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툴루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루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 분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7~8세기 비문이 존재하며, 툴루 문자, 티갈라리 문자, 칸나다 문자를 사용한다. 툴루어는 4개의 주요 방언과 브라만, 자이나교, 아디바시 방언으로 세분된다. 툴루 문학은 마하바라타 번역본 등 고전 작품과 현대 칸나다 문자를 사용한 작품으로 구성된다. 구전 전통으로 파다나, 수수께끼, 바잔, 카비톨 등이 있으며, 야크샤가나와 같은 극장 예술도 발달했다. 툴루 영화 산업은 소규모이나, 2006년 영화 '수다'가 수상하는 등 성과를 거두었다. 카르나타카 툴루 문학 아카데미와 케랄라 툴루 아카데미 등에서 툴루어 연구를 지원하며, 망갈로르 대학교와 드라비다 대학교에서도 관련 연구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브라후이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기원전 3천년 또는 기원후 1000년 이후 유입설이 있으며, 주변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모음 조화 언어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 모음 조화 언어 - 키르기스어
    키르기스어는 튀르크어족 킵차크어파에 속하며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 490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로, 북부와 남부 방언으로 나뉘고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모음 조화와 독특한 음운론적 특징을 지닌다.
  • 교착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교착어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툴루어
개요
툴루어 바세
툴루어 바세 (티갈라리어 표기)
언어 이름툴루어
고유 이름, , ,
발음[t̪uɭu baːsɛ]
사용 지역카르나타카 주 남서부
케랄라 주 북부 (카사라코드 현)
인도 남부 (툴루나두)
사용자1,850,000명 (2011년)
방언북부 브라만
북부 공용
남부 브라만
남부 공용
인도 내 툴루어 사용 주요 분포 지역
인도 내 툴루어 사용 주요 분포 지역
툴루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취약 언어로 분류됨
툴루어는 유네스코 세계 위험 언어 지도에서 취약 언어로 분류됨
언어학적 분류
어족드라비다어족
하위 어족남부 드라비다어족
세부 분류남부 드라비다 I
추가 분류남서부 드라비다어
관련 언어쿠디야어-툴루어
문자 체계
사용 문자티갈라리어
칸나다 문자
말라얄람 문자
언어 코드
ISO 639-3tcy
Glottologtulu1258
인물 및 민족
민족툴루바족
거주 지역툴루나두

2. 분류

툴루어는 드라비다어족의 남부 분파에 속한다. 툴루어는 원시 남부 드라비다어에서 분리된 최초의 분파였으며,[16] 원시 남부 드라비다어는 차례로 원시 드라비다어에서 파생되었다. 툴루어는 중앙 드라비다어와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 따라서 초기 분기에서 툴루어는 때때로 중앙 드라비다어와 함께 묶였지만, 이후 남부 드라비다어에서 분리되었으며 최초로 분리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3. 명칭

툴루어라는 단어의 어원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언어학자 P. 구루라자 바트는 저서 ''툴루나두''에서 툴루바(tuluva)가 투루바(turuva|투루바tcy)(turu|투루tcy)에서 유래되었으며, 여기서 turutcy는 '소'를 의미하고 야다바(yadava|야다바tcy) 또는 소치기들이 지배했던 곳을 가리킨다고 언급한다. 투루갈레 프라다나바다 나두 툴루나두(turugaḷē pradhānavāda nāḍu tuḷunāḍu|투루갈레 프라다나바다 나두 툴루나두tcy).

언어학자 푸루쇼타마 빌리말레(ಪುರುಷೋತ್ತಮ ಬಿಳಿಮಲೆ|푸루쇼타마 빌리말레kn)는 툴루(tulu|툴루tcy)라는 단어가 '물과 관련된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툴라베(잭프루트)는 툴루어로 '물기가 많은'을 의미한다. 툴루어의 다른 물과 관련된 단어로는 탈리푸(talipu|탈리푸tcy), 텔리(teli|텔리tcy), 테ḷ리(teḷi|테ḷ리tcy), 테ḷ푸(teḷpu|테ḷ푸tcy), 투ḷ리푸(tuḷipu|투ḷ리푸tcy), 툴라부(tulavu|툴라부tcy) 및 타멜(tamel|타멜tcy)이 있다. 칸나다어에는 '물의 특징을 가진 것'을 의미하는 투ḷ루쿠(tuḷuku|투ḷ루쿠kn)와 톨레(toḷe|톨레kn)와 같은 단어가 있다.

4. 역사

툴루어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은 서기 7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만들어졌다.[23][24][25][26] 이 비문들은 툴루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비자야나가라 제국 시대에 툴루 나두의 수도였던 바르쿠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견된다. 또 다른 비문들은 쿤다푸라 근처의 울루르 수브라흐마냐 사원에서 발견된다. S.U. 판니야디, L. V. 라마스와미 아이예르, P.S. 수브라흐마냐와 같은 많은 언어학자들은 툴루어가 약 2500년 전에 원시 드라비다어에서 독립적으로 분화된 드라비다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라고 제안했다. 이러한 주장은 툴루어가 여전히 원시 드라비다어의 많은 측면을 보존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툴루어의 연대는 툴루어가 고유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이 고대 타밀인들에게 툴루 나두로 알려졌다는 사실, 상감 시대(기원전 200년) 타밀인 시인 마물라르의 시, 상감 문학(기원전 300년경) "아카나누루" 15번째 시, 칸나다어 할미디 비문의 알루파스 왕국 언급, 2세기 그리스인들에게 ''톨로코이라''(툴루 국가)로 알려진 점, 기원전 2세기 그리스어 연극 카리티온 미메의 배경 등에서 찾을 수 있다.[27][28] 이 연극은 대부분 그리스어로 되어 있지만, 인도인 등장인물들은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모든 학자들은 인도어가 드라비다어라는 데 동의하지만, 어떤 형태의 언어인지는 논쟁 중이다. E. 훌츠슈(1857–1927)는 이 언어가 드라비다어라고 처음 제안했다. 학자들은 연극 속 언어가 당시 고대 칸나다어, 고대 타밀어, 툴루어가 동일한 원시 언어의 방언이었고, 이후 분리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4. 1. 초기 역사

