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포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포도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포도 품종으로, 11세기경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에 도착하기 전부터 야생에서 자생했다. 19세기에는 유럽으로 옮겨져 필록세라 진딧물을 옮기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콩코드 포도는 미국포도의 대표적인 품종으로, 붉은색, 백색, 분홍색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필록세라를 포함한 여러 포도 질병에 자연적인 저항력을 가진다. 미국 동부 해안을 따라 널리 분포하며, "폭시(foxy)"라고 불리는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다. 주요 품종으로는 콩코드, 카토바, 델라웨어, 나이아가라, 이자벨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도과 - 머루
    머루는 동아시아 북동부 자생의 낙엽성 덩굴식물로, 식용 열매와 와인 제조 활용, 공예품 제작, 한약재 사용, 관상 가치를 가지며, 최근 한국에서 와인 원료로 품종 개량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 포도과 - 담쟁이덩굴
    담쟁이덩굴은 흡반으로 벽이나 나무에 붙어 자라는 동아시아 원산의 낙엽성 덩굴식물로, 아름다운 단풍과 관상용 가치, 건축물 냉방 효과, 전통적인 약재 및 감미료 용도, 그리고 일본 가문의 문양으로도 활용된다.
  • 미국의 식물상 - 키와노
    키와노는 아프리카 원산의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타원형 열매로, 젤리 형태의 과육은 독특한 맛을 가지며, 식용, 관상용, 접목 대목으로 사용된다.
  • 미국의 식물상 - 페포호박
    페포호박은 다양한 아종과 재배종을 포함하는 호박의 일종으로, 멕시코와 미국의 야생종에서 유래했으며, 북아메리카에서 식용 등 다양한 용도로 고대부터 재배되어 왔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미국포도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학명Vitis labrusca L.
이명Vitis labrusca f. labrusca L.
Vitis labrusca var. labrusca L.
Vitis vinifera var. labrusca (L.) Kuntze
한국어 이름미국포도
영어 이름Fox Grape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포도목
포도과
포도속
보존 상태
TNC 상태G5
품종
주요 품종카토바 (부도)
아가왐
알렉산더 (포도)

2. 역사

콩코드 포도


와인 역사학자 에드워드 하이엄스와 와인 전문가 재니스 로빈슨에 따르면, ''Vitis labrusca''는 11세기경 노르웨이의 탐험가 레이프 에릭손이 북아메리카빈란드 해안에서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는 야생 포도 품종이다.[3][9] 유럽인들이 북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하기 오래전부터 이 포도가 자생했다는 증거는 충분하다. 하지만 이 포도 품종이 공식적으로 확인되고 기록된 것은 18세기 중반,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와 동료 학자들이 북아메리카의 포도 품종을 분류하기 시작하면서부터이다.[3][9]

19세기에 들어 ''Vitis labrusca''를 포함한 여러 아메리카 대륙 원산의 포도 품종들이 유럽으로 옮겨졌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메리카 포도나무 뿌리에 기생하던 해충인 필록세라도 함께 유럽으로 건너가게 되었다. 필록세라는 유럽 토착 포도 품종인 ''Vitis vinifera''에는 치명적인 해충이었기 때문에, 유럽 전역의 포도밭이 황폐화되는 대재앙을 겪게 되었다.[3][9]

같은 19세기에 미국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 살던 에프라임 웨일스 불은 야생 ''Vitis labrusca''의 씨앗을 심어 개량하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탄생한 품종이 바로 콩코드 포도이며, 이후 미국에서 중요한 농작물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3][9]

3. 특징



''Vitis labrusca'' 종의 포도 품종은 대부분 검붉은 열매를 맺지만, 나이아가라와 같은 백색 품종이나 카토바와 같은 분홍색 껍질을 가진 품종도 존재한다. 페놀 화합물 함량이 높아 특유의 강한 풍미를 내는 와인을 만들 수 있다.[3][7]

열매가 수확 시기에 가까워져 완전히 숙성하면 열매자루(열매 줄기)에서 쉽게 떨어진다. 또한, 두 손가락으로 열매를 가볍게 누르면 두꺼운 껍질이 과육과 쉽게 분리되어 덩어리 형태로 빠져나오는데, 이 때문에 "슬립스킨(slipskin)" 포도, 즉 '껍질이 벗겨지는 포도'라는 별칭을 얻었다. 수세는 약한 편이며 나무의 확산 범위는 작은 편이다. 잎은 크고 두꺼우며, 뒷면에는 갈색 또는 흰색 털이 빽빽하게 나 있어 다른 포도 품종과 구별되는 특징이 된다.[3][7]

''Vitis labrusca''는 여러 포도 질병에 대해 어느 정도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유럽 포도 품종과 비교했을 때 병충해에 대한 반응은 다음과 같다.

