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 이슬람 해방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은 1984년 공식 설립된 필리핀의 모로족 무장 단체이다. 1968년 자비다 학살 이후 모로족의 독립적인 이슬람 국가 건설을 목표로 결성되었으며, 리비아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무장 투쟁을 전개했다. 1976년 MNLF-GRPH 트리폴리 협정 체결 후 하심 살라마트가 MNLF에서 분리되어 MILF를 결성했다. MILF는 필리핀 정부와 여러 차례 평화 협상을 시도했으나, 다바오 공항 폭탄 테러 사건 연루 의혹 등으로 갈등을 겪었다. 2012년 평화 협정 체결 이후, 2014년 포괄적 평화 협정에 조인했고, 2019년부터 무장 해제를 시작하여 현재 방사모로 자치 지역을 이끌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반군 - 필리핀 공산당
필리핀 공산당은 1968년 호세 마리아 시손을 중심으로 재건된 마르크스-레닌-마오쩌둥주의 정당으로, 민족민주전선과 신인민군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했으며 현재는 테러 조직으로 지정되어 장기 인민전쟁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 필리핀의 반군 - 아부 사야프
아부사야프는 1990년대 초 필리핀에서 모로민족해방전선 출신들이 결성한 무장단체로, 초기에는 무장 투쟁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테러 집단으로 변모하여 필리핀과 인근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며 국제 사회의 규탄을 받았다. - 모로 분쟁 - 아부 사야프
아부사야프는 1990년대 초 필리핀에서 모로민족해방전선 출신들이 결성한 무장단체로, 초기에는 무장 투쟁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테러 집단으로 변모하여 필리핀과 인근 국가의 안보를 위협하며 국제 사회의 규탄을 받았다. - 모로 분쟁 - 무라드 에브라힘
무라드 에브라힘은 필리핀 모로족 출신 정치인으로, 모로 민족 해방 전선과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을 이끌며 방사모로 자치 지역 설립을 추진하여 현재 무슬림 민다나오 방사모로 자치구의 임시 최고 책임자로 재임하고 있다. - 필리핀의 정치 - 필리핀 상원
필리핀 상원은 필리핀 의회의 상원이며, 24명의 상원의원으로 구성되고, 1987년 헌법에 따라 전국 단위 선거구에서 선출된 상원 의원들이 6년 임기로 활동한다. - 필리핀의 정치 - 필리핀 하원
필리핀 하원은 1900년 필리핀 위원회로 설립되어 변화를 거쳐 1987년 헌법에 따라 부활한 양원제 의회의 하원으로, 지역구 및 정당 명부 대표로 선출된 316석으로 구성되어 법률 제정, 예산 심의, 공무원 탄핵 등의 권한을 가지며 대통령의 당이 다수당을 차지하는 경향이 있다.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 | |
---|---|
개요 | |
![]() | |
명칭 |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 |
아랍어 명칭 | جبهة تحرير مورو الإسلامية |
로마자 표기 | Jabhat Tahrir Moro al-Islamiyah |
다른 명칭 | 방사모로 이슬람 무장군 (BIAF) |
주요 정보 | |
국가 | 필리핀 |
지도자 | 무라드 에브라힘, 셰이크 하심 살라마트 (전) |
창립 | 1977년 |
해체 | 2014년 3월 27일 (영구 휴전) |
분리 | 모로 민족 해방 전선 |
목표 | 방사모로 자치구 내 자치 권한 확대 |
활동 지역 | 필리핀 민다나오섬 |
본부 | 마긴다나오델노르테주 술탄 쿠다라트, 다라파난 |
신문 | 루완란 |
이념 | 모로족 자치, 이슬람주의, 이슬람 민주주의 |
지위 | 비활성 (무장 단체로서) |
웹사이트 | 루완란 공식 웹사이트 |
역사 | |
결성 | 1977년 |
주요 사건 | 2014년 3월 27일: 필리핀 정부와 평화 협정 체결 |
기타 정보 | |
규모 | 30,000명 (무장 해제 대상) |
2. 역사
1968년 자비다 학살 이후, 필리핀 남부에 독립적인 이슬람 국가를 건설하려는 모로족 학생들에 의해 1969년 필리핀 대학교, 이집트, 중동에서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이 비밀리에 설립되었다. MNLF는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로부터 무기를 공급받고 모로 청소년을 훈련하는 등 외국 지원을 받았다.[7][8] MNLF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테러 공격과 암살에 가담했다.[17][9] 마닐라 정부는 반군을 진압하기 위해 필리핀 남부에 군대를 파견했다.
