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로의 비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로의 비너스는 기원전 130-1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아프로디테 조각상으로, 1820년 에게 해 밀로스 섬에서 발견되었다. 상체는 나체이고 하반신은 옷감으로 덮인 이 조각상은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고전 미술과 헬레니즘 미술의 특징을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발견 당시 팔이 없는 상태였지만, 고대 그리스 미술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서구 미술과 대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64년 일본에서 특별 전시가 열린 바 있으며, 한국에도 복제품과 예술 작품을 통해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로스섬 - 멜로스의 대화
멜로스의 대화는 투키디데스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에서 아테네가 중립국 멜로스를 정복하려는 과정에서 아테네 사절과 멜로스 지도자 간의 협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강자의 논리와 현실 정치의 냉혹함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기원전 2세기 조각 작품 - 제닝스의 개
제닝스의 개는 고대 몰로소스견을 묘사한 로마 시대의 대리석 조각상으로, 헨리 콘스탄틴 제닝스가 발견하여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예술 작품과 대중 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 1820년 발굴 - 토리노 파피루스
파라오의 이름과 재위 기간을 기록한 토리노 파피루스는 여러 왕조와 단명한 통치자들의 이름이 담겨 있는 고대 이집트의 중요한 사료로, 현재 11개의 열이 재구성되어 역사 및 왕조 연구에 활용된다.
밀로의 비너스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프랑스어: Vénus de Milo 그리스어: Αφροδίτη της Μήλου (Aphrodítē tēs Mḗlou) |
재질 | 파리아 대리석 |
소장 | 루브르 미술관 |
도시 | 파리 |
작품 정보 | |
제목 | 밀로의 비너스 |
다른 제목 | grc (Aphrodítē tēs Mḗlou) |
제작 시기 | 기원전 2세기 |
재료 | 대리석 |
주제 | 아프로디테(베누스) |
상태 | 팔이 부러짐; 그 외에는 온전함 |
크기 | 204 cm |
위치 | 파리 |
박물관 | 루브르 박물관 |
발견 | |
발견 장소 | 밀로스 섬 |
발견 년도 | 1820년 |
발견자 | 요르고스 켄트로타스 |
습득 | 쥘 뒤몽 데르빌 |
기증 | 샤를 프랑수아 리파르도 드 리비에르 |
예술가 | |
예술가 | 안티오키아의 알렉산드로스 |
추정 시기 | 기원전 130년-기원전 100년경 |
지도 정보 |
2. 역사
''밀로의 비너스''는 1820년 4월 8일, 당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밀로스 섬에서 소작농 요르고스 켄트로타스(Yorgos Kentrotas)가 발견했다. 고고학에 관심이 있던 프랑스 선원 올리비에 부티에는 이 발견을 목격하고 농부에게 계속 발굴할 것을 권유했다. 부티에와 농부는 조각상의 두 개의 큰 조각과 세 번째 작은 조각을 발견했다. 팔의 일부, 사과를 든 손, 두 개의 헤르메스 조각상 파편 또한 조각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비너스와 함께 두 개의 비문도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발견 직후 밀로스 섬에 도착한 프랑스 해군 장교 뒤몽 뒤르빌이 기록한 비문은 조교gymnasiarch인 사티오스의 아들 박키오스가 헌정했음을 기념한다. 다른 비문은 오귀스트 드베가 그린 그림에 기록되어 있으며, 조각가의 서명 일부를 보존하고 있다.[2] 현재 두 비문 모두 유실되었다.
뒤몽 뒤르빌은 이 발견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의 증언에 따르면, 비너스 조각상은 사각형 벽감에서 발견되었다. 이 발견 장소가 비너스의 원래 위치였다면, 벽감과 체육관장의 비문은 ''밀로의 비너스''가 밀로스의 체육관에 설치되었음을 시사한다. 살로몬 라이나흐가 제안한 또 다른 이론은 발견 장소가 석회 가마의 잔해였으며, 다른 조각 파편은 비너스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크리스토필리스 마기디스에 의해 "사실적 근거가 없다"며 기각되었다.
