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빙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다빙어과는 바다빙어목에 속하는 어류 과로, 빙어, 열빙어 등을 포함한 여러 속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종은 크기가 20cm를 넘지 않지만, 일부는 더 크게 성장하며, 연어처럼 번식을 위해 민물로 이동하는 습성을 보인다. 바다빙어는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며, 특히 북아메리카와 동아시아에서 중요한 식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다양한 지역에서 바다빙어를 주제로 한 축제가 열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빙어과 - 유엽어
유엽어는 버드나무 잎을 닮은 외형을 가진 12~18cm 크기의 회귀성 어류로, 일본 홋카이도 특정 지역에 분포하며 아이누 민족에게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최근 어획량 감소로 보호가 필요한 야생 생물로 지정되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바다빙어과 - 열빙어
열빙어는 극북 해역에 서식하며 회유하는 멸치목 열빙어과 어류로, 식용으로 이용될 뿐 아니라 대서양 대구의 주요 먹이가 되는 중요한 어종이지만, 최근 남획으로 자원 고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낚싯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낚싯고기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상업적 물고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상업적 물고기 - 나일농어
나일농어는 아프리카 원산의 눈볼개과 민물고기로, 거대한 크기와 왕성한 식욕을 가진 최상위 포식자이지만, 빅토리아 호수 생태계 교란과 상업적 가치로 인한 낚시 대상어라는 양면성을 지닌 어종이다.
바다빙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Osmeridae |
명명자 | Regan, 1913 |
속 | 알로스메루스 하이포메수스 말로투스 오스메루스 스피린쿠스 탈레이크티스 |
2. 하위 속
- ''Allosmerus''
- 빙어속 (''Hypomesus'') - 빙어, 날빙어 포함.
- ''Mallotus'' - 열빙어 포함.
- ''Osmerus''
- ''Spirinchus''
- ''Thaleichthys''
3. 계통 분류
2016년 베탕쿠르(Betancur) 등의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14]
{| class="wikitable"
|-
! 바다빙어목
|-
|
{| class="wikitable"
|-
| 레트로핀나과
|-
|
{| class="wikitable"
|-
| 바다빙어과
|-
|
|}
|}
|}
분기도 바다빙어과. 살랑이과와 ''Plecoglossus''는 바다빙어과 속의 자매 클레이드일 수 있다.[3]
{| class="wikitable"
|-
! 바다빙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살랑이과, ''Plecoglossus''
|-
| ''Hypomesus''
|-
|
{| class="wikitable"
|-
| '''''Mallotus'''''
|-
|
{| class="wikitable"
|-
| ''Osmerus''
|-
|
{| class="wikitable"
|-
| '''''Thaleichthys'''''
|-
|
'Allosmerus' |
Spirinchus |
|}
|}
|}
|}
|}
|}
|}
4. 생태 및 습성
대부분의 바다빙어는 크기가 20cm를 넘는 경우가 드물지만, 일부는 더 크게 성장하기도 한다. 유럽 바다빙어의 일부 암컷은 25cm에서 40cm까지 자랄 수 있다.[1]
많은 바다빙어 종은 연어처럼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어종으로, 대부분의 생애를 바다에서 보내지만 번식을 위해 민물로 이동한다. 그러나 서프 바다빙어와 같은 몇몇 예외는 평생을 바다에서 보낸다.[2]
4. 1. 스멜트 디핑
오대호 주변의 캐나다와 미국 주에서는 "스멜트 디핑"이 초봄, 수온이 약 4°C 정도에 이르면 흔히 즐기는 단체 스포츠이다. 손전등이나 헤드램프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찾고, 나일론 또는 금속 망으로 만든 뜰채를 사용하여 물에서 건져 올린다. 스멜트는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여 손질한다. 가장 큰 스멜트를 제외한 모든 스멜트의 지느러미, 비늘, 뼈는 제거하지 않고 요리한다.[4]
메인 해안에서도 스멜트는 봄의 신호였으며, 이 작은 물고기들이 작은 조수 하구로 올라온다. 이들 시내의 많은 곳이 사람이 걸터앉아 양동이를 담가 스멜트를 잘 잡을 수 있을 정도로 좁았다.[4]
5. 식용
바다빙어는 타밀 나두에서 네틸리 튀김, 네틸리 카루바두(말린 생선) 등으로 요리되며, 특히 망갈로르와 우두피 지역의 해안 카르나타카에서 주요 어종 중 하나이다. 보통 머리와 꼬리를 제거하고 튀기거나 카레로 만들어 먹는다. 칸나다어와 툴루어에서는 '볼린제이'(ಬೊಳಂಜೆ)라고 불리며, 곤칸어에서는 '모티야레'라고 부른다.