1977년에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에서 분파하여, 살라마트 하시가 중부 민다나오의 마긴다나오족이나 최대 이슬람 부족인 마라나오족 등의 지원을 받아 민다나오 섬에 결성한 모로인(필리핀 무슬림) 해방 조직이다.
1987년, 이슬람교도 민다나오 자치 지역 설치 제안에 MNLF는 동의했지만, MILF는 동조하지 않고 무장 투쟁을 계속했다.
1997년, 정부와 MILF 간에 평화 협정이 조인되지만, 2000년에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은 이를 파기하고, MILF는 지하드를 선언하며 대립했다. 당시 MILF의 규모는 적어도 1만 5천 명으로 추정되며, 필리핀 국내 최대의 반체제 무장 세력으로 성장했다. 필리핀 국군은 군사 거점을 공략하여, 최종적으로는 마긴다나오 주 산간부의 사령부를 점령했다. 이후, 조직은 쇠퇴하여 민다나오 섬 남부에서의 유격전 외 대도시권에서의 무차별 폭탄 테러에 활동의 중점을 두게 되었다.[45]
글로리아 아로요 정권이 되자 정부는 평화 협상을 진행하여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2005년 12월에는 MILF는 마긴다나오 주의 정부군을 공격, 최소 23명이 사망하는 사건 등이 발생했다.
2011년, 일본 정부의 중재로 아키노 대통령이 극비 방일하여, MILF의 최고 지도자 무라드 이브라힘 의장과 8월 4일에 나리타 공항 근처의 호텔에서 극비 회담을 가졌다. 정부·MILF의 수뇌 간의 회담은 처음이다.[48] 국제 협력 기구는 이 지역의 사업에 자금을 공급하고 있으며, 아키노 대통령은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과의 평화에서 "일본의 공헌은 헤아릴 수 없다"라고 사의를 표했다.[49]
2012년 10월, 필리핀 정부와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 간에 민다나오 평화에 관한 "틀 합의"가 서명되어, 2016년에 새로운 방사모로 자치 정부를 창설하는 것으로 일치했다.[50] 한편, 이 평화 합의는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이 주도권을 잡고 있어, 모로 민족 해방 전선은 반발하고 있다.
