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 하고 있습니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두 하고 있습니까는 기타노 다케시가 감독, 각본, 편집을 맡은 1995년 일본 코미디 영화이다. 모태솔로인 아사오가 여자를 얻기 위해 겪는 기상천외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영화,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등을 패러디하고 배설 유머를 활용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영화는 기획 의도, 패러디, 배설 유머 등을 통해 기타노 다케시의 전위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타노 다케시 감독 영화 - 아웃레이지 파이널
기타노 다케시가 감독, 각본, 편집, 주연을 맡은 야쿠자 영화 《아웃레이지 파이널》은 아웃레이지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자 최종편으로, 하나비시회의 권력 다툼과 복수를 위해 귀국한 오토모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기타노 다케시 감독 영화 - 아웃레이지 비욘드
기타노 다케시 감독의 야쿠자 영화 아웃레이지 비욘드는 2010년 영화 《아웃레이지》의 후속작으로, 조직의 배신과 복수, 산노회와 하나비시회의 세력 다툼 속 암투와 폭력을 그리고 있으며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었다. - 코미디 영화 - 나의 삼촌
《나의 삼촌》은 자크 타티 감독 및 주연의 1958년 프랑스 코미디 영화로,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인간성과 물질주의의 대조를 통해 현대 사회를 풍자하며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고전 영화로 자리 잡았다. - 코미디 영화 - 성탄절 전야의 공항 대소동
크리스마스 이브 눈폭풍으로 공항에 갇힌 아이들이 공항을 탐험하며 크리스마스 선물을 찾는 소동을 그린 영화 《성탄절 전야의 공항 대소동》은 젊은 배우들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으나, 스토리의 참신성 부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제작비 회수에 실패했다. - 일본의 코미디 영화 - 해파리 공주
히가시무라 아키코의 만화 《해파리 공주》는 해파리를 사랑하는 츠키미와 여장남자 쿠라노스케를 중심으로, 재개발 위기에 놓인 낡은 아파트 텐스이칸에 사는 여성 오타쿠들의 이야기를 그린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코단샤 만화상 수상 후 TV 애니메이션, 실사 영화, 드라마 등으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다. - 일본의 코미디 영화 - 더 우쵸우텐 호텔
더 우쵸우텐 호텔은 미타니 코키 감독의 2006년 영화로, 섣달 그믐날 호텔에 모인 다양한 인물들의 예상치 못한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며, 일본 아카데미상 수상 및 흥행에 성공했다.
모두 하고 있습니까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기타노 다케시 |
프로듀서 | 모리 마사유키 나베시마 히사노 요시다 타이코 |
각본 | 기타노 다케시 |
출연 | 비트 다케시 단칸 소노만마 히가시 히다리 도키에 고바야시 쇼지 |
음악 | 호리우치 센지 고이케 히데히코 |
촬영 | 야나기시마 가쓰미 |
편집 | 기타노 다케시 오타 요시노리 |
배급사 | 니폰 헤럴드 필름 헤럴드 에이스 오피스 기타노 |
개봉일 | 1995년 2월 2일 |
상영 시간 | 110분 |
언어 | 일본어 |
국가 | 일본 |
제목 | |
원제 | みんな〜やってるか! |
로마자 표기 | Minna yatteru ka! |
의미 | 모두 하고 있습니까? |
2. 줄거리
모태솔로 청년 아사오는 여자와 섹스를 하기 위해 차를 구입한다. 그는 포르쉐 911 카브리올레를 원했지만, 돈이 부족하여 혼다 투데이를 구입한다. 이후 오스틴-힐리 스프라이트 MkI를 가장한 유노스 로드스터를 구입하지만, 차가 망가지자 마쓰다 RX-7 시리즈 5 터보(FC)를 훔친다. 하지만 이마저도 사고로 이어져 실패한다.
