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바르는 이슬람 사원인 모스크에서 이맘이 설교를 하고 기도를 인도하는 자리이다.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미흐랍 오른쪽에 위치하며 계단이 있는 작은 탑 형태를 갖는다. 민바르는 이슬람 종교와 정치적 권위의 상징으로, 무함마드 시대부터 칼리프들이 사용했으며, 금요일 설교를 통해 중요한 발표를 하는 데 사용되었다. 초기에는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이슬람 기하학 무늬와 아라베스크, 서예 등으로 장식되었고, 이후 대리석, 돌 등으로 제작되어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와 장식을 갖게 되었다. 메디나의 예언자 민바르는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선서의 장소로 여겨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민바르 | |
---|---|
개요 | |
![]() | |
유형 | 설교단 |
용도 | 모스크에서 하티브(설교자)가 설교 (쿠트바)를 하는 데 사용됨 |
관련 용어 | 미흐랍 쿠트바 하티브 |
상세 정보 | |
위치 | 모스크의 미흐랍 오른쪽에 위치 |
재료 | 나무 돌 벽돌 상아 보석 |
특징 | 계단이 있는 구조 보통 덮개가 있음 |
중요성 | 권위와 존경의 상징 하티브의 지위를 높여줌 |
역사적 배경 | |
기원 | 예멘의 아브라하가 교회에 세운 높은 의자에서 유래 |
발전 | 무함마드가 설교를 위해 야자수 그루터기를 사용한 것에서 발전 |
초기 형태 | 간단한 의자 형태 |
이후 형태 | 계단과 덮개가 있는 구조로 발전 |
건축적 특징 | |
재료 및 장식 | 다양한 재료 사용 (나무, 돌, 벽돌, 상아, 보석 등) 정교한 조각, 상감 세공, 서예 등으로 장식 |
스타일 | 지역 및 시대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 존재 |
예시 | 카이루안 대모스크의 민바르 (9세기, 티크 목재) 술탄 하산 모스크의 민바르 (14세기, 대리석) |
종교적 의미 | |
기능 | 하티브가 설교를 하는 장소 제공 이슬람 공동체에 중요한 메시지 전달 |
상징성 | 권위와 존경의 상징 하티브의 지위를 높여줌 |
기타 | |
추가 정보 | 민바르는 모스크에서 중요한 건축 요소 중 하나 이슬람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2. 어원
민바르(Minbar)라는 단어는 아랍어 어근 ن ب ر|n-b-rar("들어올리다, 높이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랍어 복수형은 '''마나비르'''(مَنابِر|manābirar)이다.[16]
이슬람 세계에서 최초로 기록된 민바르는 629년(또는 628년~631년)에 만들어진 메디나의 무함마드의 민바르이다.[2] [4] 이는 두 개의 계단과 좌석으로 구성되어 왕좌와 비슷했다.[2] 무함마드 사후 이 민바르는 그의 뒤를 이은 칼리파들에 의해 권위의 상징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우마이야 왕조 칼리파 무아위야 1세(재위 661-680년)는 무함마드의 원래 민바르의 계단 수를 세 개에서 여섯 개로 늘려 그 중요성을 높였다. 우마이야 시대에는 칼리프 또는 그 대표 주지사들이 민바르를 사용하여 중요한 공공 발표를 하고 금요일 설교(꾸뜨바)를 전달했다. 750년 멸망 직전 우마이야 왕조는 이집트의 모든 금요일 모스크에 민바르를 건설하도록 명령했고, 곧이어 이 관행은 다른 무슬림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750년 이후 초기 압바스 칼리파 시대가 되자 모든 무슬림 공동체의 금요일 모스크에서 표준이 되었다.[2][4]
민바르는 이맘이 설교를 하고 기도를 인도하는 자리이다. 미흐랍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계단이 있는 작은 탑 모양이다. 꼭대기에는 좌석이나 키오스크와 같은 구조물이 있다.[4][2] 계단 아래에는 종종 출입구나 포털이 있다. 많은 기독교 설교단과는 달리, 민바르로 이어지는 계단은 일반적으로 좌석과 같은 축에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4][2]
초기에는 주로 나무로 민바르를 만들었으며, 기하학 무늬, 아라베스크(식물과 꽃 모티브), 서예 비문 등으로 정교하게 장식했다.[4][5] 상감 작업에는 상아나 진주층을 사용하기도 했다. 나무 조각들을 맞물리는 기법과 나무못을 사용하여 접합했고, 접착제나 금속 못은 사용하지 않았다.[4][5]
3. 역사
따라서 민바르는 무슬림 당국의 정치적, 종교적 정통성의 상징으로 빠르게 발전했다. 이는 모스크의 유일한 주요 공식 가구 중 하나였으며, 그 자체로 중요한 건축적 특징이었다. 더 중요한 것은, 주목할 만하게, 일반적으로 공동체의 현 무슬림 통치자의 이름을 언급하고 종교적 또는 정치적 성격의 다른 공공 발표를 포함한 주간 금요일 설교의 배경이었다.[4][5] 결과적으로 후대의 무슬림 통치자들은 때때로 주요 도시의 주요 모스크를 위해 화려하게 장식된 민바르를 의뢰하는 데 상당한 비용을 투자했다.
