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안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안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후손인 박진승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문과에 급제하고 무안을 식읍으로 하사받은 박진승의 후손들이 무안을 본관으로 삼았다. 고려 시대에는 박섬, 박승중 등이 주요 인물로 활동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22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박임경, 박호, 박의장, 박두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물을 배출했으며, 특히 박두성은 한글 점자를 창안하여 맹인들의 세종대왕으로 불렸다. 무안 박씨는 전라남도 일대와 충청, 경기, 강원, 경상, 황해도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15년에는 9만 명 이상의 인구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안 박씨 - 박주민
    박주민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서울 은평구 을 지역구의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으로, 서울대 법학과 졸업 후 변호사, 민변 사무처장, 참여연대 부집행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사법개혁 및 정치개혁에 주력하며 여러 논란 속에서도 시민 참여와 진보적 가치를 강조하는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 무안 박씨 - 박승재
    박승재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제13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양대학교 교수 및 한국정치학회 이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무안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무안 박씨 정보
성씨무안 박씨
한자 표기務安朴氏
나라한국
관향전라남도 무안군
시조박진승(朴進昇)
원시조박혁거세(朴赫居世)
집성촌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전라남도 진도군
전라남도 해남군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경상북도 영덕군
경상북도 봉화군 화천리
인물박호
박두성
박종길
박승재
박세환
박석무
박병윤
박희현
박성효
박우섭
박현출
년도2015
인구90,785명

2. 역사

시조(始祖) 박진승(朴進昇)은 신라 경명왕의 여섯째 아들인 완산대군(完山大君) 언화(彦華)의 5세손으로 고려조(高麗朝)에서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국자제주(國子祭酒)를 지냈으며 나라에 공(功)을 세워 무안(務安)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았다고 한다.

2세손 박섬(朴暹)이 거란 침입 때에 고려 현종을 호종한 공으로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올랐으며, 1052년(문종 6) 공신각상에 도형되었다.[1]

박승중(朴昇中)은 고려전기 해동비록, 시정책요 등을 편찬한 문신으로,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로서 상정관(詳定官)이 되어 예의(禮儀)를 정하였으며, 인종이 즉위하자 보문각학사로 김부식과 더불어 ‘예종실록’의 편수관이 되었다. 이자겸이 국정을 맡게 되자, 그에게 아부하여 참지정사를 거쳐 수태위(守太尉)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승진하였으나, 이자겸이 몰락하자 탄핵을 받고 울진에 유배되었으며, 여러 대를 섬긴 공로가 참작되어 무안에 안거하였다.

무안 박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2명을 배출하였다.

2. 1. 조선시대 주요 인물

무안 박씨는 조선시대에 여러 주요 인물을 배출하였다.

  • 박섬 - 중시조 박진승의 아들로, 고려 현종 때 남행호종공신(南幸扈從功臣)으로서 벼슬이 우복야에 이르렀으며 명신이었다.
  • 박승중 - 고려전기 해동비록, 시정책요 등을 편찬한 문신으로,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로서 상정관(詳定官)이 되어 예의(禮儀)를 정하였다. 인종이 즉위하자 보문각학사로 김부식과 더불어 ‘예종실록’의 편수관이 되었다. 이자겸이 국정을 맡게 되자, 그에게 아부하여 참지정사를 거쳐 수태위(守太尉)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승진하였으나, 이자겸이 몰락하자 탄핵을 받고 울진에 유배되었으며, 여러 대를 섬긴 공로가 참작되어 무안에 안거하였다.
  • 14세 박임경 - 박의룡의 5대손으로, 황주목사를 역임했다. 1456년 병자사화에 장인 성삼문사육신 시신을 노량에 매장하여 사육신묘 근원을 제공하였고, 이로 인해 민몰(民沒) 위기에 처했다.
  • 14세 박익경 - 박의룡의 5대손으로, 병자사화에 무안 고절리(지명 유래)에 은둔하였다.
  • 15세 박증 - 박임경의 아들이자 성삼문의 외손이다. 외손 봉사 유훈을 받들었으며, 김시습과 지기를 트고 남효온과 교유하였다. 부모 3년상을 마치고 1492년 니산에 은거, 평생 절의를 지켰다. 유허지에 보인당(輔仁堂, 율고 기)이 운영되고 모곡서원에 배향되었다.
  • 15세 박호 - 박임경의 아들, 성삼문 외손(서울에서 외손봉사)이다. 무안박씨 중 조선시대 최초로 문과에 급제하였고, 시호는 정간, 참찬을 역임하였다.
  • 박의장 - 현감 박세렴의 아들로 조선에서 문무를 겸비했으며, 임진왜란경주부윤으로 50여 회의 전투에서 한 번도 패한 일이 없었다.
  • 박홍장 - 박의장의 아우, 대구부사로 황신과 더불어 일본에 사신으로 가 갖은 굴욕을 받으면서도 뜻을 굽히지 않았던 현신이었다.
  • 박창하 - 조선 숙종 때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고, 고율시 5~6백 편을 남겼다.
  • 박정걸 - 조선 학자이다.
  • 박두성 - 한말에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하여 맹인들의 세종대왕으로 추앙을 받았으며, 성경전서 점역(點譯)을 완성하였다.

3. 본관

무안(務安)은 전라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물아혜군(勿阿兮郡)인데, 신라 경덕왕이 무안군(務安郡)으로 개칭하였고, 고려 때 물량군(勿良郡)으로 고쳤으며 고려 성종 때 다시 무안으로 고쳤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 무안현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면천(綿川)·면성(綿城) 등의 고호(古號)가 있었다. 1895년(조선 고종 32) 무안군이 되었고, 1914년 목포부가 분리되었다.