단칸이 연기하는 주인공 아사오는 여자를 좋아하지만 인기가 없는 남자이다.[7] 바보 같고 생각이 얕아 즉흥적인 행동을 하며 실수가 많고, 돈도 거의 없다.[7]
아사오는 항공사 스튜어디스와의 만남을 꿈꾸며 747 비행기에 오르기 위해 무장 강도를 계획하고, 가와구치시에서 리볼버를 만들려 한다. 그는 야쿠자에 가입하고, 자토이치가 되거나 투명 인간이 되기도 하며, 영화 ''플라이''처럼 거대한 파리 인간으로 변신하는 등 황당한 사건들을 겪는다.
3. 등장인물
데라지마 스스무는 피투성이 야쿠자 역을 맡아 작중 여러 번 등장한다.[7] 매번 빈사 상태로 나타나 아사오에게 자신이 가진 것을 맡아달라고 부탁한다.[7]
하쿠류는 오디션 심사위원 역을 맡았다.[7] 극단 신인 오디션을 심사하지만, 이상한 참가자들뿐이라 적임자를 찾지 못해 고심한다.[7]
오스기 렌은 킬러 선생님 역을 맡았다.[7] 권총 다루는 프로로, 500엔 동전에 탄환을 명중시킬 수 있지만, 속사 대결에서 어려움을 겪는다.[7]
아시카와 마코토는 투명인간 추진협회 조수 역을 맡았다.[7] 박사와 함께 투명 인간을 연구하며, 투명 인간이 된 아사오의 행방을 찾는다.[7] 덜렁거리는 성격으로 자주 박사에게 혼난다.[7]
비트 다케시는 투명인간 추진협회 타치바나 박사 역을 맡았다.[7] 인간 투명화 실험을 성공시키는 것이 꿈으로, 아사오에게 투명 인간 실험에 협력해 달라고 한다.[7]
; 그 외 인물3. 1. 주요 인물
단칸이 연기하는 주인공 아사오는 여자를 좋아하지만 인기가 없는 남자이다. 바보 같고 생각이 얕아 즉흥적인 행동을 하며 실수가 많고, 돈도 거의 없다.
데라지마 스스무는 피투성이 야쿠자 역을 맡아 작중 여러 번 등장한다. 매번 빈사 상태로 나타나 아사오에게 자신이 가진 것을 맡아달라고 부탁한다.
하쿠류는 오디션 심사위원 역을 맡았다. 극단 신인 오디션을 심사하지만, 이상한 참가자들뿐이라 적임자를 찾지 못해 고심한다.
오스기 렌은 킬러 선생님 역을 맡았다. 권총 다루는 프로로, 500엔 동전에 탄환을 명중시킬 수 있지만, 속사 대결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아시카와 마코토는 투명인간 추진협회 조수 역을 맡았다. 박사와 함께 투명 인간을 연구하며, 투명 인간이 된 아사오의 행방을 찾는다. 덜렁거리는 성격으로 자주 박사에게 혼난다.
비트 다케시는 투명인간 추진협회 타치바나 박사 역을 맡았다. 인간 투명화 실험을 성공시키는 것이 꿈으로, 아사오에게 투명 인간 실험에 협력해 달라고 한다.
3. 2. 조연
단칸이 연기하는 주인공 아사오는 여자를 좋아하지만 인기가 없는 남자이다. 바보 같고 생각이 얕아 언제나 즉흥적인 행동을 하며, 무엇을 하든 실수가 많다. 무직인지는 불분명하지만, 돈은 거의 없다.
테라지마 스스무는 작중에서 여러 번 피투성이 야쿠자로 등장한다. 매번 빈사 상태로 나타나 아사오에게 자신이 가진 것을 맡아달라고 부탁한다.
하쿠류는 오디션 심사위원으로 출연하여 극단의 신인 오디션을 심사한다. 이상한 참가자들뿐이라 적임자를 찾지 못해 고심한다.
오스기 렌은 킬러 선생님으로 출연하여 아카이와에게 고용된 킬러로 등장한다. 권총 다루는 프로로, 500엔 동전에 탄환을 명중시킬 수 있지만, 속사 대결에서 패배한다.
