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도바어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도바어 문자는 19세기까지 루마니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 키릴 문자의 변형으로 시작되었다. 1920년대 초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소련의 루마니아어 철자법 표준화 시도로 공식 도입되었으며, 이후 라틴 문자로 폐지되었다가 1938년 다시 도입되어 1989년까지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알파벳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며, 몰도바 공화국에서는 지명 표기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부 로망스어군 - 루마니아어
루마니아어는 고대 로마 시대 속어 라틴어에서 기원하여 다키아 지역에서 발전,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루마니아와 몰도바의 공용어이고,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를 가진 로망스어이다. - 동부 로망스어군 - 몰도바어
몰도바어는 몰도바 공화국의 공용어이며, 루마니아어와 매우 유사하여 논쟁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고, 현재는 몰도바 공화국에서 라틴 문자를,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 루마니아-소련 관계 - 파리 조약 (1947년)
파리 조약(1947년)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과 추축국(이탈리아, 루마니아, 헝가리, 불가리아, 핀란드) 간에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전쟁 상태 종결, 영토 변경, 전쟁 배상, 정치 조항 등을 포함하며 냉전 초기 국제 질서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루마니아-소련 관계 - 루마니아 공산당
루마니아 공산당은 볼셰비키 사상에 영향을 받은 극좌파가 창당한 정당으로, 코민테른의 영향 아래 어려움을 겪었으나 소련의 지원으로 권력을 장악, 사회민주당과 합병하여 일당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스탈린주의적 숙청과 독자 노선, 개인 숭배, 억압적 통치를 거쳐 루마니아 혁명으로 몰락했다.
| 몰도바어 문자 | |
|---|---|
| 기본 정보 | |
| 유형 | 알파벳 |
| 사용 기간 | 1924–1932년 |
| 사용 기간 | 1938년–현재 |
| 사용 언어 | 루마니아어(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및 구 소비에트 연방의 다른 지역에서 사용, 해당 지역에서는 몰도바어로 알려짐) |
| 어족 | 페니키아 문자 |
| 어족 | 그리스 문자 |
| 어족 | 글라골 문자 |
| 어족 | 키릴 문자 |
| 관련 문자 | 루마니아 키릴 문자 |
![]() | |
| 문자 | |
2. 역사
19세기까지 루마니아어는 일반적으로 지역 변형의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1] 18세기 말에 처음 도입된 개혁된 러시아 민간 문자를 기반으로 한 변형은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널리 퍼졌으며, 몰다비아 공국의 나머지 지역은 왈라키아와의 통합으로 인해 루마니아가 탄생한 후 공식적으로 채택된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으로 점차 전환되었다.[1] "몰도바어"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과 "루마니아어"라는 표기를 사용한 소수의 경우를 포함하여 1917년 이전에 베사라비아에서 출판된 문법과 사전은 키릴 문자 버전을 사용했으며, 1918년 통합 이후에도 베사라비아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농민 독자들이 출판물을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2]
몰도바 키릴 문자는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루마니아어의 철자법을 표준화하려는 소련의 시도로 1920년대 초에 공식적으로 도입되었으며, 동시에 1860년대에 루마니아에서 도입된 라틴 문자 기반의 루마니아어 철자법과 명확한 차이를 두어 정치적 목표를 달성했다.[2]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또는 벨라루스어와 같이 소련의 다른 키릴 문자 기반 언어의 경우처럼, 철자법을 단순화하고 문맹률을 높이기 위해 구식 및 불필요한 문자가 삭제되었다.[3] 1932년에는 연합 전역의 라틴화 캠페인 동안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으로 폐지되었다(루마니아어 버전과 비교하여 몰도바어 버전의 알파벳에는 ''Â â'' 문자가 없었다).[3] 1938년 5월 19일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중앙 집행 위원회에서 다시 도입하기로 결정했지만, 표준 러시아어와 더 유사한 철자법을 사용했다. 베사라비아 및 북부 부코비나의 소련 점령 이후, 1989년까지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알파벳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때 법률에 의해 표준 라틴 문자 기반의 루마니아어 알파벳으로 돌아갔다.
