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개는 지표면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응결되어 공중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로, 기온이 이슬점에 가까워질 때 발생한다. 생성 원인에 따라 복사 안개, 이류 안개, 증기 안개, 전선 안개, 상승 안개 등으로 분류되며, 시야를 가려 교통, 항공, 선박 운항에 지장을 주고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안개는 미술, 음악, 문학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며, 특히 한국, 일본 등지에서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안개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 존재한다.
지상에서 증발된 물은 수증기가 되어 공기중으로 올라가면서 팽창하여 차가워진다. 공기는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한 양의 수증기만을 포함할 수 있다. 기온이 내려가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일부 수증기는 응결되어 안개가 된다. 그러다가 기온이 올라가 공기가 포함할 수 있는 수증기의 양이 늘어나면 안개는 사라진다. 특징에 따라 이류안개·전선안개·복사안개·활승안개로 나눈다.
안개는 생성 원리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95][96]
2. 생성
구름물리학
안개는 기온과 이슬점의 차이가 2.5°C 미만일 때 형성된다.[6][7] 안개는 수증기가 공중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로 응결되면서 생기기 시작한다. 수증기가 응결되는 예로는 상승 기류가 있는 지역으로의 바람 수렴,[8] 위에서 떨어지는 강수 또는 버어가,[9] 낮 동안 해양, 수역 또는 습지 표면에서 증발하는 물,[10] 식물의 증산작용,[11] 따뜻한 물 위로 이동하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12] 산 위로 공기가 상승하는 것 등이 있다.[13] 수증기는 일반적으로 구름을 형성하기 위해 먼지, 얼음, 소금과 같은 구름 응결 핵에 응결되기 시작한다.[14][15] 안개는 상층에 있는 층운과 마찬가지로 차갑고 안정된 공기 덩어리가 따뜻한 공기 덩어리 아래에 갇힐 때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 안정적인 구름 층이다.[16]
안개는 일반적으로 약 100%에 가까운 상대 습도에서 발생한다.[17] 이것은 공기 중에 수분이 추가되거나 주변 기온이 떨어지면서 발생한다.[17] 그러나 안개는 더 낮은 습도에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때로는 상대 습도가 100%일 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안개는 일반적으로 이슬비 또는 매우 약한 눈의 형태로 강수를 생성한다. 이슬비는 습도가 100%에 도달하고 작은 구름 방울이 합쳐져 더 큰 방울이 되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18] 이는 안개 층이 상승하고 충분히 냉각될 때 또는 하강하는 공기에 의해 위에서 강제로 압축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안개 층의 두께는 주로 역전 경계의 고도에 의해 결정되며, 해안 또는 해양 지역에서는 공기 덩어리가 더 따뜻하고 건조한 해양층의 상단이기도 하다. 역전 경계는 주로 그 위의 공기 무게에 따라 고도를 변경하며, 이는 기압으로 측정된다.
2. 1. 생성 원리
안개는 기온과 이슬점의 차이가 2.5°C 미만일 때 형성된다.[6][7] 안개는 수증기가 공중에 떠 있는 작은 물방울로 응결되면서 생기기 시작한다. 수증기가 응결되는 예로는 상승 기류가 있는 지역으로의 바람 수렴,[8] 위에서 떨어지는 강수 또는 버어가,[9] 낮 동안 해양, 수역 또는 습지 표면에서 증발하는 물,[10] 식물의 증산작용,[11] 따뜻한 물 위로 이동하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12] 산 위로 공기가 상승하는 것 등이 있다.[13] 수증기는 일반적으로 구름을 형성하기 위해 먼지, 얼음, 소금과 같은 구름 응결 핵에 응결되기 시작한다.[14][15] 안개는 상층에 있는 층운과 마찬가지로 차갑고 안정된 공기 덩어리가 따뜻한 공기 덩어리 아래에 갇힐 때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 안정적인 구름 층이다.[16]
안개는 일반적으로 약 100%에 가까운 상대 습도에서 발생한다.[17] 이것은 공기 중에 수분이 추가되거나 주변 기온이 떨어지면서 발생한다.[17] 그러나 안개는 더 낮은 습도에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때로는 상대 습도가 100%일 때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안개는 일반적으로 이슬비 또는 매우 약한 눈의 형태로 강수를 생성한다. 이슬비는 습도가 100%에 도달하고 작은 구름 방울이 합쳐져 더 큰 방울이 되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18] 이는 안개 층이 상승하고 충분히 냉각될 때 또는 하강하는 공기에 의해 위에서 강제로 압축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안개 층의 두께는 주로 역전 경계의 고도에 의해 결정되며, 해안 또는 해양 지역에서는 공기 덩어리가 더 따뜻하고 건조한 해양층의 상단이기도 하다. 역전 경계는 주로 그 위의 공기 무게에 따라 고도를 변경하며, 이는 기압으로 측정된다.
3. 종류
; 복사 안개
: 맑은 날 밤에는 지표면에서 열이 복사되어 지면이 차가워진다(방사 냉각).[47] 이렇게 차가워진 지면이 지면에 접해 있는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를 냉각시켜 발생한다.[47] 밤부터 이른 아침에 걸쳐 발생하며, 일사량이 강해지면서 증발하여 사라진다.[47] 비가 그친 후에 발생하기 쉽다.[47] 바람이 강하면 공기가 섞이므로 발생하기 어렵다.[47] 지형의 영향으로 냉기가 쌓이기 쉬운 분지나 계곡을 따라 발생하기 쉬우며, 각각 분지 안개, 골짜기 안개라고 한다.[47][48][49][50]
'''지면 안개'''는 하늘의 60% 미만을 가리고 머리 위의 구름 기저까지 뻗어 있지 않은 안개이다.[20] 그러나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얕은 복사 안개의 동의어이다. 어떤 경우에는 바람이 없는 특정 지형에서 안개의 깊이가 수십 센티미터 정도이다.
; 이류 안개
: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이동(이류)하여 수온이 낮은 해상이나 육지로 이동하여 아래에서부터 냉각되어 발생한다. 난류와 한류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하기 쉽다. 지표 가까이에 혼합층이 발달하면 혼합층 전체가 차가워져 두꺼운 안개가 생길 수 있다. 여름 즈음 산리쿠 해역에서 홋카이도의 동해안 등에 발생하는 해무가 그 대표적인 예로, 한류(쿠릴 해류) 위로 따뜻한 공기의 이류가 원인이며, 종종 안개는 내륙까지 이동하여 두께가 600 미터에 달하기도 한다.
; 증기 안개
: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와 섞여서 발생한다. 겨울에 입김이 하얗게 되는 것과 원리는 같다. 따뜻한 수면 위에 차가운 공기가 들어가, 수면에서 증발이 일어나고, 그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발생한다. 강이나 호수 위에서 보이며, 강 안개 등으로 불린다. 수온과 기온의 차이가 클 때 발생하기 쉽다. 목욕탕이나 컵에 담은 따뜻한 음료의 김도 원리는 같다. 극지에서 가을부터 겨울에 자주 발생하며, 해빙 주변의 해면이나 표면이 결빙되기 전의 강이나 호수에서 보인다.[53] 겨울의 일본해상에서도 이 성인을 갖는 김과 같은 안개(케아라시/気嵐일본어)가 발생한다.[53]
; 전선 안개
: 전선, 주로 공기가 따뜻한 온난 전선 부근에서 강우에 따라 발생한다. 비가 내려 습도가 높아진 곳에 온도가 비교적 높은 비가 떨어지면, 빗방울에서 증발된 습도가 더욱 올라가 안개가 생긴다. 빗방울이 기온보다 온도가 높을 때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54]
; 상승 안개
: 산의 사면을 따라 습한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어 발생한다. 멀리서 보면 산에 걸린 구름처럼 보이지만, 구름에 덮인 산의 지표에서는 안개가 된다. 입자는 운립에 가까운 크기가 되며, 층운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다. 활승 안개라고도 한다.[55]
여러 요인, 예를 들어 방사 안개와 이류 안개의 요인을 갖는 안개 등도 발생할 수 있다. 분지 안개에도 방사 안개와 이류 안개의 성질을 함께 갖는 것이 보인다.
층운이 발달하여 차츰 두께를 더하여 구름 밑면이 지면에 접하여 안개가 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지표의 가열이나 바람이 강해짐에 따라, 안개가 지표에서 떨어져 층운으로 변화해 가는 경우가 있다.3. 1. 복사 안개
지표면의 복사냉각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개이다. 바람이 거의 없고 상대습도가 90% 이상으로 높을 때 복사냉각으로 인해 지표의 온도가 공기의 온도보다 낮아지면 발생한다.[95] 이 안개는 그리 높게 발달하지 않고, 대체로 내륙 지방에 형성되며, 해가 뜨면 기온이 상승해 보통 발생 후 1~2시간 내에 소산된다.[95] 지형적인 영향으로 산간 분지 지역은 복사냉각으로 찬 공기가 경사면을 타고 내려와 안개가 발생하며 이를 땅안개라고도 한다.[95] 완벽하게 잔잔한 상태에서는 안개 층의 두께가 1미터 미만일 수 있지만, 난류는 더 두꺼운 층을 촉진할 수 있다.[19] 복사 안개는 밤에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해가 뜬 후 오래 지속되지 않지만, 특히 고지대에 둘러싸인 지역에서는 겨울철 내내 지속될 수 있다.[19] 복사 안개는 가을과 초겨울에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툴 안개가 그 예이다.[19]
맑은 날 밤에는 지표면에서 열이 복사되어 지면이 차가워진다(방사 냉각).[47] 이렇게 차가워진 지면이 지면에 접해 있는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공기를 냉각시켜 발생한다.[47] 밤부터 이른 아침에 걸쳐 발생하며, 일사량이 강해지면서 증발하여 사라진다.[47] 비가 그친 후에 발생하기 쉽다.[47] 바람이 강하면 공기가 섞이므로 발생하기 어렵다.[47] 지형의 영향으로 냉기가 쌓이기 쉬운 분지나 계곡을 따라 발생하기 쉬우며, 각각 분지 안개, 골짜기 안개라고 한다.[47][48][49][50]
'''지면 안개'''는 하늘의 60% 미만을 가리고 머리 위의 구름 기저까지 뻗어 있지 않은 안개이다.[20] 그러나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얕은 복사 안개의 동의어이다. 어떤 경우에는 바람이 없는 특정 지형에서 안개의 깊이가 수십 센티미터 정도이다.
