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토 스케요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토 스케요리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처음에는 헤이케 일문인 다이라노 도모모리의 부장이었으나, 이치노타니 전투에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측에 투항하여 요리토모의 가신이 되었다. 오슈 전투에서 공을 세워 데와국 오오이즈미 장의 지토로 임명되었으며, 규슈로 파견되어 다자이후의 쇼니, 진제이부교를 역임하고 히젠, 지쿠젠, 부젠, 이키, 쓰시마의 슈고를 겸했다. 1227년에는 쓰시마의 해적 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고 고려 사신 앞에서 해적 90명을 참수하고 사죄했다. 그는 고케닌 신분으로 다자이노쇼니에 임명된 최초의 인물이며, 그의 아들 쇼니 스케요시를 시작으로 자손들이 대대로 기타큐슈의 쇼니 씨로 번성했다. 또한, 스케요리는 하카타의 쇼텐사 창건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토씨 - 사나다 마사유키
    사나다 마사유키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 다이묘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이름을 알렸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뛰어난 지략과 용맹으로 가문을 지켜 '표리비흥의 자'라는 평을 받았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후 몰락하여 고야 산에서 생을 마감했다.
  • 무토씨 - 쇼니 스케요시
    쇼니 스케요시는 가마쿠라 시대 쇼니 씨의 당주이자 진제이부교로서, 원나라의 일본 침략 당시 총사령관으로 몽골군 격퇴에 공헌하고 쇼텐지 창건에도 기여한 무장이다.
  • 1228년 사망 - 로베르 드 쿠르트네
    로베르 드 쿠르트네는 라틴 제국의 황제로, 즉위 초 헝가리의 지원을 받아 에피루스 전제공국에 대항했으나 테살로니키를 빼앗기고 니케아 제국에게 패하는 등 실패를 겪었으며, 니케아 제국과의 화해를 모색하던 중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쫓겨나 로마로 망명하다 사망했다.
  • 1228년 사망 - 이사벨 2세 (예루살렘)
    1212년 안드리아에서 태어나 며칠 만에 예루살렘 여왕이 된 이사벨 2세는 여왕 마리아 몬페라토와 브리엔의 장의 외동딸로, 프리드리히 2세와의 결혼을 통해 십자군 참전을 위한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다 아들 콘라트 4세를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 1160년 출생 - 베르톨트 5세 폰 체링겐 공작
    베르톨트 5세는 1186년 체링겐 공작이 되어 부르고뉴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베른을 건설하여 팽창 정책을 추진했지만, 울리헨 전투에서 패배하고 1218년 사망하며 체링겐 가문의 남계는 단절되었다.
  • 1160년 출생 - 고노에 모토미치
    고노에 모토미치는 아버지의 사망으로 섭관가를 계승했지만, 정치적 어려움으로 인해 섭정 지위를 바로 얻지 못하고, 섭관과 관백을 역임하며 여러 차례 해임된 후 1198년 섭정이 되었으며, 1233년에 사망했다.
무토 스케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무토 씨(武藤氏)
이름무토 스케요리
원어 이름武藤資頼
별명무토 스케요시(武藤資能)
시대헤이안 시대(平安時代) 말기 - 가마쿠라 시대(鎌倉時代) 초기
출생에이랴쿠(永暦) 원년(1160년)
사망안테이(安貞) 2년 8월 25일(1228년9월 24일)
관위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
주군다이라노 도모모리(平知盛)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頼朝)
가계
아버지무토 요리히라(武藤頼平)
형제요리타카(頼高), 우지히라(氏平), 무네히라(宗平)
부인가지와라 가게토키(梶原景時)의 딸, 무나카타 씨(宗像氏) 씨충(氏忠)의 딸
자녀스케요시(少弐資能), 요리시게(頼茂), 다메요리(為頼), 요리모토(頼基)
관직 및 직위
막부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
슈고히젠(肥前)
지쿠젠(筑前)
부젠(豊前)
이키(壱岐)
쓰시마(対馬)
기타
개명스케요시(資能)→가쿠에이(覚恵, 법명)

2. 출자

무토 씨의 출자는 확실하지 않지만,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후예라고 칭하였으며, 대대로 무사시국의 지행(知行)을 맡아 무토 씨(武藤氏)를 칭하였다고 한다.[16] 『북비전기』(北肥戦記)에 따르면, "좌중장(左中将) 오와리노카미(尾張守) 후지와라노 나가요리(藤原長頼)는 대대로 전해 온 지행지(知行地)인 부슈(武州) 도쓰카 향(戸塚郷)으로 내려와 무토 중장(武藤中将)이라 칭하였다. 그 아들 요리우지(頼氏)가 하치만타로 요시이에를 따라 오슈(奥州)로 출진하여 요세카케(寄懸) 무늬 깃발을 하사받았다"라고 되어 있다.[3][4] 요리우지의 자손인 스케요리는 미치나가의 후손이라는 설도 있다.[4]