4. 분파

무안 박씨는 아래와 같은 분파로 나뉜다.


  • 개성파(開城派) - 박한정, 박한침, 박한충, 박춘수
  • 한산파(韓山派) - 박원악, 박원산
  • 장단파(長湍派) - 박원
  • 지평파(砥平派) - 박원성, 박원겸, 박원눌, 박원근, 박원상
  • 함양파(咸陽派) - 박대춘, 박세언
  • 개부파(開府派) - 박대년
  • 노성파(魯城派) - 박증, 박호, 박한
  • 무안파(務安派) - 박익경
  • 군수공파(郡守公派) - 박항경
  • 경파(京派) - 박진경
  • 우후공파(虞候公派) - 박숭인
  • 첨사공파(僉使公派) - 박숭의
  • 적성파(積城派) - 박숭례
  • 해남파(海南派) - 박종정
  • 진도파(珍島派) - 박화
  • 영암파(靈巖派) - 박종원
  • 음죽파(陰竹派) - 박원근, 박숙근
  • 영해파(寧海派) - 박지수, 박지몽, 박지승
  • 양주파(楊州派) - 박지겸
  • 공주파(公州派) - 박춘량
  • 홍산파(鴻山派) - 박영준
  • 당진일파(唐津一派) - 박곤, 박경, 박수
  • 당진이파(唐津二派) - 박윤신
  • 당진삼파(唐津三派) - 박경근, 박사길, 박권
  • 당진사파(唐津四派) - 박영
  • 당진오파(唐津五派) - 박연, 박순환

5. 주요 인물


  • 시조 박진승 - 완산박씨 8세 은견(銀堅)의 아들, 국학전주 또는 국자좨주 역임, 국속을 순화한 공으로 무안군에 봉해지고 무안을 식읍으로 하사받음.
  • 2세 박섬 - 중시조 박진승의 아들, 고려 현종 때 남행호종공신(南幸扈從功臣)으로서 벼슬이 우복야에 이르렀으며 명신.
  • 박승중 - 고려전기 해동비록, 시정책요 등을 편찬한 문신으로, 한림시독학사(翰林侍讀學士)로서 상정관(詳定官)이 되어 예의(禮儀)를 정하였으며, 인종이 즉위하자 보문각학사로 김부식과 더불어 ‘예종실록’의 편수관이 됨. 이자겸이 국정을 맡게 되자, 그에게 아부하여 참지정사를 거쳐 수태위(守太尉)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로 승진하였으나, 이자겸이 몰락하자 탄핵을 받고 울진(蔚珍)에 유배되었으며, 여러 대를 섬긴 공로가 참작되어 무안에 안거함.
  • 14세 박임경 - 박의룡의 5대손, 황주목사 역임, 1456년 병자사화에 장인 성삼문사육신시신 노량에 매안 사육신묘 근원 제공자로 민몰위기에 있음.
  • 14세 박익경 - 박의룡의 5대손, 병자사화에 무안 고절리(지명유래)에 은둔.
  • 15세 박증 - 박임경의 아들, 성삼문 외손(외손봉사유훈), 노형 김시습과 지기를 트고 남효온과 교유, 부모 3년상을 마치고 1492년 니산에 은거 평생 절의를 지켰으며, 유허지에 보인당(輔仁堂, 율고 기)이 운영되고 모곡서원에 배향됨.
  • 15세 박호 - 박임경의 아들, 성삼문 외손(서울에서 외손봉사), 무안박씨 중 조선시대 최초로 문과에 급제 시호 정간 참찬 역임.
  • 박의장 - 현감 박세렴의 아들로 조선에서 문무를 겸비했으며, 임진왜란 때 경주부윤으로 50여회의 전투에서 한 번도 패한 일이 없었다.
  • 박홍장 - 박의장의 아우, 대구부사로 황신과 더불어 일본에 사신으로 가 갖은 굴욕을 받으면서도 뜻을 굽히지 않았던 현신이었다.
  • 박창하 - 조선 숙종 때 시인으로 이름이 높았고, 고율시 5~6백편을 남겼다.
  • 박정걸 - 조선 학자
  • 박두성 - 한말에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하여 맹인들의 세종대왕으로 추앙을 받았으며, 성경전서 점역(點譯) 완성.

5. 1. 근현대 인물

박두성은 한말에 한글 점자(點字)를 창안하여 맹인들의 세종대왕으로 추앙받았으며, 성경전서 점역(點譯)을 완성하였다.

6. 집성촌

전라남도 나주군 동강면 곡천리, 무안군 청계면과 현경면 양학리, 신안군 일원, 진도군 지산면 앵무리, 해남군 마산면 장촌리 및 연구리, 해남읍 안동리 등에 집성촌이 있다.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당진시 우두동, 경기도 양평군 단월면 보룡리,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성산리,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답곡동, 영덕군 영해면 원구동,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 청도군, 황해도 안악군 안악읍, 장연군, 평안남도 강서군 증산면 반용리 등에도 집성촌이 분포한다.

7. 항렬자

wikitable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
재(載)
정(廷)
성(聖)
현(賢)
인(仁)
현(鉉)
민(敏)
주(朱)
용(容)
정(楨)
규(奎)
섭(燮)
진(鎭)순(淳)식(植)섭(燮)
형(炯)
재(在)현(鉉)
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
O광(鎭)화(淇)OO상(相)병(炳)OO재(載)
O수(壽)
종(鍾)O
원(元)O
해(海)O
O순(淳)
병(秉)O섭(燮)


8. 인구

1985년 64,695명이었던 무안 박씨 인구는 2000년 78,817명, 2015년 90,785명으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