툴루어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은 서기 7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만들어진 것이다.[23][24][25][26] 이 비문들은 툴루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비자야나가라 제국 시대에 툴루 나두의 수도였던 바르쿠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견된다. 또 다른 비문들은 쿤다푸라 근처의 울루르 수브라흐마냐 사원에서 발견된다. S.U. 판니야디, L. V. 라마스와미 아이예르, P.S. 수브라흐마냐와 같은 많은 언어학자들은 툴루어가 약 2500년 전에 원-드라비다어에서 독립적으로 분화된 드라비다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라고 제안했다. 이러한 주장은 툴루어가 여전히 원시 드라비다어의 많은 측면을 보존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툴루어의 연대는 툴루어가 고유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이 고대 타밀인들에게 툴루 나두로 알려졌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상감 시대(기원전 200년)에 속하는 타밀인 시인 마물라르는 그의 시 중 하나에서 툴루 나두와 그곳의 춤추는 미녀들을 묘사하고 있다.[27] 상감 문학(기원전 300년경)에 속하는 시집 "아카나누루"의 15번째 시에서 툴루나드가 언급된다.[https://learnsangamtamil.com/akananuru/] 칸나다어 할미디 비문에는 툴루 지역이 알루파스의 왕국으로 언급되어 있다.[28] 이 지역은 또한 2세기 그리스인들에게 '톨로코이라'(툴루 국가)로 알려졌다. 기원전 2세기에 속하는 그리스어 연극인 카리티온 미메는 툴루어가 주로 사용되는 카르나타카 해안을 배경으로 한다. 연극은 대부분 그리스어로 되어 있지만, 연극에 등장하는 인도인 등장인물들은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연극에 등장하는 인도 언어에 대한 상당한 모호성이 있으며, 모든 학자들은 인도 언어가 드라비다어라는 데 동의하지만, 어떤 형태의 언어인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논쟁이 있다. 저명한 독일 인도학자 E. 훌츠슈(1857–1927)는 이 언어가 드라비다어라고 처음으로 제안했다. 연극에 등장하는 언어에 대한 논쟁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지만, 학자들은 이 논쟁이 연극이 쓰여진 당시의 고대 칸나다어, 고대 타밀어, 툴루어가 아마도 동일한 원시 언어의 방언적 변이였으며, 수년에 걸쳐 현재의 형태로 분리된 언어로 발전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는 데 동의한다.

4. 2. 중세 시대

비자야나가라 제국 시대에 툴루 나두의 수도였던 바르쿠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견된 서기 7세기에서 8세기 사이의 툴루 문자 비문들이 툴루어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이다.[23][24][25][26] 쿤다푸라 근처 울루르 수브라흐마냐 사원에서도 비문들이 발견된다. S.U. 판니야디, L. V. 라마스와미 아이예르와 P.S. 수브라흐마냐와 같은 많은 언어학자들은 툴루어가 약 2500년 전에 원-드라비다어에서 독립적으로 분화된 드라비다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툴루어가 원시 드라비다어의 많은 측면을 여전히 보존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든다.

툴루어의 역사는 고대 타밀인들에게 툴루어가 사용되는 지역이 툴루 나두로 알려졌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상감 시대(기원전 200년) 타밀인 시인 마물라르는 그의 시에서 툴루 나두와 그곳의 춤추는 미녀들을 묘사했다.[27] 상감 문학(기원전 300년경) "아카나누루" 15번째 시에는 툴루나드에 대한 언급이 있어, 툴루어가 적어도 약 2,300년 정도 되었음을 알 수 있다.[https://learnsangamtamil.com/akananuru/] 칸나다어 할미디 비문에는 툴루 지역이 알루파스 왕국으로 언급되어 있다.[28] 2세기 그리스인들은 이 지역을 톨로코이라(툴루 국가)로 불렀다. 기원전 2세기 그리스어 연극 카리티온 미메는 툴루어가 주로 사용되는 카르나타카 해안을 배경으로 한다. 대부분 그리스어로 되어 있지만, 인도인 등장인물들은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모든 학자들이 인도어가 드라비다어라는 데는 동의하지만, 어떤 형태인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독일 인도학자 E. 훌츠슈 (1857–1927)는 이 언어가 드라비다어라고 처음 제안했다. 연극 속 언어에 대한 논쟁은 아직 해결되지 않았지만, 학자들은 고대 칸나다어, 고대 타밀어, 툴루어가 당시에는 동일한 원시 언어의 방언이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 형태로 분리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4. 3. 현대