2013년 9월, 모로 민족 해방 전선의 병사 약 200명이 민다나오 섬의 중심 도시 삼보앙가를 습격(:en:Zamboanga City crisis), 주민을 휩쓸면서 필리핀 군과 전투를 벌여, 평화 합의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었다.[51]
2014년 3월 27일, 필리핀 정부와 포괄적 평화 협정에 조인했다.[52]
2015년 1월 25일, 민다나오 섬 중부 마긴다나오 주에서 국가 경찰 특수 부대와 MILF가 무력 충돌하여 경찰 30명과 MILF 5명이 사망했다. 이것은 포괄적 평화 합의 후 첫 대규모 충돌이다.[53]
2015년 3월 이후, 일본의 NGO인 [http://www.ican.or.jp/ 아이캔]이 MILF에 대해 평화 교육과 치안 유지 능력 향상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2. 1. MNLF와의 분리 (1977-1984)
1976년 필리핀 정부와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의 누르 미수아리 간의 협상으로 1976년 MNLF-GRPH 트리폴리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MNLF는 필리핀 정부의 반자치 제안을 수락했다.[10] 이 협정으로 MNLF 지도부에 심각한 분열이 발생했고,[11] 1977년 하심 살라마트와 57명의 MNLF 장교들이 탈퇴하여 분파를 형성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새로운 지도부"로 알려졌다. 1977년 12월, 미수아리가 살라마트를 추방한 후, 살라마트는 새로운 조직을 이집트 카이로로 옮겼고, 1980년에는 파키스탄 라호르로 이동하여 외교 활동을 전개했다. 이 조직은 1984년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으로 공식 설립되었다.[10] 무아마르 카다피는 MILF 등장 이후 오랫동안 이들을 지원했다.[12]2. 2. 무장 투쟁의 지속 (1987-2000)
1987년 1월,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은 분쟁 지역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반자치 제안을 수락했고,[11] 1990년 11월 6일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은 이 제안을 거부하고 반군 작전을 계속했다. 1997년 7월, 마닐라 정부와 MILF 간에 일반적인 적대 행위 중단이 서명되었지만, 2000년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은 2000년 필리핀의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 공격을 통해 협정을 파기했다. 이에 대응하여 MILF는 정부, 시민 및 지지자들을 상대로 지하드를 선포했다.[17]2. 3. 평화 협상의 재개와 좌절 (2001-2011)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의 2000년 필리핀의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 공격으로 폐지되었던 평화 협정은 글로리아 아로요 대통령 재임 하에 다시 체결되었고, 평화 회담이 재개되었다.[17] 그러나 2005년 1월 마긴다나오에서 MILF가 정부군을 공격하여 최소 23명이 사망하는 등, 평화 협상과 휴전 협정에도 불구하고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MILF와 아부 사야프 연합군과의 며칠 간의 교전으로 이어졌고, 정부군은 반군을 공격하기 위해 중포를 사용해야 했다.2003년 발생한 다바오 공항 폭탄 테러 사건은 필리핀 정부에 의해 MILF 회원들의 소행으로 지목되었으며,[15] 이로 인해 MILF가 자신들의 작전을 통제할 수 없다면 평화 협상이 민다나오에 평화를 가져오는 데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 MILF는 제마 이슬라미야와의 연계를 부인했지만, 제마 이슬라미야가 MILF 통제 지역에서 훈련 시설을 제공받은 것으로 알려졌다.[16][17] MILF는 알 카에다와의 연계도 계속 부인했지만, 약 600명의 자원병을 아프가니스탄의 알 카에다 훈련 캠프로 보냈고, 오사마 빈 라덴이 필리핀에 돈을 보냈다는 사실은 인정했다. 그러나 MILF는 직접적인 지불을 받은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18]
2006년 6월 28일부터 7월 6일까지, 필리핀 육군의 지원을 받은 마긴다나오 주지사 안달 암파투안 시니어(Andal Ampatuan, Sr.) 휘하의 MILF와 무장 민간 자원병 간의 충돌이 발생했다. 이 싸움은 암파투안이 6월 23일 자신의 호송대에 대한 폭탄 공격으로 MILF를 비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5명이 사망했다. MILF는 책임을 부인했지만, 암파투안은 공격과 관련된 MILF 회원들을 체포하기 위해 경찰과 민간 자원병을 보냈다. 이 충돌로 4천 가구가 이주했으며, 7월 10일과 11일에 서명된 휴전 협정으로 종료되었다.[19]
