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지르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이슬람 세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 온 직책을 의미한다. 아바스 왕조 시대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초기에는 칼리프의 보좌관 역할을 했으나, 점차 권한이 확대되어 행정, 군사, 재정 등 국가 전반에 걸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역사적으로 '와지르'는 군주의 정부 수반인 총리를 지칭하거나, 영국 국무장관과 같은 내각 직위를 나타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는 정부 장관을 뜻하는 일반적인 아랍어 단어로 사용되며, 문화적으로는 음모를 꾸미는 배후 조종자 또는 권력자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체스, 카드 게임 등에서도 와지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2. 어원

와지르는 아랍어 'wazara'(짐을 지다)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셈어족 어근 ''W-Z-R''에서 파생되었다.[4] 이 단어는 꾸란에 언급되어 있으며, 아론은 모세의 ''와지르''(조력자)로 묘사되어 있고, 같은 어근에서 파생된 단어 ''wizr''(짐)도 언급되어 있다.[5] 이 단어는 나중에 초기 시아파 지도자인 알-무크타르와 아부 살라마에 의해 ''wazīr āl Muḥammad''(وزير آل محمد|무함마드 가문의 조력자ar) 형태로 칭호로 채택되었다. 아바스 왕조 시대에는 "대표" 또는 "대리인"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다른 가능성은 이란어파 단어일 가능성으로, 원래 ''칙령'', ''권한'', ''명령''의 의미를 가졌지만, 나중에는 딘카르드에서 사용된 것처럼 ''판사'' 또는 ''치안 판사''를 의미하게 된 팔라비어 어근 ''vičir''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서 제프리는 이 단어가 아베스타어에 잘 정립된 어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좋은 이란어" 단어라고 생각한다. 팔라비어 ''vičir''는 사실 ''결정하다''를 의미하는 아베스타어 ''vīčira''에서 유래했다. 이 아베스타어 어근은 단어의 현대 페르시아어 형태인 ''večer''의 기원이며, 이는 ''판사''를 의미한다.[6] 이 어원론은 조니 체웅,[7] 어니스트 데이비드 클라인[4] 및 리처드 넬슨 프라이를 포함한 여러 과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8]

3. 역사적 변천

무굴 제국의 디반 겨울철 와지르


와지르 직위는 아바스 왕조 칼리프 시대에 처음 생겨나[9] 이슬람 세계로 퍼져나갔다. 와지르는 주권자와 신하 사이에 위치하며, 신하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서 주권자를 대표했다.[9]

11세기 법률 이론가 알 마와르디는 와지르를 두 가지 유형으로 정의했다. 하나는 제한된 권한으로 칼리프의 정책을 수행하는 '와지르 알 탄피드'(''집행 와지르'')이고, 다른 하나는 민간 및 군사 업무를 관할하며 칼리프와 같은 권한을 누리지만, 계승이나 관료 임명 문제에서는 예외인 훨씬 더 강력한 '와지르 알 타프위드'(''위임 권한 와지르'')였다.

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군주 정부의 수반인 총리(대 와지르) 또는 영국의 국무장관과 같은 '내각 직위'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 이전에는 와지르가 존재하지 않았고, 아바스 왕조 시대에 들어서 임명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칼리프의 비서관 또는 상담역에 불과했지만, 9세기 경 관료 시스템이 복잡해지면서 문관 책임자로서 권한이 확대되었다.

3. 1. 아바스 왕조

와지르 직위는 초대 아바스 왕조 칼리프 시대에 생겨나[9] 이슬람 세계로 퍼져나갔다.

