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다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다리어는 약 4000년에서 3500년 전에 인도차이나에서 오디샤 해안으로 유입된 언어로, 현재 자르칸드, 오디샤, 아삼 등 인도 동부 지역에서 110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문다리어는 문다리 바니라는 고유 문자로도 표기되며, 5개의 모음과 23개의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문다리어의 방언으로는 하사다, 나구리, 타마리아, 케라, 부미지 등이 있으며, 문법과 어휘는 주변 언어들과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다어파 - 산탈어
    산탈어는 인도, 방글라데시 등지에서 7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문다어족 언어로, 올치키 문자의 개발로 문자화되었으며, 인도 대학 교육 도입 결정으로 사회적 지위 향상과 교육 기회 확대가 기대되지만, 보존과 발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 문다어파 - 호어
    호어는 인도 동부의 자르칸드주와 오디샤주에서 사용되는 문다어족 언어로, 와랑 치티 문자로 표기되며, 헌법 제8부속표 포함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문다리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문다리어
자칭 이름मुंडारी, মুন্ডারি, ମୁଣ୍ଡାରୀ, 𞓧𞓟𞓨𞓜𞓕𞓣𞓚
사용 국가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사용자문다인 및 부미즈인
사용 인구약 170만 명 (2011년)
언어 계통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어파문다어
하위 어파북부 문다어군
어군케르와리어군
언어 분류문다리어군
방언하다사
나구리
타마리아
케라
부미즈어
문자문다리 바니
올 오날 (부미즈어)
기타: 오디아, 데바나가리, 벵골 문자, 라틴
언어 코드 (ISO 639-3)unr
unx
언어 이름 (ISO 639-3)Mundari
Munda
글롯로그mund1320
글롯로그 이름Mundari
ELP1601
ELP 이름Bhumij
문다리 바니 문자로 쓴 '문다리어'
문다리 바니 문자로 쓴 '문다리어'
공용어 지정 국가인도 자르칸드 주 (추가)
문다리어 (및 변이형 부미즈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세계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취약 (Vulnerable)으로 분류됨.
문다리어 (및 변이형 부미즈어)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세계 언어 아틀라스에 의해 취약 (Vulnerable)으로 분류됨.
위키백과 링크문다리 문자, 발음 및 설명
문다리 바니
BMS, 문다리어에 대한 선동 강화
생존 위협 정도취약

2. 역사

언어학자 폴 시드웰(2018)에 따르면, 문다어는 약 4000년에서 3500년 전에 인도차이나에서 오디샤 해안으로 유입되었으며, 인도아리아인의 오디샤 이주 이후에 확산되었다.[8]

3. 사용 지역 및 인구

문다리어는 문다, 문다리어, Bhumij 등으로 불리며, 사용 인구는 인도 인구 조사에 따라 변동을 보인다.

문다리어 사용 인구 변화 (1971년 ~ 2011년)
인구 조사문다 (±%)문다리어 (±%)Bhumij (±%)총계 (±%)
1971년309,293771,25351,6511,132,197
1981년377,492
(+22)
742,739
(-4)
50,384
(-2.5)
1,170,615
(+3.4)
1991년413,894
(+9.6)
861,378
(+16)
45,302
(-10.1)
1,320,574
(+12.8)
2001년469,357
(+13.5)
1,061,352
(+23)
47,443
(+4.7)
1,578,152
(+19.5)
2011년505,922
(+7.8)
1,128,228
(+6)
27,506
(-42)
1,661,656
(+5.3)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34,651명이 Bhumijali를 모국어로 기록했는데, 이는 Bhumij 언어의 다른 이름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인구 조사 목적상 오디아 언어에 포함되어 Bhumij 사용자가 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

3. 1. 인도 주별 문다리어 사용 분포 (2011년)

인도 주별 문다리어(문다, Bhumij, Bhumijali 포함) 사용 분포 (2011년)
비율 (%)
자르칸드57.62
오디샤29.46
아삼5.7
서벵골4.73
기타2.49



문다리어는 자르칸드의 란치, 쿤티, 세라이켈라 카르사완, 서싱붐, 동싱붐과 오디샤의 마유르반지, 겐드루자르, 발레스와르, 순다르가르에서 최소 110만 명이 사용한다. 오디샤아삼을 중심으로 50만 명이 더 인구 조사에서 "문다"를 사용한다고 기록되었는데, 이는 문다리어의 또 다른 이름일 수 있다.[1]

4. 방언

오사다 토시키는 ''문다리카 백과사전''(1권, p. 6)을 인용하여 문다리어의 방언을 다음과 같이 나열했는데, 이 방언들은 대부분 자르칸드 주에서 사용된다.[11]