2008년 필리핀 대법원은 세마 대 COMELEC 판결에서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을 확대하려는 예비 합의를 거부하면서 MILF와 정부 간의 회담이 결렬되었다. 2011년 MILF는 독립 요구를 철회하고, 대신 미국 주와 유사한 하위 국가 지위를 추구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는 필리핀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이 아닌 상태를 의미한다.[29]
2. 4. 평화 협정 체결과 방사모로 자치정부 수립 (2012-현재)
2012년 10월 7일,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과의 평화 협정을 발표하며 "이 기본 협정은 민다나오에 최종적이고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MILF 부의장 가잘리 자파르는 "우리는 매우 기쁩니다. 대통령께 감사드립니다."라고 말했다. 이 협정은 2012년 10월 15일에 서명되었다. 그 목표는 민다나오에 자치 지역을 공식적으로 구상함으로써 양측 간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35]기본 협정에 따르면, 이 반독립 무슬림 지역은 자체 풍부한 자원 채굴에서 더 공정한 수익 분배, 예산 자율성, 자체 경찰, 그리고 무슬림만을 위한 샤리아법을 갖게 될 것이다.[36] 이를 대가로 MILF는 자치를 위한 정부에 대한 무장 운동을 중단하고, 국가 정부가 국가 안보와 외교 정책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도록 허용할 것이다.[37] 점진적으로 시행될 자치 협정은 또한 이 지역의 이름을 모로족을 따라 ''방사모로''로 변경할 것이다.[37]
2014년 1월 24일, 필리핀 정부 수석 협상가 미라엠 코로넬 페레르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 수석 협상가 모하게르 이크발은 쿠알라룸푸르에서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필리핀 의회가 승인할 법률에 따라 '방사모로'라는 새로운 무슬림 자치 단체를 창설하는 길을 열었다. 정부는 2016년까지 이 지역을 설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협정은 MILF가 반군을 해산하는 대가로 필리핀 남부 일부 지역의 무슬림 자치를 요구했다. MILF군은 MILF와 필리핀 정부가 선택한 제3자에게 무기를 넘겨주기로 했다. 지역 경찰이 창설되고, 필리핀군은 병력 주둔을 줄이고 이 지역의 사병 해산을 도울 것이다.[39]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주로 가톨릭인 필리핀 남부에서 무슬림 반란을 종식시키는 핵심 단계인 방사모로 기본법에 서명했다.[40] 2020년 1월 초, 대통령 평화 고문실은 MILF 전투원 해체의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발표하면서 "2019년 마지막 분기부터 12,000명의 MILF 전투원 중 8,879명이 해체되었다"고 언급했다.[41] 일부 전직 반군 전투원들은 2022년에 선출된 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방사모로 지역의 특정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경찰과 군에 합류했다.[42]
2023년 현재, MILF는 방사모로 자치 지역(BARMM)을 이끌고 있으며 2019년부터 해체를 시작했고, 평화 협상가들은 출구 협정을 준비하고 있다.[43]
3. 주요 쟁점
1977년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에서 분파 독립한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은 1997년 정부와 평화 협정을 체결했지만, 2000년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이 이를 파기하면서 무력 충돌이 발생했다. 글로리아 아로요 정권에서 평화 협상이 재개되었지만, 2005년 MILF의 정부군 공격으로 23명이 사망하는 등 갈등이 지속되었다.
2011년 일본 정부의 중재로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과 MILF 최고 지도자 무라드 이브라힘 의장이 나리타 국제공항에서 극비 회담을 가졌으며,[48] 2012년에는 2016년 방사모로 자치 정부 창설에 합의하는 "틀 합의"가 서명되었다.[50] 그러나 2013년 MNLF의 삼보앙가 습격으로 필리핀 군과 전투가 벌어지는 등 평화 합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51]
2014년 3월 27일 필리핀 정부와 MILF는 포괄적 평화 협정에 조인했지만,[52] 2015년 1월 25일 마긴다나오 주에서 국가 경찰 특수 부대와 MILF 간의 무력 충돌로 경찰 30명과 MILF 5명이 사망했다.[53]
평화 협상 과정에서 주로 논의된 쟁점은 다음과 같다.
- 조상 영토 문제: 2008년 필리핀 대법원은 정부와 MILF 간의 조상 영토에 관한 양해 각서(MOA-AD)에 대해 위헌 판결을 내렸다.
- 자치권 문제: MILF는 필리핀으로부터 독립하는 대신 미국 주와 유사한 하위 국가를 추구한다고 밝혔다.
