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원여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원여객은 1972년 한진버스를 인수하여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회사이다. 서울, 의정부, 구리, 군포, 양주, 하남 등 수도권 지역에서 간선, 지선, 심야, 광역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여러 차례 본점 및 영업소 이전을 거쳤다. 과거에는 다수의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일부 노선이 폐선되거나 타 회사로 이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KD운송그룹
    KD운송그룹은 허명회 회장이 설립한 대원여객을 모태로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버스 운송 기업 중 하나로 성장하여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자체 사업 부문과 직원 복지를 위한 계열사도 운영하지만, 과거 노선 폐선 논란이나 안전사고 등의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
  • 197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항철공사
    항철공사는 1972년 지하철 공사로 설립되어 홍콩의 도시 철도 시스템인 MTR을 운영하며, 철도 운영과 부동산 개발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해외로도 사업을 확장하는 기업이다.
  • KD운송그룹 - 세명고등학교 (충북)
    1987년 충현고등학교로 개교하여 1994년 세명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한 세명고등학교는 대원교육재단이 운영하는 충청북도의 사립 고등학교로, 꾸준한 시설 확장을 통해 다양한 학습 및 편의 시설을 갖추고 2023년 2월 기준 11,207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KD운송그룹 - 고양종합터미널
    고양종합터미널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종합버스터미널로, 2012년 개장 후 화재 사고를 겪었으나 재개장하여 현재 전국 각지로 시외·고속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 의정부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의정부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대원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원여객 로고
회사 명칭주식회사 대원여객
원어 명칭Daewon Passenger Corp.
종류주식회사
창립1972년 1월 25일
이전 회사한진버스 (1963년 ~ 1972년 1월 24일)
본사 및 면허 등록지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125 (성수동1가, KD타워)
사업 지역강동영업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아리수로 426 (강일동) 강동공영차고지
신내영업소: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
용산영업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20길 95 (한강로동) 용산공영차고지
구리영업소: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 167 (수택동)
민락동영업소: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 503 (민락동)
경영진
회장허명회
대표이사 사장허상준
산업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재무 정보 (2020년)
자본금3,548,700,000원
매출액49,568,542,656원
영업이익2,738,287,004원
순이익2,933,533,897원
자산총액46,316,661,494원
주주 구성
주요 주주권동현 외 1명: 46.67%
주식회사 대원고속: 30.00%
허상준: 23.33%
직원
직원 수572명
모기업
모기업KD운송그룹
웹사이트
웹사이트KD운송그룹

2. 역사

대원여객은 1972년 1월 24일 설립된 이후 여러 차례 인수, 합병, 노선 확장, 본점 및 영업소 이전을 거치며 성장해왔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내용
1972년 1월 24일한진그룹 산하 서울시내버스 사업체인 한진버스를 양수받아 설립[1]
1992년 8월 22일본점을 종로구 효제동 (현 대학로 13)으로 이전
1994년 7월 1일승원여객 (1999년 폐업)의 의정부 영업소 편입
1995년 5월 1일본점을 중랑구 면목동 (현 동일로 600)으로 이전[1]
1998년의정부영업소 일부 노선 양주시 덕정동으로 연장
2000년 ~ 2001년의정부시 민락동과 양주시 덕정동 지역으로 일부 노선 연장
2002년 4월 1일진화운수 구리 영업소[1] 인수
2002년 9월 30일군포시 노선 확장, 3030번 (현 간선버스 542번) 신설, 단독 운행
2002년 11월보영운수와 3030번 공동 운행 개시
2003년 7월 29일의정부시 민락동에 민락영업소 설치
2004년 7월 1일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과 함께 메트로버스 지분 출자, 군포교통 99번 (현 지선버스 5624번) 양수, 서울승합 1007번 (현 광역버스 9301번) 양수 후 하남시까지 영업 지역 확장
2009년 10월 27일양주시 덕정동에 지점 설치[1]
2011년 3월 26일본점을 광진구 자양동 (현 자양로 131) 케이엔에스빌딩으로 이전
2013년 2월상일동역 ~ 강남역 간 정기이용권버스 개통, 강동공영차고지 내 강동영업소 개설, 노선 폐선으로 철수
2014년 1월 16일중랑공영차고지 내 중랑영업소[2] 철수,[3] 강동공영차고지 내 강동영업소 재개설[4]
2015년 5월 1일서울특별시 명령, 잠실한강시민공원 ~ 잠실역 8331번 운행
2015년 7월 10일서대문 고가차도 철거, 간선버스 370번 종점 충정로역으로 연장, 군포영업소 부곡버스공영차고지로 이전
2016년 8월 22일간선버스 107번 노선 변경 (금강펜테리움아파트 ~ 낙양물사랑공원앞 구간 신설)
2017년 1월 1일의정부시 가능동에 의정부영업소 설치
2017년 2월 1일구리시 수택동에 구리영업소 설치
2019년 2월 19일본점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로 이전
2020년 1월 29일녹색순환버스 01A번 (시계뱡향), 01B (반시계방향) 노선 신설
2021년 8월 2일간선버스 108번 폐선, 양주 덕정동 영업소 철수, 111번 신설
2021년 11월 29일지선버스 2416번 개통, 중랑공영차고지[5] 내 중랑영업소 신내동영업소로 개칭, 재설치
2022년 6월 27일지선버스 5624번, 녹색순환버스 01A/B번 폐선, 0411번 노선 신설
2024년 8월 3일간선버스 106번 폐선, 의정부 가능동 본사 철수
2024년 8월 24일간선버스 542번 폐선, 군포영업소 철수