  • '''하사다''' (hasa-daʔ|하사다hi): 란치-차이바사 도로 동쪽
  • '''나구리''' (naɡuri|나구리hi): 란치-차이바사 도로 서쪽
  • '''타마리아''' (tamaɽ-ia|타마리아hi) 또는 '''라타르''': 판치파르가나 지역(타마르, 분두, 라헤, 소나하투, 실리)
  • '''케라''' (keraʔ|케라hi): 란치 시 지역에 거주하는 민족 오라온
  • '''부미지''': 많은 자료에서 별개의 언어로 등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문다리어의 라타르(타마리아) 방언의 변종일 수 있다. 이는 자르칸드 주와 오디샤의 마유르반지 구에서 사용된다. 부미지 사용자는 약 5만 명 정도일 수 있지만, 인구 조사에서는 약 2만 7천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

5. 음운론

문다리어의 음운론은 주변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와 비슷하지만, 인도유럽어족이나 드라비다어족과는 꽤 다르다. 가장 큰 차이점은 모음에서 나타나는데,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들은 음소가 풍부하지만 문다리어는 5개뿐이다. 자음 목록은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는 권설음을 빼면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와 비슷하다.[1]

5. 1. 모음

문다리어는 5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모든 모음은 장모음과 단모음, 비음화된 변이음을 가지지만, 길이와 비음성은 대립적이지 않다. 열린 단음절의 모든 모음은 닫힌 음절의 모음보다 양적으로 더 길며, 비음 자음 또는 /ɟ/ 뒤에 오는 모음은 비음화된다. /ɳ/ 앞이나 뒤에 오는 모음도 비음화된다.


5. 2. 자음

wikitext

문다리어의 자음 음소는 23개이다. 나구리 방언과 케라 방언은 기음화 파열음을 추가 음소로 포함하며, 괄호 안에 표기되어 있다.


6. 수 체계

일련번호문다리어음역번역
1मियदMiyad하나
2बारियाBaria
3आपियाApia
4उपनिआUpnia
5मोड़ेयाModea다섯
6तुरियाTuria여섯
7एयाAre일곱
8इरलियाErlia여덟
9आरेयाArea아홉
10गेलेयाGalea
11Gel Miyad열하나
12Gel Bariya열둘
13Apiya열셋
14Upuna열넷
15Modeya열다섯
16Turiya열여섯
17Eya 열일곱
18Iriliya열여덟
19Areya 열아홉
20Mid Hisi 스무
21Hisi Miyad스물하나
30Mid hisi Gel서른
31Hisi Gel Miyad서른하나
40Bar Hisi 마흔
41Bar Hisi Miyad마흔하나
50Bar Hisi Gel
60Aapi Hisi 예순
70Aapi Hisi Gel일흔
80Upun Hisi 여든
90Upun Hisi Gel아흔
100 Mid Saaye
200Bar Saaye이백
1000Mid Hazar
1,00,000Mid Lak1 라크


7. 관계

문다리어음역번역
एङ्गाEṅga어머니
आपुApu아버지
हागाHaga형제
मिसिMisi자매
गुयाGuya자매/형제의 자매/형제, 처남/처제, 시매/시누이
गतिGati친구
Hon koṛa아들
Hon Kuṛi


8. 동사

문다리어음역번역
रिकाएआ'Rikāē하다
ओलेआ'Olē쓰다
जगरेआ'Jagorē말하다
पढ़वएआ'Padvē읽다
लेलेआ'Lelē보다
सेनेआ'Senē함께 가다
नमेआ'Nemē발견하다
निरेआ' Nirē달리다
सबेआ'Sabē잡다
लेका एआ'Lekaē세다
मुकाएआ'Mukaē측정하다
रिका एआ'Rikaē자르다


9. 문자 체계

문다리 바니 (문다리 문자)


문다리어는 1980년대 로히다스 싱 나그가 발명한 고유의 문다리 바니 문자로도 쓰인다.

10. 문법

문다리어에는 품사가 없어서 명사, 동사, 형용사가 문맥에 의해서만 구별된다고 주장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2005년 에번스와 오사다에 의해 반박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India - 2011 https://censusindia.[...]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3] 간행물 Cite UNESCO Atlas
[4] 웹사이트 Mundari alphabet, pronunciation and description https://www.omniglot[...]
[5] 웹사이트 Mundari Bani https://omniglot.com[...]
[6] 웹사이트 BMS to intensify agitation on Mundari language http://www.oneindia.[...] 2018-04-04
[7] 문서 Adivasi. Volume 52. Number 1&2. June&December 2012 https://web.archive.[...]
[8] 문서 Austroasiatic Studies: state of the art in 2018 https://www.academia[...] 2019-05-03
[9] 웹사이트 Statement 8 : Growth of Non-Scheduled Languages - 1971, 1981, 1991,2001 and 2011 https://www.censusin[...]
[10] 웹사이트 Mundari https://www.ethnolog[...]
[11] 뉴스 Keeping Munda in mind http://www.punemirro[...] 2018-04-04
[12] 논문 Mundari: The myth of a language without word classes https://www.degruy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