |
3. 1. 간선버스
2025년한국어 1월 7일한국어 기준이다.[2]운행노선 | 운행구간 | 배차간격 (분) | 인가 대수 | 비고 | ||
---|---|---|---|---|---|---|
340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남역 | 7~10 | 34 | 구 43번 변경 | ||
342번 | 강동공영차고지 ↔ 압구정로데오역 | 7~14 | 26 | 구 21, 351번 단축 | ||
N30번 | 강동공영차고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45~50분, 6회 | 4 |
3. 2. 지선버스
2025년 1월 7일 기준이다.[2]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배차간격 (분) | 인가대수 | 비고 |
---|---|---|---|---|---|
3212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변역 | 12~20 | 10 | 구 880번, 구 480번, 구 강동 매일마을 1번 |
3318번 | 강동공영차고지 | 마천동 | 11~20 | 12 |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 |
3321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동구청 | 15 | 8 | 송파상운과 공동 배차 |
3411번 | 강동공영차고지 | 대치동 | 7~16 | 17 | 구 569번 연장 |
3412번 | 강동공영차고지 | 강남역 | 10~18 | 21 | 구 500, 4417번 통합 (기존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폐쇄, 2021.4.17) |
3413번 | 강동공영차고지 | 수서경찰서 | 5~12 | 25 | 구 813, 813-2번 |
8332번 | 강동리버스트상가 | 천일초교사거리 | 17~20 | 2 | 2024년 3월 11일 신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 대원여객과 공동 배차 |
4. 과거 보유 노선
서울승합은 과거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으나, 2004년 서울시 버스 개편 이전에 폐선되거나 다른 회사로 이관된 노선들이 많다.
- 1985년 2월에는 현대교통으로부터 도시형버스 541-1번(남가좌동 ↔ 고덕동)을 인수받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폐선되었다.
- 1987년에는 대성운수에서 도시형버스 240번(금광동 ↔ 고속터미널)을 인수받았으나, 1998년에 폐선되었다.
2000년대 이후 서울시 버스 개편 전까지 운행했던 노선들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비고 |
---|---|---|---|
342번 | 강동공영차고지 |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2013년 3월 19일 351번으로 노선 연장·번호 변경 |
351번 | 강동공영차고지 | 국립현충원 | 2017년 2월 4일 342번으로 노선 단축·번호 변경 |
361번 | 강동공영차고지 | 영등포역 | 구 21번 연장. 2010년 1월 8일 342번으로 노선 단축·번호 변경/현재 남성버스에서 운행하는 361번과는 무관 |
2312번 | 강동공영차고지 | 중랑공영차고지 | 2018년 6월 25일 공동배차에서 철수 |
3211번 | 강동공영차고지 | 광장동 | 2005년 3월 4일 3317번으로 노선 단축·번호 변경 |
3311번 | 강동공영차고지 | 둔촌동역 | 구 481번. 2005년 6월 1일 폐선 |
3317번 | 강동공영차고지 | 천호역 | 2005년 6월 1일 폐선. 송파상운 3317번과는 무관 |
3320번 | 삼성엔지니어링글로벌센터 | 상일동역 | 2013년 9월 26일 3321번으로 노선 통합 |
4417번 | 우면동 | 압구정역 | 구 414번. 2006년 4월 13일 3412번으로 노선 통합 (2021년 8월 9일 우면동 종점 폐쇄)341번으로 대체 운영 |
8361번 | 강동공영차고지 | 영등포시장역 | 메트로버스, 북부운수와 공동배차. 2009년 12월 21일 폐선 |
4. 1. 개편 후 노선
- 2004년 7월 1일: 서울 주간선업체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메트로버스를 설립하고 지분을 출자하였다. 하남 상산곡영업소와 광역버스 9301번 (구 1007번)을 대원여객에 매각하고, 대원여객의 차량 및 면허 다수를 대신 받았다.[1]
- 2005년 12월 31일: 기업분할로 시내버스 사업은 신설법인 (주)서울승합에 양도하고, 잔존법인은 (주)욱담으로 사명을 변경하여 건물 임대업을 하고 있다.[1]
- 2010년 1월 8일: 간선버스 361번 종점을 영등포역에서 고속터미널로 단축하고, 노선번호도 342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0년 8월 21일: 지선버스 3318번을 개통하여 송파상운과 공동배차로 운행하기 시작하였다.
