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주로 인도네시아 아체주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 아체어는 차믹어군 언어와 말레이어군 언어와 관련이 있으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기층의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아체어는 4개의 방언으로 분류되며, 자위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로마자를 사용한다. 아체어 문법은 활격-불활격 정렬을 따르며, 접사를 통해 동사의 파생이 이루어진다. 아체어는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어휘와 대명사, 수사, 의문사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어군 - 라데어
    라데어는 베트남 중부 고원 지방의 닥락성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도안반푹에 따르면 지리적으로 분포하며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는 9개의 방언으로 나뉜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테툼어
    테툼어는 동티모르의 공용어 중 하나로, 포르투갈어 등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문법에 특징을 가지며, 딜리 지역을 중심으로 테툰-프라사가 널리 사용되고, 2002년 독립 이후 포르투갈어와 함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인도네시아의 언어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아체어
지도 정보
아체어 사용 지역 지도
아체어 사용 지역
기본 정보
이름아체어
고유어 이름
발음[]
사용 국가인도네시아
사용 지역수마트라섬 아체주
민족아체족
사용자 수350만 명 (2000년)
언어학적 정보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참어군
ISO 639-2ace
ISO 639-3ace
Glottologachi1257
Glottolog 명칭Acehnese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자위 문자(아랍 문자)
공용어 정보
공용어 국가인도네시아
공용어 지역아체주 (인도네시아어와 공동 공용어)
기타
언어법아체 주 의회 법률 제10호 (2022년) 아체어에 관한 법률

2. 분류 및 관련 언어

아체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아체어와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는 언어들은 차믹어파에 속하는 언어들로, 이들은 주로 베트남캄보디아 지역에서 사용된다. 차믹어파 다음으로 가까운 친척 언어군은 말레이어파이며, 여기에는 수마트라 섬에서 사용되는 미낭카바우어인도네시아의 국어인 인도네시아어 등이 포함된다.

아체어(녹색)는 차믹어파의 변방 언어이다.


언어학자 폴 시드웰은 아체어의 형성에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가 기층(substratum)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3] 또한 시드웰은 그레이엄 써굿의 연구를 바탕으로, 아체어가 기원전 1세기에서 2세기경에 다른 차믹어파 언어들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는 아체어를 사용하게 될 차믹어 사용자들이 동남아시아 본토를 떠나 수마트라 북부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4]

3. 사용 지역

아체주 내 아체어 사용 지역 분포


아체어는 주로 아체주의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 아체주 내 4개 도시와 13개 군에서 주로 사용되며, 구체적인 지역은 다음과 같다.

구분지역명비고
도시사반
반다아체
록세마웨
랑사
북동해안 군아체베사르
피디
피디자야
비레우엔
북아체일부 지역에서는 가요어 사용
동아체세르바 자디(Serba Jadi), 쁘누라론(Peunaron), 심팡 제르니흐(Simpang Jernih) 지역에서는 가요어 사용
아체타미앙주로 마냑파옛(Manyak Payet)과 쿠알라심팡(Kuala Simpang) 지역에서 사용. 그 외 지역에서는 타미앙 말레이어 사용
남서해안 군아체자야
서아체
나간라야
남서아체수소(Susoh) 지역에서는 자미어 사용
남아체클루엣어 및 아네우크 자미어(자미어)와 혼용


4. 음운론

아체어는 과거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 Jawims, Jawoë|자워으ace )로 표기했으나, 오늘날에는 드물게 사용된다.[34][11]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 이후 로마자 표기가 도입되었으며, 현재는 로마자를 주로 사용한다. 아체어 로마자 표기에는 기본 26개의 ISO 기본 라틴 알파벳 외에도 é, è, ë, ô, ö 문자를 추가로 사용하여 총 31개의 문자를 사용한다.[34][11]

4. 1. 모음

아체어에는 단모음과 이중모음, 구강모음과 비모음 음소가 있다. 아체어의 모음 체계는 구강 모음과 비모음으로 나뉘며, 각각 단모음과 이중모음 형태를 가진다.