뒤르빌의 배는 밀로스에서 멈춘 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항해했고, 그곳에서 프랑스 대사인 샤를 프랑수아 드 리비에르의 조수인 마르셀 백작에게 이 발견을 보고했다. 리비에르는 마르셀이 조각상을 사기 위해 밀로스로 가야 한다고 동의했다. 마르셀이 밀로스에 도착했을 때, 조각상을 발견한 농부는 이미 다른 구매 제안을 받았고, 조각상은 배에 실린 상태였다. 프랑스는 개입했고, 마르셀은 비너스를 구매할 수 있었다. 조각상은 프랑스로 옮겨졌고, 루이 18세는 이를 루브르 박물관에 설치했다. 당시의 일반적인 관행과는 달리, 콰트르메르 드 갱시의 권고에 따라 비너스는 크게 복원되지 않고 발견된 상태 그대로 전시되었다. 비너스가 원래 마르스 조각상과 한 쌍을 이루고 있었다고 믿었던 갱시는 마르스 전체가 없기 때문에 조각상을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1820년 4월 8일 오스만 제국 통치하의 에게 해에 있는 밀로스 섬에서 소작농 요르고스 켄트로타스(Yorgos Kentrotas)가 밀로의 비너스를 발견하였다. 처음에는 관리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비너스 상을 숨겼지만, 터키인 관리에게 발견되어 압수되었다. 이후 프랑스 해군 제독 쥘 뒤몽 뒤르빌은 이 상을 보고 가치를 인정하여 프랑스 대사에게 부탁해 터키 정부로부터 사들였다. 이것은 수리된 후 루이 18세에게 헌상되었다. 루이 18세는 이것을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했고, 현재에도 그곳에서 관리되고 있다.
''밀로의 비너스''는 1821년 루브르 박물관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1848년까지 Salle du Tibre프랑스어에 장기간 전시되기 전 두 번이나 빠르게 옮겨졌다. 이후 Salle de l'Isis프랑스어로 옮겨져 파리 코뮌 동안 보호를 위해 1870년 박물관에서 반출될 때까지 그곳에 전시되었다. 1880년대 Salle de l'Isis프랑스어가 개조되었을 때, 비너스 조각상은 관람객이 조각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새로운 받침대에 설치되었고, 동시에 조각상으로 가는 길은 다른 고대 비너스 조각상들로 채워졌다.
1936년 루브르 박물관의 방문객 수를 수용하기 위해 조각상은 Salle de la Vénus de Milo프랑스어로 옮겨졌고, 다른 비너스 조각상들은 치워져 방문객들이 ''밀로의 비너스''에 집중하도록 했다. 이 시기에 루브르 박물관을 통과하는 방문객의 동선은 더 연대기적으로 수정되어, 고대 및 고전 조각 갤러리를 거쳐 헬레니즘 시대에 전념하는 갤러리로 이어지도록 변경되었다. 밀로의 비너스는 고전 갤러리와 헬레니즘 갤러리 사이에 배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조각상은 안전을 위해 루브르 박물관에서 다시 반출되어, 발랑세 성에 보관되었다.
1964년에는 도쿄도 (국립서양미술관) 및 교토부 (교토 시립 미술관)에서 전시되었는데, 이는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후 조각상이 프랑스를 떠난 유일한 경우이다. 이 때 일본으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일부 파손이 발생하여, 전시 전에 급히 수리되었다. 2010년 조각상은 새로운 환경에 설치되었고, 같은 방에 조각상과 함께 발견된 조각 파편들도 전시되었다.
1900년경 루브르에서 한 번 형틀을 만들었으며, 현재도 그 형틀을 바탕으로 복제품이나 축소 모형이 제작되고 있다.
''밀로의 비너스''가 루브르 박물관을 떠나 해외로 건너간 것은 1964년 4월부터 6월까지 일본 도쿄도의 국립서양미술관과 교토부의 교토 시립 미술관에서 열린 특별 전시가 유일하다. 이 때 일본으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일부 파손이 발생하여, 전시 전에 급히 수리되었다.
2. 1. 발견
''밀로의 비너스''는 1820년 4월 8일, 당시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던 밀로스 섬에서 소작농 요르고스 켄트로타스(Yorgos Kentrotas)가 발견했다. 고고학에 관심이 있던 프랑스 선원 올리비에 부티에는 이 발견을 목격하고 농부에게 계속 발굴할 것을 권유했다. 부티에와 농부는 조각상의 두 개의 큰 조각과 세 번째 작은 조각을 발견했다. 팔의 일부, 사과를 든 손, 두 개의 헤르메스 조각상 파편 또한 조각상과 함께 발견되었다. 비너스와 함께 두 개의 비문도 발견된 것으로 보인다. 발견 직후 밀로스 섬에 도착한 프랑스 해군 장교 뒤몽 뒤르빌이 기록한 비문은 조교gymnasiarch인 사티오스의 아들 박키오스가 헌정했음을 기념한다. 다른 비문은 오귀스트 드베가 그린 그림에 기록되어 있으며, 조각가의 서명 일부를 보존하고 있다.[2] 현재 두 비문 모두 유실되었다.