3. 2. 이류 안개 (해무)
이류 안개(Advection Fog)는 비교적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고 습한 공기 위를 천천히 지나갈 때 그 밑부분이 냉각되어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러 형성되는 안개로, 대체로 해안 지방에 형성된다.[95] 해상에서 발생하는 안개는 대부분 이류안개로 이를 연안무(沿岸霧, Coastal Fog) 또는 해무(Marine/Sea Fog)라 한다.[95] 육상 안개보다 두껍고 새벽뿐 아니라 심야나 주간에도 발생할 수 있다.[95]
습한 공기가 이류 (바람)에 의해 차가운 표면 위를 지나가면서 냉각될 때 발생한다.[21] 따뜻한 전선이 상당한 적설량을 가진 지역을 통과할 때 흔히 발생하며, 습한 공기가 차가운 물을 만나는 해상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며, 캘리포니아 해안을 따라와 같이 차가운 물 용승 지역을 포함한다. 물이나 맨땅에서 충분히 강한 온도 차이도 이류 안개를 유발할 수 있다.
강한 바람은 종종 공기를 혼합하여 많은 종류의 안개를 분산시키거나 파편화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지만, 눈 덮인 지역 위로 불어오는 현저히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시속 50 km/h 이상으로도 이류 안개를 계속 생성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이류에 의해 형성된 안개는 여러 과정 중 하나에 의해 육지로 밀려온다. 한랭 전선은 해양층을 해안 쪽으로 밀어낼 수 있으며, 이는 봄 또는 늦가을에 가장 일반적이다. 여름철에는 내륙의 강한 열에 의해 생성된 저기압 골이 강한 기압 경사를 만들어 밀도가 높은 해양층을 끌어들입니다. 또한 여름에는 사막 남서부 상공의 강한 고기압, 일반적으로 여름 몬순과 관련하여 남에서 남동쪽으로의 흐름이 발생하여 해안 층을 해안선을 따라 밀어 올릴 수 있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이동(이류)하여 수온이 낮은 해상이나 육지로 이동하여 아래에서부터 냉각되어 발생한다. 난류와 한류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하기 쉽다. 지표 가까이에 혼합층이 발달하면 혼합층 전체가 차가워져 두꺼운 안개가 생길 수 있다. 여름 즈음 산리쿠 해역에서 홋카이도의 동해안 등에 발생하는 해무가 그 대표적인 예로, 한류(쿠릴 해류) 위로 따뜻한 공기의 이류가 원인이며, 종종 안개는 내륙까지 이동하여 두께가 600 미터에 달하기도 한다.
3. 3. 증발 안개 (증기 안개)
증발 안개(蒸發霧) 또는 증기 안개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 덩어리가 상대적으로 따뜻한 수면 위를 이동할 때 급격한 증발에 의해 생기는 안개이다. 겨울철 맑은 날 새벽에 호수나 하천 수면에서 올라오는 김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여름에도 맑은 날 밤에 복사 냉각이 잘 되고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서 냉기의 침강으로 호수나 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다.[95]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와 섞여서 발생하며, 겨울에 입김이 하얗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따뜻한 수면 위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면 수면에서 증발이 일어나고, 그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발생한다. 강이나 호수 위에서 자주 관찰되며, 강 안개 등으로 불린다.[53] 수온과 기온의 차이가 클수록 발생하기 쉽다. 극지방에서는 가을부터 겨울에 자주 발생하며, 해빙 주변의 해면이나 표면이 결빙되기 전의 강이나 호수에서 관찰된다.[53] 겨울철 일본 해상에서도 이와 유사한 안개(気嵐, けあらし)가 발생한다.[53]
3. 4. 전선 안개
온난 또는 한랭전선이 통과할 때 전선 안개가 발생한다.[54] 전선의 따뜻한 기층에서 내려온 빗방울이 지표면 쪽의 찬 기층으로 증발해서 생기게 된다.[54] 전선 안개는 전선, 주로 공기가 따뜻한 온난 전선 부근에서 강우에 따라 발생한다.[54] 비가 내려 습도가 높아진 곳에 온도가 비교적 높은 비가 떨어지면, 빗방울에서 증발된 습도가 더욱 올라가 안개가 생긴다. 빗방울이 기온보다 온도가 높을 때 발생하기 쉽다고 생각된다.[54]
3. 5. 활승 안개
맑은 하늘 아래 잔잔한 조건에서 적외선 열 복사에 의해 일몰 후 육지가 냉각되면서 복사 안개가 형성된다.[19] 냉각된 지면은 열 전도를 통해 인접한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로 인해 기온이 떨어져 이슬점에 도달하여 안개가 형성된다. 복사 안개는 밤에 발생하며 해가 뜬 후 오래 지속되지 않지만, 겨울철에는 고지대에 둘러싸인 지역에서 종일 지속될 수 있다.[19] 툴 안개가 이러한 현상의 예시이다.[19] 지면 안개는 하늘의 60% 미만을 가리고 머리 위의 구름 기저까지 뻗어 있지 않은 안개를 말한다.[20]
습한 공기가 이류 (바람)에 의해 차가운 표면 위를 지나가면서 냉각될 때 이류 안개가 발생한다.[21] 따뜻한 전선이 적설 지역을 통과할 때, 또는 습한 공기가 차가운 물을 만나는 해상에서 흔히 발생한다.[21] 캘리포니아 해안과 같이 차가운 물 용승 지역에서 자주 발생한다.[21]
강한 바람은 안개를 분산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지만, 눈 덮인 지역 위로 불어오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시속 50마일 (80 km/h) 이상으로도 이류 안개를 계속 생성할 수 있다.
캘리포니아 해안선을 따라 이류에 의해 형성된 안개는 한랭 전선, 저기압 골, 여름 몬순과 관련된 고기압 등의 요인으로 육지로 밀려온다.
전선 안개는 전선 근처에서 권층운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54] 전선 표면 위의 따뜻한 공기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이 지구 표면 근처의 차가운 공기 속으로 증발하여 포화 상태가 되면서 발생한다.
우박 안개는 상당한 우박이 축적된 지역에서 발생하며, 온도 감소와 습도 증가로 인해 지표면 근처의 매우 얕은 층에서 포화 상태가 되면서 발생한다.[22] 우박이 떨어진 직후, 우박이 공기를 냉각시킬 시간이 있었고 녹고 증발할 때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열을 흡수할 때 형성된다.[22]
{{다중 이미지
| footer = 브라질 히우 지 자네이루 주 세하 도스 오르강스 국립공원의 ''페드라 도 시노''(종 바위, 왼쪽)와 ''데두 지 데우스''(신의 손가락, 오른쪽) 봉우리의 안개
| width = 220
| image1 = Nascer do sol em meio à neblina, na Pedra do Sino.jpg
| alt1 =
| image2 = Nascer do Sol no Dedo de Deus.jpg
| alt2 =
}}
상승 안개 또는 언덕 안개는 바람이 경사면을 따라 공기를 불어올릴 때 형성되며, 상승하면서 단열 과정을 통해 냉각되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된다.[55]
계곡 안개는 겨울철에 산 계곡에서 형성되는 방사 안개의 일종으로, 잔잔한 조건에서는 며칠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캘리포니아 센트럴 밸리에서는 계곡 안개를 툴 안개라고 부른다.
산의 사면을 따라 습한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어 발생하는 상승 안개[55]는 멀리서 보면 산에 걸린 구름처럼 보이지만, 구름에 덮인 산의 지표에서는 안개가 된다. 입자는 운립에 가까운 크기를 가지며, 층운과 비슷한 성질을 갖는다.
3. 6. 기타 안개
박무(薄霧, mist영어)는 대기 중 수증기가 응결되어 형성된 것으로, 대한민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가시거리 1km 이상 10km 미만, 상대습도 70% 이상인 상태를 말한다. 상대습도가 70% 이하인 경우는 연무라고 한다.[65][66] 안개는 냉각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복사 안개'''는 맑은 하늘 아래 잔잔한 조건에서 적외선 열 복사에 의해 일몰 후 육지가 냉각되면서 형성된다.[19] 냉각된 지면은 열 전도를 통해 인접한 공기를 냉각시켜 이슬점에 도달하게 하고 안개를 형성한다. 복사 안개는 밤에 발생하여 보통 해가 뜬 후에는 사라지지만, 겨울철에는 고지대에 둘러싸인 지역에서 종일 지속될 수 있다. 툴 안개가 그 예시이다.[19]
'''지면 안개'''는 하늘의 60% 미만을 가리고 머리 위의 구름 기저까지 뻗어 있지 않은 안개를 말한다.[20]
'''이류 안개'''는 습한 공기가 이류(바람)에 의해 차가운 표면 위를 지나가면서 냉각될 때 발생한다.[21] 따뜻한 전선이 적설 지역을 통과할 때, 또는 습한 공기가 차가운 물을 만나는 해상, 특히 캘리포니아 해안과 같은 차가운 물 용승 지역에서 흔히 발생한다.