- 2012년 4월 27일: 지선버스 3320번을 개통하였다.
- 2013년 3월 19일: 지선버스 3321번을 개통하여 송파상운과 공동배차 운행하기 시작하였고, 간선버스 342번 종점을 반포동 고속터미널에서 동작역으로 연장하여 노선번호도 351번으로 변경하였다.
- 2013년 9월 13일: 심야버스 N30번을 개통하였다.
- 2013년 9월 26일: 지선버스 3320번과 3321번을 지선버스 3321번으로 통합하고, 종점을 천호동 사거리에서 성내동 강동구청역으로 연장하였다. 간선버스 351번은 강일동 리버파크 9, 10단지 구간을 단축하였다.
- 2017년 2월 4일: 간선버스 351번 노선을 압구정로데오역에서 단축하고, 노선 번호를 342번으로 변경하였다.
4. 2. 개편 전 노선
서울승합은 1950년 1월 서울승합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하며 190대의 버스를 보유했다.[1] 1968년 김포 영업소를 철수했고,[2] 1969년에는 용산구 한남동 영업소를 서울여객(현 도선여객)으로 분리했다.1970년대에는 여러 영업소를 분리하거나 다른 회사를 흡수합병했다. 1970년 10월 1일에는 동대문구 청량리동 경양지점(홍릉영업소)을 경성여객으로, 성동구 성수동 뚝섬영업소를 한서교통으로 분리했다. 1971년 5월 26일에는 영등포 지점(오류동 오류영업소, 양남동 양남영업소 포함)을 보성운수로 분리했다. 1973년 1월 1일에는 한일교통을 흡수 합병했고, 1974년 2월 1일에는 서부영업소를 서부운수로 분리했다. 같은 해 6월 1일에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영업소를 금성교통(현 대원교통)으로 분리하고 천호동 천호영업소는 서울승합으로 존속시켰다. 또한 동진상운(현 대흥교통)을 합병 흡수했고, 1975년에는 성동구 마장동 마장영업소를 대흥교통으로 분리했다.
1980년대에는 삼선버스를 계열사로 편입하고(1981~1982년), 현대교통으로부터 도시형버스 541-1번을 인수했다(1985년 2월). 1987년에는 대성운수에서 도시형버스 240번을 인수했다.
1990년대에는 계열사로 강동구의 마을버스 회사인 매일마을버스를 설립하고(1994년), 서울특별시 냉방형 도시형 버스 (운행 노선: 21-2번, 500번, 현재 3412번)를 처음 도입했으며(1995년 4월), 서울특별시 버스카드 단말기 장착 버스를 운행했다(1995년 11월). 1996년 10월에는 서울 시내 버스 수익 관련 이슈로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의 영향으로 보유댓수를 감축하기도 했다.(1995~1996년)
2000년대에는 서울특별시의 계열사 합병 권고로 삼선버스와 매일마을버스 2개사를 흡수 합병했다(2000년 7월). 매일마을버스에서 운행하던 무번호의 마을버스 2개의 노선에 노선번호를 1번과 1-1번으로 각각 부여하였다. 이 노선들은 지역순환버스 480번(현 지선버스 3212번), 480-1번 등으로 승격되었다. 2001년에는 지역순환버스 480-1번이 폐선되었고, 2003년에는 지역순환버스 480번이 도시형버스 880번(현 지선버스 3212번)으로 승격되었다.
서울승합은 다양한 노선을 운영했으나, 2004년 서울시 버스 개편 이전에 폐선되거나 다른 회사로 이관된 노선도 많다.
