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택파주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에서 파주를 잇는 고속국도 제17호선이다. 2004년 평택화성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18년 평택파주고속도로로 통합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나들목, 분기점, 터널 등이 있으며, 총 연장은 117.9km, 제한 속도는 100km/h이다. 2010년 기준 일일 교통량은 27,315대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포시의 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수도권 지역을 순환하는 총연장 128.02km의 고속도로로, 1988년 건설을 시작하여 단계적인 확장과 노선 변경을 거쳐 2007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일부 민자 구간은 개방식 요금소를 통해 통행료를 징수하고 경기순환버스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다.
  • 군포시의 도로 - 경수대로
    경수대로는 경기도 수원시에서 안양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도로로, 경기대로와 직결되어 수도권 남부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변에 수원종합운동장과 같은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광명시의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광명시의 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광역시에서 성남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46.75km의 제2경인고속도로는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과 수도권 남부를 잇는 중요한 교통축이나, 대형 사고와 교통 정체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 오산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오산시의 도로 - 오산화성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는 경기도 오산시 서랑동과 화성시 안녕동을 잇는 총 연장 2.55km의 고속국도 제171호선으로, 서오산 분기점과 안녕 나들목을 연결하는 왕복 6차로의 도로이며, 수도권 서남부 지역 교통난 해소를 위해 건설되었다.
평택파주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도로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17
노선 이름평택파주고속도로
로마자 표기Pyeongtaek Paju Gosokdoro
다른 이름평택파주선
총 연장117.9 km
개통일평택~화성 : 2009년 10월 29일
수원~광명 : 2016년 4월 29일
서울~문산 : 2020년 11월 7일
광명~서울 : 2027년 12월 (예정)
기점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종점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방향남북
주요 경유지
주요 경유 도시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안산시
경기도 군포시
경기도 광명시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파주시
주요 연결 도로
주요 연결 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주요 연결 국도국도 제1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77호선
기타 연결 도로제3경인고속화도로
관련 정보
관리 회사서울문산고속도로 (서울 ~ 파주 구간)

2. 역사

2004년 1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에서 화성시 태안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16] 2005년 5월,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17][18] 2008년 1월 3일, 평택시 오성면 ~ 화성시 봉담읍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20]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은 분할되어 고속국도 제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오산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22] 같은 날, 수원시 ~ 서울특별시 금천구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수원광명고속도로(수원 ~ 광명선)로 지정되었다.[21]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는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기점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종점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23] 2009년 10월 29일,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구간(26.7 km)이 개통되었다.[24] 2011년 4월 29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착공되었다. 2013년 12월 10일, 봉담 요금소 철거와 봉담 나들목 전용 요금소 신설을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7]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의 통행료가 인하되었고,[32] 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을 제외한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개통되었으며,[33] 봉담 요금소가 이설되었다.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 ~ 파주선)로 통합되었다.[35]

2019년 7월, 남광명 분기점 ~ 88 분기점 구간(17.9 km)이 착공되었다. 2019년 8월 30일, 양감 나들목이 개통되었다.[38] 2020년 11월 7일, 본선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구간(32.9km)과 지선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구간(2.3km)이 개통되었다.[40][41] 2021년 4월 28일, 화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22년 2월 14일, 종점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에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로 변경되었다.[43] 2023년 2월 10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구간 일부가 본선에서 제외되고 지선 3으로 분할되었다.[44]

2. 1.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

2004년 1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에서 화성시 태안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지정하였다.[16] 2005년 5월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으며,[1] 2005년 6월 29일 서수원 ~ 오산 ~ 평택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었다.[17] 같은 날, 2009년까지 서수원 ~ 오산 ~ 평택 고속도로 건설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숙성리 ~ 화성시 태안읍 안녕리 20.7 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8]

2007년 10월 11일, 민원에 따른 설계 및 노선 변경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숙성리 ~ 화성시 안녕동 20.7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19] 2008년 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 화성시 봉담읍 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20][2]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을 분할해 고속국도 제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오산 ~ 화성선)로 지정하였다.[22]

2009년 10월 29일,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26.7 km 구간이 개통되었으며,[24][4] 2010년 12월 28일 도로명주소에 오성 나들목부터 봉담 나들목까지 26.69 km 구간을 평택화성고속도로로 고시하였다.[25] 2013년 12월 10일, 서수원 ~ 오산 ~ 평택 구간 2단계 확장 건설 및 통합운영 체계구축 방침에 따라 봉담 요금소 철거와 봉담 나들목 전용 요금소 신설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 정남면 보통리 4.29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7]