3. 약력

무토 스케요리의 출자는 확실하지 않지만, 후지와라노 미치나가(藤原道長)의 후예라 칭하였으며, 대대로 무사시국(武蔵国)의 지행(知行)을 맡아서 무토 씨(武藤氏)를 칭하였다고 한다.[16] 『북비전기』(北肥戦記)에 따르면 「좌중장(左中将) 오와리노카미(尾張守) 후지와라노 나가요리(藤原長頼)는 대대로 전해 온 지행지(知行地)인 부슈(武州) 도쓰카 향(戸塚郷)으로 내려와 무토 중장(武藤中将)이라 칭하였다. 그 아들 요리우지(頼氏)가 하치만타로 요시이에(八幡太郎義家)를 따라 오슈(奥州)로 출진하여 요세카케(寄懸) 무늬 깃발을 하사받았다.」라고 되어 있다.

겐큐 연간에 규슈로 파견되어 다자이후(大宰府)의 쇼니(少弐)직에 임명되었고, 오토모 요시나오와 함께 진제이부교(鎮西奉行)로 취임하였다. 히젠, 지쿠젠, 부젠, 이키, 쓰시마의 슈고가 되었다.

닌지 3년(1242년), 하카타의 쇼텐사는 무토 스케요리가 엔니를 초빙하여 창건했다.[6] 창건 토지는 무토 스케요리가 기증[6]하였고, 샤쿠쿠메이 등 송나라 상인들이 원조했다. 무토 스케요리의 위패소상은 쇼텐사[8] 개산당에 안치되어 있다. 다자이후시간제온지 북쪽 안요지 터에는 무토 스케요리의 묘라고 전해지는 오륜탑과 쇼니 스케요시의 공양탑이 있다.[9]

3. 1. 가마쿠라 막부 성립 이전

무토 스케요리는 처음에는 헤이케 일문인 다이라노 도모모리의 부장이었으나 이치노타니 전투 때 지인인 가지와라노 가게토키를 통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에게 투항 의사를 밝혔다.[16] 미우라 요시즈미와 만난 뒤 사면받고 요리토모의 게닌(家人)이 되었다.[16] 요리토모의 적자인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원복(元服) 식전에서는 유직고실의 지도를 맡았다.[16] 오슈 후지와라 씨를 멸망시킨 오슈 전투에도 출진하여 공을 세우고 데와국 오오이즈미 장(大泉庄)의 지토로 임명되었다.[16] 그 재임 기간 중에 슈겐도의 본산인 하구로 산령을 쳐서 하구로 산의 주도(衆徒, 승병)들과 항쟁을 벌이기도 하였다.[16] 겐큐 2년(1191년)에는 요리토모의 명으로 다이라노 모리토키와 함께 관리들을 이세·시마 두 구니(国)로 파견해 몰관된 옛 헤이케 영지를 살피기도 하였다.[17]

3. 2. 가마쿠라 막부에서의 활동

무토 스케요리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아들인 요리이에의 성인식에서 유직고실 지도를 맡았다.[17] 오슈 후지와라 씨를 멸망시킨 오슈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우고 데와국 오오이즈미 장의 지토로 임명되었다.[17] 그는 슈겐도의 본산인 하구로 산령을 침범하여 승병들과 항쟁을 벌이기도 했다.[17]

겐큐 2년(1191년), 요리토모의 명으로 다이라노 모리토키와 함께 이세, 시마 두 지역에 파견되어 몰수된 헤이시 영지를 조사했다.[17] 이후 규슈 지역으로 파견되어 오토모 요시나오와 함께 진제이부교로 취임했다.[17] 그는 히젠, 지쿠젠, 부젠, 이키, 쓰시마의 슈고가 되었다.[17]

3. 3. 다자이노쇼니 임명과 고려와의 관계

가로쿠 2년(1226년), 무토 스케요리는 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에 임명되었다. 이는 본래 구게(公家)의 관직이었으나, 고케닌 신분으로는 최초의 임명이었다.[19] 이후 다자이노쇼니직은 스케요리의 아들 스케요시(資能)에게 계승되었고, 스케요시와 그 자손들은 쇼니 씨(少弐氏)를 칭하며 대대로 기타큐슈(北九州)의 명문 세족으로 발전하게 된다.