툴루어의 가장 오래된 비문은 서기 7세기에서 8세기 사이에 만들어졌다.[23][24][25][26] 이 비문들은 툴루 문자로 작성되었으며, 비자야나가라 제국 시대에 툴루 나두의 수도였던 바르쿠르와 그 주변 지역에서 발견된다. 또 다른 비문들은 쿤다푸라 근처의 ''울루르'' ''수브라흐마냐'' 사원에서 발견된다. S.U. 판니야디, L. V. 라마스와미 아이예르와 P.S. 수브라흐마냐와 같은 많은 언어학자들은 툴루어가 약 2500년 전에 원-드라비다어에서 독립적으로 분화된 드라비다어족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라고 제안했다. 이러한 주장은 툴루어가 여전히 원시 드라비다어의 많은 측면을 보존하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툴루어의 역사는 툴루어가 고유 언어로 사용되는 지역이 고대 타밀인들에게 툴루 나두로 알려졌다는 사실에서도 찾을 수 있다. 상감 시대(기원전 200년)에 속하는 타밀인 시인 마물라르는 그의 시 중 하나에서 툴루 나두와 그곳의 춤추는 미녀들을 묘사하고 있다.[27] 상감 문학(기원전 300년경)에 속하는 시집 "아카나누루"의 15번째 시에서 툴루나드가 언급되는데, 이는 툴루어가 적어도 약 2,300년 정도 되었음을 나타낸다. 칸나다어 할미디 비문에는 툴루 지역이 알루파스의 왕국으로 언급되어 있다.[28] 이 지역은 또한 2세기 그리스인들에게 ''톨로코이라''(툴루 국가)로 알려졌다. 기원전 2세기에 속하는 그리스어 연극인 카리티온 미메는 툴루어가 주로 사용되는 카르나타카 해안을 배경으로 한다. 연극은 대부분 그리스어로 되어 있지만, 연극에 등장하는 인도인 등장인물들은 그리스어와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연극에 등장하는 인도 언어에 대한 상당한 모호성이 있지만, 모든 학자들은 이 언어가 드라비다어라는 데 동의한다. 저명한 독일 인도학자 E. 훌츠슈 (1857–1927)는 이 언어가 드라비다어라고 처음으로 제안했다.

5. 사용 지역

툴루어는 주로 인도 카르나타카에서 사용된다.[29]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약 180만 명이 이 언어를 사용한다.[29] 툴루족은 부정적인 상황을 떠나 더 새롭고 긍정적인 상황을 찾는 것을 장려하는 격언을 따른다.[29] 툴루어는 구전 전통을 통해 흔히 전해지기 때문에 언어의 많은 부분이 끊임없이 변형되고 변화하며, 특정 구절이 항상 동일한 의미나 중요성을 유지하지 못했다.[29]

그러나 이 언어는 다른 주류 언어만큼 인기가 없어 곧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으며, 다른 주류 언어의 영향은 현재 툴루어가 직면한 위험 요소이다.[29]

6. 문자

Tulu script.
툴루 문자


툴루 문자는 티갈라리 문자, 칸나다 문자, 말라얄람 문자와 관련이 깊다. 역사적으로 툴루어를 표기하기 위해 티갈라리 문자가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칸나다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 툴루 알파벳은 말라얄람 문자와 유사하며, "a", "o" 등의 모음과 "kha", "gha" 등의 자음을 포함한다.[32][33]

6. 1. 티갈라리 문자

바르쿠르와 쿤다푸라 주변에서 발견된 툴루어의 다양한 역사적 비문은 티갈라리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툴루 나두의 브라만과 하비야카 브라만들은 베다와 다른 산스크리트어 작품을 쓰기 위해 티갈라리 문자를 사용했다. 툴루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를 거쳐 그란타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말라얄람 문자의 자매 문자이다. 그러나 칸나다어와 툴루어와 같은 토착 언어로 쓰여진 작품은 거의 없다. 따라서 툴루 문자는 칸나다 문자 외에도 툴루 브라만들이 툴루어와 칸나다어를 쓰기 위해 사용했다. 국립 필사본 위원회는 학자 켈라디 군다 조이스의 도움으로 이 문자에 대한 여러 워크숍을 진행했다. 18세기에 툴루어를 쓰기 위한 칸나다 문자의 사용과 툴루 문자로 된 인쇄물의 부재는 지배적인 툴루 문자의 소외에 기여했다. 이 문자는 연구 및 종교적 목적으로 소수의 학자와 필사본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칸나다 문자는 점차 툴루어의 현대 문자가 되었다. 모든 현대 작품과 문학은 칸나다 문자로 작성된다.

2021년 인도 중앙 언어 연구소는 툴루 문자 세트를 승인했다.[32]

툴루 알파벳은 말라얄람 문자와 유사하다. 이들은 카르나타카 주의 같은 지역 출신이다. 툴루어와 칸나다어 알파벳은 "a"와 "o" 소리에 모음을 강조한다.[33] 다른 모음에는 "au", "am", "ah"와 같은 소리가 포함된다. 많은 자음은 "kha", "gha", "dha", "jha"와 같은 드라비다어에서 유래되었다. 이것들은 툴루 알파벳에서 파생되었다.

6. 2. 칸나다 문자

티갈라리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를 거쳐 그란타 문자에서 파생되었으며, 말라얄람 문자의 자매 문자이다.[32] 역사적으로 툴루 나두의 브라만과 하비야카 브라만들은 베다와 다른 산스크리트어 작품을 쓰기 위해 티갈라리 문자를 사용했다. 그러나 칸나다어와 툴루어와 같은 토착 언어로 쓰여진 작품은 거의 없었다. 따라서 툴루 브라만들은 툴루어와 칸나다어를 쓰기 위해 칸나다 문자 외에도 툴루 문자를 사용했다.

