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주시 시내버스는 파주시 관내 운수업체와 타 지역 운수업체들이 운행하며, 다양한 노선과 요금 체계를 갖추고 있다. 파주시 면허 업체로는 신성교통, 신성여객, 신일여객, 파주여객, 명성운수 등이 있으며, 서울, 고양, 동두천, 의정부, 양주 등 타 지역 면허 버스도 운행된다. 운임은 경기도 기준을 적용하며, 일반 시내, 일반좌석, 직행좌석, 광역급행버스 등 종류에 따라 요금이 다르다. 파주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는 도시형, 직행좌석, 광역급행버스, 맞춤형 노선이 운영되고 있으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통해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주시의 교통 -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7호선은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경기도 파주시까지 총 연장 405km에 걸쳐 6개 도를 연결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노선 변경에 따른 주민 불편과 일부 구간의 교통 혼잡 문제도 안고 있는 일반국도이다. - 파주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은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을 연결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역에서 양평군 용문역 또는 지평역까지 운행하는 약 120km 길이의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 급행 및 완행 열차가 운행되며 서울역,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 상봉역 등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파주시의 시내버스 | |
---|---|
지역별 버스 교통 정보 | |
지역 | 파주시 |
구분 | 시내버스 |
![]() | |
관리 기관 | 파주시청 교통정책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파주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고양시, 의정부시, 양주시, 부천시, 연천군 |
노선 수 | 71 |
인가 대수 | 419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사이트 | 파주 시내버스 정보 |
2. 운수업체
2. 1. 파주시 관내 운수업체
신성교통은 22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광역급행 1개, 직행좌석 9개, 일반좌석 12개를 보유하고 있다. 등록된 차량은 총 181대로, 광역급행 13대, 직행좌석 60대, 일반좌석 108대가 있다.[2] 신성여객은 9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모두 시내일반 노선이다. 등록된 차량은 9대이다.[2] 신일여객은 44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직행좌석 5개, 시내일반 39개를 보유하고 있다. 등록된 차량은 총 107대로, 직행좌석 23대, 시내일반 84대가 있다.[2] 파주여객은 2개의 광역급행 노선을 운영하며, 등록된 차량은 18대이다.[2] 명성운수는 직행좌석 노선 1개를 운영하며, 12대의 차량이 등록되어 있다.[2]2. 2. 타 지역 운수업체
파주시에는 파주시 면허 업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타 지역 운수업체들이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파주시와 인접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하며, 파주시민들의 광역 이동 편의를 제공한다.3. 운임
파주시에 다니는 시내버스의 요금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로 구분된다. 운임은 경기도를 기준으로 적용된다. 파주시 시내버스 요금은 연령 및 결제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파주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3. 1. 요금 체계
파주시에 다니는 시내버스의 요금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로 구분된다. 운임은 경기도를 기준으로 적용된다. 파주시 시내버스 요금은 연령 및 결제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3. 2. 환승 할인
파주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4. 운행 노선
4. 1. 도시형버스
파주시 도시형버스는 파주시 면허의 업체들이 주로 운행하며, 파주시 내륙 지역과 일산, 김포공항, 불광동 등 인접 지역을 연결한다.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3 | 신성교통 | 금촌 | ↔ | 일산1동 | 봉일천, 상지석동, 운정역, 중산지구 | 140~160 | |
9 | 신성교통 | 금촌 | ↔ | 양지마을 | 금촌로타리, 금촌역, 팜스프링아파트, 문산제일고, 하이마트물류센터, LG디스플레이 | 40~70 | |
10 | 신일여객 | 갈곡리 | ↔ | 대화역 | 법원읍, 광탄, 뇌조리, 금촌역, 금촌주공, 가람마을, 운정고, 한빛마을, 하이파크시티 | 30~45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11 | 신일여객 | 갈곡리 | ↔ | 문산터미널 | 법원읍, 가야리, 선유리, 문산역 | 25~30 | |