'''전선 안개'''는 전선 근처에서 권층운과 거의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전선 표면 위의 비교적 따뜻한 공기에서 떨어지는 빗방울이 지구 표면 근처의 더 차가운 공기 속으로 증발하여 포화 상태가 되면서 발생한다.[54]
'''우박 안개'''는 우박이 축적된 지역에서 발생하며, 온도 감소와 습도 증가로 인해 지표면 근처의 매우 얕은 층에서 포화 상태가 되면서 발생한다. 따뜻하고 습한 층이 우박 위에 있고 바람이 약할 때 가장 자주 발생하며, 국지적이지만 극도로 밀도가 높고 갑작스러울 수 있다.[22]
''''''는 액체 안개 방울이 표면에 얼어붙어 희고 부드럽거나 단단한 서리 얼음을 형성할 때 발생한다.[23][28] 낮은 구름에 노출된 산 정상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착빙성 비와 동일하다. 미국 서부에서는 착빙 안개를 '''포고니프'''라고 부르기도 한다.[24] 쇼쇼니족 단어 ''paγi̵nappi̵h''("구름")에서 파생되었다.[24][25]
[[File:Aerial_View_of_freezing_fog_in_the_Okanagan_Highlands.webm|thumb|항공 비디오 착빙 안개 오카나간 고원
'''결빙 안개''' ('''얼음 안개'''라고도 함)는 물방울이 얼어서 극도로 작은 얼음 결정이 된 안개이다. 이하의 기온에서 주로 발생하며, 북극 및 남극 지역과 그 인근 지역에서만 흔하게 발생한다.[26] 자동차 배기가스, 난방, 발전 등으로 인한 연소 생성물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얼어붙어 생성되는 도시 지역에서 자주 관찰된다.
안개는 발생 요인에 따라 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방사 안개
: 맑은 날 밤 지표면에서 열이 복사(방사 냉각)되어 지면이 차가워지면서 발생한다. 밤부터 이른 아침에 걸쳐 발생하며, 일사량이 강해지면 증발하여 사라진다. 비가 그친 후에 발생하기 쉬우며, 바람이 강하면 발생하기 어렵다. 분지나 계곡을 따라 발생하기 쉬워 분지 안개, 골짜기 안개라고도 한다.[47][48][49][50]
; 이류 안개
: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이동(이류)하여 수온이 낮은 해상이나 육지로 이동하여 아래에서부터 냉각되어 발생한다. 난류와 한류의 경계 부근에서 발생하기 쉽다.[51][52]
; 증기 안개
: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와 섞여서 발생한다. 겨울에 입김이 하얗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따뜻한 수면 위에 차가운 공기가 들어가 수면에서 증발이 일어나고, 그 수증기가 차가운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발생한다. 강이나 호수 위에서 보이며, 강 안개 등으로 불린다. 수온과 기온의 차이가 클 때 발생하기 쉽다. 극지에서 가을부터 겨울에 자주 발생하며, 해빙 주변 해면이나 표면이 결빙되기 전 강이나 호수에서 보인다.[53]
; 전선 안개
: 온난 전선 부근에서 강우에 따라 발생한다. 비가 내려 습도가 높아진 곳에 온도가 비교적 높은 비가 떨어지면, 빗방울에서 증발된 습도가 더욱 올라가 안개가 생긴다.[54]
; 상승 안개
: 산의 사면을 따라 습한 공기가 상승하여 냉각되어 발생한다. 멀리서 보면 산에 걸린 구름처럼 보이지만, 구름에 덮인 산의 지표에서는 안개가 된다. 층운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며, 활승 안개라고도 한다.[55]
여러 요인을 함께 갖는 안개도 발생할 수 있다.
4. 한국의 안개
뉴질랜드의 해밀턴과 뉴펀들랜드 해안의 그랜드 뱅크스는 안개가 잦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그랜드 뱅크스는 북쪽의 차가운 래브라도 해류와 남쪽의 따뜻한 멕시코 만류가 만나는 곳이라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세계적으로 안개가 매우 잦은 육지 지역으로는 아르젠티아 (뉴펀들랜드)와 포인트 레이예스 (캘리포니아)가 있으며, 이들 지역은 연간 200일 이상 안개가 낀다.
일반적으로 따뜻한 남부 유럽에서도 저지대와 계곡에서 짙은 안개와 국지적인 안개가 자주 발견된다. 이탈리아의 포 계곡 하부, 아르노강과 테베레강 계곡, 스페인 북동부의 에브로 강 계곡, 그리고 스위스 고원, 특히 늦가을과 겨울의 제엘란트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그 외에도 칠레 해안(남부), 나미비아 해안, 그린란드 북부, 세베르나야 제믈랴 섬 등도 안개가 잦은 지역이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구시로시가 "안개의 도시"로 유명하며, 연간 안개 일수가 101.4일에 달한다. 홋카이도오비히로시(52.0일), 지바현초시시(43.7일)가 그 뒤를 잇는다.
순위 | 안개 일수 | 관측 지점 |
---|---|---|
1위 | 101.4 일 | 홋카이도구시로시 |
2위 | 52.0 일 | 홋카이도오비히로시 |
3위 | 43.7 일 | 지바현초시시 |
참고 | 121.4 일 | 도치기현닛코시(오쿠닛코) (1997-2010년) |
참고 | 98.4 일 | 구마모토현히토요시시 (2000-2010년) |
참고 | 97.4 일 | 오카야마현쓰야마시 (2002-2010년) |
참고 | 75.1 일 | 야마가타현신조시 (1998-2010년) |
참고 | 69.5 일 | 홋카이도히로오초 (1999-2010년) |
참고 | 43.7 일 | 오이타현히타시 (2001-2010년) |
참고 | 40.7 일 | 사이타마현지치부시 (1998-2010년) |
참고 | 2.7 일 | 도쿄도지요다구 |
10월에서 12월 사이에는 구마모토현히토요시시에서 안개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47일), 나가노현가루이자와정 (41일), 오카야마현쓰야마시 (40일) 순이다.
순위 | 안개 일수 | 관측 지점 |
---|---|---|
1위 | 47일 | 구마모토현히토요시시 |
2위 | 41일 | 나가노현가루이자와정 |
3위 | 40일 | 오카야마현쓰야마시 |
4위 | 35일 | 야마가타현신조시 |
5위 | 31일 | 효고현도요오카시 |
6위 | 26일 | 후쿠시마현아이즈와카마쓰시 |
7위 | 25일 | 이바라키현쓰쿠바시 |
8위 | 23일 | 도치기현오쿠닛코 |
9위 | 17일 | 오이타현히타시 |
10위 | 17일 | 나가노현이다시 |
구시로시는 여름철 평균 안개 발생 일수가 5.5일이며, 5월부터 8월 사이에 특히 안개가 많이 발생하여 피서지로도 유명하다. 하코다테시에서는 하코다테 산 정상에서 초여름에 환상적인 "안개 야경"을 볼 수 있다. 센다이시 (센다이 평야)는 연간 평균 20~30회 안개가 관측되며, 정령지정도시 중에서는 안개 발생 횟수가 매우 많다. 나리타시의 나리타 공항은 하네다 공항보다 안개 발생 일수가 훨씬 많다.
이다시는 안개의 도시로 유명하며,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덴류강의 강안개가 곶감을 말리는 데 영향을 준다. 가루이자와마치는 "안개의 가루이자와"라고도 불리며, 연간 100일 이상 안개가 발생한다. 가메오카시 (가메오카 분지)는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연간 30~40일 정도 안개가 발생하여 "안개의 도시"라고 불린다. 도요오카시 (도요오카 분지)는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연간 60일 정도 안개가 발생한다.
아사고시에서는 9월부터 11월 사이에 다케다성터의 운해가 "천공의 성"으로 평가받는다. 교토탄바초, 탄바시, 단바사사야마시에서는 단바안개라고 불리는 낮고 짙은 안개가 발생한다. 사요초에서는 늦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이른 아침에 마을 전체를 덮는 "사요의 아침 안개"가 발생한다. 다카하시시에서는 늦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운해가 자주 나타난다. 미요시시에서는 가을부터 초봄에 걸쳐 안개의 바다를 전망대에서 볼 수 있다. 오즈시에서는 초겨울 아침에 발생하는 "히지가와 아라시"가 유명하다. 유후시 (유후인 분지)에서는 가을부터 겨울에 보이는 아침 안개가 온천을 함유한 호수의 물이 원인이라고 하며, 온천가를 덮는다. 히타시 (히타 분지)에서는 가을부터 봄에 걸쳐 미쿠마강을 따라 바닥 안개가 발생한다. 사쓰마센다이시 (센다이 평야)에서는 겨울의 맑은 아침에 센다이 강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는 "센다이가와 아라시"가 유명하다. 히토요시시 (히토요시 분지)에서는 12월부터 2월까지 맑은 날에는 거의 100% 짙은 안개가 발생한다.