18세기에 툴루어를 쓰기 위한 칸나다 문자의 사용과 툴루 문자로 된 인쇄물의 부재는 툴루 문자의 소외에 기여했다. 이 문자는 연구 및 종교적 목적으로 소수의 학자와 필사본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칸나다 문자는 점차 툴루어의 현대 문자가 되었으며, 모든 현대 작품과 문학은 칸나다 문자로 작성된다.[33]

6. 3. 툴루 문자



바르쿠르와 쿤다푸라 주변에서 발견된 툴루의 다양한 역사적 비문은 티갈라리 문자로 기록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툴루 나두의 브라만과 하비야카 브라만들은 베다와 다른 산스크리트어 작품을 쓰기 위해 티갈라리 문자를 사용했다. 툴루 문자는 브라흐미 문자를 거쳐 그란타 문자에서 파생되었다. 말라얄람 문자의 자매 문자이다. 그러나 칸나다어와 툴루어와 같은 토착 언어로 쓰여진 작품은 거의 없다. 따라서 툴루 문자는 칸나다 문자 외에도 툴루 브라만들이 툴루어와 칸나다어를 쓰기 위해 사용했다. 국립 필사본 위원회는 학자 켈라디 군다 조이스의 도움으로 이 문자에 대한 여러 워크숍을 진행했다. 18세기에 툴루어를 쓰기 위한 칸나다 문자의 사용과 툴루 문자로 된 인쇄물의 부재는 지배적인 툴루 문자의 소외에 기여했다. 이 문자는 연구 및 종교적 목적으로 소수의 학자와 필사본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칸나다 문자는 점차 툴루어의 현대 문자가 되었다. 모든 현대 작품과 문학은 칸나다 문자로 작성된다.

2021년 인도 중앙 언어 연구소에서 툴루 문자 세트를 승인했다.[32]

툴루 알파벳은 말라얄람 문자와 유사하다. 이들은 카르나타카 주의 같은 지역 출신이다. 툴루어와 칸나다어 알파벳은 "a"와 "o" 소리에 모음을 강조한다.[33] 다른 모음에는 "au", "am", "ah"와 같은 소리가 포함된다. 많은 자음은 "kha", "gha", "dha", "jha"와 같은 드라비다어에서 유래되었다. 이것들은 툴루 알파벳에서 파생되었다.

7. 방언

툴루어에는 크게 4가지 방언이 있다.[34][35]

툴루어의 주요 방언
방언설명
공통 툴루어대다수가 사용하며, 상업, 무역, 오락 분야에서 주로 사용된다. 분트, 빌라바, 비스와카르마, 모가비라, 툴루 마디발라, 툴루 고다, 쿨랄라, 데바디가, 요기, 파드마샬리 공동체 등에서 사용하며, 8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브라만 툴루어시발리 브라만, 스타니카 브라만, 툴루바 헤바르가 사용하며,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자이나교 방언툴루 자이나교도가 사용하며, 단어 첫 글자 T, SH로 바뀌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Tare|타레tcy는 Hare|하레tcy로, Saadi|사디tcy는 Haadi|하디tcy로 발음된다.
아디바시 방언코라가, 만사 등 툴루 나두 지역의 부족들이 사용한다.



각 방언에 따른 단어 차이는 다음과 같다.

방언에 따른 단어 차이
단어북부 브라만남부 브라만북부 비(非) 브라만남부 비 브라만칸나다어타밀어자이나교하리잔/부족
넘어지다에다쿠에데쿠다쿠다쿠에다가
부르다오레푸오렙푸레푸우라푸
고구마켈라구, 켈레구키렌구케렌구킬랑구
머리타레타레타레사레탈라이하레차레
사푸사푸타푸사푸차푸



주요 변화는 브라만 방언에서 ḻ > ḷ, 다른 방언에서는 r로의 변화가 있으며, 타밀어-말라얄람어와 유사하게 북부 비 브라만 방언에서는 eCa/oCa > iCa/uCa, 북부 비 브라만 방언에서는 c- > t-, 남부 비 브라만 방언에서는 t- > c- > s-, 자이나교 방언에서는 t- > c- > s- > h-, 하리잔/부족 방언에서는 t, s > c로 변화가 나타난다. 비 브라만 방언에서는 ḷ, ṇ > l, n으로, 그리고 단어 첫머리 모음이 산발적으로 삭제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7. 1. 공통 툴루어

공통 툴루어는 대다수가 사용하는 방언으로, 분트, 빌라바, 비스와카르마, 모가비라, 툴루 마디발라, 툴루 고다, 쿨랄라, 데바디가, 요기, 파드마샬리 공동체 등에서 사용한다.[34] 상업, 무역, 오락 분야에서 사용되며, 주로 공동체 간의 소통에 사용된다. 공통 툴루어는 다음과 같이 8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34]

  • 북서부 툴루어
  • 중앙 툴루어
  • 북동부 툴루어
  • 북부 툴루어
  • 남서부 툴루어
  • 중남부 툴루어
  • 동남부 툴루어
  • 남부 툴루어

7. 1. 1. 북서부 툴루어

우두피에서 사용된다.[34]

7. 1. 2. 중앙 툴루어

망갈로르에서 사용되는 툴루어 방언이다.[34]

7. 1. 3. 북동부 툴루어

카르칼라와 벨탕가디에서 사용되는 툴루어 방언이다.[34]

7. 1. 4. 북부 툴루어

북부 툴루어는 쿤다푸라에서 사용되며, 쿤다가나다 방언의 영향으로 쿤다툴루라고도 불린다.[34]

7. 1. 5. 남서부 툴루어

만제슈와르와 카사라고드에서 사용되며, 말라얄람어의 영향을 받는 카사라고드 툴루어로 알려져 있다.[34]

7. 1. 6. 중남부 툴루어

반트왈에서 사용된다.[34]

7. 1. 7. 동남부 툴루어

푸투르, 술리아 및 코르그(Kodagu)의 일부 마을/탈루크에서 사용된다.[34]

7. 1. 8. 남부 툴루어

카사라고드와 파야스위니(찬드라기리) 강 남부에서 사용되는 툴루어 방언으로, 말라얄람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텐카이 툴루어라고도 불린다.[34]

7. 2. 브라만 툴루어

시발리 브라만, 스타니카 브라만, 툴루바 헤바르가 사용하는 툴루어 방언이다.[34] 이 방언은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7. 3. 자이나교 방언

툴루 자이나교도가 사용하는 방언이다.[35] 이 방언에서는 단어의 첫 글자 'T'와 'S'가 'H'로 바뀐다. 예를 들어 Tare|타레tcy라는 단어는 Hare|하레tcy로 발음되고, Saadi|사디tcy는 Haadi|하디tcy로 발음된다.