뒤몽 뒤르빌은 이 발견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그의 증언에 따르면, 비너스 조각상은 사각형 벽감에서 발견되었다. 이 발견 장소가 비너스의 원래 위치였다면, 벽감과 체육관장의 비문은 ''밀로의 비너스''가 밀로스의 체육관에 설치되었음을 시사한다. 살로몬 라이나흐가 제안한 또 다른 이론은 발견 장소가 석회 가마의 잔해였으며, 다른 조각 파편은 비너스와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이 이론은 크리스토필리스 마기디스에 의해 "사실적 근거가 없다"며 기각되었다.
뒤르빌의 배는 밀로스에서 멈춘 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항해했고, 그곳에서 프랑스 대사인 샤를 프랑수아 드 리비에르의 조수인 마르셀 백작에게 이 발견을 보고했다. 리비에르는 마르셀이 조각상을 사기 위해 밀로스로 가야 한다고 동의했다. 마르셀이 밀로스에 도착했을 때, 조각상을 발견한 농부는 이미 다른 구매 제안을 받았고, 조각상은 배에 실린 상태였다. 프랑스는 개입했고, 마르셀은 비너스를 구매할 수 있었다. 조각상은 프랑스로 옮겨졌고, 루이 18세는 이를 루브르 박물관에 설치했다. 당시의 일반적인 관행과는 달리, 콰트르메르 드 갱시의 권고에 따라 비너스는 크게 복원되지 않고 발견된 상태 그대로 전시되었다. 비너스가 원래 마르스 조각상과 한 쌍을 이루고 있었다고 믿었던 갱시는 마르스 전체가 없기 때문에 조각상을 복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후 루브르를 나와 해외로 건너간 것은 단 한 번, 1964년 4월 - 6월, 일본의 도쿄도 (국립서양미술관) 및 교토부 (교토 시립 미술관)에서 열린 특별 전시뿐이다. 이 때 일본으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일부 파손이 발생하여, 전시 전에 급히 수리되었다. 1900년경 루브르에서 한 번 형틀을 만들었으며, 현재도 그 형틀을 바탕으로 복제품이나 축소 모형이 제작되고 있다.
2. 2. 프랑스로의 이전과 루브르 박물관 소장
1820년 4월 8일 오스만 제국 통치하의 에게 해에 있는 밀로스 섬에서 소작농 요르고스 켄트로타스(Yorgos Kentrotas)가 밀로의 비너스를 발견하였다. 처음에는 관리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비너스 상을 숨겼지만, 터키인 관리에게 발견되어 압수되었다. 이후 프랑스 해군 제독 쥘 뒤몽 뒤르빌은 이 상을 보고 가치를 인정하여 프랑스 대사에게 부탁해 터키 정부로부터 사들였다. 이것은 수리된 후 루이 18세에게 헌상되었다. 루이 18세는 이것을 루브르 박물관에 기증했고, 현재에도 그곳에서 관리되고 있다.
''밀로의 비너스''는 1821년 루브르 박물관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1848년까지 Salle du Tibre프랑스어에 장기간 전시되기 전 두 번이나 빠르게 옮겨졌다. 이후 Salle de l'Isis프랑스어로 옮겨져 파리 코뮌 동안 보호를 위해 1870년 박물관에서 반출될 때까지 그곳에 전시되었다. 1880년대 Salle de l'Isis프랑스어가 개조되었을 때, 비너스 조각상은 관람객이 조각상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새로운 받침대에 설치되었고, 동시에 조각상으로 가는 길은 다른 고대 비너스 조각상들로 채워졌다.
1936년 루브르 박물관의 방문객 수를 수용하기 위해 조각상은 Salle de la Vénus de Milo프랑스어로 옮겨졌고, 다른 비너스 조각상들은 치워져 방문객들이 ''밀로의 비너스''에 집중하도록 했다. 이 시기에 루브르 박물관을 통과하는 방문객의 동선은 더 연대기적으로 수정되어, 고대 및 고전 조각 갤러리를 거쳐 헬레니즘 시대에 전념하는 갤러리로 이어지도록 변경되었다. 밀로의 비너스는 고전 갤러리와 헬레니즘 갤러리 사이에 배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조각상은 안전을 위해 루브르 박물관에서 다시 반출되어, 발랑세 성에 보관되었다.
1964년에는 도쿄도 (국립서양미술관) 및 교토부 (교토 시립 미술관)에서 전시되었는데, 이는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이후 조각상이 프랑스를 떠난 유일한 경우이다. 이 때 일본으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일부 파손이 발생하여, 전시 전에 급히 수리되었다. 2010년 조각상은 새로운 환경에 설치되었고, 같은 방에 조각상과 함께 발견된 조각 파편들도 전시되었다.