인도네시아어와 아체어로 된 이중 언어 쓰나미 경보 표지판

4. 1. 1. 구강 모음

다음은 아체어 구강 모음 단모음 음소를 나타낸 표이다.[31]



다음 표는 /ə/로 끝나는 구강 이중모음을 나타낸 것이다.[31]

ɯə
ɛəʌəɔə



다음 표는 /i/로 끝나는 구강 이중모음을 나타낸 것이다.[31]

ui
əioi
ʌiɔi
ai


4. 1. 2. 비모음

다음은 아체어의 비모음 단모음 음소를 나타낸 표이다.[31]

고모음ĩɯ̃ũ
중저모음ɛ̃ʌ̃ɔ̃
저모음colspan=1|ãcolspan=1|



비모음 이중모음으로는 /ĩə̃ ɯ̃ə̃ ũə̃ ɛ̃ə̃/와 /ãĩ/가 있다.[31]

4. 2. 자음

다음은 아체어 자음 음소를 나타낸 표이다.[26]

아체어 자음
양순음순치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pbwidth=20px colspan=2|tdwidth=20px colspan=2|cɟkɡʔwidth=20px style="border-left: 0;"|
비음style="border-right: 0;"|mcolspan=2|style="border-right: 0;"|ncolspan=2|style="border-right: 0;"|ɲstyle="border-right: 0;"|ŋcolspan=2|
후파열음화 비음style="border-right: 0;"|mᵇcolspan=2|style="border-right: 0;"|nᵈcolspan=2|style="border-right: 0;"|ɲᶡstyle="border-right: 0;"|ŋᶢcolspan=2|
전동음colspan=2|colspan=2|style="border-right: 0;"|r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마찰음colspan=2|(f)style="border-left: 0;"|s(z)(ʃ)style="border-left: 0;"|colspan=2|colspan=2|hstyle="border-left: 0;"|
접근음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style="border-right: 0;"|jstyle="border-right: 0;"|wcolspan=2|
colspan=2|colspan=2|style="border-right: 0;"|lcolspan=2|colspan=2|colspan=2|colspan=2|



;참고:


  • 음절 말에 오는 'k' 철자는 성문 파열음 /ʔ/로 발음된다. 단, 최근에 들어온 몇몇 외래어에서는 그렇지 않다.
  • /f/, /z/, /ʃ/는 외래어에 나타나는 소리들이며, 각각 /ph/, /dh/, /ch/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 후파열음화 비음(구강 개방 비음) /mᵇ/, /nᵈ/, /ɲᶡ/, /ŋᶢ/은 영어권 학자들 사이에서 “funny nasals”[32]라고도 불린다. 이 소리들은 구개 모음이나 자음 앞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7][8] 이들은 단순 비음-유성 파열음 연쇄 /mb/, /nd/, /ɲɟ/, /ŋɡ/와는 구별된다. 예를 들어 /banᵈa/ ‘항구’와 /mandum/ ‘모두’는 서로 다른 발음이다.[33]

4. 3. 음소 배열론

아체어의 음절 구조는 C(C)V(C) 형태이다. 음절 끝(음절말)에 올 수 있는 자음은 /p, t, j, ʔ, h, m, n, ŋ/ 뿐이다. 단, /p, t, j/는 형태소의 마지막 음절일 때만 가능하다. 음절 처음(음절초)에 올 수 있는 자음군은 다음과 같다.

  • /p, t, c, k, b, d, ɟ, ɡ, r, l/ + /h/
  • /p, t, c, k, b, d, ɟ, ɡ/ + /r/
  • /p, k, b, ɡ/ + /l/
  • /ŋr/: 이 자음군은 /ŋram/('화나다')이라는 단어에만 나타난다.

4. 4. 문자

과거에 아체어는 아랍 문자를 변형한 자위 문자( Jawims, Jawoë|자워으ace )로 표기했으나, 오늘날에는 드물게 사용된다. 네덜란드의 식민 지배 이후 아체어는 로마자로 쓰이기 시작했으며, 기본 26개 기본 라틴 알파벳 외에 é, è, ë, ô, ö 문자를 추가로 사용하여 총 31개의 문자를 사용한다.[34][11]

자위 문자로 쓰인 아체어 서사시 히카야트 프랑 사비


모음 /ɨ/는 'eu'로 표기하고,[34] /ʌ/ 음은 'ö'로 표기한다.[11] 문자 'ë'는 이중모음의 두 번째 성분이 슈와(/ə/) 음일 경우에만 사용된다.[11] 비모음은 해당하는 구강모음 철자 앞에 아포스트로피(')를 붙여 ’a (/ã/), ’eue (/ɯ̃ə̃/) 등으로 나타낸다. 이중모음의 두 번째 성분이 /ə/인 경우 'e'로 적는다.