2014년 7월 22일, 양감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정문리 ~ 송산리 1.9 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고,[28] 2019년 8월 30일 개통되었다.[38]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 km 당 통행료가 200 ~ 600원 인하되었다.[32]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를 합쳐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 ~ 파주선)로 지정되었다.[35][6] 2021년 4월 28일에는 화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 2. 수원광명고속도로 구간

2008년 1월 3일 경기도 수원시 ~ 서울특별시 금천구 구간을 고속국도 제17호선 수원광명고속도로(수원 ~ 광명선)로 지정하였다.[21]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의 명칭을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변경하고, 기점을 '경기도 수원시'에서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으로, 종점을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하였다.[23]

2011년 3월 21일 수원 ~ 광명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수영리 ~ 광명시 소하동 27.38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하였다.[26] 2011년 4월 29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27.38 km 구간 착공하였다.

2014년 9월 3일 2016년 4월 28일까지 소하 나들목 구조 변경을 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동화리 ~ 광명시 소하동 31.0 km 구간 도로구역 변경되었다.[29]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 km 당 통행료 200 ~ 600원 인하,[32] 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을 제외한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27.38 km 구간 개통,[33] 봉담 요금소 이설하였다.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개통하였다.

2018년 4월 16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의 5개 요금소 통행료 인하했다.[37]

2. 3. 서울문산고속도로 구간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의 명칭을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변경하고, 기점을 '경기도 수원시'에서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으로, 종점을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하였다.[23] 2015년 8월 7일 서울 ~ 문산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이 승인되었고,[31] 2015년 10월 30일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35.6 km 구간이 착공되었다.[31]

2020년 11월 7일, 본선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32.9km 구간과 지선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2.3km 구간이 개통되었다.[40][41]

2. 4. 평택파주고속도로 통합 이후

2004년 11월 3일,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에서 화성시 태안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16] 2005년 5월,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이 착공되었다.[17][18] 2008년 1월 3일, 평택시 오성면 ~ 화성시 봉담읍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 ~ 화성선)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20]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은 분할되어 고속국도 제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오산 ~ 화성선)로 지정되었다.[22] 같은 날, 수원시 ~ 서울특별시 금천구 구간은 고속국도 제17호선 수원광명고속도로(수원 ~ 광명선)로 지정되었다.[21]

2008년 11월 17일, 수원광명고속도로는 수원문산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기점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종점은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으로 변경되었다.[23] 2009년 10월 29일, 오성 나들목 ~ 봉담 나들목 구간(26.7 km)이 개통되었다.[24] 2011년 4월 29일,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착공되었다. 2013년 12월 10일, 봉담 요금소 철거와 봉담 나들목 전용 요금소 신설을 위해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7]

2016년 4월 29일, 평택화성고속도로 구간의 통행료가 인하되었고,[32] 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을 제외한 봉담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구간(27.38 km)이 개통되었으며,[33] 봉담 요금소가 이설되었다. 2016년 7월 3일, 강남순환로 개통과 함께 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18년 1월 12일,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는 고속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 ~ 파주선)로 통합되었다.[35]

2019년 7월, 남광명 분기점 ~ 88 분기점 구간(17.9 km)이 착공되었다. 2019년 8월 30일, 양감 나들목이 개통되었다.[38] 2020년 11월 7일, 본선 행주산성 분기점 ~ 내포 나들목 구간(32.9km)과 지선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구간(2.3km)이 개통되었다.[40][41] 2021년 4월 28일, 화성 분기점이 개통되었다. 2022년 2월 14일, 종점이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내포리에서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로 변경되었다.[43] 2023년 2월 10일,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구간 일부가 본선에서 제외되고 지선 3으로 분할되었다.[44]

3. 구성


  • 차로 수


산단 나들목 ~ 내포 나들목 구간은 왕복 2차로이다. 서오산 분기점 ~ 남군포 나들목(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지방도 제309호선 중첩 구간 포함),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북로 분기점 ~ 봉대산 분기점,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북고양·설문 나들목 ~ 산단 나들목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오성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남군포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88 분기점 ~ 북로 분기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중첩 구간), 봉대산 분기점 ~ 북고양·설문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를 활용하는 LCS(Lane Control System)가 있다.

  • 총 연장


117.9km

  •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 100 km/h, 최저 속도 50 km/h로 제한된다.