샌프란시스코는 6월부터 9월 정도에 안개가 자주 발생하며, 아침 시간대에 대지를 덮는 안개가 "안개의 파도"라고도 불린다. 이로 인해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운행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런던은 "안개의 도시"라고 불렸지만, 이는 "런던 스모그"라고 불리는 석탄 그을음과 배기가스 때문이었으며, 최근에는 대기 오염이 줄어들어 안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쑤저우시는 "안개의 쑤저우"라고 불리는 중국 녹차 명산지로, 가메오카시와 우호 교류 도시를 체결하고 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 상대 습도가 감소하여 안개 발생 일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도쿄, 오사카 등 많은 도시에서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에 걸쳐 안개 발생 일수가 감소했다. 대기 오염 또한 안개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기 오염 물질의 미립자가 응결핵이 되어 안개 생성을 돕는다. 오사카나 교토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수년간 안개 발생 일수가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했는데, 이는 전쟁 중 공습으로 공장 등이 피해를 보면서 대기 오염이 완화되었다가 복구되면서 다시 악화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센다이에서는 안개 감소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센다이의 안개가 주로 짙은 이류성 안개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4. 1. 지역별 안개
뉴질랜드의 해밀턴과 뉴펀들랜드 해안의 그랜드 뱅크스는 안개가 잦은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그랜드 뱅크스는 북쪽의 차가운 래브라도 해류와 남쪽의 따뜻한 멕시코 만류가 만나는 곳이라 안개가 자주 발생한다. 세계적으로 안개가 매우 잦은 육지 지역으로는 아르젠티아 (뉴펀들랜드)와 포인트 레이예스 (캘리포니아)가 있으며, 이들 지역은 연간 200일 이상 안개가 낀다.일반적으로 따뜻한 남부 유럽에서도 저지대와 계곡에서 짙은 안개와 국지적인 안개가 자주 발견된다. 이탈리아의 포 계곡 하부, 아르노강과 테베레강 계곡, 스페인 북동부의 에브로 강 계곡, 그리고 스위스 고원, 특히 늦가을과 겨울의 제엘란트 지역이 이에 해당한다. 그 외에도 칠레 해안(남부), 나미비아 해안, 그린란드 북부, 세베르나야 제믈랴 섬 등도 안개가 잦은 지역이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구시로시가 "안개의 도시"로 유명하며, 연간 안개 일수가 101.4일에 달한다. 홋카이도오비히로시(52.0일), 지바현초시시(43.7일)가 그 뒤를 잇는다.
순위 | 안개 일수 | 관측 지점 |
---|---|---|
1위 | 101.4 일 | 홋카이도구시로시 |
2위 | 52.0 일 | 홋카이도오비히로시 |
3위 | 43.7 일 | 지바현초시시 |
참고 | 121.4 일 | 도치기현닛코시(오쿠닛코) (1997-2010년) |
참고 | 98.4 일 | 구마모토현히토요시시 (2000-2010년) |
참고 | 97.4 일 | 오카야마현쓰야마시 (2002-2010년) |
참고 | 75.1 일 | 야마가타현신조시 (1998-2010년) |
참고 | 69.5 일 | 홋카이도히로오초 (1999-2010년) |
참고 | 43.7 일 | 오이타현히타시 (2001-2010년) |
참고 | 40.7 일 | 사이타마현지치부시 (1998-2010년) |
참고 | 2.7 일 | 도쿄도지요다구 |
10월에서 12월 사이에는 구마모토현히토요시시에서 안개가 가장 많이 발생하며 (47일), 나가노현가루이자와정 (41일), 오카야마현쓰야마시 (40일) 순이다.
순위 | 안개 일수 | 관측 지점 |
---|---|---|
1위 | 47일 | 구마모토현히토요시시 |
2위 | 41일 | 나가노현가루이자와정 |
3위 | 40일 | 오카야마현쓰야마시 |
4위 | 35일 | 야마가타현신조시 |
5위 | 31일 | 효고현도요오카시 |
6위 | 26일 | 후쿠시마현아이즈와카마쓰시 |
7위 | 25일 | 이바라키현쓰쿠바시 |
8위 | 23일 | 도치기현오쿠닛코 |
9위 | 17일 | 오이타현히타시 |
10위 | 17일 | 나가노현이다시 |
구시로시는 여름철 평균 안개 발생 일수가 5.5일이며, 5월부터 8월 사이에 특히 안개가 많이 발생하여 피서지로도 유명하다. 하코다테시에서는 하코다테 산 정상에서 초여름에 환상적인 "안개 야경"을 볼 수 있다. 센다이시 (센다이 평야)는 연간 평균 20~30회 안개가 관측되며, 정령지정도시 중에서는 안개 발생 횟수가 매우 많다. 나리타시의 나리타 공항은 하네다 공항보다 안개 발생 일수가 훨씬 많다.
이다시는 안개의 도시로 유명하며,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덴류강의 강안개가 곶감을 말리는 데 영향을 준다. 가루이자와마치는 "안개의 가루이자와"라고도 불리며, 연간 100일 이상 안개가 발생한다. 가메오카시 (가메오카 분지)는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연간 30~40일 정도 안개가 발생하여 "안개의 도시"라고 불린다. 도요오카시 (도요오카 분지)는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연간 60일 정도 안개가 발생한다.
아사고시에서는 9월부터 11월 사이에 다케다성터의 운해가 "천공의 성"으로 평가받는다. 교토탄바초, 탄바시, 단바사사야마시에서는 단바안개라고 불리는 낮고 짙은 안개가 발생한다. 사요초에서는 늦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이른 아침에 마을 전체를 덮는 "사요의 아침 안개"가 발생한다. 다카하시시에서는 늦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운해가 자주 나타난다. 미요시시에서는 가을부터 초봄에 걸쳐 안개의 바다를 전망대에서 볼 수 있다. 오즈시에서는 초겨울 아침에 발생하는 "히지가와 아라시"가 유명하다. 유후시 (유후인 분지)에서는 가을부터 겨울에 보이는 아침 안개가 온천을 함유한 호수의 물이 원인이라고 하며, 온천가를 덮는다. 히타시 (히타 분지)에서는 가을부터 봄에 걸쳐 미쿠마강을 따라 바닥 안개가 발생한다. 사쓰마센다이시 (센다이 평야)에서는 겨울의 맑은 아침에 센다이 강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는 "센다이가와 아라시"가 유명하다. 히토요시시 (히토요시 분지)에서는 12월부터 2월까지 맑은 날에는 거의 100% 짙은 안개가 발생한다.
샌프란시스코는 6월부터 9월 정도에 안개가 자주 발생하며, 아침 시간대에 대지를 덮는 안개가 "안개의 파도"라고도 불린다. 이로 인해 샌프란시스코 공항의 운행이 혼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런던은 "안개의 도시"라고 불렸지만, 이는 "런던 스모그"라고 불리는 석탄 그을음과 배기가스 때문이었으며, 최근에는 대기 오염이 줄어들어 안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쑤저우시는 "안개의 쑤저우"라고 불리는 중국 녹차 명산지로, 가메오카시와 우호 교류 도시를 체결하고 있다.
도시화가 진행되면 상대 습도가 감소하여 안개 발생 일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 도쿄, 오사카 등 많은 도시에서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에 걸쳐 안개 발생 일수가 감소했다.[90] 대기 오염 또한 안개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기 오염 물질의 미립자가 응결핵이 되어 안개 생성을 돕는다. 오사카나 교토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수년간 안개 발생 일수가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했는데, 이는 전쟁 중 공습으로 공장 등이 피해를 보면서 대기 오염이 완화되었다가 복구되면서 다시 악화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된다.[90] 센다이에서는 안개 감소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센다이의 안개가 주로 짙은 이류성 안개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4. 2. 안개로 인한 사고
안개는 시정을 급격하게 떨어뜨려 도로교통, 항공, 선박 사고의 원인이 된다. 2006년 10월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나 2015년 영종대교 연쇄 추돌 사고는 한국의 안개가 직접 원인이 된 사고였다. 해외에서도 1977년에 일어난 테네리페 공항 참사나 2024년 바르자칸 헬리콥터 추락 사고의 경우 안개가 사고의 원인 중 하나였다.5. 안개 시 운전 요령
자동차 운전 시 가장 위험한 기상 현상은 안개로, 교통안전공단 분석 결과 안개 시 교통사고 치사율이 맑은 날보다 약 5.3배 높다.[97][98][99][100] 안개 시 사고는 대부분 연쇄 추돌형 사고로 대형 사고로 이어지며 전조등을 켜도 빛이 흡수되거나 난반사되어 시야가 제한된다. 따라서 안개 발생 시에는 운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 주행 전
- 출발 전 대한민국 기상청의 안개 예보와 안개 다발 구간 정보를 확인한다.
- 안개등, 비상등, 전조등 작동 상태를 점검한다.
- 안개가 주로 발생하는 시간대인 새벽과 일출 시를 피해서 운행한다. 다만, 대관령 등 고산 지대나 바다(특히 서해)에 인접한 지역은 안개가 하루 종일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 안개 발생 시
- 안개 확인 시 즉시 비상등을 점등하고 안개등(없으면 하향 전조등)이나 차폭등을 켠다. 비상등은 파장대가 더 길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유리하다.
- 천천히 감속하고 속도는 아래 문단에 제시된 것과 같이 주행한다. 이때 뒤 차를 고려하여 갑자기 가속하거나 감속하지 않는다.
- 안개 시정 표지, 앞 차의 미등이나 차선, 가드레일, 표지판 등을 기준으로 가시 거리를 확인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 중앙선 침범 방지를 위해 가급적 우측 주행차로를 이용한다.