오늘날까지 보존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이슬람 설교단은 튀니지 카이루안의 카이루안 대모스크의 민바르이다.[6][4] 이는 아글라브 왕조의 총독 아부 이브라힘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재임 중인 860년이나 862년경의 것으로, 전부 또는 일부가 바그다드에서 수입되었다. 이것은 300개 이상의 조각된 티크 나무(인도에서 수입된 재료) 조각으로 만들어진 11단 계단이다. 그 시대와 장식의 풍부함 덕분에 중요한 역사적 이슬람 예술 작품으로 여겨진다.[7][4]
타바리의 『세계사』에서는 설교단 설치가 무함마드 시대의 일이라고 한다. “이 해(628년)에 예언자는 민바르를 만들었고, 이 위에서 사람들에게 설교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2단과 자신을 위한 자리(maq'ad)를 만들었다. 다른 판본에서는 629년이라고도 하며, 이 또한 신뢰할 만하다.”[27] 초기 칼리파들도 마찬가지로 민바르를 사용했다. 초기에는 민바르가 왕좌, 세속 권력의 상징이었을 것이다.[28]
원래 모든 모스크에 민바르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이집트 지역 사학자 알킨디 알미스리(971년 사망)[29]는 10세기에 쿨라 이븐 샤리크 휘하에서 이루어진 푸스타트 대모스크의 확장 공사에 대한 기록에서 이 모스크에 민바르가 설치된 것은 히즈라력 94년(서기 712/713년)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알킨디 시대 이전에는 메디나 예언자의 민바르 다음으로 두 번째 민바르였다. “그(쿨라 이븐 샤리크)는 94년에 새로운 민바르를 설치했다. 오늘날까지 예언자의 민바르를 제외하고는 어떤 행정구역에도 민바르가 없었다고 한다.”[30]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 전해지는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따르면, 푸스타트에는 658-659년경에 이미 민바르가 존재했고,[31] 지방 행정관이 세속 영역에서 연설을 할 때 좌석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우마이야 칼리파 초대 칼리파 무아위야는 다마스쿠스에서 메카로 여행할 때 자신의 민바르를 함께 운반했다. 이것이 최초로 이동한 민바르였을 것이다. 메카의 도시 연대기 저술가 알아즈라키(865년 사망)에 따르면, 무아위야는 메카에서 금요일 설교를 민바르에서 한 최초의 인물이며, 이 민바르는 3단이었다고 한다. 안달루시아의 역사가에 따르면, 우마이야 칼리파 압드알라흐 2세의 민바르는 955-956년 코르도바 대모스크 완공 후의 것으로, 이동식이며 바퀴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32] 압바스 칼리파 (재위: 842-847년)은 하지(순례)의 세 가지 중요한 체류지인 메카, 미나, 아라파트 산에 민바르를 설치하도록 명령했다. 알아즈라키의 조사에 따르면 각 체류지에서 설교가 행해졌으므로, 순례 의례에서 예배에 이러한 민바르가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우마이야 칼리파 이후에도 민바르는 판사의 자리로 사용되었으며, 판사는 자신의 집 앞에 자신이 민바르를 설치하고 그곳에서 판결을 선고했다. 민바르의 이러한 사용은 10세기 카이루안에서도 증명할 수 있다. 공적·법적 업무 진행 수단으로서의 설교단은 모스크의 민바르와는 별개로 세속 영역에서의 판사의 사유물이었다.[33] 민바르가 모스크에서 순수한 예배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압바스 칼리파 시대부터였다. “모스크가 순수한 예배 건물로 발전함에 따라 민바르도 신정 국가의 통치자 왕좌에서 설교단으로 변화해 갔다.”[34]
이슬람 종교 건축의 일부로서 초기 형태의 민바르가 원래 모습 그대로 카이루안 대모스크에 보존되어 있다. 이것은 아글랍 왕조의 통치자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재료인 히말라야 삼나무는 그 목적으로 바그다드에서 직송되었다. 이 11단 설교단에는 후대 목재 민바르의 특징적인 요소인 문과 천장이 아직 없다. 장식 전체는 우마이야 양식이다.