7. 4. 아디바시 방언

코라가, 만사 등 툴루 나두 지역의 부족들이 사용하는 방언이다.[35]

8. 음운

툴루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 모음 ===

드라비다어족의 언어들처럼 툴루어는 단모음 5개와 장모음 5개를 가지고 있다. (a, ā, e, ē, u, ū, i, ī, o, ō) [36]

코다바 탁처럼 툴루어에는 와 비슷한 모음이 있는데, 이 모음은 보통 단어 마지막에 오며 옛 *ai에서 유래했다. 칸나다 문자에는 이 모음을 특별히 나타내는 기호가 없어서 보통 'e'로 쓴다.[36] 예를 들어, 동사의 1인칭 단수 형태와 3인칭 단수 남성 형태는 모든 시제에서 'e'로 끝나지만 발음은 다르다. 전자는 영어 단어 'man'의 'a'처럼(ಮಲ್ಪುವೆ|maḷpuve||/maɭpuvæ/tcy, "나는 만든다") 발음되고, 후자는 'men'의 'e'처럼(ಮಲ್ಪುವೆ|maḷpuve||/maɭpuve/tcy, "그는 만든다") 발음된다.[37]

1932년 문법학자 S. U. 파니야디는 칸나다 문자로 툴루어 /ɛ/를 나타내기 위해 특별한 모음 부호를 사용했다. 바트에 따르면, 그는 이 목적으로 두 개의 를 사용했으며, 이 관례는 1988년 툴루어 사전에서 우파디야야에 의해 채택되었다.[36] 이 모음의 장모음은 일부 단어에서 나타나며, 모든 방언에서 /e/와 /ɛ/ 쌍은 구별된다.[38]

코다바 탁, 토다어, 말라얄람어(), 타밀어 ()처럼 툴루어는 와 비슷한 모음 (또는 슈와 )을 음소로 가지며, ''ŭ''(ISO), ''ɯ'', ''u̥'' 등으로 로마자 표기된다. J. 브리겔과 A. 매너는 이것이 프랑스어 'je'의 'e'처럼 발음된다고 말한다. 바트는 /ɯ/로 묘사하지만, 말라얄람어 "반-u"와 같다면 또는 가 더 적절할 수 있다. 이전 *ai에서 형성된 /ɛ/와 이전 */u/는 현대 /u, ɯ/로 분리된다. /ɛ, ɯ/의 장모음은 매우 드물다. 칸나다 문자에서 브리겔과 매너는 말라얄람어처럼 /ɯ/를 나타내기 위해 비라마 (할란트) (್kn)를 사용했다. 바트는 를 사용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비라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39]

모음
rowspan="3"|전설후설
원순비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툴루어는 순음과 권설 자음 사이에 있는 전설 모음의 원순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예를 들어 PD. ''∗peṇ'' > 타밀어 ''peṇ'', 칸나다어 ''heṇṇu'', 툴루어 ''poṇṇu''와 같다. 이 특징은 코다바어와 구어체 타밀어에서도 나타난다(코다바어, 구어체 타밀어 ''poṇṇï''). 예외로는 ''{tū, sū}, buttu, pili,'' 타밀어 ''tī, vittu, puli.''가 있다.

=== 자음 ===



과 의 대립은 남부 공통 방언과 브라만 방언에서 유지되지만, 여러 방언에서는 사라진다.[38] 또한, 브라만 방언에는 와 가 있다. 유기 자음은 때때로 브라만 방언에서 사용되지만, 음소는 아니다.[38] 코라가어와 홀레야어 방언에서는 ''s'' 와 ''ś'' 가 ''c'' 로 합쳐진다(툴루어의 코라가 방언은 코라가어와는 다르다).[38] 단어 첫머리의 자음군은 드물며, 주로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에서 나타난다.[38]

툴루어는 r/l 및 s/c/t 교체가 특징적이며, 예를 들어 툴루어 방언 간의 ''sarɛ, tarɛ''는 칸나다어 ''tale''와 비교된다. 치경음 ṯ, ṯṯ, nṯ는 후치경음 또는 치음이 되었으며, 단수는 일반적으로 다른 드라비다어에서는 트릴이 된다. 예를 들어 타밀어 ''oṉṟu, āṟu, nāṟu, nāṟṟam, muṟi, kīṟu;'' 툴루어 ''oñji, āji, nāduni, nāta, {mudipuni, muyipuni}, {kīruni, gīcuni}.'' 권설 접근음은 대부분 /ɾ/ 및 /ɭ, ɖ/가 되었다. 예를 들어 타밀어 ''ēẓu, puẓu,'' 툴루어 ''{ēḷŭ, ēlŭ, ēḍŭ}, puru.''