3. 1. 조상 영토 문제 (MOA-AD)
2008년 8월 4일, 필리핀 대법원은 정부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 간의 조상 영토에 관한 양해 각서(MOA-AD) 정식 서명을 막는 임시 제지 명령을 내렸다.[20] 이 각서는 모로족에게 인권 개념에 따른 해당 지역 통제, 경찰력 창설, 천연 자원 통제 권한을 부여할 예정이었다.[21]MOA-AD는 2008년 7월 27일 말레이시아에서 로돌포 가르시아 전 주지사, 에르모게네스 에스페론 평화 프로세스 대통령 고문, 모하거 이크발 MILF 평화 패널 의장이 초안을 작성했으며, 8월 5일에 정식 서명될 예정이었으나 대법원이 제동을 걸었다.[22]
젊은 모로 전문가 네트워크(YMPN)는 대중에게 MOA-AD를 두려워하지 말고 "모로족의 고충에 마음을 열어"달라고 호소했다.[23] 이후 폭력 사태로 60만 명 이상이 이재민이 되었고 약 300명이 사망했다.[25]
2008년 10월 14일, 법원은 MOA-AD가 2001년 트리폴리 평화 협정에 위배된다고 판결했다. 콘치타 카르피오-모랄레스는 평화 프로세스에 관한 대통령 고문이 관련 협의 절차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아 재량권을 심각하게 남용했다고 판결했다.[26][27][28]
방사모로 시민 사회 연합 등은 재고 요청을 제출했으나, 2008년 11월 21일 대법원은 MOA-AD가 위헌이라는 10월 14일 판결을 확정했다.[22]
3. 2. 자치권 문제
2010년 9월 23일, 모하거 이크발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이 필리핀으로부터 독립하는 대신 미국 주와 유사한 하위 국가를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슬람 하위 국가는 국방, 외교, 통화 및 주화, 우편 업무 등 중앙 정부가 행사하는 권한은 갖지 않을 것이다. 이크발은 또한 하위 국가가 자체적인 군대는 갖지 않지만, 내부 안보를 위한 군대는 보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1]4. 국제 사회의 역할
필리핀 정부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 간의 평화 협상 과정은 여러 국가 및 국제기구의 중재와 지원을 통해 진행되었다.
2011년 일본 정부는 아키노 대통령과 MILF 최고 지도자 무라드 이브라힘 의장의 극비 회담을 나리타 국제공항 근처 호텔에서 중재했다. 이는 양측 수뇌부 간의 첫 만남이었다.[48] 국제 협력 기구는 이 지역 사업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아키노 대통령은 일본의 공헌에 대해 "헤아릴 수 없다"며 감사를 표했다.[49]
2014년 1월 24일, 쿠알라룸푸르에서 필리핀 정부와 MILF 양측 수석 협상가는 평화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필리핀 의회의 승인을 통해 '방사모로'라는 새로운 무슬림 자치 단체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9] MILF는 반군 해산의 대가로 필리핀 남부 일부 지역의 무슬림 자치를 요구했고, 양측은 MILF 군대의 무장을 제3자에게 넘기고, 지역 경찰 창설, 필리핀군 병력 주둔 감소 및 사병 해산을 돕기로 합의했다.[39]
2015년 3월 이후, 일본의 NGO인 [http://www.ican.or.jp/ 아이캔]은 MILF에 대한 평화 교육과 치안 유지 능력 향상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4. 1. 중재 국가 및 기구
2012년 10월 7일,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과의 평화 협정을 발표하며 "이 기본 협정은 민다나오에 최종적이고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MILF 부의장 가잘리 자파르는 "우리는 매우 기쁩니다. 대통령께 감사드립니다."라고 말했다. 이 협정은 2012년 10월 15일에 서명되었다.[35]기본 협정에 따르면, 이 반독립 무슬림 지역은 자체 풍부한 자원 채굴에서 더 공정한 수익 분배, 예산 자율성, 자체 경찰, 그리고 무슬림만을 위한 샤리아법을 갖게 된다.[36] 이를 대가로 MILF는 자치를 위한 정부에 대한 무장 운동을 중단하고, 국가 정부가 국가 안보와 외교 정책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하도록 허용한다.[37] 점진적으로 시행될 자치 협정은 또한 이 지역의 이름을 모로족을 따라 ''방사모로''로 변경한다.[37]