몰도바 SSR에서는 "언어의 로망스 핵심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라틴 알파벳으로 다시 전환하라는 여러 요청이 있었다. 1965년, 소련 몰도바 작가 제3차 회의의 요구는 공산당 지도부에 의해 거부되었으며, 교체는 "몰도바 국민의 이익에 반하며 그들의 열망과 희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간주되었다.[4]
몰도바 키릴 문자는 이 언어에 대해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여전히 공식적이고 유일하게 허용되는 알파벳이다.[5]
몰도바 키릴 문자는 또한 키시너우시의 이름을 키시너우 대신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등, 몰도바 공화국의 미디어 및 정부 간행물에서 러시아어로 작성할 때 정착지 이름에 사용된다.[5]
2. 1. 19세기 이전
19세기까지 루마니아어는 일반적으로 지역 변형의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1] 18세기 말에 처음 도입된 개혁된 러시아 민간 문자를 기반으로 한 변형은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널리 퍼졌다.[1] 몰다비아 공국의 나머지 지역은 왈라키아와의 통합으로 인해 루마니아가 탄생한 후 공식적으로 채택된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으로 점차 전환되었다.[1] 1917년 이전에 베사라비아에서 출판된 문법과 사전은 키릴 문자 버전을 사용했으며, 1918년 통합 이후에도 베사라비아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농민 독자들이 출판물을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2]2. 2. 러시아 제국 시기 (19세기~1917년)
19세기까지 루마니아어는 일반적으로 지역 변형의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1] 18세기 말에 처음 도입된 개혁된 러시아 민간 문자를 기반으로 한 변형은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널리 퍼졌다.[1] 몰다비아 공국의 나머지 지역은 왈라키아와의 통합으로 인해 루마니아가 탄생한 후 공식적으로 채택된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으로 점차 전환되었다.[1] "몰도바어"라는 표기를 사용한 것과 "루마니아어"라는 표기를 사용한 소수의 경우를 포함하여 1917년 이전에 베사라비아에서 출판된 문법과 사전은 키릴 문자 버전을 사용했다.[2]2. 3. 소련 시대 (1920년대~1989년)
19세기까지 루마니아어는 지역 변형의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 18세기 말에 도입된 러시아 민간 문자 기반의 변형은 베사라비아가 러시아 제국에 병합된 후 널리 퍼졌으며, 몰다비아 공국이 왈라키아와 통합하여 루마니아가 된 후 공식 채택된 라틴 문자 기반 알파벳으로 전환되었다.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루마니아어 철자법 표준화를 위해 몰도바 키릴 문자가 1920년대 초에 공식 도입되었다. 이는 1860년대 루마니아에서 도입된 라틴 문자 기반 루마니아어 철자법과 차이를 두려는 정치적 목표와 관련이 있었다. 러시아어 등 다른 키릴 문자 기반 언어처럼 철자법 단순화, 문맹률 향상을 위해 구식 문자가 삭제되었다.
1932년, 소련의 라틴화 캠페인으로 라틴 문자로 전환되었으나, 1938년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중앙 집행 위원회 결정에 따라 키릴 문자로 다시 복귀했다. 이때 표준 러시아어와 더 유사한 철자법이 사용되었다. 베사라비아 및 북부 부코비나의 소련 점령 이후, 1989년까지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공식 알파벳으로 지정되었다.
1965년, 소련 몰도바 작가 제3차 회의에서 라틴 문자 전환 요구가 있었으나, 공산당 지도부는 이를 "몰도바 국민의 이익에 반한다"며 거부했다.