8. 1. 모음

드라비다어족의 언어들처럼 툴루어는 단모음 5개와 장모음 5개를 가지고 있다. (a, ā, e, ē, u, ū, i, ī, o, ō) [36]

코다바 탁처럼 툴루어에는 와 비슷한 모음이 있는데, 이 모음은 보통 단어 마지막에 오며 옛 *ai에서 유래했다. 칸나다 문자에는 이 모음을 특별히 나타내는 기호가 없어서 보통 'e'로 쓴다.[36] 예를 들어, 동사의 1인칭 단수 형태와 3인칭 단수 남성 형태는 모든 시제에서 'e'로 끝나지만 발음은 다르다. 전자는 영어 단어 'man'의 'a'처럼(ಮಲ್ಪುವೆ|maḷpuve||/maɭpuvæ/tcy, "나는 만든다") 발음되고, 후자는 'men'의 'e'처럼(ಮಲ್ಪುವೆ|maḷpuve||/maɭpuve/tcy, "그는 만든다") 발음된다.[37]

1932년 문법학자 S. U. 파니야디는 칸나다 문자로 툴루어 /ɛ/를 나타내기 위해 특별한 모음 부호를 사용했다. 바트에 따르면, 그는 이 목적으로 두 개의 를 사용했으며, 이 관례는 1988년 툴루어 사전에서 우파디야야에 의해 채택되었다.[36] 이 모음의 장모음은 일부 단어에서 나타나며, 모든 방언에서 /e/와 /ɛ/ 쌍은 구별된다.[38]

코다바 탁, 토다어, 말라얄람어(), 타밀어 ()처럼 툴루어는 와 비슷한 모음 (또는 슈와 )을 음소로 가지며, ''ŭ''(ISO), ''ɯ'', ''u̥'' 등으로 로마자 표기된다. J. 브리겔과 A. 매너는 이것이 프랑스어 'je'의 'e'처럼 발음된다고 말한다. 바트는 /ɯ/로 묘사하지만, 말라얄람어 "반-u"와 같다면 또는 가 더 적절할 수 있다. 이전 *ai에서 형성된 /ɛ/와 이전 */u/는 현대 /u, ɯ/로 분리된다. /ɛ, ɯ/의 장모음은 매우 드물다. 칸나다 문자에서 브리겔과 매너는 말라얄람어처럼 /ɯ/를 나타내기 위해 비라마 (할란트) (್kn)를 사용했다. 바트는 를 사용한다고 했지만, 실제로는 비라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39]

모음
rowspan="3"|전설후설
원순비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툴루어는 순음과 권설 자음 사이에 있는 전설 모음의 원순성으로 특징지어진다. 예를 들어 PD. ''∗peṇ'' > 타밀어 ''peṇ'', 칸나다어 ''heṇṇu'', 툴루어 ''poṇṇu''와 같다. 이 특징은 코다바어와 구어체 타밀어에서도 나타난다(코다바어, 구어체 타밀어 ''poṇṇï''). 예외로는 ''{tū, sū}, buttu, pili,'' 타밀어 ''tī, vittu, puli.''가 있다.

8. 2. 자음



과 의 대립은 남부 공통 방언과 브라만 방언에서 유지되지만, 여러 방언에서는 사라진다.[38] 또한, 브라만 방언에는 와 가 있다. 유기 자음은 때때로 브라만 방언에서 사용되지만, 음소는 아니다.[38] 코라가어와 홀레야어 방언에서는 ''s'' 와 ''ś'' 가 ''c'' 로 합쳐진다(툴루어의 코라가 방언은 코라가어와는 다르다).[38] 단어 첫머리의 자음군은 드물며, 주로 산스크리트어 차용어에서 나타난다.[38]

툴루어는 r/l 및 s/c/t 교체가 특징적이며, 예를 들어 툴루어 방언 간의 ''sarɛ, tarɛ''는 칸나다어 ''tale''와 비교된다. 치경음 ṯ, ṯṯ, nṯ는 후치경음 또는 치음이 되었으며, 단수는 일반적으로 다른 드라비다어에서는 트릴이 된다. 예를 들어 타밀어 ''oṉṟu, āṟu, nāṟu, nāṟṟam, muṟi, kīṟu;'' 툴루어 ''oñji, āji, nāduni, nāta, {mudipuni, muyipuni}, {kīruni, gīcuni}.'' 권설 접근음은 대부분 /ɾ/ 및 /ɭ, ɖ/가 되었다. 예를 들어 타밀어 ''ēẓu, puẓu,'' 툴루어 ''{ēḷŭ, ēlŭ, ēḍŭ}, puru.''

9. 문법

툴루어는 드라비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브라만 방언에서는 ḻ > ḷ, 다른 방언에서는 r로 변화하며, 타밀-말라얄람어와 유사하게 북부 비(非) 브라만 방언에서는 eCa/oCa > iCa/uCa, c- > t-로 변화한다. 남부 비 브라만 방언에서는 t- > c- > s-, 자이나교 방언에서는 t- > c- > s- > h-, 하리잔/부족 방언에서는 t, s > c로 변화한다.[41] 비 브라만 방언에서는 ḷ, ṇ > l, n으로 변화하고, 단어 첫머리 모음이 생략되기도 한다.

툴루어는 명사(체언과 형용사), 대명사, 수사, 동사, 입자의 5가지 품사를 가진다.[41] 체언은 3개의 문법적 성(남성, 여성, 중성), 2개의 문법적 수(단수와 복수), 8개의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탈격 또는 도구격, 사교격, 호격)을 가진다.

방언에 따른 단어 변화
단어브라만북부 비 브라만남부 비 브라만타밀어
"넘어지다"에다쿠 (북부), 에데쿠 (남부)다쿠다쿠에다가 (칸나다어)
"부르다"오레푸 (북부), 오렙푸 (남부)레푸레푸우라푸
"고구마"켈라구, 켈레구키렌구케렌구킬랑구
"머리"타레타레사레탈라이
"잎"사푸타푸사푸차푸



동사는 능동태, 사동태, 재귀태(또는 중간태)의 세 가지 형태를 가지며, 활용되어 인칭, 수, 성, 시제(현재, 과거, 대과거, 미래, 미래 완료), 법(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부정사, 가능법, 가정법), 극성(긍정 및 부정)을 나타낸다.[48][49]

9. 1. 명사

툴루어는 품사명사(체언과 형용사), 대명사, 수사, 동사, 입자의 5가지로 나뉜다.[41]

체언은 3개의 문법적 성(남성, 여성, 중성), 2개의 문법적 수(단수와 복수), 8개의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탈격 또는 도구격, 사교격, 호격)을 가진다. 복수 접미사는 ''-rŭ'', ''-ḷu'', ''-kuḷu'', ''-āḍḷu'' 등이다. 예를 들어 mēji|메지tcy('table', 탁자)의 복수형은 mējiḷu|메지루tcy('tables', 탁자들)이다.[43] 주격은 별도로 표시되지 않지만, 나머지 격은 다른 접미사로 표현된다.

