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탈어는 몬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인도, 방글라데시, 부탄, 네팔 등지에서 700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1925년 올치키 문자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구어로만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올치키 문자 외에도 라틴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 오리야 문자를 사용한다. 산탈어는 교착어이며, 명사, 대명사, 동사 등에서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인도의 22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자르칸드주와 서벵골주의 추가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다어파 - 호어
    호어는 인도 동부의 자르칸드주와 오디샤주에서 사용되는 문다어족 언어로, 와랑 치티 문자로 표기되며, 헌법 제8부속표 포함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문다어파 - 문다리어
    문다리어는 인도 동부에서 사용되는 문다어족 언어로, 인도차이나에서 유입되어 자르칸드와 오디샤 주를 중심으로 110만 명 이상이 사용하며, 하사다, 나구리, 타마리아 등의 방언과 문다리 바니 문자 체계를 가진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산탈어
지도
산탈어가 추가 공용어인 인도 주들 - 자르칸드와 웨스트벵골
산탈어가 추가 공용어인 인도 주들 — 자르칸드와 웨스트벵골
산탈어 및 기타 문다어족의 분포 지도
산탈어 및 기타 문다어족의 분포 지도
기본 정보
이름산탈어
고유 이름ᱥᱟᱱᱛᱟᱲᱤ
사용 민족산탈족
사용 국가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사용자 수764만 5천 명 (2011년 인구 조사)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문다어파
동부 문다어군
케르와르어군
산탈어
방언
방언마할리어 (마힐리어)
카마리-산탈리어
콜레어
로하리-산탈리어
만지어
파하리어
문자
문자올 치키 문자 (공식)
벵골-아삼 문자
오리야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로마자
공용어
공용어인도 (추가 공용어)
자르칸드 (추가 공용어)
웨스트벵골 (추가 공용어)
언어 코드
ISO 639-2sat
ISO 639-3sat
글롯로그sant1410
maha1291
글롯로그 이름산탈어
마할리어

2. 역사

폴 시드웰(Paul Sidwell)에 따르면, 몬다어족은 약 4000~3500년 전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오디샤 해안에 도착하여 인도-아리아인의 이동 이후 오디샤로 퍼져나갔다.[4]

19세기까지 산탈어는 문자가 없었고, 모든 지식은 구전으로 전해졌다. 이후 인도의 언어 연구에 대한 유럽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탈어를 기록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1860년대 이전에 유럽의 인류학자, 민속학자, 선교사들(A. R. 캠벨, 라스 스크레프르드, 폴 보딩 등)은 벵골 문자, 오디아 문자, 로마자를 사용하여 산탈어를 기록했다.

라구나트 무르무(Raghunath Murmu)는 1925년 마유르반지에서 산탈어를 위한 올치키 문자를 창안하였고, 1939년에 처음 공개되었다.[5] 현재 서벵골주, 오디샤주, 자르칸드주에서 산탈어 문학 및 언어의 공식 문자로 사용되고 있다.[6][7]

2013년 12월, 인도 대학교육위원회는 전국자격시험(National Eligibility Test)에 산탈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8]

2. 1. 인도-아리아인의 이동과 산탈족

언어학자 폴 시드웰(Paul Sidwell)에 따르면, 몬다어족은 약 4000~3500년 전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오디샤 해안에 도착하여 인도-아리아인의 이동 이후 오디샤로 퍼져나갔다.[4]

2. 2. 19세기: 유럽의 기록과 문자 도입

몬다어족에 속하는 산탈어는 인도-아리아인의 이동 이후 오디샤로 퍼져나갔으며,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약 4000~3500년 전 오디샤 해안에 도착했다는 설이 폴 시드웰(Paul Sidwell)에 의해 제기되었다.[4]

19세기까지 산탈어는 문자가 없어 모든 지식이 구전으로 전해졌다. 이후 인도의 언어 연구에 대한 유럽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탈어를 기록하려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1860년대 이전에 유럽의 인류학자, 민속학자, 선교사들(A. R. 캠벨, 라스 스크레프르드, 폴 보딩 등)은 벵골 문자, 오디아 문자, 로마자를 사용하여 산탈어를 기록했다. 이들의 노력으로 산탈어 사전, 민담 번역본, 언어의 형태론, 통사론, 음성 구조 연구가 이루어졌다.