4. 2. 1. 도시형버스
- 18번(도시형버스): 고덕동 - 신한은행 - 고덕주공 2단지 - 공무원아파트 - 배재고등학교 - 직업훈련원 - 명일동 - 십자성마을 - 길동사거리 - 천호사거리 - 풍납사거리 - 잠실시영아파트 - 구의사거리 - 어린이대공원후문 - 군자교입구 - 장한평 - 답십리 - 제기동역 - 신설동역 - 청계8가 → 청계6가 → 청계4가 → 종로4가 → 동대문역 → 신설동역 (구 한성여객 → 대흥교통 노선. 1985년에 폐지되었다.)[1]
- 18-1번(도시형버스): 고덕동 - 신한은행 - 고덕주공 2단지 - 공무원아파트 - 배재고등학교 - 직업훈련원 - 명일동 - 십자성마을 - 길동사거리 - 천호사거리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교통회관 → 잠실역 (롯데월드) → 장미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1996년에 폐지되었다.)[2]
- 21번(도시형버스): 둔촌동 - 강동역 - 천호역 (영파여고) - 강동구청역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코엑스, 무역센터, 한국도심공항) - 봉은사 - 강남구청역 - 안세병원 - 압구정역 - 신사동주민센터 - 뉴코아 - 고속터미널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신반포 - 구반포 - 동작역 (국립현충원) - 흑석동 - 노량진본동 - 노량진역 - 노량진수산시장 - 대방역 - 신길역 - 영등포역 - 영등포시장 (舊 삼선버스 노선. 개편 후 기존 둔촌동 기점에서 보훈병원, 한영고등학교, 상일동역을 거쳐 강동공영차고지 기점으로 연장, 간선버스 361번으로 변경되었다. 2010년 1월 8일 신반포역 ~ 영등포역 구간 단축, 간선버스 342번으로 변경, 2013년 3월 19일 동작역 (국립현충원)으로 일부 구간 재연장, 간선버스 351번으로 변경되었다.)
- 21-2번(도시형버스):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광문고등학교 - 묘곡초등학교 - 고덕역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프라자아파트 - 길동사거리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잠실시영아파트 - 장미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신천역 - 종합운동장역 (舊 삼선버스와 공동배차. 2002년 6월 노선번호 500번으로 변경. 1996년 5월에 폐지된 500번과는 무관. 개편 후 지선버스 3412번으로 변경, 종합운동장역 회차에서 삼성역 - 휘문고등학교 → 대치역 (은마아파트) → 도곡역 → 한티역 (롯데백화점) → 휘문고등학교 회차로 변경, 2006년 4월 13일 지선버스 4417번 (구. (지역순환버스) 414번 (우면동 - 신사역)) 노선과 통폐합. 개편 때 연장되었던 대치동구간은 폐지.)
- 21-3번(도시형버스): 하남시 창우동 - 하남시청 - 하남시 덕풍동 - 춘궁동 주민센터 - 하남시 감북동 - 동북고등학교 - 보성중,고등학교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잠실역 (롯데월드) → 장미아파트 → 잠실진주아파트 → 몽촌토성역 (1995년 11월 신설, 1997년 3월 폐지.)
- 21-5번 (구 21-3번, 1995년 11월에 신설되었다가 1997년 3월에 폐지된 21-3번과는 무관.) (도시형버스):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광문고등학교 - 묘곡초등학교 - 명일동 - 길동삼익아파트 - 진흥아파트 - 길동사거리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잠실역 (롯데월드) → 장미아파트 → 잠실진주아파트 → 몽촌토성역 (舊 삼선버스와 공동배차. 2000년 2월 폐지.)
- 240번(도시형버스):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역 (영파여고)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석촌역 - 가락시장역 - 문정역 - 장지역 - 복정역 (동서울대학) - 경원대역 (경원대학교) - 태평역 - (구) 성남시청 (신흥1동주민센터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 성남시 금광동 (신구대학교) (1987년 대성운수로부터 양수, 1998년 폐지.)