2013년 7월 13일 6일간의 회담 이후 수석 평화 협상가 미리암 코로넬-페레르는 정부가 최종 협정에 대해 신중하게 낙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 서명은 양측이 평화 협상을 마무리하기 위해 진정으로 헌신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아무도 이것이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협정에 따르면 정부는 제안된 자치 지역의 천연 자원 및 금속 광물 수입의 75%를 MILF가 갖도록 허용할 것이다. 다른 에너지 자원의 경우, 말레이시아 중재 회담에 따라 수익이 균등하게 분배될 것이다.[38]
4. 2.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
대한민국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는 중도진보 정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기조에 따라, 국제 분쟁 해결에 있어 평화적 대화와 협력을 중시하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특히,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과 필리핀 정부 간의 평화 협상 과정을 지지하며, 한반도 평화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분쟁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5. 비판 및 논란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은 필리핀 정부와 평화 협상을 진행해왔지만, 무력 충돌과 테러 연루 의혹 등으로 비판받아 왔다.
1997년 정부와 MILF 간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으나, 2000년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이 이를 파기하면서 대립이 격화되었다. MILF는 지하드를 선언하고 필리핀 최대 반체제 무장 세력으로 성장했으며, 필리핀 국군은 MILF의 군사 거점을 점령하며 대응했다. 이후 MILF는 대도시권에서 무차별 폭탄 테러를 자행하기도 했다.[45]
글로리아 아로요 정권 시기 평화 협상이 재개되었지만, 2005년 MILF가 마긴다나오 주의 정부군을 공격하여 2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45] 2007년에는 바실란 주에서 이탈리아인 사제가 납치되고, 필리핀 해병대가 구출 작전을 시도했으나 MILF에 의해 해병대원 11명이 살해되기도 했다.
2014년 양측 간 포괄적 평화 협정 조인 이후에도, 2015년 1월 25일 마긴다나오 주에서 국가 경찰 특수 부대와 MILF 간 무력 충돌이 발생하여 경찰 30명과 MILF 5명이 사망했다.[53]
5. 1. 테러 행위 연루 의혹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은 목표 달성을 위해 테러 공격과 암살에 가담했다.[17][9] 1997년 7월 마닐라 정부와 모로 이슬람 해방전선(MILF) 간에 일반적인 적대 행위 중단이 체결되었으나, 2000년 필리핀의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 공격으로 인해 조셉 에스트라다 대통령 행정부 하의 필리핀 육군에 의해 폐지되었다.2003년 다바오 공항 폭탄 테러 사건은 필리핀 정부가 MILF 회원들의 소행으로 지목했으며,[15] MILF가 자신들의 작전을 통제할 수 없다면 평화 협상이 민다나오에 평화를 가져오는 데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추측을 불러일으켰다. MILF는 테러 단체 제마 이슬라미야와의 연계를 부인했지만, 제마 이슬라미야가 그들에게 그들이 통제하는 지역에서 훈련 시설을 제공한 것으로 여겨진다.[16][17] MILF는 또한 알 카에다와의 연계도 부인했지만, 약 600명의 자원병을 아프가니스탄의 알 카에다 훈련 캠프로 보냈고, 오사마 빈 라덴이 필리핀에 돈을 보냈다는 사실은 인정했지만, 직접적인 지불을 받은 적은 없다고 부인했다.[18]
5. 2. 내부 분열 및 갈등
1976년 필리핀 정부와 모로 민족 해방 전선(MNLF) 간의 트리폴리 협정 체결은 MNLF 지도부에 심각한 분열을 야기했다.[11] 이 협정에서 MNLF는 분쟁 지역에 대한 필리핀 정부의 반자치 제안을 수락했다.[10] 1977년, 하심 살라마트와 57명의 MNLF 장교들은 이에 반발하여 MNLF에서 탈퇴하고 새로운 분파를 형성했다. 이들은 처음에는 "새로운 지도부"로 알려졌으며, 1984년에 모로 이슬람 해방 전선(MILF)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했다.[10]1987년 1월, MNLF는 필리핀 정부의 반자치 제안을 최종 수락했고,[11] 1990년 11월 6일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MILF는 이 제안을 거부하고 무장 투쟁을 계속했다.[17]
2000년대 초반, 평화 협상과 휴전 협정에도 불구하고 MILF는 마긴다나오에서 정부군을 공격하는 등 무력 충돌이 지속되었다. 2003년 다바오 공항 폭탄 테러 사건의 배후로 필리핀 정부는 MILF를 지목하기도 했다.[15]