2. 1. 회사 설립 초기 (1972년 ~ 1994년)

대원여객은 1972년 1월 24일 한진그룹 산하 서울시내버스 사업체인 '''한진버스'''를 인수받아 설립되었다.[1] 1992년 8월 22일 본점을 종로구 효제동 308 (현 대학로 13)로 이전하였고, 1994년 7월 1일에는 승원여객 (1999년 폐업)의 의정부 영업소를 인수하였다.

2. 2. 사업 확장 및 변화 (1995년 ~ 2004년)

1995년 5월 1일, 본점을 중랑구 면목동 161-17 (현 동일로 600)로 이전하였다.[1] 1998년 의정부영업소 일부 노선이 양주시 회천읍 덕정리 (현 양주시 덕정동)로 연장되었고, 2000년 ~ 2001년에는 의정부시 민락동과 양주시 회천읍 덕정리 (현 양주시 덕정동) 지역으로 일부 노선이 연장되었다.

2002년 4월 1일, 진화운수의 구리 영업소를 인수하였다.[1] 같은 해 9월 30일 군포시로 노선을 확장하여 3030번 (현 간선버스 542번)을 신설, 단독 운행하였고, 11월에는 안양시 소재 보영운수와 3030번 공동 운행을 시작하였다. 2003년 7월 29일,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 463-6에 민락영업소를 설치하였다.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 체계 개편과 함께 메트로버스 컨소시엄에 지분을 출자하고, 군포교통 99번 (현 지선버스 5624번)을 양수하여 군포시에 추가 진출하였다. 또한 서울승합 좌석버스 1007번 (현 광역버스 9301번)을 양수하여 하남시까지 영업 지역을 확장하였다.

2. 3. 영업소 및 본점 이전 (2009년 ~ 현재)


  • 2009년 10월 27일: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 69-1 (현 화합로1325번길 222)에 지점을 설치하였다.[1]
  • 2011년 3월 26일: 본점을 현 위치인 광진구 자양동 769-7 (현 자양로 131) 케이엔에스빌딩으로 이전하였다.
  • 2013년 2월: 상일동역 ~ 강남역 간 정기이용권버스 개통으로 강동공영차고지 내에 강동영업소를 개설하였으나, 얼마 안가 해당 노선 폐선으로 철수하였다.
  • 2014년 1월 16일: 중랑공영차고지 내 중랑영업소[2]를 철수하고,[3] 강동공영차고지 내에 강동영업소를 재개설하였다.[4]
  • 2015년 7월 10일: 서대문 고가차도 철거로 간선버스 370번 종점이 서대문역에서 충정로역으로 연장되었고, 542번과 5624번이 소속된 군포영업소는 군포화물터미널 내에서 부곡버스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다.
  • 2017년 1월 1일: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692 (가능동 26)에 의정부영업소를 설치하였다.
  • 2017년 2월 1일: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 167 (수택동 884)에 구리영업소를 설치하였다.
  • 2019년 2월 19일: 본점을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로 이전하였다.
  • 2021년 8월 2일: 간선버스 108번 폐선에 따라 양주 덕정동 영업소에서 철수하면서 111번을 신설하였다.
  • 2021년 11월 29일: 지선버스 2416번 개통에 따라 중랑공영차고지[5] 내 중랑영업소를 신내동영업소로 개칭해 재설치하였다.
  • 2024년 8월 3일: 간선버스 106번 폐선에 따라 의정부 가능동 본사에서 철수하였다.
  • 2024년 8월 24일: 간선버스 542번 폐선에 따라 군포영업소에서 철수하였다.