라구나트 무르무(Raghunath Murmu)는 1925년에 마유르반지에서 산탈어를 위한 올치키 문자를 창안하였고, 1939년에 처음 공개되었다.[5]

올치키 문자는 산탈 공동체에서 널리 받아들여져 현재 서벵골주, 오디샤주, 자르칸드주에서 산탈어 문학 및 언어의 공식 문자로 사용되고 있다.[6][7] 그러나 방글라데시의 사용자들은 벵골 문자를 사용한다.

2013년 12월, 인도 대학교육위원회는 강사들이 대학에서 산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국자격시험(National Eligibility Test)에 산탈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8]

2. 3. 20세기: 올치키 문자 창제와 공인

올치키 문자는 1925년 마유르반지 시인 라구나트 무르무(Raghunath Murmu)에 의해 산탈어를 위해 창안되었고, 1939년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다.[5] 19세기까지 산탈어는 문자가 없었고, 모든 공유 지식은 세대를 거쳐 구전으로 전해졌다. 인도의 언어 연구에 대한 유럽의 관심은 산탈어를 기록하려는 최초의 노력으로 이어졌다. 1860년대 이전에 유럽 인류학자, 민속학자, 선교사들, A. R. 캠벨, 라스 스크레프르드, 폴 보딩 등이 산탈어를 기록하는 데 벵골 문자, 오디아 문자와 로마자를 처음 사용했다. 그들의 노력은 산탈어 사전, 민담 번역본, 그리고 언어의 형태론, 통사론, 음성 구조 연구로 이어졌다.

올치키 문자는 산탈어 문자로서 산탈 공동체에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현재 서벵골주, 오디샤주, 자르칸드주에서 올치키 문자는 산탈어 문학 및 언어의 공식 문자이다.[6][7] 그러나 방글라데시 사용자들은 벵골 문자를 사용한다.

2013년 12월, 인도 대학교육위원회가 강사들이 대학에서 산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국자격시험(National Eligibility Test)에 산탈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하면서 그 영예를 안았다.[8]

2. 4. 21세기: 전국자격시험 도입

폴 시드웰(Paul Sidwell)에 따르면, 몬다어족은 약 4000~3500년 전 본토 동남아시아에서 오디샤 해안에 도착하여 인도-아리아인의 이동 이후 오디샤로 퍼져나갔다.[4]

2013년 12월, 인도 대학교육위원회는 강사들이 대학에서 산탈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국자격시험(National Eligibility Test)에 산탈어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8]

3. 문자

산탈어는 주로 구어로만 쓰여왔으나, 1925년 올치키 문자가 개발되었다. 산탈어는 라틴 문자, 올치키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 오리야 문자로 표기한다.

3. 1. 올치키 문자

올치키 문자는 1925년에 개발되었으며, 산탈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된다.[1] 산탈어는 주로 구어로만 쓰여왔다.[1] 산탈어 표기에는 라틴 문자, 올치키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 오리야 문자가 사용된다.[1]

3. 2. 기타 문자

라틴 문자 또는 올치키 문자를 사용한다. 데바나가리 문자, 벵골 문자, 오리야 문자도 사용한다.

4. 음운

산탈어에는 8개의 구개모음과 6개의 비음화모음 음소가 있다. /e o/를 제외하고 모든 구개모음은 비음화된 대응어를 가지고 있다. 수많은 이중모음이 존재한다.

4. 1. 닿소리 (자음)



 양순음치경음후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ɳ)*ɲŋ 
파열음무성p (pʰ)t (tʰ)ʈ (ʈʰ)c (cʰ)k (kʰ) 
유성b (bʱ)d (dʱ)ɖ (ɖʱ)ɟ (ɟʱ)ɡ (ɡʱ) 
마찰음 s   h
전동음/탄음 rɽ   
유음wl j  



:*ɳ은 /n/ 앞의 /ɖ/에서만 동위음으로 나타난다.