11세기 법률 이론가 알 마와르디는 두 종류의 와지르를 정의했다. 하나는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칼리프의 정책을 수행하는 역할만 하는 '와지르 알 탄피드'(''집행 와지르'')이고, 다른 하나는 민간 및 군사 업무를 모두 담당하며 칼리프와 거의 동등한 권한을 누리는 훨씬 강력한 '와지르 알 타프위드'(''위임 권한 와지르'')이다. 다만, '와지르 알 타프위드'는 후계자 선정이나 관료 임명 문제에서는 칼리프와 같은 권한을 갖지 못했다. 알 마와르디는 '와지르 알 타프위드'는 샤리아에 정통한 무슬림이어야 하는 반면, '와지르 알 탄피드'는 비무슬림이나 심지어 노예일 수도 있지만, 여성은 이 직위에서 명시적으로 제외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마이야 왕조 시대 이전에는 와지르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아바스 왕조 시대에 들어서 임명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칼리프의 개인 비서관 또는 상담역·보좌관에 불과했지만, 9세기 무렵 아바스 왕조의 관료 시스템이 방대해지고 복잡해지면서 와지르는 문관을 지휘하는 책임자로서 권한을 확대했다. 칼리프의 이름으로 관리를 임명하고 해임하며, 여러 관청을 감독하고, 하라지 토지 및 사유지로부터 세금을 징수하고, 최고 재판소의 판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와지르는 '위자라 앗 타피즈'(Wizāra al-Tafīz) (대집정)라고 불렸으며, 프랑크 왕국궁재에 해당했다.

황자나 장군 등을 섬기는 서기관료의 우두머리로서의 와지르도 여전히 존재했다. 와지르의 직무는 행정 전반에 관한 고도의 지식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특정 가문이 독점하려는 경향도 있었지만, 정치적 싸움에 휘말리는 일도 많아 장기 집권한 예는 적었다. 이는 와지르의 지위가 국제적인 지위가 아니라 칼리프의 개인적인 신임을 바탕으로 했기 때문이며, 칼리프의 신뢰를 잃으면 곧바로 실각했다.

10세기 중기 칼리프 시대에 아미르 알 우마라(대집정)가 등장하여 와지르의 권한을 빼앗았다. 각지에 군사 정권이 수립되면서 각 문관의 통솔자·집정관을 와지르라고 칭했지만, 파티마 왕조 후기처럼 군인이 와지르가 된 사례도 있었다. 이후 셀주크 왕조의 지원을 받은 아바스 왕조에서 와지르가 실권을 회복했지만, 칼리프의 몰락과 함께 그 지위의 실질도 상실했다.

3. 2. 파티마 왕조

파티마 칼리파조 시대의 와지르를 참조하라.

3. 3. 셀주크 왕조

셀주크 왕조의 지원을 받은 아바스 왕조에서 와지르가 실권을 회복했지만, 칼리프의 몰락과 함께 그 지위의 실질도 상실했다.[1]

3. 4.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대재상이 술탄 다음으로 유일한, 종종 사실상 통치하는 총리였으며, 제국 평의회의 수장이었다. "와지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같은 일부 오스만 지방 총독의 칭호이기도 했는데, 이 칭호의 사용은 종종 관련된 지방의 더 큰 자치도와 칭호 보유자의 더 큰 위신을 나타냈다(예를 들어, 이는 1831년 보스니아 봉기의 주요 문제였다).[9] 또한 많은 와지르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기타 국가 및 다양한 민족 출신이었다.

14세기 전반 이후 오스만 제국에는 와지르가 설치되었지만, 최대 정원은 7명까지로 정해져 있었다. 그중 으뜸인 대재상을 울루 베지르(Ulu Wezīr)라고 불렀고, 그 외의 집정은 쿠베 베지르(Qubbe Wezīr)라고 불러 구별했다.