2008년, 필리핀 대법원이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 지역 확대를 위한 예비 합의를 거부하면서 MILF와 정부 간의 회담이 결렬되기도 했다. 2011년, MILF는 독립 요구를 철회하고, 미국 주와 유사한 하위 국가 지위를 추구하겠다고 밝혔다.[29]
참조
[1]
웹사이트
Philippines Reach Landmark Peace Deal with MILF
https://www.c-r.org/[...]
2022-06-27
[2]
뉴스
The Philippines' MILF Rebels
https://web.archive.[...]
BBC News
2010-06-04
[3]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www.cia.gov/c[...]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6-05-29
[4]
뉴스
Murad: BARMM is "Very Much Above ARMM"
https://web.archive.[...]
MindaNews
2018-07-25
[5]
뉴스
Duterte Signs Law Giving More Autonomy to Muslims in Southern Philippine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6]
뉴스
30,000 Muslim rebels to be disarmed under Philippine deal
https://www.dawn.com[...]
Dawn
[7]
저널
Bearer of the Sword
https://books.google[...]
Military Review
[8]
서적
A Muslim Archipelago: Islam and Politic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National Defense Intelligence College
[9]
웹사이트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http://www.globalsec[...]
2010-06-04
[10]
서적
Militant Islam in Southeast Asia: Crucible of Terror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11]
잡지
The Long Struggle to Silence the Guns of Rebellion: After Decades of Communist and Separatist Insurgency, Will Peace Agreements Ever Happen?
https://www.scribd.c[...]
The CenSEI Report
[12]
서적
Libya: The Struggle for Survival
[13]
웹사이트
A Rogue Returns: Libya Quietly Makes a Comeback
https://web.archive.[...]
Australia/Israel & Jewish Affairs Council
2011-02-27
[14]
서적
Qaddafi, Terrorism, and the Origins of the U.S. Attack on Libya
Praeger
[15]
뉴스
President: MILF Has until June 1 to Cut Terror Links
Philippine Daily Inquirer
[16]
웹사이트
Group Profile: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MILF)
http://www.tkb.org/G[...]
2010-06-04
[17]
웹사이트
In the Spotlight: Moro Islamic Liberation Front
https://web.archive.[...]
Center for Defense Information
2010-06-04
[18]
저널
Tentacles of Terror: Al Qaeda's Southeast Asian Network
Contemporary Southeast Asia
[19]
뉴스
Buffer Zones Set up to Prevent CVO-MILF Clashes in Maguindanao
Mindanews.com
[20]
웹사이트
Philippines High Court Blocks Signing of Regional Peace Agreement
https://web.archive.[...]
Jurist, University of Pittsburgh
2010-06-04
[21]
뉴스
Preserving the Southern Philippines' Threatened Peace Deal
https://web.archive.[...]
World Politics Review
2009-01-14
[22]
뉴스
SC Affirms Oct. 14 Ruling on "Unconstitutional" MOA-AD
https://web.archive.[...]