11-1 | 신일여객 | 문산터미널 | ↔ | 두포리 | 문산역, 두산위브A, 선유리, 방미, 용산골 | 70~270 | |
11-1-1 | 신일여객 | 문산터미널 | ↔ | 파평면 행정복지센터 | 문산역, 두산위브A, 선유리, 방미, 용산골, 두포리 | 4회 | |
11-2 | 신일여객 | 갈곡리 문산터미널 | ↔ | 금촌의료원 | 법원읍, 문산역, 문산수억고, 현인농원, 주내삼거리, 부곡교, 주월교, 도내리, 금강산랜드, 월롱역, 파주여고, 금촌역, 금촌택지지구 | 1회(06:05) | 금촌행 당동지구 경유 갈곡리 행 파주공고 경유 7시 50분 이후에는 021번이 운행 |
11-3 | 신일여객 | 갈곡리 | ↔ | 문산터미널 | 법원읍, 동문리, 선유리, 문산역 | 8회 | 11번 차량으로 운행 |
12 | 신일여객 | 갈곡리 | ↔ | 문산터미널 | 법원읍, 대능리, 파주리, 문산수억고, 문산역 | 25~30 | |
17 | 신일여객 | 서영대학교 | ↔ | 불광역 | 월롱역, 금촌역, 봉일천시장, 내유동, 관산동, 서울시립승화원, 신원중학교, 구파발역, 연신내역 | 30~85 | |
19 19-1 | 신일여객 | 갈곡리 | ↔ | 어둔리 | 법원읍, 대능리, 삼방리 | 4회 | 현대 쏠라티로 운행. |
갈곡리 | ↔ | 직천리 | 오현리 | ||||
22 | 신일여객 | 문산역 | ↔ | 선유리 | 문산터미널, 문산사거리, 선유3리, 문산동초등학교 | 35~140 | |
22-1 | 신일여객 | 문산역 | ↔ | 삼박골 | 선유리, 이천리, 동문리, 웅담리 | 6회 | |
23 | 신일여객 | 선유중학교 | ↔ | 당동리(한양수자인리버팰리스) | 문산동초교, 선유두산위브, 십자약국, 휴먼시아3차.CGV.하이마트, 자연앤5단지 | 15~60 | |
30 | 신일여객 | 적성 | ↔ | 불광역 | 법원읍, 파주읍, 파주역, 월롱역, 봉일천시장, 내유동, 관산동, 서울시립승화원, 신원중학교, 구파발역, 연신내역 | 20~30 | |
31 | 신일여객 | 광탄 | ↔ | 불광역 | 봉일천시장, 내유동, 관산동, 서울시립승화원, 신원중학교, 구파발역, 연신내역 | 30~45 | |
37 | 신일여객 | 광탄(신산리) | ↔ | 기산리 | 마장리, 영장삼거리 | 120~130 | 2회 안고령 경유 2회 보광사 경유 |
37-1 | 신일여객 | 광탄(신산리) | ↔ | 가산리 | 광탄시장, 라메르아파트.광탄현대병원, 신애유치원, 광탄순복음교회, 시몬의집, 우렁골, 마장교, 마장삼거리, 성운슈퍼, 마장3리/유일레져, 제연낚시터, 화인하우스, 마장4리 | 2회 | 2회 안고령 경유 |
37-2 | 신일여객 | 광탄(신산리) | ↔ | 영장리 | 광탄시장, 라메르아파트.광탄현대병원, 신애유치원, 광탄순복음교회, 시몬의집, 우렁골, 마장교, 마장삼거리, 성운슈퍼, 마장3리/유일레져, 제연낚시터, 화인하우스, 마장4리 | 2회 | 2회 보광사 경유 |
52 | 신성교통 | 운정신도시 | ↔ | 관산동 | 산내마을6·8단지, 가람마을, 운정역, 성석동, 고봉초교 | 100~120 | |
56 | 신성교통 | 교하동 | ↔ | 김포국제공항 | 산내마을, 한길육교, 운정고, 한빛마을, 일산가구공단, 대화역, 일산동구청, 백석역, 대곡역, 개화역 | 20~28 | |
70 | 신성교통 | 교하동 | ↔ | 중산지구 | 교하지구, 덕이동, 대화역, 주엽역, 중산지구 | 18~25 | |
70-1 | 신성교통 | 교하동 | ↔ | 대화역 | 오도리, 산내마을1.6.7단지, 산내마을3단지, 초롱꽃마을7.10.12.13단지, 삽다리, 덕이동, 대화역 → 이후 역순 | 12~18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80 | 서울여객 | 교하동 | ↔ | 백석역 | 교하지구, 운정역, 운정고, 한울마을, 일산가구공단, 대화역, 일산동구청 | 15~25 | |
90 | 신성교통 | 맥금동 | ↔ | 백석역 | 금촌역, 봉일천시장, 능안리, 대원3리, 중산지구, 정발산역 | 15~25 | |
92 | 신일여객 | 적성 | ↔ | 강선마을 | 장파리, 선유리, 문산타워, 금촌역, 금촌중고교, 운정행복센터, 고양종합운동장, 대화역, 주엽역 | 30~35 | 3회 자장리 경유 |
92-1 | 신일여객 | 적성 | ↔ | 주엽동(강선마을) | 1회 | 92번 차량으로 운행 | |
95 | 신일여객 | 문산터미널 | ↔ | 전곡터미널 | 선유리, 장파리, 임진강폭포어장, 적성터미널, 어유중학교, 한탄강 | 90~120 | 주말, 휴일, 방학 1일 5회 운행 |
150 | 서울여객 | 맥금동 | ↔ | 김포국제공항 | 금촌역, 교하사거리, 가람마을, 한울마을, 삽다리사거리, 덕이동, 대화역, 일산동구청, 백석역, 능곡역, 개화역 | 14~22 | |
567 | 서울여객 | 맥금동 | ↔ |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 | 파주시청, 교하사거리, 가람마을, 운정행복센터, 야당역, 일산가구공단, 일산시장, 식사동, 고양시청, 원당역, 삼송역,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 27~45 | |
600 | 신성교통 | 갈곡리 | ↔ | 강선마을 | 법원읍, 파주읍, 파주역, 월롱역, 금촌역, 금촌주공단지, 가람마을, 야당역, 일산가구공단, 대화역, 주엽역 | 12~18 | |
900 | 서울여객 | 통일동산 | ↔ | 현대백화점 | 헤이리마을, 법흥리, 금촌역, 금촌주공, 가람마을, 한빛마을, 일산가구공단, 대화역 | 17~30 | |
922 | 신일여객 | 문산읍행정복지센터 | ↔ | 강선마을 | 문산역, 월롱역, 금촌역, 파주시청, 운정행복센터, 고양종합운동장, 대화역, 주엽역 | 30 |
4. 2. 직행좌석버스
(팜스프링아파트)(맥금동)
평일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