- 차간거리는 평소보다 2배 이상 확보하고 앞 차를 무리하게 쫓아가지 않는다.
- 라디오의 교통정보와 고속도로 안개주의 표지판, 전광판 등으로 도로정보를 파악한다. (다만, 시정이 심각하게 낮을 경우 전광판이 안개에 묻혀 아예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 뒤따르는 차량을 잘 살피고 본선 상에서 절대 정지하지 않는다.
- 창문을 열고 청각으로 주변의 소리를 들으며 교통 상태를 확인한다.
- 강변도로나 하천을 지나는 도로에서는 시정이 일시적으로 급격히 감소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 안개의 경계가 되는 터널의 입구는 특히 주의한다.
- 시골길에서는 서행하는 농기계와 보행자를 주의한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시정 250 m 이상에서는 충분한 안전운행이 가능하나 그 이하에서는 속도를 줄여야 한다. 임채홍(2006)에 의하면 시정 200 m가 확보되지 않으면 교통사고 건수와 심각도가 급격히 높아지며, 안전속도는 시정 100~200 m에서 60 km/h, 시정 100 m 이하에서 40 km/h로 결정하였다. 시정 100~200 m 일때는 교통사고 건수가 2.5배 증가하였으나 시정 100 m 이하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낮아져 교통사고 건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101]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19조에 의하면, 안개로 가시거리가 100 m 이내인 경우 최고제한속도의 절반 이하의 속도―고속도로는 50~55 km/h, 자동차전용도로는 40 km/h, 일반도로는 30 km/h 이하―로 운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을 지키는 자동차는 거의 없다. 안갯길 영종대교를 지나는 차량 2만 8천여 대를 조사한 결과 규정대로 50% 이상 감속한 차량은 41대(0.15%)에 불과했다.[102]
최소정지시거(Minimum Stopping Sight Distance : MSSD)는 운전자가 동일 차로상에 있는 장애물 내지 위험 요소를 알아차리고 제동을 실시하여 안전하게 정지하거나 장애물을 피해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거리이다. 수학적으로 최소정지시거는 속도, 도로 마찰계수, 종단경사, 인지반응시간 등에 의해 결정되며 그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95]
:
( : 정지시거 (m), : 반응시간 동안의 주행거리, : 제동정지거리, : 설계속도 (km/h), : 반응시간 (2.5초), : 노면 습윤 상태에서 종방향 미끄럼 마칠계수)
설계속도 km/h | 계산치 m | 시정 | |
---|---|---|---|
120 | 0.28 | 285.8 | - |
110 | 0.28 | 246.5 | |
100 | 0.29 | 205.2 | |
90 | 0.3 | 168.8 | |
80 | 0.3 | 139.5 | |
70 | 0.31 | 110.8 | |
60 | 0.32 | 85.9 | 시정 100~200 m에서의 안전속도 |
50 | 0.34 | 63.6 | |
40 | 0.37 | 44.8 | 시정 100 m 이하의 안전속도 |
30 | 0.44 | 28.9 | |
20 | 0.44 | 17.5 | |
{{인용문|제19조(자동차등과 노면전차의 속도) 1. 법 제17조제1항에 따른 자동차과 노면전차의 도로 통행 속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중략)
2. 비ㆍ안개ㆍ눈 등으로 인한 거친 날씨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감속 운행해야 한다. 다만, 경찰청장 또는 시ㆍ도경찰청장이 별표 6 Ⅰ. 제1호타목에 따른 가변형 속도제한표지로 최고속도를 정한 경우에는 이에 따라야 하며, 가변형 속도제한표지로 정한 최고속도와 그 밖의 안전표지로 정한 최고속도가 다를 때에는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에 따라야 한다.
1.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
가.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
나. 눈이 20밀리미터 미만 쌓인 경우
2.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
가. 폭우ㆍ폭설ㆍ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경우
나. 노면이 얼어 붙은 경우
다. 눈이 20밀리미터 이상 쌓인 경우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19조}}
안개 시정에 의한 속도 제한 범위는 다음과 같다.[103]
제한 속도 km/h | 100 | 80 | 50 | 30 | 폐쇄 |
---|---|---|---|---|---|
등급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
시정 m | 250 이상 | 250 이하 | 100 이하 | 50 이하 | 10 이하 |
5. 1. 주행 전
안개가 낀 날씨에 주행하기 전에는 김서림 방지를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한, 자동차 조명 중 안개등을 켜서 시야를 확보해야 한다. 필요한 경우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전방 주시를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5. 2. 안개 발생 시
자동차 운전 시 가장 위험한 기상 현상은 안개로, 교통안전공단 분석 결과 안개 시 교통사고 치사율이 맑은 날보다 약 5.3배 높다.[97][98][99][100] 안개 시 사고는 대부분 연쇄 추돌형 사고로 대형 사고로 이어지며 전조등을 켜도 빛이 흡수되거나 난반사되어 시야가 제한된다. 따라서 안개 발생 시에는 운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주행 전에는 대한민국 기상청의 안개 예보와 안개 다발 구간 정보를 확인하고, 안개등, 비상등, 전조등 작동 상태를 점검해야 한다. 안개가 주로 발생하는 시간대인 새벽과 일출 시를 피해 운행하는 것이 좋다. 다만, 대관령 등 고산 지대나 바다(특히 서해)에 인접한 지역은 안개가 하루 종일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 안개 발생 시에는 즉시 비상등을 점등하고 안개등(없으면 하향 전조등)이나 차폭등을 켜야 한다. 비상등은 파장대가 더 길어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유리하다. 천천히 감속하고, 뒤 차를 고려하여 갑자기 가속하거나 감속하지 않아야 한다. 안개 시정 표지, 앞 차의 미등이나 차선, 가드레일, 표지판 등을 기준으로 가시 거리를 확인하고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중앙선 침범 방지를 위해 가급적 우측 주행차로를 이용하고, 차간거리는 평소보다 2배 이상 확보하고 앞 차를 무리하게 쫓아가지 않아야 한다. 라디오의 교통정보와 고속도로 안개주의 표지판, 전광판 등으로 도로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다만, 시정이 심각하게 낮을 경우 전광판이 안개에 묻혀 아예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 뒤따르는 차량을 잘 살피고 본선 상에서 절대 정지하지 않아야 한다. 창문을 열고 청각으로 주변의 소리를 들으며 교통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강변도로나 하천을 지나는 도로에서는 시정이 일시적으로 급격히 감소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하며, 안개의 경계가 되는 터널의 입구는 특히 주의해야 한다. 시골길에서는 서행하는 농기계와 보행자를 주의해야 한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시정 250 m 이상에서는 충분한 안전운행이 가능하나 그 이하에서는 속도를 줄여야 한다. 임채홍(2006)에 의하면 시정 200 m가 확보되지 않으면 교통사고 건수와 심각도가 급격히 높아지며, 안전속도는 시정 100~200 m에서 60 km/h, 시정 100 m 이하에서 40 km/h로 결정하였다. 시정 100~200 m 일때는 교통사고 건수가 2.5배 증가하였으나 시정 100 m 이하에서는 차량의 속도가 낮아져 교통사고 건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101]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19조에 의하면, 안개로 가시거리가 100 m 이내인 경우 최고제한속도의 절반 이하의 속도―고속도로는 50~55 km/h, 자동차전용도로는 40 km/h, 일반도로는 30 km/h 이하―로 운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규정을 지키는 자동차는 거의 없다. 안갯길 영종대교를 지나는 차량 2만 8천여 대를 조사한 결과 규정대로 50% 이상 감속한 차량은 41대(0.15%)에 불과했다.[102]
최소정지시거(Minimum Stopping Sight Distance : MSSD)는 운전자가 동일 차로상에 있는 장애물 내지 위험 요소를 알아차리고 제동을 실시하여 안전하게 정지하거나 장애물을 피해 주행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거리이다. 수학적으로 최소정지시거는 속도, 도로 마찰계수, 종단경사, 인지반응시간 등에 의해 결정되며 그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95]
:
( : 정지시거 (m), : 반응시간 동안의 주행거리, : 제동정지거리, : 설계속도 (km/h), : 반응시간 (2.5초), : 노면 습윤 상태에서 종방향 미끄럼 마칠계수)
설계속도 km/h | 계산치 m | 시정 | |
---|---|---|---|
120 | 0.28 | 285.8 | - |
110 | 0.28 | 246.5 | |
100 | 0.29 | 205.2 | |
90 | 0.3 | 168.8 | |
80 | 0.3 | 139.5 | |
70 | 0.31 | 110.8 | |
60 | 0.32 | 85.9 | 시정 100~200 m에서의 안전속도 |
50 | 0.34 | 63.6 | |
40 | 0.37 | 44.8 | 시정 100 m 이하의 안전속도 |
30 | 0.44 | 28.9 | |
20 | 0.44 | 17.5 | |
{{인용문|제19조(자동차등과 노면전차의 속도) 1. 법 제17조제1항에 따른 자동차과 노면전차의 도로 통행 속도는 다음 각 호와 같다.
(중략)
2. 비ㆍ안개ㆍ눈 등으로 인한 거친 날씨에는 제1항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감속 운행해야 한다. 다만, 경찰청장 또는 시ㆍ도경찰청장이 별표 6 Ⅰ. 제1호타목에 따른 가변형 속도제한표지로 최고속도를 정한 경우에는 이에 따라야 하며, 가변형 속도제한표지로 정한 최고속도와 그 밖의 안전표지로 정한 최고속도가 다를 때에는 가변형 속도제한표지에 따라야 한다.