글자 f, q, v, x, z는 외래어에만 쓰인다.[34][11]

=== 모음 ===

아체어의 모음 표기는 다음과 같다.[34][12]

모음
철자음소 (IPA)개음절 예시폐음절 예시
a/a/ba /ba/ ‘나르다’bak /baʔ/ ‘나무, ~에’
e/ə/le /lə/ ‘많은’let /lət/ ‘빼다, 뽑다’
é/e/baté /bate/ ‘잔, 빈랑 접시’baték /bateʔ/ ‘바틱
è/ɛ/ /bɛ/ ‘냄새’bèk /bɛʔ/ ‘~하지 마라’ (예: bèk neupajoh boh gantang lôn ‘내 감자튀김 먹지 마’)
ë/ə/huë /huə/ ‘당기다’huëk /huəʔ/ ‘숨막히다, 숨막히게 하다’
eu/ɯ/keu /kɯ/ ‘앞’keuh /kɯh/ ‘2인칭 접미사, 그래서’ (예: nyan keuh, droe-keuh)
i/i/di /di/ ‘~에서, 안에’dit /dit/ ‘조금, 소량의’
o/ɔ/yo /jɔ/ ‘겁먹은, 무서운’yok /jɔʔ/ ‘흔들다’
ô/o/ /ro/ ‘흘리다, 쏟다’rôh /roh/ ‘들어가다’
ö/ʌ/ /pʌ/ ‘날다’pöt /pʌt/ ‘뽑다, 따다, 줍다’
u/u/su /su/ ‘소리, 목소리’sut /sut/ ‘떼다, 제거하다, 분리하다’



=== 자음 ===

아체어의 자음 표기는 다음과 같다.[34][12]

자음
철자음소 (IPA)비고
b/b/
c/c/
d/d/
f/f/외래어에 쓰임. 일반적으로 p (/p/)로 대신함.
g/ɡ/
h/h/
j/ɟ/
k/k/, 음절말에서는 /ʔ/음절 말의 k는 일부 최근 외래어를 제외하고 항상 /ʔ/ 소리를 낸다.
l/l/
m/m/
mb/mᵇ/ (/mb/)
n/n/
nd/nᵈ/ (/nd/)
ng/ŋ/
ngg/ŋᶢ/ (/ŋɡ/)
nj/ɲᶡ/ (/ɲɟ/)
ny/ɲ/
p/p/
q/q, k/외래어에 쓰임. 일반적으로 k (/k/)로 대신함.
r/r/
s/s/
sy/ʃ/외래어에서 온 소리(/ʃ/)이며, 종종 s(/s/)로 대체되기도 한다.[6]
t/t/
v/v/외래어에 쓰임. 일반적으로 b (/b/)로 대신함.
w/w/
x/ks/외래어에 쓰임. 일반적으로 ks (/ks/)로 대신함.
y/j/
z/z/외래어에 쓰임. 외래어에서 온 소리(/z/)이며, 종종 d(/d/)로 대체되기도 한다.[6]


5. 문법

아체어 명사에는 표지가 붙지 않는다.[35] 동사는 활격 논항(Actor|행위자eng)과 불활격 논항(Undergoer|피행위자eng) 모두와 일치할 수 있으며, 이 일치 체계는 활격-불활격 정렬을 따른다.[35]

타동사의 경우, 활격 논항(행위자)은 동사 앞에 붙는 후접어로 반드시 표시된다. 반면, 불활격 논항(피행위자)은 동사 뒤에 붙는 전접어로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35]

타동사 예시[35]
아체어분석번역
ôn ka=lôn=poh=geuh'''.나 + 시작상=1인칭=치다=3인칭"내가 그를 쳤다."



한편, 자동사는 논항 구조에 따라 세 종류로 나뉜다.[35]

# 활격 논항을 받는 자동사

# 불활격 논항을 받는 자동사

# 의미에 따라 활격 또는 불활격 논항을 받는 자동사

첫 번째 유형의 활격 논항은 타동사의 행위자처럼 후접어로 반드시 표시된다. 두 번째 유형의 불활격 논항은 타동사의 피행위자처럼 전접어로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세 번째 유형에 속하는 자동사는 의미에 따라 첫 번째나 두 번째 유형처럼 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발적인 행위나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사는 활격을 받고, 비자발적인 행위나 상태를 나타내는 자동사는 불활격을 받는다.[35]

자동사 예시 (1): 활격 논항[35]
아체어분석번역
ih ka=ji'=jak.그 + 시작상=3인칭=가다"그가 갔다."



자동사 예시 (2): 불활격 논항[35]
아체어분석번역
opnyan ka=saket(=geuh').그 + 시작상=아프다(=3인칭)"그가 아프다."