- 300번(도시형버스): 명일동 - 강동아파트 - 암사시장 - 암사선사주거지 - 암사아파트 - 천호사거리 - 영파여고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신천역 - 종합운동장역 - 삼성역 - 봉은사 - 강남구청 - 논현동 - 영동시장 - 고속터미널역 (서울고속버스터미널) - 신반포 - 구반포 → 국립현충원 → 반포주공 → 구반포 (영등포까지 운행하였으나 1982년 국립현충원으로 단축, 1985년 11월 舊.삼선버스에 양도. 1988년 하일동으로 연장, 신장운수와 공동배차, 1989년 9월 16일 신장운수에 차량과 노선 운영권 매각. 구천면길 경유 노선도 존재하였으나 이후 암사동 노선으로 통합. 강남구청으로 단축하였으나 수요저조로 2000년 2월 폐지.)
- 500번(도시형버스, 1기노선):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사거리 - 광나루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역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청계6가 → 청계7가 → 신당역 (1983년 고덕주공아파트 입주로 인한 교통대책에 의거 고덕동으로 연장, 적, 청으로 노선 분리, 구천면길 경유 노선과 암사동 경유 노선으로 분리)
- 500번(도시형버스, (적) 1기노선 ): 고덕동 - 고덕주공 3,4,5단지 - 고덕주공 2단지 - 고덕도서관 - 공무원아파트 - 배재고등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 - 광나루역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역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성동경찰서)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청계6가 → 청계7가 → 신당역 (암사시장 경유 노선 존재. 1995년 11월 폐지, 암사시장 경유 노선은 건대입구역으로 단축, 1996년 5월 폐지.)
- 500번(도시형버스, (청) 1기노선):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고덕도서관 - 공무원아파트 - 고덕현대아파트 - 고덕시영아파트 - 배재중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 - 광나루역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역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성동경찰서)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청계6가 → 청계7가 → 신당역 (암사시장 경유 노선 존재, 1995년 11월 폐지.)
- 500번 (구 21-2번) (도시형버스, 2기노선):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광문고등학교 - 묘곡초등학교 - 고덕역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프라자아파트 - 길동사거리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잠실시영아파트 - 장미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신천역 - 종합운동장역 (개편 후 지선버스 3412번으로 변경, 종합운동장역 회차에서 삼성역 - 휘문고등학교 → 대치역 (은마아파트) → 도곡역 → 한티역 (롯데백화점) → 휘문고등학교 회차로 변경, 2006년 4월 13일 지선버스 4417번 (구. (지역순환버스) 414번 (우면동 - 신사역)) 노선과 통폐합. 개편 때 연장되었던 대치동구간은 폐지.)
- 500-1번(도시형버스. 1기노선):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사거리 - 광나루 - 워커힐 - 구리시 아천동 - 구리시 교문동 - 구리시 인창동 - 동구릉 (1985년 폐지.)
- 500-1번(도시형버스. 2기노선):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고덕도서관 - 공무원아파트 - 직업훈련원 - 강동아파트 - 암사역 - 암사선사주거지 - 암사아파트 - 천호역 (영파여고) - 올림픽대교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 구의역 -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 화양리 - 한양대역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성동경찰서)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구천면길 경유, 왕십리역 회차. 1996년 10월 구천면길 경유에서 암사시장 경유로 변경. 1997년 11월 동대문운동장으로 연장, 2000년 10월 31일 공식 폐지.)
- 500-2번(도시형버스. 1기노선): 동구릉 - 남양주시 도농동 (1985년 폐지.)
- 500-2번(도시형버스. 2기노선):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광문고등학교 - 고덕주공 1단지 - 배재고등학교 - 명일동 - 구천면길 - 영파여자고등학교 - 올림픽대교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1991년 3월 신설, 1995년 11월 16일 폐지.)
- 501번(도시형버스):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광문고등학교 - 고덕주공 1단지 - 배재고등학교 - 명일역 - 구천면길 - 천호역 (영파여고)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대교 -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 구의사거리 - 아차산역 (어린이대공원 후문) (1995년 11월 16일 신설, 1997년 3월 폐지.)
- 541-1번(도시형버스):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명일동 - 천호동 - 올림픽대교 - 광장동 - 군자동 - 장한평 - 답십리 - 신설동 (1985년 2월 현대교통으로부터 양수, 잠시 후 폐지.)
- 560번(도시형버스): 길동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던 도시형버스 560번 (시흥동 - 고속터미널역)과는 무관.)