3. 1. 차로 수

산단 나들목 ~ 내포 나들목 구간은 왕복 2차로이다. 서오산 분기점 ~ 남군포 나들목(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지방도 제309호선 중첩 구간 포함), 남광명 분기점 ~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소하 분기점, 북로 분기점 ~ 봉대산 분기점, 남고양 나들목 ~ 봉대산 분기점, 북고양·설문 나들목 ~ 산단 나들목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오성 나들목 ~ 서오산 분기점, 남군포 나들목 ~ 남광명 분기점, 88 분기점 ~ 북로 분기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중첩 구간), 봉대산 분기점 ~ 북고양·설문 나들목 구간은 왕복 6차로이다. 일부 혼잡 구간에서는 시간대에 따라 차로를 활용하는 LCS(Lane Control System)가 있다.

3. 2. 총 연장

117.9km

3. 3. 제한 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 100 km/h, 최저 속도 50 km/h로 제한된다.

4. 주요 시설물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직결1오성Oseong-0.00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경기도평택시2평택 분기점Pyeongtaek JC1.661.66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3어연Eoyeon2.744.40지방도 제302호선 (청원로)TG북평택 요금소N.Pyeongtaek TG본선요금소5향남Hyangnam8.4112.81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발안로)
지방도 제315호선 (만년로)화성시6서오산 분기점W.Osan JC5.3418.15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오산시파주방향 직진 시 오산화성고속도로와 직결
평택방향 직진 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직결2정남Jeongnam2.7320.88지방도 제309호선 (세자로)
지방도 제322호선 (세자로)화성시1-1화성 분기점Hwaseong JC1.5422.42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1봉담Bongdam3.7826.20지방도 제309호선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국도 제43호선 (삼천병마로)
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1금곡Geumgok6.2932.4920px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수원시파주 방면 일방향2동안산·당수E.Ansan-Dangsu1.8034.29국도 제42호선 (수인로)안산시수원 방면 일방향3남군포S.Gunpo2.9537.24국도 제47호선
50호선 영동고속도로군포시4동시흥E.Siheung JC9.5146.75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시흥시5남광명S.Gwangmyeong JC2.3849.13남광명-소하 구간광명시가학Gahak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서독로미개통SA광명휴게소Gwangmyeong SA광명 Gwangmyeong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로미개통
분기점 기능 병행동부천E.Bucheon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여월로부천시미개통rowspan="2" |강서Gangseo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부천시도 제2호선 (봉오대로)
방화대로미개통서울특별시강서구888(방화대교)88 JCstyle="text-align: right;" |67.03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
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9북로 분기점Bungno JC1.6268.65국도 제77호선(자유로)경기도고양시10행주산성 분기점Haengjusanseong JC0.53style="text-align: right;" |권율대로1봉대산 분기점Bongdaesan JC1.90style="text-align: right;" |남고양 ~ 봉대산 구간2흥도Heungdo1.70style="text-align: right;" |권율대로TG고양 요금소Goyang TG본선요금소SA고양휴게소Goyang SA양방향3고양 분기점Goyang JC5.60style="text-align: right;"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4사리현Sarihyeon2.80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3호선 (성현로)
사리현로5북고양(설문)N.Goyang(Seolmun)5.55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98호선 (고봉로)
책향기로6금촌Geumchon3.55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3호선 (중앙로)
국도 제1호선(통일로)파주시7월롱Wollong5.30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0호선 (금월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파주구간 개통예정.