산탈어에는 10개의 유기음(有氣音)을 제외하고 21개의 자음이 있다. 이 유기음은 주로, 하지만 전적으로는 아닌, 인도아리아계 차용어에서 나타나며, 위 표의 괄호 안에 제시되어 있다.[20] 모든 파열음은 음절 말에서 불파음으로 나거나 성문음화된다. 고유어에서 무성 파열음과 유성 파열음의 대립은 어말 위치에서 중화된다. 전형적인 문다어(Munda) 특징으로 어말 파열음은 '억제(checked)'되며, 즉 성문화(glottalised)되고 방출되지 않는다.

4. 2. 홀소리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 ĩu, ũ
중고모음eə, ə̃o
중저모음ɛ, ɛ̃ɔ, ɔ̃
저모음a, ã



산탈어는 8개의 구개모음과 6개의 비음화모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e o/를 제외하고 모든 구개모음은 비음화된 대응어를 가지고 있다.

수많은 이중모음이 존재한다.

5. 형태론

산탈어는 다른 모든 문다어와 마찬가지로 접사를 사용하는 교착어이다.[1]

5. 1. 명사

산탈어의 명사는 수와 격에 따라 활용된다.[1]

5. 1. 1. 수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수를 구분한다.[1]

단수쌍수복수
ᱥᱮᱛᱟ|setasat ()ᱥᱮᱛᱟᱼᱠᱤᱱ|seta-kensat (두 마리의 개)ᱥᱮᱛᱟᱼᱠᱚ|seta-kɔsat (개들)


5. 1. 2. 격

격 조사는 수 조사 뒤에 온다. 다음과 같은 격들이 구분된다.[1]

조사기능
주격주어와 목적어
소유격ᱼᱨᱮᱱ|rensat (의미상 생물)
ᱼᱟᱜ|aksat, ᱼᱨᱮᱭᱟᱜ|rɛaksat (의미상 비생물)
소유자
동반격ᱼᱴᱷᱮᱱ|ʈhɛnsat/ ᱼᱴᱷᱮᱡ|ʈhɛc'sat목표, 장소
조작·처소격ᱼᱛᱮ|tɛsat도구, 원인, 이동
동행격ᱼᱥᱟᱶ|sãosat연관
향방격ᱼᱥᱮᱱ|sɛnsat/ᱼᱥᱮᱡ|sɛc'sat방향
탈격ᱼᱠᱷᱚᱱ|khɔnsat/ᱼᱠᱷᱚᱡ|khɔc'sat출처, 기원
처소격ᱼᱨᱮ|rɛsat시공간적 위치


5. 1. 3. 소유

산탈어에는 친족어에만 사용되는 소유 접미사가 있다. 1인칭은 '-ɲ', 2인칭은 '-m', 3인칭은 '-t'이다. 이 접미사는 소유자의 수를 구분하지 않는다.[1]

5. 2. 대명사

산탈어의 대명사에는 인칭 대명사, 의문 대명사, 부정 대명사, 지시 대명사 등이 있다.[1] 인칭 대명사는 포함적 1인칭과 배타적 1인칭을 구분하며, 재귀적 3인칭과 지시적 3인칭을 구분한다.[1] 의문 대명사는 생물('누구?')과 무생물('무엇?')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지며, 지시적('어떤?')과 비지시적을 구분한다.[2] 부정 대명사는 '어떤', '다른'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3] 지시 대명사는 근접, 중간, 원격의 세 가지 지시와 단순형('이것', '저것' 등)과 특정형('바로 이것', '바로 저것')을 구분한다.[4]

5. 2. 1. 인칭 대명사

산탈어의 인칭 대명사는 포함적 1인칭과 배타적 1인칭을 구분하며, 재귀적 3인칭과 지시적 3인칭을 구분한다.[1]

}

| əliɲ|sat

| alɛ|sat

|-

! 포함적

| alaŋ|sat

| abo|sat

|-

! colspan="2" | 2인칭

| am|sat

| aben|sat

| apɛ|sat

|-

! rowspan="2" | 3인칭

! 재귀적

| ac'|sat

| əkin|sat

| ako|sat

|-

! 지시적

| uni|sat

| unkin|sat

| onko|sat

|}

의문 대명사는 생물('누구?')과 무생물('무엇?')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지며, 지시적('어떤?')과 비지시적을 구분한다.[2]