- 563번(도시형버스): 암사동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
- 565번(도시형버스):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
- 566번(도시형버스): 상일동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한양대학교 - 왕십리 - 신당동 - 청계5가 (1975년 신설, 1977년경 폐지.)
- 568번(도시형버스):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배재고등학교 - 명일역 - 십자성마을 - 길동역 - 길동사거리 - 강동역 - 천호역 (영파여고) - 강동구청역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장미아파트 - 잠실대교 -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 화양리 - 면목5동주민센터 - 서울우유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서울성심병원 → 홍릉 → 경동시장 → 청량리역 → 서울성심병원 (원래는 명일동 기점. 1999년 10월 우신운수에 매각. 고덕동 기점에서 풍납동 기점으로 단축. 2002년 10월 서울시 적자노선 입찰제로 노선 운영권만 대원교통에 매각, 풍납동 - 경동시장에서 망우동 - 상봉역 - 면목동 - 면목5동주민센터 - 화양리 - 구의사거리 -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 구의역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로 변경. 2004년 차고지 관리 문제로 구리시 수택동으로 연장, 개편 후 지선버스 2232번으로 변경, 2005년 7월 18일 공식 폐지.)
- 568-1번(도시형버스): 명일동 - 십자성마을 - 길동 - 길동사거리 - 천호동 (영파여고) - 올림픽대교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 광진구청 (광진경찰서) - 구의사거리 - 화양리 - 면목5동주민센터 - 서울우유 - 중랑교 - 삼육서울병원 - 서울성심병원 → 홍릉 → 경동시장 → 청량리역 → 서울성심병원 (1988년 2월 신설, 수요저조로 1991년 5월 1일 폐지.)
- 569번 (구 300-1번) (도시형버스): 명일역 - 강동아파트 - 암사역 - 암사선사주거지 - 암사아파트 - 천호역 (영파여고) - 강동구청역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신천역 - 종합운동장역 (개편 후 지선버스 3411번으로 변경, 종합운동장역 회차에서 삼성역 (코엑스, 무역센터, 한국도심공항) 회차로 연장.)
- 569-1번(도시형버스): 고덕동 - 신한은행 - 고덕도서관 - 광문고등학교 - 고덕주공 1단지 - 고덕시영아파트 - 배재고등학교 - 직업훈련원 - 강동아파트 - 암사시장 - 암사선사주거지 - 암사아파트 - 천호사거리 - 영파여고 - 올림픽대교 - 강변역 (동서울터미널) (1994년 신설, 1995년 11월 수요저조로 폐지.)
- 571번 (구 71번. 도시형버스 710번 (정릉 - 개포동)의 전신인 71번과는 무관) (도시형버스): 천호동 - 화이자 - 구의동 - 건대입구역 - 화양리 - 한양대역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청계4가 (1977년경 도시형버스 575번에 통폐합. 송파상운 도시형버스 571번과는 무관.)
- 575번(도시형버스):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동 - 화이자 - 구의동 - 건대입구역 - 화양리 - 한양대역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운동장 - 청계4가 (1979년 도시형버스 500번 (1기노선)에 통폐합.)
- 810번(도시형버스, 2기노선): 일원역 (삼성의료원) → 대청역 - 수서경찰서 - 학여울역 - 송파등기소 - 삼전동 - 잠실주공 4단지 (2000년 9월 신설. 서울버스, 송파상운, 진화운수와 공동배차. 수요저조로 잠시 후 폐지. 우신운수, 우신버스에서 운행하던 도시형버스 810번 (서울대공원 - 동작역) 노선과는 무관.)
- 813번(도시형버스, 1기노선):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십자성마을 - 천동초등학교 - 대순진리회 - 강동구청 - 풍납극동아파트 - 잠실시영아파트 - 잠실역 (롯데월드) - 석촌역 - 송파역 - 가락시장역 (舊 삼선버스와 공동배차. 1998년에 폐지. 지선버스 3413번의 전신인 813번과는 무관.)