예루살렘의 알아크사 모스크에서 볼 수 있듯이, 파티마 왕조에서는 이미 민바르의 최종 형태에 도달해 있었다. 1168년에 누르딘이 알레포 모스크를 위해 기증하고, 살라딘이 예루살렘까지 이를 운반했다. 이 민바르에는 이미 틀이 있는 문과 돔형 지붕이 갖춰져 있었다. 카이로의 술탄 하산 모스크와 마드라사의 민바르(현재는 석조)도 유사한 디자인이었다.
파티마 왕조의 틀 구조와 덩굴로 뒤덮인 양식을 가진 민바르 디자인의 또 다른 예가 상이집트의 쿠스(قوصar)의 아무르 모스크에 현존하고 있다. 여기서는 민바르와 미흐랍이 내부 건축의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파티마 왕조의 와지르이자 아스완과 쿠스의 주지사이기도 했던 Talāʾiʿ ibn Ruzzīq (طلائع بن رزيقar)이 1155년에 도시에 기증한 것이었다.[35]
4. 기능과 형태
일부 모스크에는 민바르 맞은편에 dikka라고 불리는 높은 플랫폼이 있는데, 이곳은 이맘의 조수인 무에진이 기도 중에 서 있는 곳이다. 무에진은 해당되는 경우 이맘의 기도에 대한 응답을 낭송한다.[3] 아랍어로는 dikkaar, 터키어로는 müezzin mahfiltr라고 한다.
5. 재료와 장식
마м루크 시대 카이로 등에서는 초기부터 돌이나 대리석으로 된 민바르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는 오스만 제국 시대에 돌이나 대리석 민바르가 널리 사용되었다. 초기 목재 민바르에 비해 돌 민바르는 장식이 더 간결한 경우가 많았다.[4][2]
아글랍 왕조의 통치자 이브라힘 2세에 의해 건설된 카이루완 대모스크에는 초기 형태의 민바르가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히말라야 삼나무로 만들어진 이 11단 민바르는 후대 목재 민바르와 달리 문과 천장이 없다. 장식은 우마이야 양식이다.
파티마 왕조 시대에는 예루살렘의 알아크사 모스크 민바르처럼 문과 돔형 지붕을 갖춘 최종 형태의 민바르가 나타났다. 1168년 누르딘이 알레포 모스크를 위해 기증하고 살라딘이 예루살렘으로 옮긴 이 민바르는 틀이 있는 문과 돔형 지붕을 갖추고 있었다. 카이로의 술탄 하산 모스크 민바르(현재는 석조)도 유사한 디자인이었다.