3. 5. 기타 이슬람 국가

와지르 직위는 초대 아바스 왕조 칼리프 시대에 생겨나 이슬람 세계로 퍼져나갔다. 역사적으로 이 용어는 군주의 정부 수반인 총리(대 와지르)의 고유 직위, 또는 영국의 국무장관과 같은 공유된 '내각 직위' 두 가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 무슬림 페르시아 제국에서 총리는 'Vazīr-e Azam'(최고 재상) 등으로 불렸으며, 여러 장관들이 '와지르'로서 내각 직위를 맡았다.
  • 알-안달루스 우마이야 왕조의 코르도바 칼리파는 많은 와지르를 임명했다. 타이파 왕국 시대에는 이 칭호가 일반적인 궁정 칭호가 되었다.
  • 무슬림 이집트에서는 파티마 칼리파조 시대와 오스만 제국 통치 이후에 와지르 직위가 있었다.
  • 오스만 제국에서 대재상은 술탄 다음 가는 총리였고, "와지르"는 일부 지방 총독의 칭호였다.
  • 모로코의 샤리프 왕국에서는 ''사드 알-아잠''(대재상)이 1955년까지 재임했으며, 이후 총리로 대체되었다. 와지르는 국무 장관의 칭호였다.
  • 아프리카의 뿔에 위치한 아달 술탄국에도 와지르가 있었다.[10]
  • 하심 왕국 헤자즈의 유일한 와지르는 알리 이븐 후세인 알-하셰미였다.
  • 후사인 왕조 튀니지의 베이 아래에는 ''와지르 알-아크바르''(대재상), ''와지르 알-'아말라''(내무), ''와지르 알-바르''(해군), ''와지르 알-하르브''(육군), ''와지르 알-이스티샤라''(고문), ''와지르 알-칼람''(펜 장관) 등 다양한 장관들이 있었다.
  • 오만에서 하미/술탄의 수석 장관은 1966년까지 ''와지르''로 불렸고, 1970년부터는 총리로 불렸다.
  • 벵골 술탄국에서 많은 지방 관리들이 와지르/우지르 칭호를 가졌다.
  • 잔지바르 술탄의 와지르는 1890년 이후 영국인이 채웠다.
  • 소코토 술탄의 대재상 - "와지리"는 이 단어의 파생어이며, 북부 나이지리아에서 존경받는 족장 칭호이다.
  • 식민지 이전 및 식민지 시대 인도에서 많은 통치자들이 와지르를 수석 장관으로 두었다.
  • 몰디브의 술탄국에서 총리는 ''보두 와지르''였고, 다양한 장관들은 ''바지린''이었다.
  • 아프가니스탄 두라니 왕조 아래에서 수석 장관은 ''Vazīr-e Azam'' 또는 ''Wazir-i-azam''으로 불렸다.
  • 가즈나 왕조 와지르 목록
  • 마타람 술탄국과 그 후의 술탄국에서 ''와지르''는 술탄의 수석 장관이었다.
  • 두라니 제국에는 수많은 와지르가 있었다.

11세기 이슬람 법학자 알마와르디는 와지르에는 무제한 권한을 가진 것과 제한된 권한을 가진 것이 있다고 지적했다. 10세기 중기 칼리프 시대에 아미르 알 우마라(대집정)가 대두하여 와지르의 권한을 빼앗았다. 셀주크 왕조의 지원을 받은 아바스 왕조에서 와지르가 실권을 회복했지만, 칼리프 몰락과 함께 그 지위의 실질도 상실했다. 오스만 제국에서도 14세기 전반 이후 와지르가 설치되었지만, 최대 정원은 7명까지였고, 으뜸인 대재상을 울루 베지르(Ulu Wezīr), 그 외 집정을 쿠베 베지르(Qubbe Wezīr)라고 불렀다.

4. 현대적 사용

이란에서 정부 장관은 페르시아어로 ''Vazir''(예: 외무/보건 ''Vazir'')라고 불리며, 직책이 폐지되기 전의 이란 총리는 ''Nokhost Vazir''라고 불렸다.

파키스탄에서 총리(실질적인 집권 정치인, 형식적으로 대통령 아래)는 ''Vazīr-e Azam''(대재상을 뜻하는 페르시아어)이라고 불리며, 다른 장관들은 ''vazir''로 불린다. 파키스탄에서 외무부 장관은 ''Vazir-e-Khārjah''로 알려져 있다.

인도에서 ''Vazīr''는 우르두어로 장관의 공식 번역이며, 우르두어로 진행되는 장관 선서식에서 사용된다.

동아프리카케냐탄자니아에서 장관은 스와힐리어로 Waziri라고 불리며, 총리는 Waziri Mkuu라고 불린다.

이슬람 국가에서 루이스 파라칸은 때때로 와지르라는 존칭을 받는다.

브루나이에서 재상은 다섯 개의 직함으로 분류된다.