- 813번 (구 813-2번) (도시형버스, 2기노선):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십자성마을 - 길동역 - 길동사거리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송파구청 - 잠실역 (롯데월드) - 석촌역 - 송파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일원역 (삼성의료원) → 공무원아파트 → 대모산입구역 → 수서경찰서 → 대청역 → 일원역 (삼성의료원) (현 지선버스 3413번)
- 813-1번(도시형버스):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프라자아파트 - 길동사거리 - 대순진리회 - 강동구청 - 풍납극동아파트 - 송파구청 - 잠실역 (롯데월드) - 석촌역 - 송파역 - 가락시장역 (舊 삼선버스와 공동배차. 1998년 폐지.)
- 813-2번(도시형버스):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한영외국어고등학교 - 명일여자고등학교 - 명일역 - 십자성마을 - 길동역 - 길동사거리 - 둔촌동역 - 올림픽공원역 - 몽촌토성역 - 송파구청 - 잠실역 (롯데월드) - 석촌역 - 송파역 - 가락시장역 - 수서역 - 일원역 (삼성의료원) → 공무원아파트 → 대모산입구역 → 수서경찰서 → 대청역 → 일원역 (삼성의료원) (舊 삼선버스와 공동배차. 2001년 도시형버스 810번(2기노선)과 통합, 수서경찰서로 연장. 2003년 6월 노선번호 813번으로 변경. 현 지선버스 3413번)
- 829번(도시형버스): 노원교 - 상계주공9~12단지 - 도봉면허시험장 - 하계동 - 공릉동 - 태릉입구 - 묵동 - 중화동 - 중랑구청 (신우교통(현재 흥안운수에 흡수), 흥안운수, 진아교통, 한성여객, 태릉교통과 공동배차. 1991년 5월 1일 폐지.)
4. 2. 2. 좌석/직행좌석버스
座席중국어버스 및 直行座席중국어버스는 일반버스보다 더 편안한 좌석을 갖춘 버스이다. 서울승합은 과거 다양한 좌석/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했었다.- 34번: 명일동 - 구천면길 - 천호사거리 - 무교동 (1979년 9월 신설, 1985년 11월 폐지)
- 35번: 명일동 - 천호사거리 - 영등포역 (1979년 9월 신설, 1982년 폐지)
- 59번: 명일역 - 강동아파트 - 서대문역 (1996년 3월 심야 좌석버스 959번으로 형간 전환)
- 80번: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무교동 (1985년 11월 구 삼선버스에 양도)
- 500번: 고덕동 - 고덕주공 2단지 - 동대문운동장 (1991년 3월 신설, 1998년 폐지)
- 933번 (구 33번):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영등포역 (구 삼선버스 노선, 2000년 7월 폐지)
- 959번 (구 59번): 상일동역 - 고덕주공 2단지 - 서대문역 (개편 후 폐선)
- 1007번 (직행좌석버스, 하남시청 경유): 하남시 상산곡동 - 서울역 (구 삼선버스와 공동배차, 개편 후 광역버스 9301번으로 변경)
- 1007번 (직행좌석버스, 신장시장 경유): 하남시 상산곡동 - 서울역 (개편 후 광역버스 9301번으로 변경, 대원고속으로 이관)[1]
5. 특징
오랫동안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를 독점하다시피 한 버스 회사였다. 이 회사에서 보성운수, 서부운수, 경성여객, 대원교통, 한서교통, 도선여객 등 수많은 회사들이 분리되어 나갔다. 그 이후로도 강동구에서만큼은 계속 우위를 유지하였으며, 강동구의 시내버스로는 계속 거의 독점하다시피하였다. 지금도 강동구에 연고를 둔 유일한 서울시 면허 시내버스 업체다. 과거 삼선버스를 계열로 두었으며, 2000년에 계열사 합병 권고에 의거 완전히 서울승합에 합병, 정리되었다. 현재 존속하는 노선은 연고지인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등지를 연계하는 것만 있다. 차고지도 강동구 내에 여러 곳 있었으며, 하남시에서 출발하는 노선도 있었으나 모두 정리하고 현재는 강동공영차고지만 이용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대한상공회의소 코참비즈
http://www.korchambi[...]
2017-12-25
[2]
뉴스
2023년 2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특별시청 교통기획관 버스정책과
2023-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