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종단 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골 종단 철도는 몽골의 주요 철도 노선으로, 1938년 최초 건설 이후 여러 차례 확장 및 현대화를 거쳤다. 몽골 철도는 러시아와 중국을 연결하며, 특히 중국과의 궤간 차이로 인해 국경에서 대차를 교체하는 과정이 특징적이다. 몽골 정부는 2010년 이후 새로운 철도 노선 건설 계획을 발표했으며, 몽골 철도 회사인 Mongolyn Tömör Zam이 몽골 내 철도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랴트 공화국의 교통 - 바이칼-아무르 철도
바이칼-아무르 철도는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의 타이셰트에서 태평양 연안의 소비에츠카야 가반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4,324km의 철도 노선으로, 극동 방어를 목적으로 소련 시대에 건설이 시작되어 자원 개발과 연계되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노선 확장 및 현대화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 몽골-소련 관계 - 소련-일본 전쟁
소련-일본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여 만주, 쿠릴 열도, 사할린 등지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소련의 극동 지역 영향력 확대와 일본의 항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아시아 정세 변화를 초래했다. - 몽골-소련 관계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 몽골 종단 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 |
| 노선 종류 | 국제 철도 연결 |
| 노선 상태 | 운영 중 |
| 위치 | 북아시아, 동아시아 |
| 기점 | 울란우데, 부랴티야, 러시아 |
| 종점 | 우란차부, 내몽골 자치구, 중국 |
| 역 수 | 62개 |
| 노선 | 중국철도 K3/4 열차(베이징–모스크바) |
| 개통 | 1949년 (러시아 ~ 울란바토르) |
| 착공 | 1937년 |
| 운영 기관 | 러시아 철도, 울란바토르 철도, 중국 철도 |
| 노선 성격 | 국제 철도 연결 |
| 노선 길이 | 2,215 km |
| 선로 수 | 대부분 단선, 상당 부분 복선 |
| 궤간 | (러시아, 몽골) |
| 전철화 | 없음, 25 kV AC 전철화 계획 중 |
| 최고 속도 | 100 km/h |
| 노선도 | |
![]() | |
| 명칭 | |
| 주요 역 | |
| 러시아 | 울란우데 역, 나우시키 역 |
| 몽골 | 수흐바타르 역, 다르한 역, 울란바토르 역, 사인샨드 역, 자민우드 역 |
| 중국 | 에렌호트 역 |
2. 역사
몽골 종단 철도는 몽골의 철도 개발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몽골의 철도 개발은 비교적 늦은 시기에 시작되었지만, 몽골 종단 철도의 건설은 몽골의 경제, 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몽골 종단 철도 건설은 여러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마다 몽골과 주변 국가들의 정치, 경제적 상황이 반영되었다.
2. 1. 초기 철도 건설 (1938년 ~ 1955년)
몽골의 철도 개발은 비교적 늦게 이루어졌다. 1938년 날라이흐의 탄광과 수도를 연결하는 43km 노선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보르자에서 몽골 북동부 처이발상 근처의 도르노드 뱅투멩(Баянтүмэн)에 이르는 236km 화물 전용 지선이 개통되었다.[5]1947년 몽골 종단 철도 건설이 시작되어, 1950년 북쪽에서 울란바토르까지,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설하고 있던 집이선과 연결되어 중몽 국경까지 개통되었다.[4]
2. 2. 몽골 종단 철도와 국제 협력 (1956년 ~ 1990년)

몽골의 철도 개발은 늦게 시작되었다. 1947년 몽골 종단선이 착공되어, 1950년 북쪽에서 울란바토르, 1955년 중국 국경까지 도달했다. 그 전까지 몽골의 유일한 철도는 날라이흐의 탄광과 수도를 연결하는 43km 노선(1938년 개통)과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보르자에서 몽골 북동부의 처이발상 근처의 도르노드 뱅투멩에 이르는 236km 화물 전용 지선(1939년 개통)이었다.[5]
1939년 포장도로가 울란바토르까지 연장되었다. 나우시키에서 울란바토르까지의 철도 건설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지연되었고, 1949년 11월에 완공되었다. 소련, 몽골, 그리고 중국은 울란바토르에서 중국 국경까지 철도를 연장하기로 합의했다. 몽골에서는 전쟁 중 항복한 병사들로 구성된 소련 제505형 벌칙 부대가 철도를 건설했다. 이 철도는 내몽골 자치구의 지도자 우란후에 의해 1956년 1월 1일에 개통되었다.[2][1]
1958년 철도는 디젤 기관차로 전환되었고, 철도 분기기의 자동화가 이루어졌다. 1963년에는 샤린골의 탄광(63km), 1982년에는 바가누르의 탄광 (85km), 1975년에는 에르데네트의 구리 광산 (164km), 1987년에는 보르-온도르의 형석 광산 (60km), 그리고 주운바얀의 정유 공장 (63km)까지 지선이 건설되었다.[2]
몽골 종단 철도는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설하고 있던 집이선과 연결되어 중몽 국경까지 개통되었다.[4] 이로 인해, 베이징-모스크바 간은 기존의 만저우리 경유와 비교하여 1,141km 단축되었다.
