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클렌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클렌어군은 모켄어와 모클렌어로 구성된 언어군이다. 모켄족과 모클렌족은 언어와 문화적 공통점을 공유하지만 생활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모켄어는 미얀마 남부와 태국 남부 해안을 따라 650km에 걸쳐 분포하며, 모클렌어는 태국 남부 서부 해안에서 사용된다. Larish (1999, 2005)는 모클렌어군이 참어군이나 말레이어군이 아닌 자매 어군이며, 더 큰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Smith (2017)는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모클렌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모클렌어군 | |
---|---|
개요 |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어파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상위 어군 | 대북보르네오어군? |
하위 언어 | 모켄어 모클렌어 |
주요 사용 지역 | 미얀마 메르귀 제도 태국 남부 |
사용자 | 모켄족 모클렌족 |
조어 | 프로토-모클렌어 (프로토-모켄-모클렌어) |
Glottolog | moke1241 (모켄-모클렌) |
2. 분류
모클렌어군에는 모켄어와 모클렌어 두 언어가 속한다.[7] 모켄족과 모클렌족은 언어와 문화 면에서 공통점이 많지만, 생활 방식에서 차이를 보인다. 모켄어 화자들은 바다에서 생활하는 수렵채집인이지만, 모클렌어 화자들은 태국 남부 마을에서 육지 생활을 한다.[7] 모켄어와 모클렌어에 대한 비교언어학적 연구로는 Leerabhandh (1984)[8], Makboon (1981)[9], Larish (1999) 등이 있다.
2. 1. 모켄어
태국과 미얀마의 모켄족(바다 집시족) 2,500 ~ 3,000명이 사용한다.[7] 이들은 기본적으로 바다에서 생활하는 수렵채집인이다.[7] 모켄어는 미얀마의 다웨이섬에서 태국의 피피섬까지, 미얀마 남부와 태국 남부 해안선을 따라 650km에 걸쳐 매우 넓은 영역에 분포한다.[7]2. 2. 모클렌어
태국 남부의 모클렌족 2,500~3,000명이 사용한다.[7] 이들은 태국 남부 마을에서 육지 생활을 하며, 남부 태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7] 모켄어보다 더 심각한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7]2. 3. 분포 지역
미얀마 다웨이섬에서 태국 피피섬까지, 미얀마 남부와 태국 남부 해안선을 따라 650km에 걸쳐 분포한다.[7] 모켄어는 매우 넓은 영역에 분포하지만, 모클렌어는 태국 남부의 서부 해안에서만 쓰인다. 모클렌어는 남부 태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모켄어에 비해 더 큰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7]2. 4. 우락라워이어와의 관계
우락라워이어는 태국 남부의 또 다른 바다 집시 부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말레이어군에 속하며 모클렌어군에는 속하지 않는다.[7] 푸껫섬에서 우락라워이어와 모켄어가 서로 접촉한다.3. 다른 언어와의 관계
Larish (1999, 2005)는 모클렌어군이 참어군이나 말레이어군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매 어군이라고 보았다. 모클렌어군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참어군에도 나타나는 ‘새’ 따위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다.[10] Smith (2017)는 서말레이폴리네시아 제어를 분류하면서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모클렌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한다.[11]
3. 1. Larish (1999, 2005)의 견해
Larish (1999, 2005)는 모클렌어군이 참어군이나 말레이어군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매 어군이라고 본다. 모클렌어군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참어군에도 나타나는 ‘새’ 따위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다.[10]모클렌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q가 *k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이며, 아체·참·말레이어군은 *q가 *h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두아노어는 말레이어 분파에 속하지만, "*q"가 일반적인 "*h" 대신 "*k"로 변하는 특징을 공유한다.[5]
3. 1. 1.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
Larish (1999, 2005)는 모클렌어군이 참어군이나 말레이어군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자매 어군이라고 본다. 모클렌어군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참어군에도 나타나는 ‘새’ 따위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차용어를 많이 받아들였다.[10]Larish (1999)[10]는 모클렌어군이 보다 큰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MACM”)의 일부라고 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고 하였다.
아체·참·말레이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의 *q를 *h로 바꾼 반면, 모클렌어군은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q를 *k로 바꿨다.
또한 Larish (1999)는 베트남 남부의 부남 왕국에서 쓰였던 미지의 언어가 모클렌·아체·참·말레이조어에서 이른 시기에 갈라져나간 언어일지도 모른다고 추측한다.
3. 2. Smith (2017)의 견해
Smith (2017)[11]는 음운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모클렌어가 원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에서 갈라져 나온 주요 분파이자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의 최상위 분기군이라고 주장한다.[6]4. 재구
5. 추가 문헌
- Larish, Michael David (1991). ‘모켄어, 아체어, 참어, 몬크메르어 간의 특별한 관계: 지역적 영향 또는 유전적 유사성?’. 하와이 대학교에서 열린 제6회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국제 학술 회의에서 발표된 미출판 논문.
- Larish, Michael David (1993). ‘안다만 해의 섬과 해안에 사는 모켄족과 모클렌족은 누구인가?’. 1992년 1월 8-10일 출라롱꼰 대학교에서 열린 제3회 범아시아 언어학 국제 심포지엄 회의록, III권: 1305–19, 방콕: 출라롱꼰 대학교 출판부.
- Larish, Michael David (1997). ‘모클렌-모켄어 음운론: 본토 또는 섬 지역 동남아시아 유형론?’. C. Odé와 W. Stokhof 편집, ''제7회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국제 학술 회의 회의록'', 125–50, 암스테르담: Rodopi.
- Naw Say Bay. 1995. "모켄어 둥 방언의 음운론", D. Bradley 편집, 동남아시아 언어학 논문 13호, ''버마어 연구'', 13권, 193–205쪽. 태평양 언어학, 호주 국립 대학교.
참조
[1]
서적
"Moken and Moklen."
London: Routledge
[2]
학위논문
Phonological reconstruction of Proto Orang-Laut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Salaya Campus
[3]
학위논문
Survey of Sea People’s dialects along the West Coast of Thailand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4]
학위논문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5]
간행물
The Malayic speaking Orang Laut: Dialects and directions for research
https://www.research[...]
2019-05-26
[6]
간행물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7]
서적
"Moken and Moklen."
London: Routledge
[8]
학위논문
Phonological reconstruction of Proto Orang-Laut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Salaya Campus
[9]
학위논문
Survey of Sea People’s dialects along the West Coast of Thailand
Institute of Language and Culture for Rural Development
[10]
학위논문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11]
저널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