활격 논항을 받는 자동사(유형 1)의 예로는 ''jak'' ‘가다’, ''batôk'' ‘기침하다’, ''kira'' ‘생각하다’, ''chén'' ‘사랑하다’ 등이 있다. 불활격 논항을 받는 자동사(유형 2)의 예로는 ''saket'' ‘아프다’, ''beureutôh'' ‘폭발하다’, ''rhët'' ‘떨어지다’, ''na'' ‘있다’, ''seunang'' ‘행복하다’ 등이 있다.[35]

의미에 따라 논항 유형이 달라지는 자동사(유형 3)는 ''galak'' ‘좋아하다’, ''tuwö'' ‘잊다’, ''mulayi'' ‘시작하다’, ''teuka'' ‘도착하다’, ''maté'' ‘죽다’ 등 약 30개가 있으며, 자발적인 행위나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 유형 1처럼, 비자발적인 행위나 상태를 의미하는 경우 유형 2처럼 쓰인다.[35]

아체어는 분열적격 체계를 가지고 있다. 타동사의 주어(Sa)와 같은 방식으로 일치하는 자동사는 항상 조동사(예시 1의 ''ka='''ji'''=jak''에서 ''ji'')를 통해 일치를 보인다. 반면, 타동사의 목적어(Sp)와 같은 방식으로 일치하는 자동사는 선택적으로 조어미(예시 2의 ''ka=saket(='''geuh''')''에서 ''geuh'')를 통해 일치를 보일 수 있다. 이때 의지성이 자동사가 Sa처럼 행동할지 Sp처럼 행동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10]


  • 예시 (1): ''Jih ka='''ji'''=jak.'' (그는 시작상='''3인칭'''=가다) - "그는 갔다."[10]
  • 예시 (2): ''Gopnyan ka=saket='''geuh'''.'' (그는 시작상=아프다='''3인칭''') - "그는 아프다."[10]


아체어의 형태론은 주로 접사에 의존하지만, 다른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에 비해 접사의 종류는 상대적으로 적다. 동사의 파생은 주로 접두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아체어 동사에는 능동태수동태의 구별이 없다.[27]

6. 문학

아체어는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지고 있다. 아체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기록은 1658년에 작성된 '히카야트 스마운'(Hikayat Seumau'un|히카얏 스마운ace)이다. 아체 문학은 대부분 시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산문으로 된 작품은 상대적으로 드물다.[13]

7. 방언

아체어에는 최소 10개 이상의 방언이 존재한다.[30][14]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언으로는 파세(Pasè, 또는 북아체(North Aceh), 파사이(Pasai)), 프상안(Peusangan), 피디으(Pidië), 부응(Buëng), 반다(Banda), 다야(Daya), 믈라보(Meulabôh), 스나간(Seunagan 또는 슌아간(Shunagan)), 투농(Tunong), 마탕(Matang) 등이 있다.[30][14]

이 중 주요 방언으로 꼽히는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15]


  • 바엣 람부옷(Baet Lambuot): 아체 베사르(Aceh Besar)에서 사용된다.[16]
  • 메스지드 푼테우트(Mesjid Punteut): 동아체(East Aceh)의 심팡 울림(Simpang Ulim) 지역에서 사용된다.[16]
  • 판테 크타팡(Panthe Ketapang): 아체 자야(Aceh Jaya)의 자야(Jaya) 지역에서 사용된다.[16]


지리적으로는 아체 베사르[17][18], 피디에[17][18], 푸상안[17], 파사이[17], 동아체[17][18], 서아체[17][18], 북아체[18], 비레운[18], 아체 자야[18] 등 지역에 따라 방언이 구분되기도 한다. 특히 서해안 지역의 방언(dialek pesisir barat)으로는 투농(Tunong), 슌아간(Seunagan), 믈라보(Meulabôh), 다야(Daya)가 포함된다.[19]

다른 분류 체계에 따르면 아체어는 아체 방언, 가요·아라스 방언, 타미안 방언, 아누크·자메 방언의 네 가지로 나뉘기도 한다.

또한, 아체어는 자바어와 마찬가지로 존댓말 체계가 매우 발달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8. 어휘

(내용 없음)

8. 1. 대명사

아체어[20]인도네시아어한국어 번역
kèeaku
ulôn, lôn, lôngsaya나(정중한 표현)
ulôn tuan, lôn tuansaya나(가장 정중한 표현)
kamoekami우리(상대방 제외)
geutanyoe, tanyoekita우리(상대방 포함)
jihdia그/그녀/것
gop nyanbeliau그/그녀/것(정중한 표현)
droeneuh nyanbeliau그/그녀/것(가장 정중한 표현)
awak nyoe/nyanmereka그들
ureueng nyoe/nyanmereka그들(정중한 표현)
kahkau
gatakamu너(젊은 사람에게 사용)
droeneuhAnda당신(정중한 표현)
awak kahkalian너희들
ureueng droeneuhkalian너희들(정중한 표현)



이 외에 기본적인 아체어 표현은 다음과 같다.