3. 운행 노선

대원여객은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2024년 8월 27일 기준으로 간선버스, 지선버스, 심야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하위 섹션 "간선버스", "지선버스", "심야버스"에서 상세 노선 정보를 제공하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언급만 하고 넘어간다.)

3. 1. 간선버스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040번용산공영차고지 ↔ 개포우성6차아파트13~17152024년 8월 26일 월요일 신설
107번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종로5가10~1525구 12-1번. 도봉산역, 낙양물사랑공원 경유, 송산초등학교 미경유
111번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동대문17~2613하계역, 노원역, 신평화로 경유. 구 명진여객 111번. 2021년 8월 2일 월요일 신설.
201번구리수택차고지 ↔ 서울역버스환승센터10~2519구 55번, 55-3번 통합
341번강동공영차고지 ↔ 우면동12~2026구 555-2번 변경·연장(2021.08.09 월요일 3412번 대체 운영)
370번강동공영차고지 ↔ 충정로역7~1531구 959번 좌석버스 변경. 송파상운과 공동배차로 운행.
N31번강동공영차고지 ↔ 국민대35~4042022년 5월 1일 일요일 신설, 2022년 12월 1일 목요일 구 N34번 신사역~국민대 연장, 대진여객과 공동배차


3. 2. 지선버스

2024년 8월 27일 기준이다.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0411번용산공영차고지 ↔ 양재시민의숲역12~25212022년 6월 27일 신설
2312번중랑공영차고지 ↔ 강동공영차고지10~1492014년 12월 23일 신설, 북부운수와 공동 배차
2416번중랑공영차고지 ↔ 삼성역8~35152021년 11월 29일 신설, 장안동 경유
3323번강동공영차고지 ↔ 잠실새내역11~16152021년 7월 19일 신설
3324번강동공영차고지 ↔ 강동역10~16102024년 8월 5일 신설
8332번강동리버스트상가 ↔ 천일초교사거리17~2022024년 3월 11일 신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 서울승합과 공동 배차


3. 3. 심야버스

(분)인가
대수비고N31번강동공영차고지↔국민대35~4042022년 5월 1일 신설, 2022년 12월 1일 구 N34번 신사역~국민대 연장, 대진여객과 공동 배차


4. 과거 운행 노선

대원여객에서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들은 다음과 같다.