아시카와 마코토는 투명인간 추진협회 조수 역을 맡았다. 비트 다케시가 연기하는 타치바나 박사와 함께 투명 인간을 연구하며, 이후 투명 인간이 된 아사오의 행방을 찾는다. 덜렁거리는 성격이라 자주 박사에게 혼난다.
4. 제작 배경 및 특징
기타노 다케시가 감독, 각본, 편집을 맡았으며, 모리 마사유키, 나베시마 히사오, 쓰게 야스시, 요시다 타키오가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야나기시마 가쓰미가 촬영을, 이소다 노리히로가 미술을 담당했다.
== 기획 의도 ==
기타노 다케시는 오토바이 사고 직후 복귀작으로,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가벼운 코미디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자기 방에서 혼자 술 마시면서 보면 이렇게 즐거운 영화는 없다"고 밝히며, 이 영화가 자신의 전위적인 작품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 패러디와 풍자 ==
영화는 제국은행 사건, 3억 엔 사건 등 실제 사건뿐만 아니라 자토이치, 더 플라이 등 다양한 영화,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음악 등을 패러디한다. 특히, 무뢰인, 자토이치 시리즈, 살인의 낙인, 전송인간, 투명인간과 파리남자, 고질라 대 모스라, 고스트버스터즈, 플라이 (1986년 영화), 울트라맨 시리즈, 게게게의 키타로 등의 작품들이 패러디되었다. 조 시시도의 갱스터 영화와 마이클 잭슨의 뮤직 비디오에 대한 언급도 많다. 파리 인간과 투명 인간/투메이닌겐일본어의 영감은 무라야마 미쓰오가 감독한 1957년 공포 영화 ''투명인간과 파리남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파리 인간"이 만들어지는 방식은 데이비드 크로넨버그가 1986년에 리메이크한 영화 ''플라이''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다. 박사와 그의 조수가 입은 사냥복은 아이반 라이트만의 1984년 SF 코미디 ''고스트버스터즈''에 대한 오마주이다. 엔딩 크레딧 후에 나오는 또 다른 엔딩은 스티븐 스필버그의 ''E.T.''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달을 배경으로 날아가는 캐릭터를 보여준다. 오카다 마스미(요시프 스탈린 역)와 고바야시 아키지(''울트라맨''의 지구 방위대 대장 역)와 같은 특별 출연자들도 등장한다.
== 배설 유머 ==
기타노 다케시는 자신의 영화에 사용된 배설 유머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일본은 전통적으로 농업 종사자의 나라이기 때문에 배설물과 똥이 일본에서 흔한 유머의 소재였다고 답했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농경 사회에서 비롯된 해학적 요소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한 프랑스 기자는 영화 제작자에게 영화 후반부에 등장하는 거대한 똥이 일본 사회의 퇴폐를 상징하는 은유인지 질문했지만, 기타노는 웃으며 그렇지 않으며 단지 "지역적인 색깔" 유머로 의도했다고 답했다.
4. 1. 기획 의도
기타노 다케시는 오토바이 사고 직후 복귀작으로,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가벼운 코미디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자기 방에서 혼자 술 마시면서 보면 이렇게 즐거운 영화는 없다"고 밝히며, 이 영화가 자신의 전위적인 작품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4. 2. 패러디와 풍자
영화는 제국은행 사건, 3억 엔 사건 등 실제 사건뿐만 아니라 자토이치, 더 플라이 등 다양한 영화,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음악 등을 패러디한다. 특히, 무뢰인, 자토이치 시리즈, 살인의 낙인, 전송인간, 투명인간과 파리남자, 고질라 대 모스라, 고스트버스터즈, 플라이 (1986년 영화), 울트라맨 시리즈, 게게게의 키타로 등의 작품들이 패러디되었다. 조 시시도의 갱스터 영화와 마이클 잭슨의 뮤직 비디오에 대한 언급도 많다. 파리 인간과 ''투메이닌겐''(투명 인간)의 영감은 무라야마 미쓰오가 감독한 1957년 공포 영화 ''투명인간과 파리남자''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파리 인간"이 만들어지는 방식은 데이비드 크로넨버그가 1986년에 리메이크한 영화 ''플라이''에서 직접 가져온 것이다. 박사와 그의 조수가 입은 사냥복은 아이반 라이트만의 1984년 SF 코미디 ''고스트버스터즈''에 대한 오마주이다. 엔딩 크레딧 후에 나오는 또 다른 엔딩은 스티븐 스필버그의 ''E.T.''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달을 배경으로 날아가는 캐릭터를 보여준다. 오카다 마스미(요시프 스탈린 역)와 고바야시 아키지(''울트라맨''의 지구 방위대 대장 역)와 같은 특별 출연자들도 등장한다.4. 3. 배설 유머
기타노 다케시는 자신의 영화에 사용된 배설 유머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일본은 전통적으로 농업 종사자의 나라이기 때문에 배설물과 똥이 일본에서 흔한 유머의 소재였다고 답했다.한 프랑스 기자는 영화 제작자에게 영화 후반부에 등장하는 거대한 똥이 일본 사회의 퇴폐를 상징하는 은유인지 질문했지만, 기타노는 웃으며 그렇지 않으며 단지 "지역적인 색깔" 유머로 의도했다고 답했다.