바트에 따르면 툴루어에는 두 개의 다른 처격이 있다. 사교격은 "말하다", "이야기하다", "묻다", "간청하다", "문의하다"와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메시지, 문의 또는 요청의 대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는 ''그에게'' 말했다."와 같이 사용된다. 또한 "나는 ''그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와 같이 관계를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42] 바트는 이를 공동격과 유사하지만, 물리적 동반 관계가 아닌 의사 소통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설명한다.

다음 표는 브리겔과 바트의 자료를 바탕으로 명사의 활용을 보여준다. 괄호 안의 형태는 바트, 다른 형태는 브리겔의 것이다.[44][45] 이러한 차이점 중 일부는 방언적 차이일 수 있다.

체언의 활용: 예시 mara|마라tcy ('a tree', 나무)
단수의미복수의미
주격mara|마라tcya tree (나무 한 그루)marokuḷu|마로쿠루tcy (marakulu|마라쿨루tcy)trees (나무들)
소유격marata|마라타tcyof a tree (나무의)marokuḷe|마로쿠레tcy (marakulena|마라쿨레나tcy)of trees (나무들의)
여격maroku|마로쿠tcy (marakŭ|마라크tcy)to a tree (나무에게)marokuḷegŭ|마로쿠레그tcy (marakulegŭ|마라쿨레그tcy)to trees (나무들에게)
대격maronu|마로누tcy (maranŭ|마라느tcy)a tree (목적어)marokuḷenŭ|마로쿠레느tcy (marakulenŭ|마라쿨레느tcy)trees (목적어)
처격maroṭu|마로투tcy (maraṭŭ|마라트tcy)in a tree (나무 안에)marokuḷeḍŭ|마로쿠레두tcy (marakuleḍŭ|마라쿨레두tcy)in trees (나무들 안에)
처격 2— (maraṭɛ|마라테tcy)at or through a tree (나무에서 또는 나무를 통해)— (marakuleḍɛ|마라쿨레데tcy)at or through trees (나무들에서 또는 나무들을 통해)
탈격maroḍŭdu|마로두두tcy (maraḍdŭ|마라뜨tcy)from, by, or through a tree (나무로부터, 나무에 의해, 또는 나무를 통해)marokuḷeḍŭdŭ|마로쿠레두두tcy (marakuleḍdŭ|마라쿨레뜨tcy)from, by, or through trees (나무들로부터, 나무들에 의해, 또는 나무들을 통해)
사교격maraṭa|마라타tcyto a tree (나무에게)marokuḷeḍa|마로쿠레다tcy (marakuleḍa|마라쿨레다tcy)to trees (나무들에게)
호격marā|마라tcyO tree! (오, 나무여!)marokuḷē|마로쿠레tcy (marakulɛ̄|마라쿨레tcy)O trees! (오, 나무들이여!)



인칭 대명사는 불규칙하게 굴절된다. yānŭ|야느tcy 'I' (나)는 간접 격에서 ''yen-''이 된다.[46] 툴루어는 포괄성과 배타적인 "우리"를 구분한다(''포괄성: 드라비다어족'' 참조). nama|나마tcy는 'we (including you)' (우리 (너를 포함))를, yenkuḷu|옌쿠루tcy는 'we (not including you)' (우리 (너를 포함하지 않음))를 뜻한다.[47] 2인칭 인칭 대명사는 ī|이tcy (간접: nin-|닌-tcy) 'you (singular)' (너 (단수))와 nikuḷu|니쿠루tcy 'you (plural)' (너희 (복수))이다. 3인칭에서는 근칭 및 원칭 형태뿐만 아니라 세 가지 성별이 구별된다. 예를 들어 imbe|임베tcy 'he (proximate)' (그 (근칭)), āye|아예tcy 'he (remote)' (그 (원칭))와 같다. 접미사 ''-rŭ''는 인칭 대명사의 공손한 형태를 만든다. 예를 들어 īrŭ|이르tcy 'you (respectfully)' (당신), ārŭ|아르tcy 'he (remote; respectfully)' (그 (원칭; 존칭))와 같다.[47]

후치사는 일반적으로 소유격의 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예를 들어 guḍḍe-da mittŭ|굿데 다 미트tcy 'on the hill' (언덕 위에)와 같다.

9. 2. 대명사

툴루어에는 다섯 개의 품사가 있는데, 명사(체언과 형용사), 대명사, 수사, 동사, 그리고 입자가 그것이다.[41]

체언은 세 개의 문법적 성(남성, 여성, 중성), 두 개의 문법적 수(단수와 복수), 그리고 여덟 개의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탈격 또는 도구격, 사교격, 호격)을 가진다. 툴루어에는 두 개의 다른 처격이 있다. 사교격은 "말하다", "이야기하다", "묻다" 등과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되며, 메시지 등이 누구를 대상으로 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는 ''그에게'' 말했다."와 같이 사용된다. 또한, "나는 ''그와''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와 같이 누구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42] 복수 접미사는 ''-rŭ'', ''-ḷu'', ''-kuḷu'', ''-āḍḷu'' 등이 있다. 예를 들어 mēji|메지tcy('table', 탁자)의 복수형은 mējiḷu|메질루tcy('tables', 탁자들)이다.[43] 주격은 별도로 표시되지 않지만, 나머지 격은 다른 접미사로 표현된다.