1958년 7월 28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철도 국제 협력 기구에 의한 국제 연락 여객 열차 시각표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베이징에서 몽골 종단 철도를 경유하여 모스크바를 잇는 국제 열차의 운행이 결정되어, 1959년 6월 4일 베이징-울란바토르-모스크바 간 국제 여객 열차가 정식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중소 분쟁의 영향으로, 1965년 10월 12일 1955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소련 및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협의로 몽골 종단 철도와 같은 광궤 1,520mm 궤간으로 개궤한 집이선의 궤간이 표준궤 1,435mm로 다시 개궤되어, 차량 대차 교환역이 중몽 국경역인 에렌호트역으로 변경되었다.
2. 3. 민주화 이후의 변화와 현대화 (1990년 ~ 현재)
1958년, 몽골 종단 철도는 디젤 기관차로 전환되었고, 철도 분기기의 자동화가 이루어졌다.[2] 1963년에는 샤린골의 탄광(63km), 1975년에는 에르데네트의 구리 광산 (164km), 1982년에는 바가누르의 탄광 (85km), 1987년에는 보르-온도르의 형석 광산 (60km)과 주운바얀의 정유 공장 (63km)까지 지선이 건설되었다.[2]
1990년대에 들어 몽골 종단 철도는 현대화 과정을 거쳤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사용하던 소련제 기관차 일부가 더 강력한 미국 모델로 교체되었고, 통신 및 신호 시스템을 위한 광섬유 트랙사이드 케이블이 설치되었다.[1] 2009년 6월에는 러시아 이르쿠츠크 주립 철도공업대학교가 울란바토르에 지사를 개설했다.[6] 2022년에는 주운바얀 지선과 중국 국경의 항기를 연결하는 노선, 그리고 타반 톨고이의 탄광과 국경의 가슈운 수하이타를 연결하는 노선이 개통되었다.[3] 현재 주운바얀과 타반 톨고이를 연결하는 새로운 노선이 건설 중에 있다.[3]
3. 운영
몽골 철도회사인 'Mongolyn Tömör Zam'은 1990년 민주 혁명 이전 몽골 내 모든 화물의 80%와 여객 수송의 30%를 담당했다.[2] 1938~39년에 건설된 초이발산–보르자 노선이 포함된 몽골의 철도 운송은 1998년에 몽골 전체 화물 운송의 96%, 여객 운송의 55%를 담당했다.[2]
3. 1. 운영 현황
몽골 철도회사인 'Mongolyn Tömör Zam'은 몽골 내 모든 화물의 80%, 여객 수송의 30%를 담당했다.[2] 1990년 민주 혁명으로 화물 운송량은 절반으로 줄었지만, 2005년에는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2001년 여객 수는 410만 명으로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2] 대부분의 열차는 최소 두 대의 기관차로 운행된다.몽골 열차는 러시아 궤간으로 운행하지만, 중국은 표준궤를 사용한다. 따라서 두 나라 간 객차는 국경에서 대차를 교환해야 한다.[1] 객차를 들어 올려 대차를 교체하고, 여권 및 세관 통제까지 포함하면 전체 작업에 몇 시간이 걸린다. 화차도 궤간 변경을 위해 대차를 교환한다.[1]
2017년 기준 몽골 철도 1110km는 러시아-몽골 합작 주식회사인 UBTZ(울란바토르 철도)가 50:50으로 관리한다.[1] 몽골 철도는 대부분 단선 철도이며, 약 60개의 역과 복선 교행선이 있다.[1]
내몽골 자치구 에렌호트역에서 몽골 철도의 광궤 선로는 중국의 표준궤와 만난다. 환적 시설과 차량 장비로 대차 교환이 가능하다. 2000년 기준, 9개의 컨테이너 터미널 중 가장 큰 터미널은 자민우드에 있었다. UBTZ는 기관차 60대, 객차 300대, 화물차 2,400대(컨테이너 차량 140대 포함)를 운영했다. 1959년 운행을 시작한 중국철도 K3/4 열차는 베이징과 모스크바를 연결하는 주요 국제 노선이다.[1]
몽골 종단 철도는 자밍우드에서 중몽 국경을 넘어 에렌호트역에서 집이선과 연결되어 베이징과 모스크바를 잇는 최단 철도 노선이다. 따라서 주 1회 베이징과 모스크바를 직통하는 K3/4 열차가 운행된다.