가마쿠라 막부는 사이고쿠(西國) 지역 슈고들에게 악당(悪党) 단속 및 진압을 명령하였다.[18]아즈마카가미안테이(安貞) 원년(1227년) 5월 14일조 및 《햐쿠렌쇼》(百練抄) 가로쿠 3년(1227년) 7월 21일조에는 고려가 사자를 파견해, 전년 6월 쓰시마의 악당들이 고려국 전라주(全羅州)를 공격하여 재물을 약탈하고 주민들을 다치게 한 것에 대한 대응을 요구해 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에 다자이노쇼니 무토 스케요리는 체포된 악당 90명의 목을 고려의 사신 박인(朴寅)이 보는 앞에서 참수하고,[19] 고려에 사신을 보내 약탈 피해에 대해 사죄하였다.[20]

3. 4. 이후

무토 스케요리는 본래 구게(公家)의 관직에 해당하는 다자이노쇼니에 임명된 최초의 인물이었다. 이후 다자이노쇼니직은 스케요리의 아들 스케요시(資能)에게 계승되었고, 이후 자손들에게 세습되었다. 스케요시는 쇼니를 칭했으며 그 자손들은 대대로 기타큐슈(北九州)의 명문 세족 쇼니 씨(少弐氏)로써 발전하게 된다.

4. 무토 스케요리의 관직

무토 스케요리는 가마쿠라 막부와 조정으로부터 다양한 관직을 받았다. 가마쿠라 막부로부터는 규슈 지역의 군사, 행정 지휘를 담당하는 진제이부교(鎮西奉行)와 지쿠젠국(筑前国), 부젠국(豊前国), 히젠국(肥前国), 쓰시마국(対馬国)의 슈고(守護)직을 받았다. 슈고는 각 지역의 군사, 경찰권을 담당하는 직책이었다.

조정으로부터는 지쿠고노카미(筑後守)와 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에 임명되었다. 지쿠고노카미는 지쿠고국(筑後国) 행정을 담당하는 국사(国司)의 역할이었다. 다자이노쇼니는 규슈 지역 전체를 총괄하고 대외 교섭을 담당하며, 막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비고케닌(非御家人)들을 통솔하는 중요한 직책이었다.

다음은 무토 스케요리가 역임한 관직을 정리한 표이다.

임명 주체관직명역할 및 권한
가마쿠라 막부진제이부교(鎮西奉行)규슈(鎮西) 고케닌(御家人) 지휘 통솔
가마쿠라 막부슈고(守護)지쿠젠국, 부젠국, 히젠국, 쓰시마국의 군사, 경찰권 담당
조정지쿠고노카미(筑後守)지쿠고국 행정 및 국아령(国衙領) 지배
조정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규슈(사이카이도(西海道)) 관내 총괄, 대외 교섭, 비고케닌 통괄


5. 유산

닌지 3년(1242년) 하카타에 쇼텐사를 창건하고 엔니(벤엔, 쇼이치 국사)를 초빙했다.[6] 창건 토지는 무토 스케요리가 기증했고,[6] 샤쿠쿠메이 등 송나라 상인들이 많이 원조했다.[7] 쇼텐사[8] 개산당에는 무토 스케요리의 위패소상이 안치되어 있다. 다자이후시 간제온지 북쪽의 안요지 터에는 무토 스케요리의 묘로 전해지는 오륜탑과 쇼니 스케요시의 공양탑(보협인탑)이 있다.[9]

참조

[1] 기타 横岳系図 http://wwwap.hi.u-to[...] 東京大学資料総合データベース
[2]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3] 기타 武藤氏系図
[4] 기타 北肥戦記
[5] 서적 大日本史料
[6]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7] 웹사이트 No.72 博多と宗を結びつけた 華僑 謝国明(西日本シティ銀行の対談) https://www.ncbank.c[...] 西日本シティ銀行 2020-04-25
[8]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9] 웹사이트 武藤資頼・資能の墓 https://www.kyuhaku.[...] 九州国立博物館「西都 大宰府」
[10] 서적 武藤少弐興亡史 海鳥社 1989
[11] 서적 新訂・官職要解 講談社学術文庫 1983
[12] 서적 新訂・官職要解 講談社学術文庫 1983
[13] 서적 新訂・官職要解 講談社学術文庫 1983
[14] 서적 新訂・官職要解 講談社学術文庫 1983
[15] 웹사이트 非御家人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16] 기타 무토 씨 계도
[17] 서적 大日本史料
[18] 기타 아즈마카가미 1227-04-28
[19] 기타 아즈마카가미 1227-05-14
[20] 기타 고려사 1227-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