1900년경 루브르에서 한 번 형틀을 만들었으며, 현재도 그 형틀을 바탕으로 복제품이나 축소 모형이 제작되고 있다.
2. 3. 일본 전시
''밀로의 비너스''가 루브르 박물관을 떠나 해외로 건너간 것은 1964년 4월부터 6월까지 일본 도쿄도의 국립서양미술관과 교토부의 교토 시립 미술관에서 열린 특별 전시가 유일하다. 이 때 일본으로 수송하는 과정에서 일부 파손이 발생하여, 전시 전에 급히 수리되었다.3. 조각상 설명
''밀로의 비너스''는 아프로디테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파리아노스 대리석 조각상이다. 상체는 나체이고 하반신은 옷감으로 덮여 있다. 조각상은 오른쪽 다리에 체중을 싣고 왼쪽 다리를 들어 올린 콘트라포스토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머리는 왼쪽으로 돌려져 있다. 양팔, 왼쪽 발, 귓불은 결손된 상태이다. 오른쪽 가슴 아래에는 금속 장부를 넣었던 구멍이 있는데, 이 장부는 원래 오른팔을 지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상의 살결은 매끄럽게 다듬어졌지만, 다른 표면에서는 끌 자국이 여전히 보인다. 옷감은 조각상의 오른쪽이 왼쪽에 비해 더 정교하게 조각되었는데, 이는 왼편이 원래 시야에서 가려져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비너스는 뒤에서 덜 정교하게 마감되어 있는데, 이는 원래 정면에서만 볼 수 있도록 의도되었음을 시사한다. 비너스의 몸은 사실적인 스타일로 묘사되었지만, 머리는 더 이상화되었다. 입술은 약간 벌어져 이가 보이고, 눈과 입은 작다. 조각상에는 최소한의 복원이 이루어졌는데, 코끝, 아랫입술, 오른쪽 발의 엄지발가락, 그리고 일부 옷감만이 복원되었다.
양식적으로 조각상은 고전 미술과 헬레니즘 미술의 요소를 결합하고 있다. 작고 규칙적인 눈과 입, 강한 눈썹과 코와 같은 특징은 고전적인 스타일을 따르고, 몸통의 형태와 깊게 조각된 옷감은 헬레니즘적이다.
케네스 클라크는 이 조각상을 "고대 그리스의 마지막 위대한 작품"이자 "고대 작품 중 가장 복잡하고 예술적인 작품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
발부터 배꼽까지와 머리 꼭대기까지의 길이, 배꼽에서 목까지와 머리 꼭대기까지의 비율이 각각 1:1.618로 거의 황금비를 이룬다.
3. 1. 외형 및 특징
''밀로의 비너스''는 아프로디테를 묘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파리아노스 대리석 조각상이다. 상체는 나체이고 하반신은 옷감으로 덮여 있다.[1] 조각상은 오른쪽 다리에 체중을 싣고 왼쪽 다리를 들어 올린 콘트라포스토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머리는 왼쪽으로 돌려져 있다. 양팔, 왼쪽 발, 귓불은 결손된 상태이다. 오른쪽 가슴 아래에는 금속 장부를 넣었던 구멍이 있는데, 이 장부는 원래 오른팔을 지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조각상의 살결은 매끄럽게 다듬어졌지만, 다른 표면에서는 끌 자국이 여전히 보인다. 옷감은 조각상의 오른쪽이 왼쪽에 비해 더 정교하게 조각되었는데, 이는 왼편이 원래 시야에서 가려져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비너스는 뒤에서 덜 정교하게 마감되어 있는데, 이는 원래 정면에서만 볼 수 있도록 의도되었음을 시사한다. 비너스의 몸은 사실적인 스타일로 묘사되었지만, 머리는 더 이상화되었다. 입술은 약간 벌어져 이가 보이고, 눈과 입은 작다. 조각상에는 최소한의 복원이 이루어졌는데, 코끝, 아랫입술, 오른쪽 발의 엄지발가락, 그리고 일부 옷감만이 복원되었다.
양식적으로 조각상은 고전 미술과 헬레니즘 미술의 요소를 결합하고 있다. 작고 규칙적인 눈과 입, 강한 눈썹과 코와 같은 특징은 고전적인 스타일을 따르고, 몸통의 형태와 깊게 조각된 옷감은 헬레니즘적이다.