몽골 종단 철도는 대부분 몽골 국내에 있으며, 전 구간 단선비전철(무가선), 1520mm이다. 자동 폐색에 대응하지 않아 하루 운행 가능 열차는 13편, 연간 화물 수송량은 620만 t으로 제한된다.
몽골 국내에서는 울란바토르 철도(Улаанбаатар төмөр замmn)가 운영한다. 몽골은 도로 교통 및 항공이 발달하지 못해 화물 수송의 80%, 여객 수송의 30%를 철도가 차지한다. 몽골 국내 구간은 대부분 산지이며, 해발고도 600m~1700m에 급커브가 많아 최고 속도는 시속 75km, 화물 적재량은 2800ton~3400ton로 제한된다.
1990년 몽골 민주화 운동 이후 몽골 경제는 쇠퇴했다. 몽골 종단 철도 화물 수송량도 감소했지만, 2005년 회복세로 돌아섰다. 2001년 여객 수송은 연간 410만 명이었다.
3. 2. 궤간 문제와 환적
몽골 열차는 1520mm (러시아 궤간)에서 운행하는 반면, 중국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두 나라 간의 객차는 국경에서 대차를 바꾸어야 한다.[1]각각의 객차는 차례로 들어올려 대차를 교체해야 하며, 여권 및 세관 통제를 포함하여 전체 작업에 몇 시간이 걸릴 수 있다. 화차도 마찬가지로 궤간 변경을 위해 대차를 교환한다.[1]
내몽골 자치구의 에렌호트역에서 철도의 1520mm 광궤 선로가 중국의 1435mm 표준궤와 만난다. 환적 시설과 차량 장비가 갖춰져 있어 대차 교환이 가능하다.[1]
1960년대부터 시작된 중소 분쟁의 영향으로, 1965년 10월 12일에는, 1955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소련 및 몽골 인민 공화국과의 협의로 몽골 종단 철도와 같은 광궤의 1,520mm 궤간으로 개궤한 집이선의 궤간이 표준궤의 1,435mm로 다시 개궤되어, 차량 대차 교환역이 중몽 국경역인 에렌호트역으로 변경되었다.[4]
4. 신규 노선 건설 계획
몽골 정부는 광물 자원 수출 증대와 경제 발전을 위해 다양한 철도 노선 건설 계획을 추진해 왔다. 이러한 계획은 몽골 국내 수송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을 잇는 국제 수송로 확보를 목표로 한다. 2010년, 2012년, 2014년, 2016년, 2017년 등 여러 해에 걸쳐 다양한 신규 노선 건설 계획이 발표되거나 변경, 승인되었다.
4. 1. 2010년 몽골 정부 계획(총 5,683.5km)
2010년 몽골 정부는 달란자드가드와 초이발산을 연결하는 총 5683.5km의 새로운 철도 노선 건설 계획을 세 단계로 나누어 제안했다.[1]- 1단계: 총 1100km 길이로, 달란자드가드–타반 톨고이 광산–차강 수바르가 광산–주운바얀 (400km), 사이샨드–바룬-우르트 (350km), 바룬-우르트–후트 광산 (140km), 후트–초이발산 (200km) 구간을 연결한다.