노선번호기점종점주요 경유지비고
0213효창동도선동삼성여객과 공동 배차, 2011년 2월 8일 2225번과 통합 후 2016번으로 운행
1018양주시 덕정동종로5가역13-3번, 902-2번, 2008년 6월 1일 수유역 단축 후 1118번으로 변경
1019양주시 덕정동종로5가역13-2번, 902-3번, 2004년 12월 21일 1018번에 통폐합
1118양주시 덕정동수유역13-3번, 902-2번, 1019번, 1018번, 2010년 1월 25일 폐선, 진명여객 118번(도시형)으로 대체
1148양주시 덕정동도봉산역13-1번, 2009년 8월 20일 폐선, 진명여객 48번(도시형)으로 대체 (48번도 폐선)
1151의정부시 가능동수유역12번, 2010년 5월 17일 폐선, 대원버스 1151번과 무관, 평안운수 36번과 동일 구간
1152의정부시 민락동노원역12-5번 단축, 2015년 8월 2일 폐선, 평안운수 12-5번으로 대체
2015중랑공영차고지개포동17번, 2005년 말~2006년 초 대원교통에 양도
2016중랑공영차고지효창운동장0213번+2225번,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2014년 1월 16일 메트로버스에 양도
2226구리시 수택동청량리역55번 단축, 55-3번 단축, 2005년 12월 16일 폐선
2232구리시 수택동강변역568번, 2005년 6월 21일 폐선
5624군포 부곡버스공영차고지구로디지털단지역99번, 2004년 7월 군포교통에 양수, 2022년 6월 27일 폐선
01A서울역서울역경복궁역, 을지로2020년 1월 29일 ~ 2022년 6월 27일
01B서울역서울역을지로, 경복궁역2020년 1월 29일 ~ 2022년 6월 27일
106가능동종로5가13번, 2024년 8월 3일 폐선, 평안운수 106-1번 신설 대체
108덕정동동대문902번 -> 9101번, 2017년 8월 21일부로 골프장지선 폐지, 2021년 8월 2일 폐선, 양주교통 87번 대체
241중랑공영차고지신논현역망우역 경유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2014년 1월 16일 공동 배차 철수
262중랑공영차고지국회의사당역53번, 북부운수와 공동 배차, 2014년 1월 16일 메트로버스에 양도
542군포 부곡버스공영차고지신사역3030번, 9503번, 2024년 8월 24일 폐선
8331잠실한강공원잠실역오후 1시 ~ 오후 10시, 2016년 1월 1일 폐선
8401고속터미널역삼각지역2010년 하반기 폐선,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9101양주시 덕정동종로5가역902번, 2005년 9월 10일 108번으로 형간전환
9301하남공영차고지서울역 버스 환승센터1007번, 2005년 8월 12일 대원고속에 양도, 이후 하남시로 면허 이관
9503군포시 군포복합화물터미널신사역3030번, 2013년 12월 11일 542번으로 형간전환, 보영운수 3030번과 무관
강동·강남선상일동역강남역폐선
12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가능동동대문역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994년 7월 1일 승원여객 양수, 1151번으로 변경, 2010년 5월 17일 폐지
12-1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민락동동대문역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간선버스 107번
12-5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민락동종로5가역노원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152번으로 변경, 2015년 8월 3일 폐지
13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가능동종로5가역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간선버스 106번
13-1번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1148번으로 변경, 진명여객 48번으로 변경
13-2번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019번으로 변경 후 1018번 흡수, 진명여객 118번으로 변경
13-3번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018번으로 변경 후 통폐합, 진명여객 118번으로 변경
55번 (도시형버스)구리시 수택동서울역청량리역, 동대문역, 을지로입구역간선버스 201번, 2000년 4월 1일 진화운수 양수
55-3번 (도시형버스)구리시 수택동동대문역청량리역201번으로 변경 후 서울역 연장, 2000년 4월 1일 진화운수 양수
113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가능동강남고속버스터미널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 신사역1988년 폐지, 현 간선버스 106번
113번 (좌석버스)의정부시 가능동강남고속버스터미널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 신사역1998년 5월 폐지, 현 간선버스 106번
712번 (좌석버스)의정부시 가능동동대문역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995년 902번 심야좌석 통폐합, 1994년 7월 1일 승원여객 양수
902번 (심야좌석,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2004년 1월 도시형 전환, 9101번 변경, 108번 전환, 1994년 7월 1일 승원여객 양수, 2021년 8월 2일 폐선
902번 (심야좌석, 도시형버스, 봉양동지선)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회암동,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2004년 1월 도시형 전환, 9101번 변경, 108번 전환, 2021년 8월 2일 폐선
902-1번 (심야좌석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1998년 5월 신설, 2001년 5월 도시형 전환 및 단축, 2001년 11월 폐선
902-2번 (심야좌석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998년 2월 신설, 2002년 4월 13-3번 형간전환
902-3번 (심야좌석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2002년 1월 신설, 2002년 3월 13-2번 형간전환
3030번 (직행좌석버스)군포공영차고지논현역군포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9503번 변경, 신사역 연장, 2013년 12월 11일 542번 전환, 보영운수 공동배차