1. 최고속도의 100분의 2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
가. 비가 내려 노면이 젖어있는 경우
나. 눈이 20밀리미터 미만 쌓인 경우
2. 최고속도의 100분의 50을 줄인 속도로 운행하여야 하는 경우
가. 폭우ㆍ폭설ㆍ안개 등으로 가시거리가 100미터 이내인 경우
나. 노면이 얼어 붙은 경우
다. 눈이 20밀리미터 이상 쌓인 경우
|대한민국 도로교통법 제19조}}
안개 시정에 의한 속도 제한 범위는 다음과 같다.[103]
제한 속도 km/h | 100 | 80 | 50 | 30 | 폐쇄 |
---|---|---|---|---|---|
등급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
시정 m | 250 이상 | 250 이하 | 100 이하 | 50 이하 | 10 이하 |
6. 안개의 영향
안개는 시정을 급격하게 떨어뜨려 도로교통, 항공, 선박 사고의 원인이 된다.[79] 2006년 10월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나 2015년 영종대교 연쇄 추돌 사고는 한국의 안개가 직접 원인이 된 사고였다. 해외에서도 1977년에 일어난 테네리페 공항 참사나 2024년 바르자칸 헬리콥터 추락 사고의 경우 안개가 사고의 원인 중 하나였다.
안개 속의 가시거리는 물방울의 농도에 따라 흐릿함에서 거의 제로 시야까지 다양하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고속도로에서 안개로 인한 사고, 특히 다중 추돌 사고로 인해 많은 생명이 손실된다.
항공 여행 산업은 안개 상태의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현대적인 자동 착륙 컴퓨터가 조종사의 도움 없이 항공기를 착륙시킬 수 있지만, 공항 관제탑의 인원은 항공기가 이륙을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짙은 안개 속에서는 안전한 운항이 어렵고, 민간 공항은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이착륙을 금지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개발된 귀환하는 군용 항공기의 착륙 솔루션은 안개 조사 및 분산 작전(FIDO)이라고 불렸다. 여기에는 활주로 옆에서 막대한 양의 연료를 태워 안개를 증발시켜 귀환하는 전투기 및 폭격기 조종사에게 항공기를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이 방법의 높은 에너지 요구량은 일상적인 운영에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안개가 발생하면 시야가 가려져 육상, 해상, 항공 모두에서 교통 장애의 원인이 된다.[79] 상황에 따라 고속도로 등 도로의 폐쇄, 철도 운행 중단, 공항 활주로 폐쇄 등의 사고 예방 조치가 취해진다.[79] 또한, 산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80]
6. 1. 교통
안개는 시정을 급격하게 떨어뜨려 도로교통, 항공, 선박 사고의 원인이 된다.[79] 2006년 10월 서해대교 29중 추돌 사고나 2015년 영종대교 연쇄 추돌 사고는 한국의 안개가 직접 원인이 된 사고였다. 해외에서도 1977년에 일어난 테네리페 공항 참사나 2024년 바르자칸 헬리콥터 추락 사고의 경우 안개가 사고의 원인 중 하나였다.안개 속의 가시거리는 물방울의 농도에 따라 흐릿함에서 거의 제로 시야까지 다양하다. 매년 전 세계적으로 고속도로에서 안개로 인한 사고, 특히 다중 추돌 사고로 인해 많은 생명이 손실된다.
항공 여행 산업은 안개 상태의 심각성에 영향을 받는다. 현대적인 자동 착륙 컴퓨터가 조종사의 도움 없이 항공기를 착륙시킬 수 있지만, 공항 관제탑의 인원은 항공기가 이륙을 기다리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짙은 안개 속에서는 안전한 운항이 어렵고, 민간 공항은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이착륙을 금지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개발된 귀환하는 군용 항공기의 착륙 솔루션은 안개 조사 및 분산 작전(FIDO)이라고 불렸다. 여기에는 활주로 옆에서 막대한 양의 연료를 태워 안개를 증발시켜 귀환하는 전투기 및 폭격기 조종사에게 항공기를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이 방법의 높은 에너지 요구량은 일상적인 운영에 사용하기 어렵게 만든다.
안개가 발생하면 시야가 가려져 육상, 해상, 항공 모두에서 교통 장애의 원인이 된다.[79] 상황에 따라 고속도로 등 도로의 폐쇄, 철도 운행 중단, 공항 활주로 폐쇄 등의 사고 예방 조치가 취해진다.[79] 또한, 산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80]
6. 2. 산업
안개가 발생하면 시야가 가려져 육상, 해상, 항공 등 모든 교통 분야에서 장애가 발생한다.[79] 상황에 따라 고속도로 등 도로 폐쇄, 철도 운행 중단, 공항 활주로 폐쇄 등 사고 예방 조치가 취해지며, 산업 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80]6. 3. 농업
레드우드 숲은 캘리포니아에서 안개 낙하를 통해 해안 안개로부터 수분의 약 30~40%를 공급받는다. 기후 패턴의 변화는 이 지역의 상대적인 가뭄을 초래할 수 있다.[34] 곤충을 포함한 일부 동물들은, 특히 아프리카의 많은 해안 지역과 같이 사막 기후에서는 젖은 안개를 주요 수분 공급원으로 한다. 일부 해안 지역 사회에서는 지하수 펌핑과 빗물 수집이 불충분한 곳에서 대기 중의 수분을 추출하기 위해 안개 그물을 사용한다. 안개는 기후 조건에 따라 다른 유형이 될 수 있다.주로, 이 현상으로 인해 농업에서 발생하는 피해를 말한다. 일사(日射)의 장기간 차단에 따른 온도 저하와 광합성의 저해로 인해 작물 등의 생산량이 감소한다. 일본에서는 이와테현산리쿠 지방의 야마세나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의 해무가 대표적인 예이다. 대책으로서, 곤센원야(根釧原野)에서는 방무림(多くは防霧보안림)을 설정하여, 숲띠에서 안개 입자를 포집하고 있다.
6. 4. 대기 오염
스모그는 원래 안개에 대기 오염이 동반된 것을 가리켰지만, 현대에는 안개를 동반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대기 오염으로 시정이 악화되는 상태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86] 산성 안개(산성무)는 산성비와 마찬가지로 대기 오염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주로 황산이나 질산 등을 용매로 흡수하여 산성을 띤다.[87][88][89] 산성 안개의 수소 이온 지수(pH)는 보통 산성비보다 낮으며, 식물의 잎에 흡착성이 높고 오래 머물러 잎과 가지에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87][88][89]7. 안개 관련 작품
1776년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미국의 장군 조지 워싱턴과 그의 지휘 하에 있던 군대가 안개를 이용하여 영국군에게 곧 체포될 위기를 모면하고 탈출하였다.[36] 1944년 6월 6일 D-데이 당시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안개 속에서 프랑스 노르망디 해변에 상륙했을 때 양측 모두 시야 방해로 인해 긍정적, 부정적인 결과를 보고했다.[36]
봄에 일어나는 안개 현상(특히 산허리 등 원경에 엷게 걸려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가스"라고 불리며, "안개"는 주로 가을에 사용되는 구분이 있다. 계절어에서는 가스가 봄, 안개가 가을로 분류되어 있다.
'''일본 영화'''
- 안개 속의 백련 - 1931년의 일본무성 영화.
- 밤 안개의 여자 - 1956년 일본 영화, 오기 치카게 출연.
- 일본의 밤과 안개 - 1960년 일본 영화, 감독은 오시마 나기사.
- 안개의 밤의 남자 - 1962년 일본 영화, 다카하시 히데키・요시나가 사유리 등 출연.
- 안개에 흐느끼는 밤 - 1968년 일본 영화, 주연은 구리즈카 아사히.
- 남자는 괴로워 밤 안개에 흐느끼는 토라지로 (시리즈 33편) - 1984년 일본 영화, 마돈나는 나카하라 리에.
'''외국 영화'''
- 밤 안개의 유혹 - 1948년의 미국 영화 (일본 개봉은 1950년).
- 밤과 안개 - 1955년의 다큐멘터리 영화 (일본 개봉은 1961년).
- 시칠리아의 검은 안개 - 1961년의 이탈리아 영화 (일본 개봉은 1963년).
- 밤 안개의 은밀한 만남 - 1963년의 그리스 영화 (일본 개봉은 1965년).
- 밤 안개의 연인들 - 1968년의 프랑스 영화 (일본 개봉은 1969년).
- 더 포그 (1980년판) - 1980년의 미국 영화 (일본 개봉도 1980년), 공포 작품.
- 밤 안개의 맨해튼 - 1986년의 미국 영화 (일본 개봉은 1987년), 서스펜스.
- 안개 속의 풍경 - 1988년의 그리스・프랑스・이탈리아 합작 영화 (일본 개봉은 1990년).
- 더 포그 (2005년판) - 2005년의 미국 영화 (일본 개봉은 2006년).
- 미스트 - 2007년의 미국 영화 (일본 개봉은 2008년), 스티븐 킹 원작.
- 레오시 야나체크의 1912년 피아노곡집 안개 속에서
- 딕 미네의 1947년 악곡 밤안개 블루스
- 시라네 카즈오의 1953년 악곡 밤안개 술집
- 야마다 신지의 1956년 악곡 애수의 거리에 안개가 내리네
- 런던 브리지의 안개 - 조 스태포드의 1956년 악곡, 일본에서는 에리 치에미 등이 커버.
