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파주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에서 파주를 잇는 고속국도 제17호선이다. 2004년 평택화성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18년 평택파주고속도로로 통합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나들목, 분기점, 터널 등이 있으며, 총 연장은 117.9km, 제한 속도는 100km/h이다. 2010년 기준 일일 교통량은 27,315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포시의 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군포시의 도로 - 경수대로
경수대로는 경기도 수원시에서 안양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경기대로와 직결되어 수도권 남부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에 수원종합운동장과 같은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광명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광명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오산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오산시의 도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는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과 화성시 안녕동을 잇는 총 연장 2.55km의 고속국도 제171호선으로, 서오산 분기점과 안녕 나들목을 연결하는 왕복 6차로의 도로이며, 수도권 서남부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평택파주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도로 종류 | 고속국도 |
노선 번호 | 17 |
노선 이름 | 평택파주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Pyeongtaek Paju Gosokdoro |
다른 이름 | 평택파주선 |
총 연장 | 117.9 km |
개통일 | 평택~화성 : 2009년 10월 29일 수원~광명 : 2016년 4월 29일 서울~문산 : 2020년 11월 7일 광명~서울 : 2027년 12월 (예정) |
기점 |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
종점 |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
방향 | 남북 |
주요 경유지 | |
주요 경유 도시 |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군포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파주시 |
주요 연결 도로 | |
주요 연결 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주요 연결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77호선 |
기타 연결 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관련 정보 | |
관리 회사 | 서울문산고속도로 (서울 ~ 파주 구간) |
2. 역사
2004년 1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에서 화성시 태안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16] 2005년 5월,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17][18] 2008년 1월 3일, 평택시 오성면 ~ 화성시 봉담읍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20]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은 분할되어 고속국도 제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오산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22] 같은 날, 수원시 ~ 서울특별시 금천구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수원광명고속도로(수원 ~ 광명선)로 지정되었다.[21]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는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기점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종점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23] 2009년 10월 29일,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구간(26.7 km)이 개통되었다.[24] 2011년 4월 29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착공되었다. 2013년 12월 10일, 봉담 요금소 철거와 봉담 나들목 전용 요금소 신설을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7]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의 통행료가 인하되었고,[32] 소하 나들목과 소하 분기점을 제외한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개통되었으며,[33] 봉담 요금소가 이설되었다.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소하 나들목과 소하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 ~ 파주선)로 통합되었다.[35]
2019년 7월, 남광명 분기점 ~ 88 분기점 구간(17.9 km)이 착공되었다. 2019년 8월 30일, 양감 나들목이 개통되었다.[38] 2020년 11월 7일, 본선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구간(32.9km)과 지선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구간(2.3km)이 개통되었다.[40][41] 2021년 4월 28일, 화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22년 2월 14일, 종점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에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로 변경되었다.[43] 2023년 2월 10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구간 일부가 본선에서 제외되고 지선 3으로 분할되었다.[44]
2. 1.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
2004년 1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에서 화성시 태안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지정하였다.[16] 2005년 5월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으며,[1] 2005년 6월 29일 서수원 ~ 오산 ~ 평택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었다.[17] 같은 날, 2009년까지 서수원 ~ 오산 ~ 평택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숙성리 ~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20.7 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8]2007년 10월 11일, 민원에 따른 설계 및 노선 변경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숙성리 ~ 화성시 안녕동 20.7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9] 2008년 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 화성시 봉담읍 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20][2]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을 분할해 고속국도 제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오산 ~ 화성선)로 지정하였다.[22]
2009년 10월 29일,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26.7 km 구간이 개통되었으며,[24][4]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오성 나들목부터 봉담 나들목까지 26.69 km 구간을 평택화성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25] 2013년 12월 10일, 서수원 ~ 오산 ~ 평택 구간 2단계 확장 건설 및 통합운영 체계구축 방침에 따라 봉담 요금소 철거와 봉담 나들목 전용 요금소 신설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 정남면 보통리 4.29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7]
2014년 7월 22일, 양감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정문리 ~ 송산리 1.9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고,[28] 2019년 8월 30일 개통되었다.[38]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 km 당 통행료가 200 ~ 600원 인하되었다.[32]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를 합쳐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 ~ 파주선)로 지정되었다.[35][6] 2021년 4월 28일에는 화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 2. 수원광명고속도로 구간
2008년 1월 3일 경기도 수원시 ~ 서울특별시 금천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수원광명고속도로(수원 ~ 광명선)로 지정하였다.[21]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의 명칭을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변경하고, 기점을 '경기도 수원시'에서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으로, 종점을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하였다.[23]2011년 3월 21일 수원 ~ 광명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 광명시 소하동 27.38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하였다.[26] 2011년 4월 29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27.38 km 구간 착공하였다.