2. 4. 소련 붕괴 이후 (1989년~현재)
1989년까지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몰도바 키릴 문자가 공식 알파벳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같은 해 법률에 의해 표준 라틴 문자 기반의 루마니아어 알파벳으로 돌아갔다.[1] 몰도바 SSR에서는 "언어의 로망스 핵심에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라틴 알파벳으로 다시 전환하라는 여러 요청이 있었다.[4] 1965년, 소련 몰도바 작가 제3차 회의의 요구는 공산당 지도부에 의해 거부되었으며, 교체는 "몰도바 국민의 이익에 반하며 그들의 열망과 희망을 반영하지 않는다"고 간주되었다.[4]몰도바 키릴 문자는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 여전히 공식적이고 유일하게 허용되는 알파벳이다.[5] 또한 몰도바 공화국의 미디어 및 정부 간행물에서 러시아어로 작성할 때 정착지 이름에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키시너우시의 이름을 키시너우 대신 키릴 문자로 표기한다.[5]
3. 문자 구성
현대 루마니아어 알파벳(라틴 문자)과 비교하여 몰도바 키릴 문자의 각 문자와 해당 발음은 다음과 같다.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이름 | 이 맥락에서 사용됨 | IPA | 예시 |
|---|---|---|---|---|---|
| А а | a | а (a) | /a/ | apă = апэ | |
| Б б | b | бе (be) | /b/ | burtă = буртэ | |
| В в | v | ве (ve) | /v/ | verde = верде | |
| Г г | g, gh | ге (ghe) | i 또는 e 앞에서 사용, 그 외에는 g | /ɡ/ | gheață = гяцэ, gât = гыт |
| Д д | d | де (de) | /d/ | dinte = динте | |
| Е е | e, ie | е (e) | 모음 뒤 또는 ia와 번갈아 사용되는 경우 ie, 그 외에는 e | /e/, /je/ | muiere = муере |
| Ж ж | j | же (je) | /ʒ/ | a înjunghia = а ынжунгя | |
| Ӂ ӂ | g, ge, gi | ӂе (ge) | i와 e 앞의 g, a 앞의 ge, 그 외에는 gi | /dʒ/ | fulgerele = фулӂереле |
| З з | z | зе (ze) | /z/ | ziua = зиуа | |
| И и | i, ii | и (i) | 단어의 끝에 사용되는 ii, 그 외에는 i | /i/ | codrii = кодрий |
| Й й | i | и скурт (i scurt) | 모음 앞과 뒤 | /j/ | pâine = пыйне |
| К к | c, ch | ка (ka) | i와 e 앞의 ch, 그 외에는 c | /k/ | chirilice = кириличе, câine = кыйне |
| Л л | l | ле (le) | /l/ | limba = лимба | |
| М м | m | ме (me) | /m/ | moldovenească = молдовеняскэ | |
| Н н | n | не (ne) | /n/ | sânge = сынӂе | |
| О о | o | о (o) | /o/ | ou = оу | |
| П п | p | пе (pe) | /p/ | pană = панэ | |
| Р р | r | ре (re) | /r/ | roșu = рошу | |
| С с | s | се (se) | /s/ | soare = соаре | |
| Т т | t | те (te) | /t/ | vânt = вынт | |
| У у | u | у (u) | /u/ | unu = уну | |
| Ф ф | f | фе (fe) | /f/ | frunză = фрунзэ | |
| Х х | h | ха (ha) | /h/ | harță = харцэ | |
| Ц ц | ț | це (țe) | /ts/ | ține = цине | |
| Ч ч | c, ce, ci | че (ce) | i와 e 앞의 c, a 앞의 ce, 그 외에는 ci | /tʃ/ | ce = че |
| Ш ш | ș | ше (șe) | /ʃ/ | și = ши | |
| Ы ы | â, î | ы (î) | â와 î | /ɨ/ | română = ромынэ, înțelegere = ынцелеӂере |
| Ь ь | i | семнул моале (semnul moale) | (일반적으로) 단어의 끝 | /ʲ/ (즉, 앞의 자음의 구개음화) | ochi = окь |
| Э э | ă | э (ă) | /ə/ | mână = мынэ | |
| Ю ю | iu | ю (iu) | /ju/, /ʲu/ | iulie = юлие | |