상이집트 쿠스(قوص|쿠스ar)의 아무르 모스크에는 파티마 왕조의 틀 구조와 덩굴 무늬 양식을 가진 민바르가 현존한다. 이 민바르는 미흐랍과 함께 내부 건축의 한 단위를 이루며, 1155년 파티마 왕조의 와지르이자 아스완과 쿠스의 주지사였던 Talāʾiʿ ibn Ruzzīq (طلائع بن رزيق|탈라이 이븐 루지크ar)이 기증했다.[35]
5. 1. 지역별 특징
6. 상징적 의미
민바르는 이슬람교에서 종교적 권위와 정치적 정당성을 상징한다. 초기 이슬람 시대에는 이슬람의 예언자 무함마드와 그 뒤를 이은 칼리파들만이 민바르를 사용할 수 있었는데, 이는 그들이 이슬람 공동체 전체의 종교 지도자(이맘)였기 때문이다.[1]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금요 예배 모스크(주마 모스크)에 민바르가 설치되었고, 현지 이맘이 사용하게 되었지만, 민바르는 여전히 권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4][2]
메디나에 있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민바르는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다. 이 민바르 아래에서 이루어지는 선서는 특별한 효력을 가진다고 여겨졌다. 하디스(예언자의 언행록)에 따르면, "나의 설교단(민바르)에서 위증을 한 자는 지옥의 불에 타 죽으리라."라고 전해진다.[36] 이슬람 법학에서는 예언자의 민바르를 법의 "조정의 자리"(مقطع الحقوق|마크타 알 후쿠크ar)로 여겼다.[40]
9세기 이슬람 법학에서는 일반 모스크의 민바르 아래에서의 선서는 효력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정주민과 유목민 사이의 사회적 차별을 야기했을 가능성이 있다.[42]
메디나의 예언자 민바르는 신성한 장소로 여겨져 옮겨질 수 없었다.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파들은 예언자의 민바르를 다마스쿠스로 옮기려 했으나 실패했다.[43][44] 이는 민바르가 단순한 종교적 상징을 넘어,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고 이슬람의 가르침을 전파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The Caliph and the Imam: The Making of Sunnism and Shiism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9
[2]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3]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Minbar from the Kutubiyya Mosque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Ediciones El Viso, S.A., Madrid;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Royaume du Maroc
[6]
서적
History of humanity
https://books.google[...]
UNESCO
[7]
웹사이트
Qantara - Minbar of the Great Mosque of Kairouan
http://www.qantara-m[...]
[8]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Haram al-Ibrahimi
http://islamicart.mu[...]
2020-10-18
[10]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1]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2]
학술지
Craftsmen, upstarts and Sufis in the late Mamluk period
2011
[13]
서적
The Mosques of Egypt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4]
서적
Al-Andalus: The Art of Islamic Spain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5]
서적
The Art and Architecture of Islam 1250-180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6]
백과사전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17]
서적
Timurid Architecture in Khurasan
https://books.google[...]
Mazdâ Publishers
1987
[18]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9]
서적
The Mosques of Egypt
American University of Cairo Press
[20]
서적
The Illustrated Guide to the Museum of Islamic Art in Cairo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1]
서적
Islamic Monuments in Cairo: The Practical Guide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Neue Beiträge zur semitischen Sprachwissenschaft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Geschichte des arabischen Schrifttums
Brill, Leiden
[30]
서적
[31]
서적
ʿAbd Allāh ibn Lahīʿa (97-174/715-790). Juge et grand maître de l'école égyptienne
Wiesbaden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Zur Geschichte des islamischen Kultus
[35]
백과사전
The Encyclopaedia of Islam
Brill, Leiden
[36]
서적
al-mausūʿa al-fiqhiyya
Kuwait
2005
[37]
서적
(작품명 불명)
1987
[38]
간행물
Wiener Zeitschrift für die Kunde des Morgenlandes (WZfKM)
1892
[39]
서적
(작품명 불명)
1987
[40]
서적
(작품명 불명)
(출판일 불명)
[41]
서적
(작품명 불명)
1987
[42]
서적
Der Islam im Mittelalter
Zürich/Stuttgart
1963
[43]
서적
(작품명 불명)
1987
[44]
서적
三大陸周遊記
[45]
서적
(작품명 불명)
1906
[46]
서적
(작품명 불명)
1987
[47]
간행물
Maqām Ibrāhīm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