2014년 9월 3일 2016년 4월 28일까지 소하 나들목 구조 변경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 광명시 소하동 31.0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되었다.[29]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 km 당 통행료 200 ~ 600원 인하,[32] 소하 나들목과 소하 분기점을 제외한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27.38 km 구간 개통,[33] 봉담 요금소 이설하였다.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소하 나들목과 소하 분기점 개통하였다.
2018년 4월 16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의 5개 요금소 통행료 인하했다.[37]
2. 3. 서울문산고속도로 구간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의 명칭을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변경하고, 기점을 '경기도 수원시'에서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으로, 종점을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하였다.[23] 2015년 8월 7일 서울 ~ 문산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었고,[31] 2015년 10월 30일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35.6 km 구간이 착공되었다.[31]2020년 11월 7일, 본선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32.9km 구간과 지선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2.3km 구간이 개통되었다.[40][41]
2. 4.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합 이후
2004년 1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에서 화성시 태안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16] 2005년 5월,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17][18] 2008년 1월 3일, 평택시 오성면 ~ 화성시 봉담읍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20]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은 분할되어 고속국도 제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오산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22] 같은 날, 수원시 ~ 서울특별시 금천구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수원광명고속도로(수원 ~ 광명선)로 지정되었다.[21]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는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기점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종점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23] 2009년 10월 29일,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구간(26.7 km)이 개통되었다.[24] 2011년 4월 29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착공되었다. 2013년 12월 10일, 봉담 요금소 철거와 봉담 나들목 전용 요금소 신설을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7]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의 통행료가 인하되었고,[32] 소하 나들목과 소하 분기점을 제외한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개통되었으며,[33] 봉담 요금소가 이설되었다.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소하 나들목과 소하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 ~ 파주선)로 통합되었다.[35]
2019년 7월, 남광명 분기점 ~ 88 분기점 구간(17.9 km)이 착공되었다. 2019년 8월 30일, 양감 나들목이 개통되었다.[38] 2020년 11월 7일, 본선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구간(32.9km)과 지선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구간(2.3km)이 개통되었다.[40][41] 2021년 4월 28일, 화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22년 2월 14일, 종점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에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로 변경되었다.[43] 2023년 2월 10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구간 일부가 본선에서 제외되고 지선 3으로 분할되었다.[44]
3. 구성
- 차로 수
산단 나들목 ~ 내포 나들목 구간은 왕복 2차로이다. 서오산 분기점 ~ 남군포 나들목(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지방도 제309호선 중첩 구간 포함),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북로 분기점 ~ 봉대산 분기점,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북고양·설문 나들목 ~ 산단 나들목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오성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남군포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88 분기점 ~ 북로 분기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중첩 구간), 봉대산 분기점 ~ 북고양·설문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를 활용하는 LCS(Lane Control System)가 있다.
- 총 연장
117.9km
-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 100 km/h, 최저 속도 50 km/h로 제한된다.
3. 1. 차로 수
산단 나들목 ~ 내포 나들목 구간은 왕복 2차로이다. 서오산 분기점 ~ 남군포 나들목(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지방도 제309호선 중첩 구간 포함),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북로 분기점 ~ 봉대산 분기점,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북고양·설문 나들목 ~ 산단 나들목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오성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남군포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88 분기점 ~ 북로 분기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중첩 구간), 봉대산 분기점 ~ 북고양·설문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를 활용하는 LCS(Lane Control System)가 있다.3. 2. 총 연장
117.9km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 100 km/h, 최저 속도 50 km/h로 제한된다.4. 주요 시설물
거리
거리
지방도 제315호선 (만년로)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평택방향 직진 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직결
지방도 제322호선 (세자로)
국도 제43호선 (삼천병마로)
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
50호선 영동고속도로
(제3경인고속화도로)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광명로
분기점 기능 병행
방화대로
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사리현로
책향기로
국도 제1호선(통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