| Я я | ea, ia | я (ia) | 자음 또는 е 뒤의 ea, 그 외에는 ia | /ja/, /ʲa/ | ceață = чяцэ, piatră = пятрэ |
이 알파벳의 모든 글자는 현대 러시아어 알파벳에서 찾을 수 있지만, 예외는 Ӂ ӂ (U+04C1, U+04C2)이다. 러시아어 문자 Ё, Щ, Ъ는 몰도바 키릴 문자 알파벳에 없으며, 전자는 각각 ЬО 및 ШТ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3. 1. 문자와 발음
현대 루마니아어 알파벳(라틴 문자)과 비교하여 몰도바 키릴 문자의 각 문자와 해당 발음은 다음과 같다.|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이름 | 이 맥락에서 사용됨 | IPA | 예시 |
|---|---|---|---|---|---|
| А а | a | а (a) | apă = апэ | ||
| Б б | b | бе (be) | burtă = буртэ | ||
| В в | v | ве (ve) | verde = верде | ||
| Г г | g, gh | ге (ghe) | i 또는 e 앞에서 사용, 그 외에는 g | gheață = гяцэ, gât = гыт | |
| Д д | d | де (de) | dinte = динте | ||
| Е е | e, | е (e) | 모음 뒤 또는 ia와 번갈아 사용되는 경우 ie, 그 외에는 e | muiere = муере | |
| Ж ж | j | же (je) | a înjunghia = а ынжунгя | ||
| Ӂ ӂ | g, ge, gi | ӂе (ge) | i와 e 앞의 g, a 앞의 ge, 그 외에는 gi | fulgerele = фулӂереле | |
| З з | z | зе (ze) | ziua = зиуа | ||
| И и | i, ii | и (i) | 단어의 끝에 사용되는 ii, 그 외에는 i | codrii = кодрий | |
| Й й | i | и скурт (i scurt) | 모음 앞과 뒤 | pâine = пыйне | |
| К к | c, ch | ка (ka) | i와 e 앞의 ch, 그 외에는 c | chirilice = кириличе, câine = кыйне | |
| Л л | l | ле (le) | limba = лимба | ||
| М м | m | ме (me) | moldovenească = молдовеняскэ | ||
| Н н | n | не (ne) | sânge = сынӂе | ||
| О о | o | о (o) | ou = оу | ||
| П п | p | пе (pe) | pană = панэ | ||
| Р р | r | ре (re) | roșu = рошу | ||
| С с | s | се (se) | soare = соаре | ||
| Т т | t | те (te) | vânt = вынт | ||
| У у | u | у (u) | unu = уну | ||
| Ф ф | f | фе (fe) | frunză = фрунзэ | ||
| Х х | h | ха (ha) | harță = харцэ | ||
| Ц ц | ț | це (țe) | ține = цине | ||
| Ч ч | c, ce, ci | че (ce) | i와 e 앞의 c, a 앞의 ce, 그 외에는 ci | ce = че | |
| Ш ш | ș | ше (șe) | și = ши | ||
| Ы ы | â, î | ы (î) | â와 î | română = ромынэ, înțelegere = ынцелеӂере | |
| Ь ь | i | семнул моале (semnul moale) | (일반적으로) 단어의 끝 | (즉, 앞의 자음의 구개음화) | ochi = окь |
| Э э | ă | э (ă) | mână = мынэ | ||
| Ю ю | iu | ю (iu) | iulie = юлие | ||
| Я я | ea, ia | я (ia) | 자음 또는 е 뒤의 ea, 그 외에는 ia | ceață = чяцэ, piatră = пятрэ |
이 알파벳의 모든 글자는 현대 러시아어 알파벳에서 찾을 수 있지만, 예외는 Ӂ ӂ (U+04C1, U+04C2)이다. 러시아어 문자 Ё, Щ, Ъ는 몰도바 키릴 문자 알파벳에 없으며, 전자는 각각 ЬО 및 ШТ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
3. 2. 문자 사용 규칙
몰도바어 문자는 현대 러시아어 알파벳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든 글자를 포함하며, Ӂ ӂ (U+04C1, U+04C2)가 추가된 형태이다. 러시아어 문자 Ё, Щ, Ъ는 몰도바 키릴 문자 알파벳에 없으며, Ё는 ЬО, Щ는 ШТ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다.다음 표는 현재 사용 중인 라틴 문자와 몰도바 키릴 문자 알파벳을 비교한 것이다. IPA 값은 1957년 이후의 문학 표준에 따른다.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이름 | 사용 환경 | IPA | 예시 |