  • '''Peu haba?''' : 안녕하십니까?
  • '''Lôn''' : 저
  • '''Han''' : 아니요
  • '''Pajôh''' : 먹다

8. 2. 수사

아체어[21]인도네시아어영어 번역
saacesatuindone
duaaceduaindtwo
lhèeacetigaindthree
peuetaceempatindfour
limongacelimaindfive
namaceenamindsix
tujôhacetujuhindseven
lapanacedelapanindeight
sikureuengacesembilanindnine
siplôhacesepuluhindten


8. 3. 의문사

아체어[22]인도네시아어한국어 번역
peueace, pueaceapaind무엇
soeacesiapaind누구
pajanacekapanind언제
töhace, siréaceyang manaind어느
patacedi manaind어디
panèacedari manaind어디에서(부터)
hoaceke manaind어디로
padumace, paditaceberapaind얼마나 많은
pakriace, pabanacebagaimanaind어떻게
pakönacekenapaind


9. 샘플 텍스트

세계인권선언 제1조의 아체어 번역과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 '''아체어 샘플 텍스트 (라틴 문자):'''[23]

::Bandum ureuëng lahé deungon meurdéhka, dan deungon martabat dan hak njang saban. Ngon akai geuseumiké, ngon haté geumeurasa, bandum geutanjoë lagèë sjèëdara. Hak dan keumuliaanace.

  • '''한국어 번역:'''[24]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 있어서 평등하다. 인간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10. 사진

참조

[1] 법률 Qanun Aceh Tentang Bahasa Aceh https://jdih.acehpro[...] 2022
[2] harvcoltxt
[3] 저널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http://sealang.net/s[...] 2006
[4] 저널 Acehnese and the Aceh-Chamic Language Family https://openresearch[...] 2005
[5] harvcoltxt
[6] harvcoltxt
[7] harvcoltxt
[8] harvcoltxt
[9] 논문 Consonantal evidence against Quantal Theory 1993
[10] 논문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in an active language 1988
[11] 웹사이트 Ejaan Bahasa Aceh https://bahasaaceh.c[...] 2008-11-12
[12] 웹사이트 Acehnese language and alphabet https://omniglot.com[...]
[13] 저널 Framing the Acehnese Text: Language Choice and Discourse Structures in Aceh https://www.jstor.or[...] 1996
[14] 서적 Kedudukan dan Fungsi Bahasa Aceh di Aceh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1981
[15] 서적 Inilah Bahasa-Bahasa Di Aceh https://repositori.k[...] Balai Bahasa Banda Aceh 2012
[16] 웹사이트 Aceh - Peta Bahasa https://petabahasa.k[...]
[17] 서적 Bahasa Aceh https://core.ac.uk/d[...]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1979
[18] 논문 Penuturan Bahasa Aceh di Kalangan Masyarakat Sibreh Kecamatan Sukamakmur https://repository.a[...] Universitas Islam Negeri Ar-Raniry 2020
[19] 서적 Ejaan Bahasa Aceh https://bahasaaceh.c[...] 2008
[20] 웹사이트 Kata Ganti Orang dalam Bahasa Aceh https://bahasaaceh.c[...] 2009-10-25
[21] 웹사이트 Angka/Bilangan https://bahasaaceh.c[...] 2008-11-28
[22] 웹사이트 Kata Tanya https://bahasaaceh.c[...] 2008-11-25
[23] 웹사이트 Peunyata Umum Hak-hak Azasi Manusia Ban Sigom Dônja https://www.ohchr.or[...]
[24]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English http://www.ohchr.org[...]
[25] ethnologue
[26] 서적 言語学大辞典第1巻 三省堂 1988
[27] 서적 言語学大辞典第1巻 三省堂 1988
[28] 웹사이트 Acehnese https://www.ethnolog[...] 2015
[29] 저널 Dating the separation of Acehnese and Chamic by etymological analysis of the Aceh-Chamic lexicon http://sealang.net/s[...] 2006
[30] 서적 Kedudukan dan Fungsi Bahasa Aceh di Aceh Pusat Pembinaan dan Pengembangan Bahasa 1981
[31] harvcoltxt
[32] harvcoltxt
[33] 논문 Consonantal evidence against Quantal Theory 1993
[34] 웹사이트 Ejaan Bahasa Aceh http://bahasaaceh.wo[...]
[35] 논문 Preferred argument structure in an active language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