  • 현재 브루나이의 재상 또는 ''Perdana Wazir''의 수장은 모하메드 볼키아 왕자이다. 그의 전체 직함은 His Royal Highness Perdana Wazir Sahibul Himmah Wal-Waqar Prince Haji 모하메드 볼키아이다.
  • His Royal Highness Pengiran Bendahara Seri Maharaja Permaisuara Prince Haji 수프리 볼키아
  • His Royal Highness Pengiran Digadong Sahibul Mal Prince Haji 제프리 볼키아
  • Pengiran Pemancha Sahibul Rae' Wal-Mashuarah – 공석
  • Pengiran Temanggong Sahibul Bahar – 공석

5. 문화적 영향

현대 문학과 팬터마임에서 "대재상"은 전형적인 등장인물로 자주 등장한다. 이들은 보통 음모를 꾸미는 배후 조종자이자, 어리석거나 무능한 군주를 조종하는 배후 권력으로 묘사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애니메이션 영화 ''알라딘''에 등장하는 사악한 인물 자파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자파는 국가의 순진한 술탄 몰래 아그라바 왕국 전체를 장악하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마법을 사용한다. 이는 1940년 영화 ''바그다드의 도둑''에서 자파가 그의 주인인 칼리프 아흐마드를 폐위시킨 것과 유사하다. 다른 예로는 ''도둑과 구두장이''의 지그재그 (디즈니의 ''알라딘''에서 자파의 원조 캐릭터), 르네 고시니와 장 타바리가 만든 프랑스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 이자구드, DC 버티고 시리즈 ''페이블스''의 신밧드 왕자의 조언자 유수프, 그리고 비디오 게임 ''페르시아의 왕자''와 ''킹스 퀘스트 VI: 오늘의 상속자, 내일의 유령''의 악당들이 있다.

이러한 원형은 성경의 에스더기에 나오는 인물 하만에서 더 오래된 예를 찾을 수 있다. 이 책은 유대인 여성이 페르시아 제국여왕으로 등극하고, 페르시아 왕의 수석 고문인 하만이 페르시아에 거주하는 모든 유대인을 몰살하려는 음모를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을 묘사한다.

샤트란지에서 현대 체스가 발전했는데, 현대 체스의 ""에 해당하는 기물(훨씬 약했지만)은 종종 ''와지르''라고 불렸다.[1] 현재까지도 체스에서 퀸을 지칭하는 단어는 중동 언어에서 "vazīr"의 변형으로 불리며, 헝가리어("vezér", "지도자"라는 뜻) 및 러시아어("ferz' (ферзь)")에서도 사용된다.[1]

간지파 카드에서 와지르는 페이스 카드이며, 킹 다음으로 해당 문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랭크를 가진다. 맘루크 간지파에는 두 개의 와지르 랭크가 있다. 첫 번째 와지르 (나이프 말리크)와 두 번째 와지르 (나이프 타니)가 그것이다. 맘루크 간지파가 유럽에 도입되었을 때, 두 랭크는 라틴 수트 카드에서 기사와 잭으로, 스위스 수트 카드와 독일 수트 카드에서 오버와 언터로 변형되었다. 와지르는 초기 카드 게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수 있는데, 와지르에 대한 아랍어 용어(나이프)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카드 이름(나이비)과 오늘날 스페인(나이페스)에서도 동의어가 되었기 때문이다.[2]

마이소르 차드 간지파에서 와지르(아마트야 또는 만트리)는 6개의 코트 카드 중 하나이다. 킹(라자)과 퀸(라즈니) 다음으로 세 번째이며, 기사(세나니), 잭(파다티 또는 세바카), 배너(드와자)보다 앞선다. 이 카드에서 와지르는 라타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3]

나바군자라 간지파에서 와지르는 아르주나로 묘사된다.[4]

참조

[1] 사전 vizier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Wazir
[3]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the Arabs
[4] 웹사이트 vizier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17-07-22
[5] 간행물 Studies in Islamic history and institutions
[6] 서적 The foreign vocabulary of the Qur'ān Brill 2007
[7] 논문 On the (Middle) Iranian borrowings in Qur'ānic (and pre-Islamic) Arabic https://shs.hal.scie[...] 2023-03-10
[8] 학술지 Bukhara, the Medieval Achievement http://dx.doi.org/10[...] 1966
[9] 백과사전 vizier http://www.britannic[...] 2010-06-17
[10] 서적 Ethiopia and the Red Sea The Rise and Decline of the Solomonic Dynasty and Muslim European Rivalry in the Regio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10-28
[11] 사전 vizier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A Literary History of the Arab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