케네스 클라크는 이 조각상을 "고대 그리스의 마지막 위대한 작품"이자 "고대 작품 중 가장 복잡하고 예술적인 작품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
발부터 배꼽까지와 머리 꼭대기까지의 길이, 배꼽에서 목까지와 머리 꼭대기까지의 비율이 각각 1:1.618로 거의 황금비를 이룬다.
3. 2. 양식 및 제작 시기
밀로의 비너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 아프로디테의 조각상으로 여겨진다. 높이는 203cm이다. 발부터 배꼽까지와 머리 꼭대기까지의 길이, 배꼽에서 목까지와 머리 꼭대기까지의 비율이 각각 1:1.618로 거의 황금비를 이룬다. 재질은 대리석이다. 발견 당시에는 비문이 새겨진 받침대가 있었지만, 루브르 박물관으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분실되었다.'밀로'는 여신상이 발견된 밀로스 섬의 로망스어 형태이며, '비너스'는 아프로디테에 해당하는 로마 신 베누스 (Venus)의 영어식 표기이다. 다만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루브르에서 표기하는 프랑스어식 표기를 따라 "비너스 데 마일로/Venus de Milo영어"라고 표기한다. 현대 그리스어로는 "아프로디티 티스 밀루/Αφροδίτη της Μήλουel"로 표기한다.
3. 3. 신원 논쟁
''밀로의 비너스''는 아프로디테의 조각상으로 여겨지지만, 파편화된 상태로 인해 정확한 식별은 어렵다. 가장 초기의 기록에는 현재는 유실된 손이 사과를 들고 있는 아프로디테를 묘사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조각상을 아프로디테로 식별했다. 암피트리테를 묘사하며 포세이돈 조각상과 한 쌍을 이루었을 것이라는 가설, 무사, 네메시스, 사포를 묘사한다는 식별도 제안되었다.제작자와 제작 시기는 발견 당시부터 논란이 되었다. 루브르 박물관이 이 조각상을 입수한 지 한 달 만에 세 명의 프랑스 학자가 이 조각상의 해석에 대한 모든 면에서 서로 다른 의견을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 투생-베르나르 에메릭-다비드는 피디아스와 프락시텔레스 사이, 기원전 420년에서 380년 사이에 제작되었다고 생각했다. 콰트르메르 드 캥시는 4세기 중반, 프락시텔레스의 문하에서 제작되었다고 주장했으며, 샤를 오통 프레데릭 장-바티스트 드 클라라크는 프락시텔레스의 작품을 모방한 후대의 복제품이라고 생각했다. 19세기의 일반적인 합의는 비너스가 기원전 4세기에 제작되었다는 것이었다. 아돌프 푸르트벵글러는 이 조각상이 후기 헬레니즘 시대, 즉 기원전 150년에서 50년 사이에 제작되었다고 주장했고, 이 추정 시기는 현재까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오귀스트 드베는 조각상의 결손된 받침대에 맞게 그림을 그렸는데, 조각상과 함께 발견된 명문 중 하나는 조각가의 이름을 마이안드로스 강의 안티오키아 출신 [---]안드로스, [M]에니데스의 아들로 밝히고 있다. 이 이름은 하게산드로스 또는 알렉산드로스로 복원되었다. 프리드리히 힐러 폰 게르트링겐은 이름을 알렉산드로스로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조각가를 테스피아이의 무세의 계곡에서 발견된 명문에 언급된, 역시 마이안드로스 지역 출신의 시인 알렉산드로스와 관련지었다.[3][4] 이 명문은 안티오키아가 마이안드로스 강에 건설된 기원전 280년 이후의 것이어야 하며, 명문의 글자체는 기원전 150–50년경의 시기를 나타낸다.
파편화된 예술가의 서명이 조각상과 관련 있다는 점, 따라서 조각가를 안티오키아의 알렉산드로스로 식별하는 것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쿠서와 장-뤽 마르티네즈는 이 연결에 의문을 제기한다. 쿠서는 드베의 그림에서 이 판이 비너스의 부서진 받침대에 맞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조각상의 결손된 왼발이 받침대에 놓였을 것이라는 증거는 없으며, 부티에의 발굴 스케치에서는 이 판이 비너스와 함께 발견된 헤르메스 중 하나의 받침대로 묘사되어 있다고 지적한다. 명문이 유실되었으므로, 비너스와의 관련성을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다.
3. 4. 팔의 복원과 자세
''밀로의 비너스''의 팔이 없는 상태에서 이 조각상이 원래 어떻게 보였는지는 불분명하다. 비너스의 원래 모습은 1821년부터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드 클라라크(de Clarac)는 비너스가 사과를 들고 있는 단독 조각상이라고 주장한 반면, 카트르메르(Quatremere)는 그녀가 다른 인물을 껴안고 있는 그룹의 일부였다고 주장했다. 다른 제안된 복원에는 비너스가 화환, 비둘기 또는 창을 들고 있는 모습이 포함되었다.