4. 1. 나들목 · 분기점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직결1오성Oseong-0.00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경기도평택시2평택 분기점Pyeongtaek JC1.661.66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3어연Eoyeon2.744.40지방도 제302호선 (청원로)TG북평택 요금소N.Pyeongtaek TG본선요금소5향남Hyangnam8.4112.81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발안로)
지방도 제315호선 (만년로)화성시6서오산 분기점W.Osan JC5.3418.15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오산시파주방향 직진 시 오산화성고속도로와 직결
평택방향 직진 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직결2정남Jeongnam2.7320.88지방도 제309호선 (세자로)
지방도 제322호선 (세자로)화성시1-1화성 분기점Hwaseong JC1.5422.42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1봉담Bongdam3.7826.20지방도 제309호선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
국도 제43호선 (삼천병마로)
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1금곡Geumgok6.2932.4920px 과천봉담도시고속화도로수원시파주 방면 일방향2동안산·당수E.Ansan-Dangsu1.8034.29국도 제42호선 (수인로)안산시수원 방면 일방향3남군포S.Gunpo2.9537.24국도 제47호선
50호선 영동고속도로군포시4동시흥E.Siheung JC9.5146.75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시흥시5남광명S.Gwangmyeong JC2.3849.13남광명-소하 구간광명시가학Gahak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서독로미개통SA광명휴게소Gwangmyeong SA광명 Gwangmyeong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로미개통
분기점 기능 병행동부천E.Bucheon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여월로부천시미개통rowspan="2" |강서Gangseo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부천시도 제2호선 (봉오대로)
방화대로미개통서울특별시강서구888(방화대교)88 JCstyle="text-align: right;" |67.03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
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9북로 분기점Bungno JC1.6268.65국도 제77호선(자유로)경기도고양시10행주산성 분기점Haengjusanseong JC0.53style="text-align: right;" |권율대로1봉대산 분기점Bongdaesan JC1.90style="text-align: right;" |남고양 ~ 봉대산 구간2흥도Heungdo1.70style="text-align: right;" |권율대로TG고양 요금소Goyang TG본선요금소SA고양휴게소Goyang SA양방향3고양 분기점Goyang JC5.60style="text-align: right;"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4사리현Sarihyeon2.80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3호선 (성현로)
사리현로5북고양(설문)N.Goyang(Seolmun)5.55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98호선 (고봉로)
책향기로6금촌Geumchon3.55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3호선 (중앙로)
국도 제1호선(통일로)파주시7월롱Wollong5.30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0호선 (금월로)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파주구간 개통예정.


4. 1. 1. 본선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직결1오성Oseong-0.00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경기도평택시2평택 분기점Pyeongtaek JC1.661.6640호선 평택제천고속도로3어연Eoyeon2.744.40지방도 제302호선 (청원로)TG북평택 요금소N.Pyeongtaek TG본선요금소4양감Yanggam4.809.20발안양감로화성시5향남Hyangnam3.6112.81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발안로)
지방도 제315호선 (만년로)6서오산 분기점W.Osan JC5.3418.15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
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오산시파주방향 직진 시 오산화성고속도로와 직결
평택방향 직진 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와 직결style="background-color: #ddddff;" |정남Jeongnam2.7320.88지방도 제309호선 (세자로)
지방도 제322호선 (세자로)화성시지방도 제309호선과 중첩style="background-color: #ddddff;" |화성 분기점Hwaseong JC1.5422.42400호선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지방도 제309호선과 중첩봉담Bongdam5.3226.20지방도 제309호선 (봉담과천로)
삼천병마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지방도 제309호선과 중첩
평택방향 진입과 파주방향 진출만 가능1금곡Geumgok6.2932.49지방도 제309호선 (봉담과천로)수원시파주방향 진입과 평택방향 진출만 가능2동안산·당수E.Ansan-Dangsu1.8034.29국도 제42호선 (수인로)파주방향 진입과 평택방향 진출만 가능안산시3남군포S.Gunpo2.9537.24국도 제47호선 (군포로)
번영로군포시4동시흥 분기점E.Siheung JC9.5146.75지방도 제330호선 (제3경인고속화도로)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시흥시시흥방향 진출 시 서해안고속도로 간접 연결5남광명 분기점S.Gwangmyeong JC2.3849.13남광명 ~ 성채/소하 구간광명시가학Gahak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서독로미개통SA광명휴게소Gwangmyeong SA광명 Gwangmyeong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
광명로미개통
분기점 기능 병행동부천E.Bucheon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여월로부천시미개통rowspan="2" |강서Gangseo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부천시도 제2호선 (봉오대로)
방화대로미개통서울특별시강서구style="background-color: #ddffdd;" |88 분기점88 JCstyle="text-align: right;" |67.03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서울특별시도 제88호선 (올림픽대로)
방화대로평택방향의 경우 올림픽대로(강동방향) 진출 불가능
파주방향의 경우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인천방향) 진출 불가능
평택방향 직진 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직결style="background-color: #ddffdd;" |북로 분기점Bungno JC1.6268.65130호선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국도 제77호선 (자유로)경기도고양시파주방향의 경우 자유로(파주방향) 진출 불가능행주산성 분기점Haengjusanseong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고양시도 제79호선 (권율대로)평택방향의 경우 권율대로(신원방향) 진출 불가능1봉대산 분기점Bongdaesan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남고양 ~ 봉대산 구간파주방향의 경우 남고양 ~ 봉대산 구간(고양방향) 진출 불가능2흥도Heungdo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고양시도 제79호선 (권율대로)평택방향 진입, 파주방향 진출 시 요금 지불TG고양 요금소Goyang TG본선요금소SA고양휴게소Goyang SA양방향3고양 분기점Goyang JC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100호선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4사리현Sarihyeon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사리현로5북고양(설문)N.Goyang(Seolmun)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지방도 제363호선 (고봉로)6금촌Geumchon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중앙로파주시평택방향 진입과 파주방향 진출만 가능7월롱Wollong지방도 제360호선(금월로)평택방향 진입과 파주방향 진출만 가능계획중 (주행 중 월롱~문산 지선과 직결)