5. 1. 북아메리카
뉴잉글랜드와 캐나다 해안 지역에서 바다빙어는 중요한 겨울 어획 대상이었다. 과거 어부들은 말과 썰매를 이용해 얼음 위에서 정해진 장소로 이동했다. 차가운 바닷물에서 잡은 바다빙어가 따뜻한 물에서 잡은 것보다 더 선호되었으며, 높은 가격은 아니었지만 풍부한 어획량 덕분에 부가적인 수입원이 되었다. 바다빙어는 얼음 위에 두는 방식으로 "급속 냉동"되어, 강을 따라 내려온 생선 구매자들에게 판매되었다.[7]오늘날 바다빙어는 바다에서 그물을 사용해 상업적으로, 손 그물, 창, 강 얼음 구멍 낚시 등을 통해 레크리에이션으로 어획된다. 바다빙어는 얼어붙은 강가의 '낚시 오두막'에서 주로 잡히며, 밀가루와 버터를 사용해 팬에 굽거나 반죽에 튀겨 요리한다.
5. 1. 1. 캐나다

캐나다의 5대호(휴런호, 온타리오호, 슈페리어호)와 인근 이리호 원주민들은 바다빙어를 단백질과 오메가 지방의 식량 공급원으로 잘 알고 있었고, 큰 노력이나 사냥 없이 얻을 수 있어 부분적으로 의존했다. 바다빙어는 수은 함량이 가장 낮은 식용 물고기 중 하나로, 담수와 해수 물고기 중 먹기에 가장 좋은 선택 중 하나이다.[7]
바다빙어는 대서양과 태평양, 그리고 캐나다 전역의 일부 담수호에서 발견된다. 바다빙어는 다양한 원주민들이 먹었다. 태평양 연안의 퍼스트 네이션이 말린 바다빙어를 더 맛있게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은 기름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었다.[7] 바다빙어의 일종인 유클라온은 산란기에 기름을 너무 많이 함유하여 말린 후에는 양초처럼 태울 수 있어 "양초 물고기"라는 별명이 붙었다.[7]
오늘날에는 바다빙어를 준비하고 요리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인기 있는 퍼스트 네이션 레시피는 모든 생선 뼈를 제거하고, 카놀라유나 땅콩 기름을 사용하여 튀기며, 바다빙어를 튀기기 전에 레몬즙과 강판 파마산 치즈 등을 섞은 빵가루 같은 코팅을 한다.[7]
5. 2. 동아시아

빙어는 일본에서 종종 먹으며, 특히 알이 꽉 찬 ''Sprinchus lanceolatus'' 종은 구워서 시샤모라고 불린다.
빙어 알은 특히 열빙어에서 나오며, 일본어로 마사고라고 불리고, 노란색에서 주황색을 띠며, 종종 스시에 사용된다.
빙어는 또한 중국의 딤섬 레스토랑에서도 제공되며, 머리와 꼬리를 붙인 채로 튀겨진다. 多春魚|duō chūn yú중국어 또는 多卵魚|duō luǎn yú중국어로, "알이 많은 생선"으로 번역된다.[5]
6. 축제
대한민국 강원도 인제군에서는 바다빙어 산란기인 1월 30일부터 2월 2일까지 소양호에서 매년 빙어 축제가 열린다. 현지에서는 빙어를 "빙어"라고 부르며, 보통 산 채로 먹거나 튀겨 먹는다.[6]
핀란드 팔타모 주에서는 매년 5월 중순에 "Norssikarnevaali" 축제가 열린다.