빌헬름 프뢰너는 1876년에 ''밀로의 비너스''의 오른손이 엉덩이에서 흘러내리는 드레이프리를 잡고 있었고 왼손은 사과를 들고 있었다고 제안했으며, 이 이론은 아돌프 푸르트벵글러에 의해 확장되었다. 푸르트벵글러의 복원상에서도 역시 왼손에 사과를 들고 있다. 쿠서(Kousser)는 이것을 "가장 그럴듯한" 재구성으로 간주한다. 2010년 비너스 복원 과정에서 수행된 과학적 분석은 조각상과 함께 발견된 사과를 들고 있는 팔 조각과 손이 원래 비너스의 일부였다는 이론을 뒷받침했으며, 마르티네즈(Martinez)는 조각상을 비너스가 사과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식별한 것이 결정적으로 증명되었다고 주장한다.
아미오는 ''밀로의 비너스''가 카푸아의 비너스와 페르게의 또 다른 아프로디테 조각상과 같은 조각 유형이라고 제안한다. 그녀는 이 조각상들이 모두 아크로코린토스의 아프로디테 신전의 숭배상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아프로디테가 방패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감탄하는 모습을 묘사했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카푸아의 비너스가 ''밀로의 비너스''를 기반으로 했다고 믿는 크리스틴 미첼 하벨록(Christine Mitchell Havelock)은 멜로스 조각상을 헬레니즘 시대의 "새로운 발명품"으로 간주한다.
한편, 시인 겸 작가인 기요오카 다쿠유키는 제2 평론집 『손의 변환』에 수록된 「밀로의 비너스」에서 비너스의 양팔 부재로 인해 상상력에 의한 전체로의 비상(原文에서는「特殊から普遍へ」의飛翔とある)이 가능한 것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4. 영향 및 평가
어떤 고대 자료에서도 ''밀로의 비너스''에 대한 논의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고대 조각상이 충분하지 않거나 고대 그리스인들이 예술적 품질을 어떻게 판단했는지에 대한 증거가 충분하지 않아 고대 세계에서 조각상이 어떻게 받아들여졌을지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Kenneth Clark(1949년)에 따르면 "1820년 발견된 지 몇 년 만에 밀로의 비너스는 이전의 메디치 비너스가 차지했던 중심적이고 난공불락의 위치를 차지했으며, 현재는 감정가와 고고학자들에게서 호감을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 이미지에서 아름다움의 상징이나 트레이드마크로서 자리를 지켜왔다".
오늘날 ''밀로의 비너스''는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그리스 조각상으로, 매년 7백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관람한다. 발견 직후 루브르 박물관의 고대 유물 컬렉션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루브르 박물관은 나폴레옹 전쟁 이후 나폴레옹이 획득한 물건이 원산지로 반환되면서 몇몇 주요 작품을 잃었다. 비너스는 곧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유물 중 하나가 되었으며, 19세기에 석고 조각, 사진, 청동 복제품으로 배포되었다. 루브르 박물관이 비너스를 소장한 지 불과 1년 만인 1822년에 석고 조각이 베를린 아카데미로 보내졌고, 크리스탈 팰리스에도 조각품이 전시되었다.
''밀로의 비너스''는 발견 이후 문학과 시각 예술의 주제가 되었다. 비너스에 관한 70편 이상의 시가 출판되었다. 19세기에는 비너스 그림에 종종 이 조각상의 소상이 묘사되었으며, 예를 들어 오노레 도미에의 ''감정가''가 있다. 19세기 예술가들도 비너스를 모델로 사용했다. 막스 클링거는 그의 ''파리스의 심판''에 나오는 미네르바를 밀로의 비너스에 기초했고, 외젠 들라크루아는 이를 ''민중을 이끄는 자유''에 사용했을 수 있다.
20세기 초, ''밀로의 비너스''는 초현실주의의 주목을 받았다. 에르빈 블루멘펠트와 클래런스 싱클레어 불은 모두 비너스를 바탕으로 한 포토몽타주를 만들었다. 막스 에른스트는 비너스를 그의 "설명서"에 사용했고, 르네 마그리트는 비너스의 석고 복제품을 칠했는데, 몸은 분홍색, 로브는 파란색, 머리는 흰색으로 남겨두었으며, 살바도르 달리가는 그의 그림 ''환각적인 투우사''를 포함한 여러 그림과 조각품을 그녀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현대 미술에서, 니키 드 생팔은 비너스 복제품을 퍼포먼스에 사용했고, 이브 클랭은 인터내셔널 클라인 블루로 복제품을 제작했으며, 아르망, 클라이브 바커, 짐 다인을 포함한 예술가들은 모두 비너스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품을 만들었다.