4. 1. 2. 남광명 ~ 성채/소하 구간

남광명 분기점평택파주고속도로 본선 구간으로,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다. 번호는 5번이다.

남광명 요금소경기도 광명시에 있는 본선 요금소이다.

성채 나들목소하 나들목경기도 광명시에 있으며, 번호는 6번이다. 성채 나들목기아로, 하안로와 연결되며, 광명 방향 진입과 소하 방향 진출만 가능하다. 소하 나들목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 및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강남순환로)와 연결된다.

소하 분기점경기도 광명시에 있으며,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강남순환로)가 만난다. 단, 소하 방향에서 서해안고속도로 무안 방향 진출은 불가능하다.

이 구간은 서울특별시도 제94호선 (강남순환로)와 직결된다.

4. 1. 3. 남고양 ~ 봉대산 구간

남고양 나들목에서 봉대산 분기점까지의 구간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다. 남고양 나들목국도 제77호선 (자유로)과 연결되며, 봉대산 분기점에서는 본선 구간과 연결되나, 봉대산 방향에서 평택 방향 본선 진출은 불가능하다.

4. 1. 4. 산단 ~ 내포 구간

거리누적
거리접속 노선소재지비고8산단Sandan-0.00서영로
휴암로경기도파주시평택방향 진입과 파주방향 진출만 가능
본선요금소(나들목, 요금소 일체형)산단 요금소Sandan TG9내포Naepo2.702.70국도 제77호선 (자유로)
방촌로파주출판도시를 연결하는 회동길과 직결.국도 제77호선 (자유로)과 직결

4. 2. 터널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구봉산터널경기도 의왕시 초평동980m2016년파주 방면
965m평택 방면
수리산1터널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1,730m2016년파주 방면
1,749m평택 방면
수리산2터널경기도 군포시 속달동2,995m2016년파주 방면
2,998m평택 방면
수리산3터널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905m2016년파주 방면
908m평택 방면
봉대산터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강매동386m2020년파주 방면
376m평택방면
성라산터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흥도동250m2020년파주 방면
260m평택 방면
견달산터널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고봉동303m2020년파주 방면
308m평택 방면
금촌터널경기도 파주시 금촌1동386m2020년파주 방면
364m평택 방면
성채터널경기도 광명시 가학동3,310m2016년소하 방면
3,295m광명 방면


5. 주요 통과지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 청북읍) - 화성시 양감면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양감면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양감면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양감면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양감면 · 향남읍) - 평택시 서탄면 - 화성시 정남면 - 오산시 서랑동 - 화성시 (정남면 · 봉담읍 · 매송면) -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 · 금곡동 · 당수동) -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 군포시 (도마교동 · 부곡동 · 대야미동 · 속달동) -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 시흥시 (조남동 · 목감동 · 논곡동) - 광명시 (가학동 · ''노온사동 · 광명동 · 옥길동'') - ''부천시 소사구 옥길동''



''서울특별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경기도

6. 교통량

2010년 기준 교통량 정보에 따르면 26.6 km 전 구간 기준 12시간에 21,427대, 24시간에 27,315대가 통과한다.[45] 최고 통행량 지점은 정남 나들목에서 봉담 나들목까지의 5.8 km 구간으로, 24시간당 38,199대, 차로당 9,550대가 통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

24시간 교통량은 다음과 같다.