인칭 대명사
colspan="2" |단수이중복수
1인칭배타적{{lang|sat|iɲ|}
}

| oka|sat

|-

! 비지시적

| cele|sat

| cet'|sat

|}

부정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3]

의문 대명사
생물무생물
지시적{{lang|sat|ɔkɔe|}
}

| jãhã|sat

|-

| '어떤'

| adɔm|sat

| adɔmak|sat

|-

| '다른'

| ɛʈak'ic'|sat

| ɛʈak'ak'|sat

|}

지시 대명사는 세 가지 정도의 지시(근접, 중간, 원격)와 단순한('이것', '저것' 등) 형태와 특정한('바로 이것', '바로 저것') 형태를 구분한다.[4]

부정 대명사
생물무생물
'어떤'{{lang|sat|jãheã|}
}

| noa|sat

| nii|sat

| niə|sat

|-

! 중간

| uni|sat

| ona|sat

| ini|sat

| inə|sat

|-

! 원격

| həni|sat

| hana|sat

| hini|sat

| hinə|sat

|}

5. 2. 2. 의문 대명사

의문 대명사는 생물('누구?')과 무생물('무엇?')에 대해 다른 형태를 가지며, 지시적('어떤?')과 비지시적을 구분한다.[1]

지시 대명사
rowspan="2" |단순특정
생물무생물생물무생물
근접{{lang|sat|nui|}
의문 대명사
생물무생물
지시적ɔkɔe|오코에satoka|오카sat
비지시적cele|첼레satcet'|쳇sat


5. 2. 3. 부정 대명사

부정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1]

부정 대명사
 생물무생물
'어떤'jãheã|어떤satjãhã|어떤sat
'어떤'adɔm|어떤satadɔmak|어떤sat
'다른'ɛʈakic|다른satɛʈakak|다른sat


5. 2. 4. 지시 대명사

산탈어의 지시 대명사는 근접(가까운 것), 중간(중간 거리), 원격(멀리 있는 것)의 세 가지 정도를 나타내며, 단순형('이것', '저것' 등)과 특정형('바로 이것', '바로 저것')으로 구분된다.[1]

지시 대명사
rowspan="2" |단순형특정형
생물무생물생물무생물
근접nui|누이satnoa|노아satnii|니이satniə|니어sat
중간uni|우니satona|오나satini|이니satinə|이너sat
원격həni|허니sathana|하나sathini|히니sathinə|히너sat


5. 3. 수사

기본 서수(라틴 문자로 표기된 IPA)는 다음과 같다.[21]

1234567891020100
ᱢᱤᱫ|mit'satᱵᱟᱨ|barsatᱯᱮ|pɛsatᱯᱩᱱ|ponsatᱢᱚᱬᱮ|mɔ̃ɽɛ̃satᱛᱩᱨᱩᱭ|turuisatᱮᱭᱟᱭ|ɛyaesatᱤᱨᱟᱹᱞ|irəlsatᱟᱨᱮ|arɛsatᱜᱮᱞ|gɛlsatᱤᱥᱤ|isisatᱥᱟᱭ|saesat



산탈어 숫자는 수량사와 함께 사용된다. 배수 접미사는 첫 번째 자음과 모음을 반복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babar''는 '각각 두 개'를 의미한다.

숫자는 기본적으로 10진법을 따른다. 11에서 19까지의 숫자는 'gel'(10)에 한 자릿수(1~9)를 더하여 형성된다. 10의 배수는 한 자릿수(2~9)에 'gel'(10)을 곱하여 형성된다. 일부 숫자는 20진법의 일부이기도 하다. 20은 "bar gel" 또는 "isi"가 될 수 있다.

30의 경우에는 (3 × 10)을 의미하는 pe gel 또는 (1 × 20 + 10)을 의미하는 (mit’) isi gel 과 같이 표현한다.