''밀로의 비너스''의 상징적인 지위는 20세기에 영화와 광고에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1932년 영화 ''금발의 비너스''의 포스터는 마를레네 디트리히를 ''밀로의 비너스''로 묘사했으며, 2003년에는 에바 그린이 흰 시트와 검은 팔 길이의 장갑만 착용한 채 ''몽상가들''에서 조각상을 재현했다. 여배우들은 종종 비너스와 비교되었다. 1928년 ''포토플레이''의 기사에서는 조앤 크로포드가 측정이 ''밀로의 비너스''와 가장 유사한 할리우드 여배우라고 결론지었으며, 클라라 보우와 진 할로우는 모두 잡지를 위해 비너스로 촬영되었다. 켈로그의 콘플레이크, 제너럴 텔레폰 & 일렉트로닉스에서 만든 초기 스피커폰, 리바이스 청바지, 메르세데스-벤츠 자동차 광고에도 비너스가 사용되었다.
비너스에 대한 대중적이고 예술적인 감상과는 대조적으로, 퓌르트뱅글러가 조각상의 제작 시기를 헬레니즘 시대로 다시 정한 이후 일부 학자들은 더 비판적이었다. 마틴 로버트슨은 그의 ''그리스 미술사''에서 조각상의 명성은 자체 예술적 가치보다 선전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학자들은 크니도스의 아프로디테와 같이 고대 자료에 언급된 고전 조각의 복제품을 연구하는 데 집중해 왔으며, 이러한 복제품이 일반적으로 비너스보다 기술적으로 열등하다고 여겨지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엘리자베스 프레테존은 이것이 시각적 자료보다 문헌 자료에 대한 고전학자들의 편견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4. 1. 서구 예술과 문화에 미친 영향
''밀로의 비너스''는 고대 세계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1820년 발견된 이후 몇 년 만에 메디치 비너스를 대체하여 고전 미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그리스 조각상 중 하나로, 매년 7백만 명 이상의 방문객이 관람한다. 발견 직후 루브르 박물관의 고대 유물 컬렉션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19세기에는 석고 조각, 사진, 청동 복제품으로 배포되었다.
''밀로의 비너스''는 발견 이후 문학과 시각 예술의 주제가 되었다. 19세기에는 비너스 그림에 종종 이 조각상의 소상이 묘사되었으며, 오노레 도미에의 ''감정가''가 그 예이다. 19세기 예술가들도 비너스를 모델로 사용했는데, 막스 클링거는 그의 ''파리스의 심판''에 나오는 미네르바를 밀로의 비너스에 기초했고, 외젠 들라크루아는 이를 ''민중을 이끄는 자유''에 사용했을 수 있다.
20세기 초, ''밀로의 비너스''는 초현실주의의 주목을 받았다. 에르빈 블루멘펠트와 클래런스 싱클레어 불은 모두 비너스를 바탕으로 한 포토몽타주를 만들었다. 막스 에른스트는 비너스를 그의 "설명서"에 사용했고, 르네 마그리트는 비너스의 석고 복제품을 칠했으며, 살바도르 달리는 그의 그림 ''환각적인 투우사''를 포함한 여러 그림과 조각품을 그녀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현대 미술에서, 니키 드 생팔은 비너스 복제품을 퍼포먼스에 사용했고, 이브 클랭은 인터내셔널 클라인 블루로 복제품을 제작했으며, 아르망, 클라이브 바커, 짐 다인을 포함한 예술가들은 모두 비너스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품을 만들었다.
''밀로의 비너스''의 상징적인 지위는 20세기에 영화와 광고에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1932년 영화 ''금발의 비너스''의 포스터는 마를레네 디트리히를 ''밀로의 비너스''로 묘사했으며, 2003년에는 에바 그린이 ''몽상가들''에서 조각상을 재현했다. 여배우들은 종종 비너스와 비교되었다. 1928년 ''포토플레이''의 기사에서는 조앤 크로포드가 측정이 ''밀로의 비너스''와 가장 유사한 할리우드 여배우라고 결론지었으며, 클라라 보우와 진 할로우는 모두 잡지를 위해 비너스로 촬영되었다. 켈로그의 콘플레이크, 제너럴 텔레폰 & 일렉트로닉스에서 만든 초기 스피커폰, 리바이스 청바지, 메르세데스-벤츠 자동차 광고에도 비너스가 사용되었다.