5. 평가 및 반응
5. 1. 일본 내 반응
5. 2. 긍정적 평가
5. 3. 한국 내 반응
6. 주제가 및 삽입곡
영화에는 엔카, J-POP, 민요 등 다양한 스타일의 삽입곡이 사용되었다.[8]
- 「꼬마야, 큰일났네」 (노래: 야마모토 린다): 아사오가 난파 연습을 하고 여자들에게 말을 거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두 사람의 사랑 랜드」 (노래: 이시카와 유코, Chage): 아사오 앞을 달리는 오픈카에서 흘러나온다.
- 「나는 인생 대학생」 (노래: 프랭크 나가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등장하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사랑을 한다면」 (노래: 하시 유키오): 아사오가 파란색 오픈카를 운전하는 장면에 삽입되었다.
- 「한여름의 사건」 (노래: 히말라야 미키&MODOKEES): 아사오가 노란색 차를 훔쳐 운전하는 장면에 등장한다.
- 「젊은 순경」 (노래: 소네 시로): 아사오의 공상 속 경찰관에게서 권총을 강탈하려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시타마치의 태양」 (노래: 바이쇼 치에코): 아사오의 공상 속 주물 공장에서 일하는 장면에 흘러나온다.
- 「더 가드맨의 테마」 (작곡: 야마우치 타다시 / 내레이션: 아쿠타가와 타카유키)
- 「이세자키쵸 블루스」 (노래: 아오에 미나): 킬러 흉내를 내는 아사오를 환영하는 연회 장면에서 아카이와가 춤을 출 때 사용되었다.
- 「당사자 보탄」 (노래: 타카쿠라 켄): 아사오가 남방의 타마를 가지러 가겠다고 나서는 장면에 삽입되었다.
- 「달의 호젠지 요코초」 (노래: 후지시마 타케오): 아사오가 차 트렁크에서 무기를 꺼내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남자의 일생」 (노래: 무라타 히데오): 아이카와 조직과 남방 조직의 결판 장면에 대두목이 나타날 때 흘러나온다.
- 「사과의 노래」 (노래: 나미키 미치코): 대두목 머리 위의 사과를 아사오가 칼로 자르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우주 행진곡」 (노래: 도쿄 마이스터징어): 지구 방위군 차량에서 신규 대원 모집 선전과 함께 흘러나온다. 엔딩에는 "우주의 행진곡"으로 표기되었다.
- 「소란 의리」 (노래: 테라지마 스스무): 가사 자막이 나오는 초대형 영상 장치 앞에서 유랑하는 남자가 기타 연주를 한다.
- 「오테모야」 (구마모토민요): 파리 남자 포획 이벤트 리허설에서 여성 민요 가수가 부른다.
- 「홋카이도 봉오리 노래」 (홋카이도 민요): 파리 남자 포획 이벤트 본선에서 여성 민요 가수가 부른다.
- 「모스라」의 극중가 모스라의 노래를 패러디한 듯한 노래: 파리 남자 포획 이벤트 본선에서 여성 2인조 파리파리 걸즈가 부른다.