5. 4. 동사

산탈어 동사는 시제, 상, 법, 목소리, 그리고 주어와 때로는 목적어의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된다.[1]

5. 4. 1. 주어 표지

colspan="2" |단수이중복수
1인칭배타적-ɲ(iɲ)-liɲ-lɛ
포괄적-laŋ-bon
2인칭-m-ben-pɛ
3인칭-e-kin-ko


5. 4. 2. 목적어 표지

목적어가 대명사인 타동사는 접속 목적어 접미사를 취한다.

colspan="2" |단수이중복수
1인칭배타적-iɲ--liɲ--lɛ-
포함적-laŋ--bon-
2인칭-me--ben--pɛ-
3인칭-e--kin--ko-


6. 통사론

산탈어는 SOV 언어이지만, 주제는 앞으로 이동될 수 있다.[1]

7. 지리적 분포

산탈어 사용 지역별 분포 (색이 진할수록 사용 비율이 높음)


산탈어는 인도, 방글라데시, 부탄, 네팔 전역에서 7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이 중 인도는 산탈어의 원산지이자 가장 많은 화자가 있는 국가이다. 인도 외 지역에서는 방글라데시 북부의 랑푸르 지역과 라자샤히 지역, 그리고 네팔 코시 주의 테라이에 있는 모랑구와 자파구에서 사용된다.[13][14]

7. 1. 인도



산탈어는 인도, 방글라데시, 부탄, 네팔 전역에서 7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며, 인도가 원산지이자 가장 많은 화자가 있는 국가이다.[9]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에는 총 7,368,192명의 산탈어 화자가 있다 (카르말리 358,579명, 마흘리 26,399명 포함).[10][11]

인도 주별 산탈어 사용 분포[9]
비율 (%)
자르칸드주44.4
서벵골주33
오디샤주11.7
비하르주6.2
아삼주2.9
마하라슈트라주1.4
차티스가르주0.2
트리푸라주0.1
기타 주나머지



주별 분포는 자르칸드주 (275만 명), 서벵골주 (243만 명), 오디샤주 (86만 명), 비하르주 (46만 명), 아삼주 (21만 명)이며, 차티스가르주와 동북부 주인 트리푸라주, 아룬차르프라데시주, 미조람주에는 수천 명이 산다.[12]

산탈어 화자의 밀집 지역은 산탈 파르가나 지역과 자르칸드주의 이스트 싱브훔구 및 세라이켈라 크르사완구, 서벵골주의 잔갈마할 지역 (자르그람구, 방쿠라구, 푸룰리아구), 그리고 오디샤주의 마유르반주구이다.

산탈어 화자의 소규모 집단은 북부 초타 나그푸르 고원 (하자리바그구, 기리디구, 람가르구, 보카로구, 단바드구), 오디샤주의 발라소레구와 켄두자르구, 그리고 서부와 북부 서벵골주 전역 (비르붐구, 파스침 메디니푸르구, 후글리구, 파스침 바르다만구, 푸르바 바르다만구, 말다구, 닥신 디나주르구, 우타르 디나주르구, 잘파이구리구, 달제링구)과 비하르주의 반카구와 푸르니아 지역 (아라리아구, 카티하르구, 푸르니아구, 키샹간주구), 아삼주의 차밭 지역 (코크라자르구, 소닛푸르구, 치랑구, 우달구리구)에서 발견된다.[13]

7. 2. 방글라데시

সাঁওতালিbn 화자의 소규모 집단은 방글라데시 북부의 랑푸르 지역과 라자샤히 지역에서 발견된다.[13][14]

7. 3. 네팔



네팔은 산탈어가 사용되는 국가 중 하나이나, 해당 내용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인도 내 산탈어 사용 지역 분포에 대해서 다룬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도에는 총 7,368,192명의 산탈어 화자가 있다 (카르말리 358,579명, 마흘리 26,399명 포함).[10][11] 주별 산탈어 화자 분포는 다음과 같다.[12]

산탈어 화자 수
자르칸드주275만 명
서벵골주243만 명
오디샤주86만 명
비하르주46만 명
아삼주21만 명
차티스가르주, 트리푸라주, 아룬차르프라데시주, 미조람주수천 명



산탈어 화자는 산탈 파르가나 지역과 자르칸드주의 이스트 싱브훔구 및 세라이켈라 크르사완구, 서벵골주의 잔갈마할 지역 (자르그람구, 방쿠라구, 푸룰리아구), 그리고 오디샤주의 마유르반주구에 밀집해 있다.