MindaNews
2010-06-14
[23]
뉴스
Young Moro Group Appeals to Public: "Open Your Hearts to the Moro Grievance"
http://www.mindanews[...]
MindaNews
[24]
뉴스
Military Starts Operations Against Bravo
https://web.archive.[...]
MindaNews
2009-04-15
[25]
뉴스
Thousands Line up Road for Mindanao Peace Power Day
https://web.archive.[...]
MindaNews
2009-04-15
[26]
웹사이트
SC Declares MOA-AD Unconstitutional
https://web.archive.[...]
Supreme Court of the Philippines
2008-10-15
[27]
뉴스
Palace Loses Ancestral Domain Case with 8-7 SC Vote
http://www.abs-cbnne[...]
ABS-CBN News Online
2010-06-04
[28]
웹사이트
SC: MILF Deal Unconstitutional: Arroyo Can't Enter Pacts Needing Charter Change
https://web.archive.[...]
Inquirer.net
2010-06-04
[29]
뉴스
Philippine Muslim Rebels Drop Independence Demand
https://web.archive.[...]
ABC News International
2020-06-28
[30]
논문
Moro Women’s Participation and Legitimation in the Bangsamoro Peace Process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31]
논문
Moro Women’s Participation and Legitimation in the Bangsamoro Peace Process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32]
논문
Moro Women’s Participation and Legitimation in the Bangsamoro Peace Process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33]
논문
Moro Women’s Participation and Legitimation in the Bangsamoro Peace Process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34]
논문
Moro Women’s Participation and Legitimation in the Bangsamoro Peace Process
Journal of Current Southeast Asian Affairs
[35]
뉴스
Rebel Leaders, Filipino Officials Sign Landmark Peace Deal
https://www.cnn.com/[...]
CNN
2022-06-27
[36]
뉴스
The Bangsamoro Roadshow
http://www.economist[...]
2012-12-17
[37]
뉴스
Philippines and Muslim Rebels Agree Peace Deal
https://www.bbc.com/[...]
2012-10-07
[38]
뉴스
Philippines and Rebels Reach Deal
https://www.aljazeer[...]
2013-07-14
[39]
뉴스
Philippine Peace Breakthrough
https://www.bangkokp[...]
2014-01-25
[40]
뉴스
Philippine Muslims Hope New Law Brings 'Dream of Peace'
https://www.aljazeer[...]
2018-07-29
[41]
뉴스
OPAPP 'Exceeded' Target in Decommissioning MILF
https://web.archive.[...]
2020-01-17
[42]
웹사이트
150 More MILF Soldiers Join Bangsamoro Security Team
https://www.rappler.[...]
2019-11-24
[43]
논문
Moro Women’s Participation and Legitimation in the Bangsamoro Peace Process
2023
[44]
서적
Qaddafi, terrorism, and the origins of the U.S. attack on Libya
1990
[45]
간행물
フィリピン動向分析レポート(2000年フィリピン)-エストラーダ政権崩壊の過程
JETRO
2000
[46]
웹사이트
MIPT Terrorism Knowledge Base
https://web.archive.[...]
Tkb.org
[47]
서적
Tentacles of terror: Al Qaeda’s Southeast Asian network
2002
[48]
뉴스
比大統領、反政府勢力トップと日本で極秘会談
http://www.yomiuri.c[...]
[49]
뉴스
比大統領、日本に謝意 広島でミンダナオ和平会議
http://sankei.jp.msn[...]
2014-06-24
[50]
뉴스
モロ・イスラム解放戦線(MILF)和平交渉団の来日
https://www.mofa.go.[...]
外務省
2013-03-11
[51]
뉴스
比南部占拠の武装集団 資源めぐり和平反発
http://www.tokyo-np.[...]
2013-09-19
[52]
뉴스
比政府とモロ・イスラム解放戦線、紛争終結へ
http://www.yomiuri.c[...]
2014-03-27
[53]
뉴스
武装勢力と警察が交戦、35人死亡=比ミンダナオ
http://headlines.yah[...]
2015-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