|---|---|---|---|---|---|
| А а | a | а (a) | /a/ | apă = апэ | |
| Б б | b | бе (be) | /b/ | burtă = буртэ | |
| В в | v | ве (ve) | /v/ | verde = верде | |
| Г г | g, gh | ге (ghe) | i 또는 e 앞에서 사용, 그 외에는 g | /ɡ/ | gheață = гяцэ, gât = гыт |
| Д д | d | де (de) | /d/ | dinte = динте | |
| Е е | e, | е (e) | 모음 뒤 또는 ia와 번갈아 사용되는 경우 ie, 그 외에는 e | /e/, /je/ | muiere = муере |
| Ж ж | j | же (je) | /ʒ/ | a înjunghia = а ынжунгя | |
| Ӂ ӂ | g, ge, gi | ӂе (ge) | i와 e 앞의 g, a 앞의 ge, 그 외에는 gi | /dʒ/ | fulgerele = фулӂереле |
| З з | z | зе (ze) | /z/ | ziua = зиуа | |
| И и | i, ii | и (i) | 단어의 끝에 사용되는 ii, 그 외에는 i | /i/ | codrii = кодрий |
| Й й | i | и скурт (i scurt) | 모음 앞과 뒤 | /j/ | pâine = пыйне |
| К к | c, ch | ка (ka) | i와 e 앞의 ch, 그 외에는 c | /k/ | chirilice = кириличе, câine = кыйне |
| Л л | l | ле (le) | /l/ | limba = лимба | |
| М м | m | ме (me) | /m/ | moldovenească = молдовеняскэ | |
| Н н | n | не (ne) | /n/ | sânge = сынӂе | |
| О о | o | о (o) | /o/ | ou = оу | |
| П п | p | пе (pe) | /p/ | pană = панэ | |
| Р р | r | ре (re) | /r/ | roșu = рошу | |
| С с | s | се (se) | /s/ | soare = соаре | |
| Т т | t | те (te) | /t/ | vânt = вынт | |
| У у | u | у (u) | /u/ | unu = уну | |
| Ф ф | f | фе (fe) | /f/ | frunză = фрунзэ | |
| Х х | h | ха (ha) | /h/ | harță = харцэ | |
| Ц ц | ț | це (țe) | /ts/ | ține = цине | |
| Ч ч | c, ce, ci | че (ce) | i와 e 앞의 c, a 앞의 ce, 그 외에는 ci | /tʃ/ | ce = че |
| Ш ш | ș | ше (șe) | /ʃ/ | și = ши | |
| Ы ы | â, î | ы (î) | â와 î | /ɨ/ | română = ромынэ, înțelegere = ынцелеӂере |
| Ь ь | i | семнул моале (semnul moale) | (일반적으로) 단어의 끝 | /ʲ/ (즉, 앞의 자음의 구개음화) | ochi = окь |
| Э э | ă | э (ă) | /ə/ | mână = мынэ | |
| Ю ю | iu | ю (iu) | /ju/, /ʲu/ | iulie = юлие | |
| Я я | ea, ia | я (ia) | 자음 또는 е 뒤의 ea, 그 외에는 ia | /ja/, /ʲa/ | ceață = чяцэ, piatră = пятрэ |
4. 예시 텍스트
미하이 에미네스쿠의 ''루체아퍼룰'' 시 일부를 라틴 문자와 몰도바 키릴 문자로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 라틴 문자 | 몰도바 키릴 문자 |
|---|---|
5. 현대적 의의
참조
[1]
서적
Slavonic letters in Moldova, Wallachia and Transylvania from the tenth to the seventeenth centuries
Ed. Enciclopedicӑ
[2]
논문
The Ambivalence of Authenticity, or How the Moldovan Language Was Made
1999
[3]
서적
Языковое строительство в СССР. Процессы создания письменностей народов СССР
Наука
[4]
간행물
The Language Policy of the CPSU and the Linguistic Situation in Soviet Moldavia
1984-01
[5]
웹사이트
Кишинев или Кишинэу? Кто прав в споре о названиях городов Молдовы
https://newsmaker.md[...]
2017-08-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