4. 2. 학계의 평가
''밀로의 비너스''는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그리스 조각상 중 하나로, 매년 수백만 명의 방문객이 관람한다. 발견 직후 루브르 박물관의 고대 유물 컬렉션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19세기에 석고 조각, 사진, 청동 복제품으로 배포되며 유럽에서 가장 유명한 고대 유물 중 하나가 되었다. 1822년에는 베를린 아카데미로 석고 조각이 보내졌고, 크리스탈 팰리스에도 전시되었다.
''밀로의 비너스''는 발견 이후 문학과 시각 예술의 주제가 되었다. 비너스에 관한 70편 이상의 시가 출판되었고, 19세기에는 오노레 도미에의 ''감정가''와 같이 비너스 그림에 종종 이 조각상의 소상이 묘사되었다. 19세기 예술가들은 비너스를 모델로 사용하기도 했다. 막스 클링거는 그의 ''파리스의 심판''에 나오는 미네르바를 밀로의 비너스에 기초했고, 외젠 들라크루아는 이를 ''민중을 이끄는 자유''에 사용했을 수 있다.
20세기 초, ''밀로의 비너스''는 초현실주의의 주목을 받았다. 에르빈 블루멘펠트와 클래런스 싱클레어 불은 모두 비너스를 바탕으로 한 포토몽타주를 만들었다. 막스 에른스트는 비너스를 그의 "설명서"에 사용했고, 르네 마그리트는 비너스의 석고 복제품을 칠했으며, 살바도르 달리는 그의 그림 ''환각적인 투우사''를 포함한 여러 그림과 조각품을 그녀를 바탕으로 만들었다. 현대 미술에서, 니키 드 생팔은 비너스 복제품을 퍼포먼스에 사용했고, 이브 클랭은 인터내셔널 클라인 블루로 복제품을 제작했으며, 아르망, 클라이브 바커, 짐 다인을 포함한 예술가들은 모두 비너스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품을 만들었다.
''밀로의 비너스''의 상징적인 지위는 20세기에 영화와 광고에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1932년 영화 ''금발의 비너스''의 포스터는 마를레네 디트리히를 ''밀로의 비너스''로 묘사했으며, 2003년에는 에바 그린이 ''몽상가들''에서 조각상을 재현했다. 여배우들은 종종 비너스와 비교되었다. 1928년 ''포토플레이''의 기사에서는 조앤 크로포드가 측정이 ''밀로의 비너스''와 가장 유사한 할리우드 여배우라고 결론지었으며, 클라라 보우와 진 할로우는 모두 잡지를 위해 비너스로 촬영되었다. 켈로그의 콘플레이크, 제너럴 텔레폰 & 일렉트로닉스에서 만든 초기 스피커폰, 리바이스 청바지, 메르세데스-벤츠 자동차 광고에도 비너스가 사용되었다.
이러한 대중적, 예술적 인기와는 달리, 학계에서는 비너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어떤 고대 자료에서도 ''밀로의 비너스''에 대한 논의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으며, 고대 자료 부족과 고대 그리스인들의 예술적 품질 판단 기준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인해 고대 세계에서 조각상이 어떻게 받아들여졌을지 판단하기 어렵다. 마틴 로버트슨은 그의 ''그리스 미술사''에서 조각상의 명성은 자체 예술적 가치보다 선전에 기인한다고 주장한다.
4. 3. 한국과의 관계
밀로의 비너스는 한국에 직접 전시된 적은 없지만, 복제품과 다양한 예술 작품을 통해 한국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다. 1964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밀로의 비너스' 특별전은 183만 명의 관람객을 동원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한국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을 통해 서구의 고전 예술이 유입되는 것에 대한 경계의 시선도 존재한다.참조
[1]
웹사이트
statue; Vénus de Milo
https://collections.[...]
2021-04-27
[2]
간행물
Inscriptiones Graecae XII.3 1241
https://epigraphy.pa[...]
IG
[3]
간행물
Inscriptiones Graecae VII 1761
https://epigraphy.pa[...]
IG
[4]
간행물
Inscriptiones Graecae XII.3 1241
https://epigraphy.pa[...]
IG
[5]
서적
世界の喜劇人
新潮社
[6]
Citation
Charlie Chaplin {{!}} O Grande Ditador (The Great Dictator) - 1940 - Legendado
https://www.youtube.[...]
2023-12-16
[7]
웹사이트
The Great Dictator (1940)
https://www.imdb.com[...]
2023-12-16
[8]
웹인용
발견 당시 스케치 Serving.com
http://i65.servimg.c[...]
2017-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