- 「꽃과 용」 (무라타 히데오)
6. 1. 주제가
6. 2. 삽입곡
영화에는 엔카, J-POP, 민요 등 다양한 스타일의 삽입곡이 사용되었다.[8]- 「꼬마야, 큰일났네」 (노래: 야마모토 린다): 아사오가 난파 연습을 하고 여자들에게 말을 거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두 사람의 사랑 랜드」 (노래: 이시카와 유코, Chage): 아사오 앞을 달리는 오픈카에서 흘러나온다.
- 「나는 인생 대학생」 (노래: 프랭크 나가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등장하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사랑을 한다면」 (노래: 하시 유키오): 아사오가 파란색 오픈카를 운전하는 장면에 삽입되었다.
- 「한여름의 사건」 (노래: 히말라야 미키&MODOKEES): 아사오가 노란색 차를 훔쳐 운전하는 장면에 등장한다.
- 「젊은 순경」 (노래: 소네 시로): 아사오의 공상 속 경찰관에게서 권총을 강탈하려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시타마치의 태양」 (노래: 바이쇼 치에코): 아사오의 공상 속 주물 공장에서 일하는 장면에 흘러나온다.
- 「더 가드맨의 테마」 (작곡: 야마우치 타다시 / 내레이션: 아쿠타가와 타카유키)
- 「이세자키쵸 블루스」 (노래: 아오에 미나): 킬러 흉내를 내는 아사오를 환영하는 연회 장면에서 아카이와가 춤을 출 때 사용되었다.
- 「당사자 보탄」 (노래: 타카쿠라 켄): 아사오가 남방의 타마를 가지러 가겠다고 나서는 장면에 삽입되었다.
- 「달의 호젠지 요코초」 (노래: 후지시마 타케오): 아사오가 차 트렁크에서 무기를 꺼내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남자의 일생」 (노래: 무라타 히데오): 아이카와 조직과 남방 조직의 결판 장면에 대두목이 나타날 때 흘러나온다.
- 「사과의 노래」 (노래: 나미키 미치코): 대두목 머리 위의 사과를 아사오가 칼로 자르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우주 행진곡」 (노래: 도쿄 마이스터징어): 지구 방위군 차량에서 신규 대원 모집 선전과 함께 흘러나온다. 엔딩에는 "우주의 행진곡"으로 표기되었다.
- 「소란 의리」 (노래: 테라지마 스스무): 가사 자막이 나오는 초대형 영상 장치 앞에서 유랑하는 남자가 기타 연주를 한다.
- 「오테모야」 (구마모토민요): 파리 남자 포획 이벤트 리허설에서 여성 민요 가수가 부른다.
- 「홋카이도 봉오리 노래」 (홋카이도 민요): 파리 남자 포획 이벤트 본선에서 여성 민요 가수가 부른다.
- 「모스라」의 극중가 모스라의 노래를 패러디한 듯한 노래: 파리 남자 포획 이벤트 본선에서 여성 2인조 파리파리 걸즈가 부른다.
- 「꽃과 용」 (무라타 히데오)
참조
[1]
문서
에롤드는 기타노 다케시와 크레딧되어 있다.
[2]
웹사이트
Снял кого-нибудь? (DVD)
https://www.golddisk[...]
2019-03-12
[3]
문서
인터뷰 촬영 당시(2002년)
[4]
서적
은막 동창회 {{small|고다 훔푸와 영화를 키운 단카이 세대들}}
백야서방
[5]
방송
요도가와 쵸지 기타노 영화를 말하다/모두들~하고 있나!
1997-04-11
[6]
문서
토다 나츠코는 이 작품에 전혀 관계없고, 다케시식 유머로서 슈퍼가 삽입되어 있다.
[7]
문서
작중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정도의 남자아이에게 어른 남자의 목소리가 애프터 레코딩 되어 있다.
[8]
웹사이트
わたしゃ人生大学生
http://meg-cd.jp/pro[...]
[9]
웹사이트
http://www.kmdb.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