구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오성IC - 평택 분기점11,85927,27684,78986,890
평택 분기점 - 어연IC18,89334,22476,21180,127
어연IC - 양감IC23,12636,58878,64586,520
양감IC - 향남IC81,68989,902
향남IC - 서우산 분기점31,29853,72696,550103,698
서우산 분기점 - 정남IC26,61850,51687,147103,644
정남IC - 화성 분기점38,19953,03294,665115,481
화성 분기점 - 봉담IC101,137
봉담IC - 김포IC미개통미개통43,01246,007
김포IC - 동안산·당수IC68,19470,535
동안산·당수IC - 남군포IC83,74985,172
남군포IC - 동시흥 분기점87,73991,556
동시흥 분기점 - 소하IC55,30262,037
colspan="5" |
북로 분기점 - 봉대산 분기점미개통미개통미개통42,932
남고양IC - 봉대산 분기점8,062
봉대산 분기점 - 흥도IC50,994
흥도IC - 고양 분기점65,283
고양 분기점 - 사리현IC91,511
사리현IC - 북고양(설문)IC84,008
북고양(설문)IC - 김촌IC59,087
김촌IC - 월롱IC29,991
월롱IC - 산단IC20,032
산단IC - 내포IC10,063


참조

[1] 법령 대통령령 제1857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4-11-03
[2] 법령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gwanbo.mois.g[...] 2008-01-03
[3] 법령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gwanbo.mois.g[...] 2008-11-17
[4]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920호 http://gwanbo.mois.g[...] 2009-10-28
[5]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595호 http://gwanbo.mois.g[...] 2016-04-29
[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8호 http://gwanbo.mois.g[...] 2018-01-12
[7] 보도자료 보도자료 http://www.molit.go.[...]
[8] 뉴스 https://news.mtn.co.[...]
[9] 뉴스 서울~문산 고속道 공사 정부측 대안 수용만 남아 http://www.kgnews.co[...] 경기신문 2013-12-16
[10] 뉴스 서울~문산 고속도로 35.6km 2012년 착공 (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7-20
[11] 뉴스 광명~서울고속도로 공사방식, 지하화vs지상화 '팽팽'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7-02-23
[12] 뉴스 5월부터 착공 들어가는 광명~서울고속도로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8-02-22
[13] 뉴스 '싱크홀 우려'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로 장기표류 우려 http://www.newspim.c[...] 뉴스핌 2018-11-09
[14] 뉴스 19조 민자사업 '속도전'..광명-서울 고속도로 연내 첫삽(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9-03-13
[15] 뉴스 논란의 광명서울고속도로, 드디어 '착공' https://www.paxnetne[...] 뉴스핌 2019-07-12
[16] 법령 대통령령 제1857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4-11-03
[1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83호 http://gwanbo.mois.g[...] 2005-06-29
[1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182호 http://gwanbo.mois.g[...] 2005-06-29
[1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421호 http://gwanbo.mois.g[...] 2007-10-11
[20] 기타 서오산 분기점 ~ 안녕 나들목 구간은 171호선 오산화성고속도로로 분리
[21] 법령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gwanbo.mois.g[...] 2008-01-03
[22] 법령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23] 법령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gwanbo.mois.g[...] 2008-11-17
[24]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09-920호 http://gwanbo.mois.g[...] 2009-10-28
[25]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26]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89호 http://gwanbo.mois.g[...] 2011-03-21
[27]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768호 http://gwanbo.mois.g[...] 2013-12-10
[2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443호 http://gwanbo.mois.g[...] 2014-07-22
[2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4-518호 http://gwanbo.mois.g[...] 2014-09-03
[30]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3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564호 http://gwanbo.mois.g[...] 2015-08-07
[3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599호 http://gwanbo.mois.g[...] 2016-04-29
[33]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6-595호 http://gwanbo.mois.g[...] 2016-04-29
[34] 간행물 행정자치부고시 제2017-21호 http://gwanbo.mois.g[...] 2017-07-14
[3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8호 http://gwanbo.mois.g[...] 2018-01-12
[3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112호 http://gwanbo.mois.g[...] 2018-02-20
[37]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8-440호 http://gwanbo.mois.g[...] 2018-04-13
[38]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9-1210호 http://gwanbo.mois.g[...] 2019-08-30
[3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347호 http://gwanbo.mois.g[...] 2020-04-29
[40] 뉴스 '서울∼문산 고속도로' 내달 7일 0시 개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10-07
[41]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408호 https://gwanbo.mois.[...] 2020-11-05
[4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1054호 https://gwanbo.mois.[...] 2020-12-28
[43]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2-65호 https://gwanbo.go.kr[...] 2022-02-14
[44] 웹인용 국토교통부고시 제2023-77호 http://www.molit.go.[...] 2023-08-06
[45] 웹사이트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http://www.road.re.k[...]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2011-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