4. 1. 폐선/이관 노선

4. 2. 개편 전 노선

노선번호기점종점주요 경유지비고
0213효창동도선동삼성여객과 공동 배차, 2011년 2월 8일 2225번과 통합 후 2016번으로 운행
1018양주시 덕정동종로5가역구 13-3번, 구 902-2번, 2008년 6월 1일 수유역 단축 후 1118번으로 변경
1019양주시 덕정동종로5가역구 13-2번, 구 902-3번, 2004년 12월 21일 1018번에 통폐합
1118양주시 덕정동수유역구 13-3번, 구 902-2번, 구 1019번, 구 1018번, 2010년 1월 25일 폐선, 진명여객 118번(도시형)으로 대체
1148양주시 덕정동도봉산역구 13-1번, 2009년 8월 20일 폐선, 진명여객 48번(도시형)으로 대체 (48번도 폐선)
1151의정부시 가능동수유역구 12번, 2010년 5월 17일 폐선, 대원버스 1151번과 무관, 평안운수 36번과 동일 구간
1152의정부시 민락동노원역구 12-5번 단축, 2015년 8월 2일 폐선, 평안운수 12-5번으로 대체
2015중랑공영차고지개포동구 17번, 2005년 말~2006년 초 대원교통에 양도
2016중랑공영차고지효창운동장구 0213번+구 2225번,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2014년 1월 16일 메트로버스에 양도
2226구리시 수택동청량리역구 55번 단축, 55-3번 단축, 2005년 12월 16일 폐선
2232구리시 수택동강변역구 568번, 2005년 6월 21일 폐선
5624군포 부곡버스공영차고지구로디지털단지역구 99번, 2004년 7월 군포교통에 양수, 2022년 6월 27일 폐선
01A서울역서울역경복궁역, 을지로2020년 1월 29일 ~ 2022년 6월 27일
01B서울역서울역을지로, 경복궁역2020년 1월 29일 ~ 2022년 6월 27일
106가능동종로5가구 13번, 2024년 8월 3일 폐선, 평안운수 106-1번 신설 대체
108덕정동동대문구 902번 -> 9101번, 2017년 8월 21일부로 골프장지선 폐지, 2021년 8월 2일 폐선, 양주교통 87번 대체
241중랑공영차고지신논현역망우역 경유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2014년 1월 16일 공동 배차 철수
262중랑공영차고지국회의사당역구 53번, 북부운수와 공동 배차, 2014년 1월 16일 메트로버스에 양도
542군포 부곡버스공영차고지신사역구 3030번, 9503번, 2024년 8월 24일 폐선
8331잠실한강공원잠실역오후 1시 ~ 오후 10시, 2016년 1월 1일 폐선
8401고속터미널역삼각지역2010년 하반기 폐선, 대원교통과 공동 배차
9101양주시 덕정동종로5가역구 902번, 2005년 9월 10일 108번으로 형간전환
9301하남공영차고지서울역 버스 환승센터구 1007번, 2005년 8월 12일 대원고속에 양도, 이후 하남시로 면허 이관
9503군포시 군포복합화물터미널신사역구 3030번, 2013년 12월 11일 542번으로 형간전환, 보영운수 3030번과 무관
강동·강남선상일동역강남역폐선
12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가능동동대문역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994년 7월 1일 승원여객 양수, 1151번으로 변경, 2010년 5월 17일 폐지
12-1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민락동동대문역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간선버스 107번
12-5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민락동종로5가역노원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152번으로 변경, 2015년 8월 3일 폐지
13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가능동종로5가역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간선버스 106번
13-1번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1148번으로 변경, 진명여객 48번으로 변경
13-2번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019번으로 변경 후 1018번 흡수, 진명여객 118번으로 변경
13-3번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018번으로 변경 후 통폐합, 진명여객 118번으로 변경
55번 (도시형버스)구리시 수택동서울역청량리역, 동대문역, 을지로입구역간선버스 201번, 2000년 4월 1일 진화운수 양수
55-3번 (도시형버스)구리시 수택동동대문역청량리역201번으로 변경 후 서울역 연장, 2000년 4월 1일 진화운수 양수
113번 (도시형버스)의정부시 가능동강남고속버스터미널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 신사역1988년 폐지, 현 간선버스 106번
113번 (좌석버스)의정부시 가능동강남고속버스터미널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 신사역1998년 5월 폐지, 현 간선버스 106번
712번 (좌석버스)의정부시 가능동동대문역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995년 902번 심야좌석 통폐합, 1994년 7월 1일 승원여객 양수
902번 (심야좌석, 도시형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2004년 1월 도시형 전환, 9101번 변경, 108번 전환, 1994년 7월 1일 승원여객 양수, 2021년 8월 2일 폐선
902번 (심야좌석, 도시형버스, 봉양동지선)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회암동,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2004년 1월 도시형 전환, 9101번 변경, 108번 전환, 2021년 8월 2일 폐선
902-1번 (심야좌석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1998년 5월 신설, 2001년 5월 도시형 전환 및 단축, 2001년 11월 폐선
902-2번 (심야좌석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1998년 2월 신설, 2002년 4월 13-3번 형간전환
902-3번 (심야좌석버스)양주시 덕정동동대문역덕정역, 양주역, 의정부역, 수유역, 미아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2002년 1월 신설, 2002년 3월 13-2번 형간전환
3030번 (직행좌석버스)군포공영차고지논현역군포역, 금정역, 범계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선바위역, 양재역, 강남역9503번 변경, 신사역 연장, 2013년 12월 11일 542번 전환, 보영운수 공동배차


참조

[1] 문서 구 부흥교통 본사
[2] 문서 2416번을 신설하면서 7년 10개월만에 돌아왔다.
[3] 문서 이 과정에서 간선버스 262번과 지선버스 2016번을 메트로버스에 양도했다. 메트로버스
[4] 문서 이 과정에서 메트로버스로부터 370번을 양수했다. 메트로버스
[5] 문서 241, 262, 2016번 철수 이후 7년 10개월만이다.
[6] 문서 굵게 표기한 지점은 등기부에 등록된 주식회사 대원여객의 공식 지점이며, 나머지는 KD운송그룹에서 통합관리하는 영업소이다. KD운송그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