- 프랭크 나가이의 1957년 악곡 밤안개의 제2국도
- 미후네 히로시의 1958년 악곡 밤안개의 활주로
- 프랭크 나가이의 1959년 악곡 밤안개에 사라진 차코
- 하라다 노부오의 1960년 악곡 밤안개의 텔레비전 타워 (EP 한 면은 니시다 사치코의 「아카시아의 비가 그칠 때」).
- 아사오 루리코의 1963년 악곡 안개 속에 사라진 사람 (동명 영화 주제가)
- 조 반 웨터의 1964년 기악곡 밤안개의 은밀한 만남 (클로드 치아리 등도 연주)
- 후세 아키라의 1966년 악곡 안개의 마슈호
- 이시하라 유지로의 1967년 악곡 밤안개여 오늘 밤도 고마워 (외 다수, 「이시하라 유지로 발매 곡」참조), (동명 영화 주제가)
- 마유즈미 준의 1967년 악곡 안개의 저편에
- 니시다 사치코의 1968년 악곡 밤안개의 저편에
- 쿠로키 켄의 1968년 악곡 안개에 젖는 밤
- 고이즈미 히로시의 1973년 악곡 안개의 출항
- 미나미 사오리의 1974년 악곡 밤안개 거리
- 이시카와 사유리의 1976년 악곡 안개의 이별
- 아사오 메구미의 1976년 악곡 밤안개의 사건
- 이와사키 히로미의 1976년 악곡 안개의 만남
- 마츠토야 유미의 1979년 악곡 미래는 안개 속에
- 나카지마 미유키의 1980년 악곡 안개 속을 달리다 (1983년에 마츠자카 케이코가 커버)
- 레이미의 1984년 악곡 안개비에 보이지 않아 (1987년에 마츠토야 유미가 셀프 커버)
- ALFEE의 1985년 악곡 안개의 소피아
- 야야의 1986년 악곡 밤안개의 하우스 매니저
- 이시카와 히데미의 1986년 악곡 LOVE COMES QUICKLY〜안개 도시의 이방인〜
- 마츠다 세이코의 1987년 악곡 쉘부르는 안개비 (작곡도 마츠다 본인)
- 쿠도 시즈카의 1992년 악곡 안개의 저편으로
- 마츠토야 유미의 2004년 악곡 안개 속의 그림자
- 캔디즈의 악곡 안개의 이별 (2008년 발매된 CD-BOX 『캔디즈 타임캡슐』에 첫 수록)
- 사일런트 힐
- 레가이아 전설
- 파이널 판타지 IX
- 미시건
- 동방홍마향
- 페르소나 4
- 2005년 일본 시리즈
- 안개의 처녀호 - 나이아가라 폭포를 유람하는 관광선 이름
- 안개 속의 산장 - 요코미조 세이시의 단편 추리 소설
- 안개의 조각 - 나카야 후지코의 조각 작품
- 안개의 깃발 - 마쓰모토 세이초의 소설 (저자는 이외에도 일본의 검은 안개·안개의 회의·안개 프로덕션 등 안개를 모티브로 한 작품명·명칭을 선호했다.)
- 안개의 밀라노 -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연극 작품
- 검은 안개 사건 (일본 프로 야구) - 일본 프로 야구를 무대로 한 승부 조작 소동
- 검은 안개 사건 (정계) - 1966년의 정치 불신 사건
- 검은 안개 해산 - 1966년 12월 27일의 중의원 해산의 속칭
7. 1. 미술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안개를 소재로 한 미술 작품이다. 나카야 후지코는 안개를 소재로 한 조각 작품인 안개의 조각을 만들었다.7. 2. 음악
- 배호의 안개낀 장충단공원
- 석미경의 물안개
- 정훈희의 안개
- 이문세의 안개꽃 추억으로
- 함중아의 안개속의 두 그림자
- 현미의 밤안개
- 와일드 그레이 (뮤지컬)의 안개
- 레오시 야나체크의 1912년 피아노곡집 안개 속에서
- 딕 미네의 1947년 악곡 밤안개 블루스
- 시라네 카즈오의 1953년 악곡 밤안개 술집
- 야마다 신지의 1956년 악곡 애수의 거리에 안개가 내리네
- 조 스태포드의 1956년 악곡 런던 브리지의 안개 (에리 치에미 등이 커버)
- 프랭크 나가이의 1957년 악곡 밤안개의 제2국도
- 미후네 히로시의 1958년 악곡 밤안개의 활주로
- 프랭크 나가이의 1959년 악곡 밤안개에 사라진 차코
- 하라다 노부오의 1960년 악곡 밤안개의 텔레비전 타워 (EP 한 면은 니시다 사치코의 「아카시아의 비가 그칠 때」)
- 아사오 루리코의 1963년 악곡 안개 속에 사라진 사람 (동명 영화 주제가)
- 조 반 웨터의 1964년 기악곡 밤안개의 은밀한 만남 (클로드 치아리 등도 연주)
- 후세 아키라의 1966년 악곡 안개의 마슈호
- 이시하라 유지로의 1967년 악곡 밤안개여 오늘 밤도 고마워 (외 다수, 「이시하라 유지로 발매 곡」참조), (동명 영화 주제가)
- 마유즈미 준의 1967년 악곡 안개의 저편에
- 니시다 사치코의 1968년 악곡 밤안개의 저편에
- 쿠로키 켄의 1968년 악곡 안개에 젖는 밤
- 고이즈미 히로시의 1973년 악곡 안개의 출항
- 미나미 사오리의 1974년 악곡 밤안개 거리
- 이시카와 사유리의 1976년 악곡 안개의 이별
- 아사오 메구미의 1976년 악곡 밤안개의 사건
- 이와사키 히로미의 1976년 악곡 안개의 만남
- 마츠토야 유미의 1979년 악곡 미래는 안개 속에
- 나카지마 미유키의 1980년 악곡 안개 속을 달리다 (1983년에 마츠자카 케이코가 커버)
- 레이미의 1984년 악곡 안개비에 보이지 않아 (1987년에 마츠토야 유미가 셀프 커버)
- ALFEE의 1985년 악곡 안개의 소피아
- 야야의 1986년 악곡 밤안개의 하우스 매니저
- 이시카와 히데미의 1986년 악곡 LOVE COMES QUICKLY〜안개 도시의 이방인〜
- 마츠다 세이코의 1987년 악곡 쉘부르는 안개비 (작곡도 마츠다 본인)
- 쿠도 시즈카의 1992년 악곡 안개의 저편으로
- 마츠토야 유미의 2004년 악곡 안개 속의 그림자
- 캔디즈의 악곡 안개의 이별 (2008년 발매된 CD-BOX 『캔디즈 타임캡슐』에 첫 수록)
7. 3. 예능
- 위기탈출 넘버원 475회 - KBS 2TV에서 안개를 다루었다.
- 2005년 일본 시리즈에서 안개가 영향을 미쳤다.
- 안개의 처녀호는 나이아가라 폭포를 유람하는 관광선 이름이다.
- 안개의 조각은 나카야 후지코의 조각 작품이다.
- 안개의 깃발은 마쓰모토 세이초의 소설이다. 마쓰모토 세이초는 일본의 검은 안개, 안개의 회의 등 안개를 모티브로 한 작품명·명칭을 선호했다.
- 안개의 밀라노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연극 작품이다.
- 검은 안개 사건 (일본 프로 야구)은 일본 프로 야구를 무대로 한 승부 조작 소동이다.
- 검은 안개 사건 (정계)은 1966년의 정치 불신 사건이다.
- 검은 안개 해산은 1966년 12월 27일의 중의원 해산의 속칭이다.
- 안개 속의 산장은 요코미조 세이시의 단편 추리 소설이다.
참조
[1]
서적
Fog and Boundary Layer Clouds
Springer
2008-01-02
[2]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Fog and Clouds?
https://scijinks.gov[...]
NOAA
2022
[3]
서적
Standard practice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supercooled fog dispersal projects
https://books.googl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4]
웹사이트
Federal Meteorological Handbook Number 1: Chapter 8 – Present Weather
http://www.ofcm.gov/[...]
Office of the Federal Coordinator for Meteorology
2005-09-01
[5]
간행물
Annex 3
2010-07-01
[6]
웹사이트
Fog – AMS Glossary
http://glossary.amet[...]
[7]
웹사이트
Fog
https://www.weather.[...]
National Weather Service
2022
[8]
서적
Meteorology at the Millennium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9]
웹사이트
Virga and Dry Thunderstorms
http://www.wrh.noaa.[...]
[10]
웹사이트
Global maps of Local Land-Atmosphere coupling
http://www.knmi.nl/~[...]
KNMI
[11]
웹사이트
Landcover changes may rival greenhouse gases as cause of climate change
http://www.gsfc.nasa[...]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Goddard Space Flight Center
[12]
웹사이트
Air Masses
http://www.srh.weath[...]
[13]
웹사이트
CHAPTER 8: Introduction to the Hydrosphere (e). Cloud Formation Processes
http://www.physicalg[...]
Physical Geography
[14]
웹사이트
Front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2-04-25
[15]
웹사이트
Unified Surface Analysis Manual
http://www.wpc.ncep.[...]
Hydrometeorological Prediction Center
2006-12-14
[16]
웹사이트
Fog And Stratus – Meteorological Physical Background
http://www.zamg.ac.a[...]