- 2단계: 총 900km 길이로, 1단계 구간과 중국 국경을 연결하며, 나린 수하이트 광산–시베 후렌 (45.5km), 타반 톨고이–가슈운 수하이트 (267km), 후트–탐삭불라그–넘로그 (380km), 후트–비치그트 (200km) 구간을 연결한다.
- 3단계: 총 3600km 길이로,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러시아 국경의 차강누르와 울란바토르에서 카라코룸까지의 노선을 포함한다.[1]
4. 2. 2012년 이후 변경/추가 계획
2014년 10월 몽골 정부는 몽골 종단 철도를 통해 러시아에서 중국으로 광물 수송을 늘리는 대규모 수송 인프라 프로젝트를 구축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에르데네트에서 어버트까지 547km 노선이 건설될 예정이다. 철도 건설을 담당하고 있는 아스피레 광업의 전무이사는 "이 새로운 철도는 경제 발전과 지역 통합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북부 몽골 지방에 큰 경제적 사회적 혜택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7]몽골 철도국 소유주식보유회사는 2011년 광업 부문 수출이 가능하도록 철도망 신증설 허가를 받았다. 이 공사의 첫 단계는 약 1100km 길이의 러시아 궤간으로 달란자드가드-타반톨고이-차간수바르가-준바얀-사인샨드-바룬우르트-커트-처이발상을 연결한다.[8] 2012년 봄을 기점으로 MTZ SOSC는 공사를 시작했다.
나린 수카잇(탄광)에서 시베크후렌(중국 국경)까지 45km에 걸쳐 몽골 서부에서 중국과 연결되는 작은 노선 하나가 이미 건설되어 있다.
추가로 계획된 노선은 260km 길이의 중국 궤간으로 우크하 쿠다그(타반톨고이 석탄장 일부) - 오유 톨고이(구리/금광) - 가순 수카잇(중국 국경)을 연결한다.
2010년 몽골 정부는 세 단계로 건설될 달란자드가드와 초이발산을 연결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철도 노선을 제안했다.
- 1단계: 총 1100km로, 달란자드가드–타반 톨고이 광산–차강 수바르가 광산–주운바얀(400km), 사이샨드–바룬-우르트(350km), 바룬-우르트–후트 광산(140km), 후트–초이발산(200km)을 연결한다.
- 2단계: 총 900km로, 1단계 노선과 중국 국경을 연결하며, 나린 수하이트 광산–시베 후렌(45.5km), 타반 톨고이–가슈운 수하이트(267km), 후트–탐삭불라그–넘로그(380km), 후트–비치그트(200km)를 연결한다.
- 3단계: 총 3600km이며, 자세한 내용은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러시아 국경의 차강누르와 울란바토르에서 카라코룸까지의 노선을 포함한다.[1]
2012년에는 에르데네트–머런–오보트 광산–러시아 국경의 아르츠 수리 (547km)를 연결하는 노선이 승인되었지만, 건설되지는 않았다. 2014년에는 계획된 타반 톨고이–가슈운 수하이트 및 후트–비치그트 노선은 중국 표준궤로, 달란자드가드–초이발산, 후트–넘로그 및 에르데네트–아르츠 수리 노선은 러시아 표준궤로 건설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2016년에는 주운바얀에서 중국 국경의 항기까지 연결하는 노선 (280km)이 승인되었으며, 2023년에 완공되었다. 2017년 정부 계획은 2010년 계획보다 규모가 크게 축소되어, 후트–초이발산, 나린 수하이트–시베 후렌, 후트–비치그트, 주운바얀–항기를 연결하는 것을 제안했다.[1]
5. 사진첩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Rowman & Littlefield
[2]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Facts on File
[3]
웹사이트
Mongolia opens third railway to Chinese border
https://www.railjour[...]
2022-11-28
[4]
웹사이트
Mongolia - Tourism
http://www.country-d[...]
[5]
웹사이트
Mongolia - Tourism
http://www.country-d[...]
[6]
웹사이트
Planned students number is 50, and in main University of Railway Engineering in Irkutsk are about 100 Mongolian students
http://www.montsame.[...]
[7]
뉴스
Mongolia gives green light for new line to Russia
http://www.railjourn[...]
[8]
간행물
Mongolia’s resource nationalism
http://strategicrisk[...]
2012-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