''Vitis labrusca''의 병충해 저항성 (유럽 포도 비교)[10]
병해충저항성 수준
흑두병강함
흰가루병강함
노균병약함
늦은 부패병약함
녹병유럽 포도보다 피해 심함
갈반병유럽 포도보다 피해 심함
포도 잎벌레유럽 포도보다 피해 심함



생리 장애로는 열매가 터지는 열과 현상은 비교적 적게 발생하지만, 포도송이가 너무 빽빽하게 달리면 발생할 수 있다. 축과병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붕소마그네슘 결핍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10]

필록세라를 포함한 여러 질병에 자연적인 저항력을 가지고 있지만, ''Vitis aestivalis'', ''Vitis rupestris'', ''Vitis berlandieri''와 같은 다른 북미 대륙 원산 포도 종에 비해서는 저항성이 높지 않다. 접목 친화성 또한 상대적으로 낮아 상업용 대목으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3][7]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명력이 강하여 일부 지역에서는 잡초침입종으로 간주되기도 한다.[3]

4. 분포 및 재배 지역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13], 주로 미국 동부에 분포한다.[13]

''Vitis labrusca''의 식물학적 특징


미국포도(''Vitis labrusca'')는 노바스코샤에서 조지아주까지 이어지는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과 미시시피강 서쪽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품종이다.[5][11] 미국포도 또는 이로부터 파생된 하이브리드 품종으로 와인을 생산하는 주요 미국 포도 재배 지역(AVA)은 다음과 같다:[5][11]

  • 어퍼 미시시피 밸리 AVA
  • 미시시피 델타 AVA
  • 오하이오강 밸리 AVA
  • 사우스이스턴 뉴잉글랜드 AVA
  • 레이크 이리 AVA
  • 뉴욕주, 버지니아주, 오하이오주, 미시간주 내 여러 AVA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는 비달 품종을 제외하고 미국포도 품종의 사용이 빈트너스 퀄리티 얼라이언스(VQA) 규정에 따라 제한된다.

유럽종 포도(Vitis vinifera)와 달리, 미국포도 품종 및 그 교잡종은 추운 겨울과 덥고 습한 여름이 특징인 북미 동부의 대륙성 기후에 잘 적응한다.[5][11] 다만, 미국 남동부의 높은 습도에서는 ''Vitis rotundifolia'' 품종만큼 잘 자라지는 못한다.[5] 반면, 유럽종 포도가 잘 자라는 미국 서부 지역의 경우, 생육기 동안의 건조한 기후 조건 때문에 미국포도 재배는 어렵다.[5][11]

5. "폭시(Foxy)" 향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포도 재배 전문가 A. J. 윙클러에 따르면, 유럽 포도 품종인 머스캣을 제외하면 ''Vitis labrusca'' 계열 포도 품종들이 와인용 포도 중에서 가장 뚜렷한 아로마를 지닌다고 한다. 이 독특한 향은 흔히 "폭시(foxy)"라고 불리는데, 이는 실제 동물 여우와는 관련이 없다. "폭시" 향은 콩코드 포도나 나이아가라 포도 같은 ''라브루스카'' 품종 및 이를 원료로 한 포도 주스 등에서 느낄 수 있는 독특하고 흙냄새가 나면서 달콤한 사향과 유사한 향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용어이다. 1920년대에 과학자들은 이 "폭시" 향을 유발하는 주요 향 화합물이 메틸 안트라닐레이트라는 것을 밝혀냈다.[5][11]

6. 주요 품종


  • 콩코드
  • 카토바
  • 델라웨어
  • 나이아가라
  • 이자벨라

참조

[1]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 서적 The Great Wine Grapes University of California-Davis 1977
[3] 서적 Vines, Grapes & Wines Mitchell Beazley 1986
[4] 웹사이트 Vitis labrusca L. fox grape http://plants.usda.g[...]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10-11
[5] 서적 General Viti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6] 웹사이트 Vitis labrusca http://www.tropicos.[...]
[7]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8] 서적 The Great Wine Grapes University of California-Davis 1977
[9] 서적 Vines,Grapes & Wines Mitchell Beazley 1986
[10] 서적 果樹園芸大百科 ブドウ (社)農山漁村文化協会 2000-02-25
[11] 서적 General Viticultur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4
[12] 웹인용 "''Vitis labrusca'' L." http://www.theplantl[...] 큐 왕립식물원 2012-03-26
[13] 웹인용 "''Vitis labrusca'' L." https://npgsweb.ars-[...] 미국 농무부 2011-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