Zentralanstalt für Meteorologie und Geodynamik
[17]
서적
Agroecology: the ecology of sustainable food systems
CRC Press
[18]
서적
Enchanted Rock: A Natural and Human History
University of Texas Press
[19]
웹사이트
Applying Fog Forecasting Techniques using AWIPS and the Internet
http://www.nwas.org/[...]
National Weather Service
[20]
웹사이트
Climate education update: News and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for teachers and students
http://education.arm[...]
Atmospheric Radiation Measurement. Climate Research Facility. U.S. Department of Energy
[21]
서적
Fog
https://books.google[...]
Capstone Press
2004
[22]
서적
Storm Talk
Tim Marshall
[23]
웹사이트
NWS Glossary
https://w1.weather.g[...]
National Weather Service
2022
[24]
사전
Pogonip
Merriam-Webster
[25]
웹사이트
Pogonip – Definition from the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26]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ice fog and freezing fog?
http://www.theweathe[...]
[27]
웹사이트
Stressed seaweed contributes to cloudy coastal skies, study suggests
http://www.eurekaler[...]
[28]
웹사이트
Understanding Weather – Fog
http://www.bbc.co.uk[...]
BBC Weather
[29]
웹사이트
Fog Facts
https://www.fastfact[...]
Fast Facts for Kids
2022
[30]
백과사전
Arctic Sea Smoke
http://www.encyclope[...]
[31]
서적
Vegetation of Souther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Does fog have a dampening effect on sounds?
http://www.thenakeds[...]
2009-06-14
[33]
웹사이트
How fog can play tricks on your ears?
http://www.katu.com/[...]
[34]
웹사이트
Fog Fluctuations Could Threaten Giant Redwoods
https://www.npr.org/[...]
2010-02-23
[35]
서적
Chemistry connections: the basis of everyday phonemena
Academic Press
[36]
논문
Characterizing fog and the physical mechanisms leading to its formation during precipitation in a coastal area of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https://www.proquest[...]
2007
[37]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61-65「大気現象の種類と定義・解説」より「霧」「もや」
[38]
웹사이트
Fog compared with Mist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0-00
[39]
문서
小倉 2016 pp.102-104.
[40]
웹사이트
霧
コトバンク
2023-03-08
[41]
웹사이트
霧とは違うの? 山で「ガスってる」って、どんな状態?
https://bravo-m.futa[...]
BRAVO MOUNTAIN
2024-03-25
[42]
웹사이트
まさか危険な状態!? 北海道民が言う「ガスかかってる」ってどういうこと
https://hokkaidolike[...]
HOKKAIDO LIKERS
2024-03-25
[43]
웹사이트
登山用語「ガス」
https://kakutama.com[...]
図解ひとり登山
2024-03-25
[44]
웹사이트
ガス(海霧)(がす)とは?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4-03-25
[45]
웹사이트
ガスにまかれる
https://yamabiko.cia[...]
山呼らいぶらり
2024-03-25
[46]
웹사이트
雲/霧/霞/靄/ガス/スモッグ の解説
https://dictionary.g[...]
goo辞書
2024-03-25
[47]
웹사이트
霧
コトバンク
2023-03-08
[48]
백과사전
2023-03-08
[49]
문서
岩槻 2012 p.210.
[50]
문서
荒木 2014 pp190-193.
[51]
문서
岩槻 2012 p.211.
[52]
백과사전
2023-03-08
[53]
문서
岩槻 2012 pp.211-213.
[54]
문서
岩槻 2012 pp.213-214.
[55]
문서
岩槻 2012 p.214.
[56]
웹사이트
Stratus (St) > Clouds from which Stratus may form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0-00
[57]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61-65「大気現象の種類と定義・解説」より「低い霧」
[58]
문서
岩槻 2012 p.218.
[59]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61-65「大気現象の種類と定義・解説」より「地霧」
[60]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61-65「大気現象の種類と定義・解説」より「樹氷」「粗氷」
[61]
웹사이트
Freezing fog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0-00
[62]
웹사이트
supercooled cloud
https://glossary.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7-00-00
[63]
웹사이트
supercooled cloud
https://glossary.am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2-04-25
[64]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61-65「大気現象の種類と定義・解説」より「氷霧」
[65]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61-65「大気現象の種類と定義・解説」より「煙霧」
[66]
문서
岩槻 2012 p.219.
[67]
웹사이트
Fog bow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0-00
[68]
웹사이트
Corona
https://cloudatlas.w[...]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7-00-00
[69]
웹사이트
天気の種類はいくつあるのですか。その記号も教えてください。
https://official.rik[...]
理科年表オフィシャルサイト(国立天文台、丸善出版)
2022-01-21
[70]
문서
気象観測の手引き(2007) pp.58-60
[71]
문서
[72]
웹사이트
予報用語 氷、霜、霧、雷、日照時間
https://www.jma.go.j[...]
2023-01-26
[73]
문서
[74]
웹사이트
国際式の天気記号と記入方式
https://www.jma.go.j[...]
2023-01-21
[75]
웹사이트
天気欄と記事欄の記号の説明
https://www.data.jma[...]
2023-01-21
[76]
문서
[77]
웹사이트
METAR報とTAF報の解説
https://www.jma-net.[...]
2023-01-21
[78]
웹사이트
気象警報・注意報の種類
https://www.jma.go.j[...]
2023-01-26
[79]
서적
日本大百科全書
コトバンク
2023-03-08
[80]
논문
大洲盆地における盆地霧の小気候調査
http://ehimechiri.sa[...]
愛媛地理学会
2020-11-22
[81]
서적
農業気象学
文永堂
[82]
뉴스
過去の濃霧コールド 05年にはマリンで…日本シリーズ初の珍事
https://www.sponichi[...]
2020-11-18
[83]
뉴스
メキシコ戦、霧発生で後半途中からカラーボール登場
https://www.nikkansp[...]
2020-11-18
[84]
웹사이트
双葉第28号
https://www.maff.go.[...]
近畿農政局
2020-11-22
[85]
웹사이트
長野県信濃町
https://www.shinano-[...]
信濃町
2020-11-22
[86]
웹사이트
天気予報等で用いる用語 > 大気汚染に関する用語
https://www.jma.go.j[...]
2023-03-08
[87]
백과사전
2023-03-08
[88]
문서
[89]
논문
酸性霧が樹木生理に及ぼす影響
2004
[90]
웹사이트
霧日数の月別平年値
https://web.archive.[...]
2012-07-25
[91]
웹사이트
超音波で霧をつくり出す加湿器のしくみ
http://www.tdk.co.jp[...]
TDK 電気と磁気の?(はてな)館
2015-10-31
[92]
웹사이트
日本酒製造に使った霧化技術を、廃液処理やリサイクルに活用
https://xtech.nikkei[...]
日経テクノロジーonline
2013-09-10
[93]
논문
超音波霧化分離の工業的応用
[94]
백과사전
2023-03-08
[95]
뉴스
땅으로 다가온 구름, ‘안개’
https://www.sciencet[...]
2010-11-15
[96]
웹인용
[국가R&D연구보고서] 안개다발지역의 안전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보고서
https://scienceon.k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3-01-01
[97]
뉴스
고속도로 상식/안개짙은 곳 안전운전 요령
https://www.kyeonggi[...]
2006-11-08
[98]
뉴스
안갯속 운전, 눈 내릴때보다 위험… 치사율 4.2배
https://m.dongascien[...]
2015-02-12
[99]
뉴스
안갯길 교통사고 사망률 “맑은 날의 5배”
https://d.kbs.co.kr/[...]
2023-04-27
[100]
뉴스
안개 낀 도로 안전운전 요령
https://www.kyongbuk[...]
2013-09-24
[101]
웹인용
안개발생시 안전속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 speed estimation on fog-bound roads)
https://www.riss.kr/[...]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01-01
[102]
뉴스
안갯길 감속 규정 ‘유명무실’…가변속도제가 대안
https://news.kbs.co.[...]
2015-11-09
[103]
웹인용
과속 단속 카메라 절대 피할 수 없는 구간이 있다?
https://m.post.naver[...]
닥터차 네이버 공식블로그
2022-10-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날씨] 서쪽 늦더위 기승…충청이남엔 소나기
[날씨] 밤엔 숨통 트였지만…낮 33도, 여전한 무더위
오늘도 ‘폭염특보’…곳에 따라 소나기
'낮 최고 35도'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수도권·강원엔 빗방울도
주말 ‘최고 35도’ 폭염 특보…습도까지 높아 더 덥다
[날씨] 서울 33도 불볕더위…남부는 비 40mm
오늘 날씨는 ‘흐림’···일부 지역 소나기도
전국 구름 많고 흐려…강원·중부·경북 일부 지역 소나기
폭염 한풀 꺾였지만···“제주, 시간당 30㎜ 폭우 주의”
무더운 일요일, 낮 최고 30도…일교차 15도 안팎 주의
전국 무더위 속 곳곳 소나기…낮 최고 36도
오늘 ‘소서’···최고 37도, 다만 폭염에서 구하소서
한낮 최고 37도 무더위…수도권·강원북부 빗방울
낮 최고 36도 폭염 속 소나기…고온다습한 하루
[날씨] 대부분 지역 체감온도 33도…일부 소나기
낮 최고 35도 무더위에 소나기…서울 이틀 연속 열대야
최고 체감온도 33도 안팎…무더위 속 곳곳 소나기
전국 30도 안팎 무더위··· 오전 수도권 출근길 빗방울
[날씨] 오락가락 내리는 비…강원 산지 '안개 주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