이탈리아인, 특히 칼라브리아 지역 출신에게는 튀긴 바다빙어가 생선 요리가 여러 코스로 제공되는 크리스마스 이브 저녁 식사의 전통적인 일부이다.
1956년, 워싱턴주 켈소에 있는 상공 회의소는 컬리츠강에 위치한 켈소를 "세계의 바다빙어 수도"로 선포했다. 그들은 이 사실을 알리는 광고판을 세우고, 바다빙어의 연례 회유를 기념하는 축제를 열었지만, 회유가 중단되면서 축제도 사라졌다.[7]
뉴욕주 루이스턴은 나이아가라강 하류에 있으며, 매년 5월 첫째 주말에 이틀간 바다빙어 축제를 개최한다.[8][9] 축제 기간 동안 루이스턴 워터프론트에서 약 약 158.76kg의 바다빙어를 튀긴다.[10] 바다빙어 시식은 축제 기간 동안 무료로 제공되며, 나이아가라강 낚시꾼들이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한 기부금도 받는다. 축제에는 "루이스턴은 이렇게 좋은 냄새가 난 적이 없다"라는 언어 유희가 담긴 모토가 있다.[11]
리투아니아에서는 매년 1월 초 팔랑가에서 주말 바다빙어 축제 "Palangos Stinta"를 개최한다.
위스콘신주 포트 워싱턴의 미국 재향군인회 지부 82에서는 1951년부터 매년 바다빙어 튀김 행사를 개최해 왔다. 미시간호 서안에 위치한 포트 워싱턴은 밀워키에서 북쪽으로 약 56.33km 떨어진 곳으로, 상업적, 스포츠적 활동과 함께 어업 공동체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재향군인회의 바다빙어 튀김 행사는 매년 4월 중순에서 말에 열린다. 7월 중순에는 "세계 최대의 하루 야외 생선 튀김!"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피시 데이 행사를 개최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발트해에 있는 핀란드만 기슭의 네바강에서 바다빙어가 봄에 회유할 때, Праздник корюшки|Smelt Festivalru 축제("Prazdnik koryushki")가 열린다.
미네소타주 덜루스의 매직 스멜트 꼭두각시 극단은 2012년부터 매년 "달려라, 바다빙어, 달려!" 꼭두각시를 이용한 세컨드 라인 퍼레이드, 바다빙어 튀김, 댄스 파티를 개최하고 있다.[12] 이 극단은 때때로 연중 다른 공연도 개최한다.
참조
[1]
논문
An endangered regional cuisine in Sweden: the decline in use of European smelt, ''Osmerus eperlanus'' (L., 1758), as food stuff
2019-12-23
[2]
서적
Encyclopedia of Fishes
Academic Press
[3]
논문
Molecular resolution of the systematics of a problematic group of fishes (Teleostei: Osmeridae) and evidence for morphological homoplasy
[4]
웹사이트
Smeltdown: Small fish continues Great Lakes vanishing act
https://www.freep.co[...]
Keith MathenyDetroit Free Press
2020-12-21
[5]
웹사이트
"[Japan Smelt fishing Popularity Ranking] Ice / Dome Boat Tour! Lake Leisure A thorough introduction to winter tradition of smelt fishing! {{!}} Activity Japan"
https://en.activityj[...]
Unknown
2020-12-21
[6]
웹사이트
lcefish Festival
http://injefestival.[...]
2022-02-02
[7]
간행물
The Ghost Run of the Cowlitz
http://www.cbr.washi[...]
Cowlitz Historical Quarterly
2010-02-15
[8]
웹사이트
Smelt Festival due for two-day run
http://www.buffalone[...]
2022-02-02
[9]
웹사이트
SMELT FESTIVAL: Lewiston never smelt so good as event features two-days of smelt tasting
http://www.tonawanda[...]
2022-02-02
[10]
웹사이트
Lewiston Smelt Festival
http://www.buffalosp[...]
2022-02-02
[11]
웹사이트
Lewiston Never Smelt so Good!
http://www.niagarari[...]
2022-02-02
[12]
웹사이트
'Magic' march: Annual Duluth parade celebrates spring smelt run
http://www.duluthnew[...]
2018-05-13
[13]
FishBase
[14]
문서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