소규모 산탈어 화자 집단은 북부 초타 나그푸르 고원 (하자리바그구, 기리디구, 람가르구, 보카로구, 단바드구), 오디샤주의 발라소레구와 켄두자르구, 그리고 서부와 북부 서벵골주 전역 (비르붐구, 파스침 메디니푸르구, 후글리구, 파스침 바르다만구, 푸르바 바르다만구, 말다구, 닥신 디나주르구, 우타르 디나주르구, 잘파이구리구, 달제링구), 비하르주의 반카구와 푸르니아 지역 (아라리아구, 카티하르구, 푸르니아구, 키샹간주구), 아삼주의 차밭 지역 (코크라자르구, 소닛푸르구, 치랑구, 우달구리구)에서 발견된다.

8. 공용어 지위

산탈어는 인도의 22개 공용어 가운데 하나이다.[15] 자르칸드주서벵골주에서 추가 공용어로 인정받고 있다.[16][17]

9. 방언

산탈어의 방언에는 카마리 산탈어, 콜레 산탈어, 로하리 산탈어, 마할리 산탈어, 만지 산탈어, 파하리아 산탈어가 있다.[18][19]

10. 다른 언어에 미친 영향

저명한 언어학자 쿠디람 다스(Khudiram Das)는 벵골어에 대한 산탈어의 영향에 초점을 맞춘 책인 ''산탈어-벵골어 동의어 사전(Santali Bangla Samashabda Abhidhan)'' (সাঁওতালি বাংলা সমশব্দ অভিধানbn)을 저술했으며, 이는 이 주제에 대한 추가 연구의 기초를 제공한다. 그가 저술하고 언어학자 수니티 쿠마르 차터지(Suniti Kumar Chatterji)에게 헌정한 벵골어와 산탈어의 관계에 관한 에세이 모음집인 '[http://professorkhudiramdas.com/files/ebooks/Bangla-santali-vasa-samporko-by-khudiram-das.pdf 벵골어-산탈어 언어 관계](Bangla Santali Bhasha Samparka)' (বাংলা সান্তালী ভাষা-সম্পর্কbn)는 전자책 형식으로 출판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2] 웹사이트 P and AR & e-Governance Dept. http://wbpar.gov.in/[...] 2021-01-10
[3] 웹사이트 Redirected http://www.ethnologu[...] 2019-11-19
[4] 웹사이트 Austroasiatic Studies: state of the art in 2018 https://www.academia[...] 2018-05-22
[5] 서적 Santhali, a Natural Language https://books.google[...] U. Hembram 2002
[6] 웹사이트 Ol Chiki (Ol Cemet', Ol, Santali) http://scriptsource.[...] 2015-03-19
[7] 웹사이트 Santali Localization http://www.andovar.c[...] 2015-03-19
[8] 웹사이트 Syllabus for UGC NET Santali, Dec 2013 http://www.ugcnetonl[...] 2020-01-04
[9] 웹사이트 C-16: Population by mother tongue, India - 2011 https://censusindia.[...]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10] 웹사이트 SCHEDULED LANGUAGES IN DESCENDING ORDER OF SPEAKERS' STRENGTH - 2011 http://censusindia.g[...] 2019-12-17
[11] 웹사이트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censusindia.g[...] 2019-12-17
[12] 웹사이트 PART-A: DISTRIBUTION OF THE 22 SCHEDULED LANGUAGES-INDIA/STATES/UNION TERRITORIES - 2011 CENSUS http://censusindia.g[...] 2019-12-17
[13] 웹사이트 Santhali https://www.ethnolog[...] 2020-01-04
[14] 뉴스 Santhali becomes India's first tribal language to get own Wikipedia edition https://www.hindusta[...] 2018-08-09
[15]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the 22 Scheduled Languages http://censusindia.g[...] Census of India 2013-05-20
[16] 뉴스 Second language https://www.indiatod[...] 2011-10-22
[17] 뉴스 West Bengal to have six more languages for official use https://www.indiatod[...] 2011-05-27
[18] 웹사이트 Glottolog 3.2 – Santali http://glottolog.org[...] 2018-02-26
[19] 웹사이트 Santali: Paharia language http://globalrecordi[...] 2018-02-26
[20] 서적 The Munda verb: typological perspectives Mouton de Gruyter
[21] 웹사이트 Santali https://web.archive.[...] The Department of Linguistics, Max Planck Institute (Leipzig, Germany)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