다음 표는 브리겔과 바트를 기준으로 명사의 활용을 보여준다. 두 가지 형태가 주어지면 괄호 안의 형태는 바트, 다른 형태는 브리겔의 것이다.[44][45]

체언의 활용: 예시 mara|마라tcy ('a tree', 나무)
단수의미복수의미
주격mara|마라tcya tree (나무 한 그루)marokuḷu|마로쿨루tcy (marakulu|마라쿨루tcy)trees (나무들)
소유격marata|마라타tcyof a tree (나무의)marokuḷe|마로쿨레tcy (marakulena|마라쿨레나tcy)of trees (나무들의)
여격maroku|마로쿠tcy (marakŭ|마라크tcy)to a tree (나무에게)marokuḷegŭ|마로쿨레그tcy (marakulegŭ|마라쿨레그tcy)to trees (나무들에게)
대격maronu|마로누tcy (maranŭ|마라느tcy)a tree (목적어)marokuḷenŭ|마로쿨레느tcy (marakulenŭ|마라쿨레느tcy)trees (목적어)
처격maroṭu|마로투tcy (maraṭŭ|마라트tcy)in a tree (나무 안에)marokuḷeḍŭ|마로쿨레두tcy (marakuleḍŭ|마라쿨레두tcy)in trees (나무들 안에)
처격 2— (maraṭɛ|마라테tcy)at or through a tree (나무에서 또는 나무를 통해)— (marakuleḍɛ|마라쿨레데tcy)at or through trees (나무들에서 또는 나무들을 통해)
탈격maroḍŭdu|마로두두tcy (maraḍdŭ|마라드tcy)from, by, or through a tree (나무로부터, 나무에 의해, 또는 나무를 통해)marokuḷeḍŭdŭ|마로쿨레두두tcy (marakuleḍdŭ|마라쿨레드tcy)from, by, or through trees (나무들로부터, 나무들에 의해, 또는 나무들을 통해)
사교격maraṭa|마라타tcyto a tree (나무에게)marokuḷeḍa|마로쿨레다tcy (marakuleḍa|마라쿨레다tcy)to trees (나무들에게)
호격marā|마라tcyO tree! (오, 나무여!)marokuḷē|마로쿨레tcy (marakulɛ̄|마라쿨레tcy)O trees! (오, 나무들이여!)



인칭 대명사는 불규칙하게 굴절된다. yānŭ|야느tcy 'I'(나)는 간접 격에서 ''yen-''이 된다.[46] 툴루어는 포괄성과 배타적인 "우리"를 구분한다(''포괄성: 드라비다어족'' 참조). nama|나마tcy 'we (including you)'(우리 (너를 포함)), yenkuḷu|옌쿨루tcy 'we (not including you)'(우리 (너를 포함하지 않음))와 같이 구분된다.[47] 2인칭 인칭 대명사는 ī|이tcy (간접: nin-|닌-tcy) 'you (singular)'(너 (단수))와 nikuḷu|니쿨루tcy 'you (plural)'(너희 (복수))이다. 3인칭에서는 근칭 및 원칭 형태뿐만 아니라 세 가지 성별이 구별된다. 예를 들어, imbe|임베tcy 'he (proximate)'(그 (근칭)), āye|아예tcy 'he (remote)'(그 (원칭))와 같다. ''-rŭ'' 접미사는 인칭 대명사의 공손한 형태를 만든다. 예를 들어, īrŭ|이르tcy 'you (respectfully)'(당신), ārŭ|아르tcy 'he (remote; respectfully)'(그 (원칭; 존칭))와 같다.[47]

9. 3. 동사

툴루어의 동사는 능동태, 사동태, 재귀태(또는 중간태)의 세 가지 형태를 가진다.[48] 동사는 활용되어 인칭, 수, 성, 시제(현재, 과거, 대과거, 미래, 미래 완료), 법(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부정사, 가능법, 가정법), 극성(긍정 및 부정)을 나타낸다.[49]

각 문장은 주어와 술어로 구성되며, 완전한 언어적 표현 또는 사고를 나타낸다. 1인칭부터 3인칭까지 단수와 복수가 모두 존재한다. 문장에 여러 개의 주격이 있거나 이전 문장과 일치하는 다른 성별이 있는 경우 동사는 복수 형태로 사용해야 하는 등 몇 가지 예외가 있다. 일부 문장에서는 동사가 생략될 수도 있다. 현재 시제와 과거 시제는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인식이 달라진다.[37]

10. 문학

툴루 문학은 타밀어 등 다른 드라비다어족 문학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와 함께 5대 드라비다 문학 언어 중 하나로 꼽힌다.[50] 툴루 문자는 주로 산스크리트어 종교 및 문학 작품을 쓰는 데 사용되었다.[1][53] 오늘날에도 마드바차르야가 우두피에 설립한 8개 툴루 수도원(우두피의 아쉬타 마타스)의 공식 문자는 툴루어이며,[54][55] 수도원장들은 임명될 때 이 문자로 이름을 쓴다.[55]

10. 1. 고전 문학

툴루 문학은 타밀어와 같은 다른 문학 드라비다어에 비해 그 규모가 크지 않다.[50] 그럼에도 불구하고 툴루어는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와 함께 5개의 문학 드라비다어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툴루 문학은 위대한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마하바라타를 툴루어로 번역한 Mahabharato|마하바라토tcy이다. 이 책은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에 우두피 근처 코다부르에 살았던 시인 ''아루나브자''에 의해 쓰여졌다(1657년).[51][52]

툴루어의 다른 중요한 문학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데비 마하트미얌(ಶ್ರೀ ದೇವಿ ಮಹಾತ್ಮೆ|스리 데비 마하트메tcy) 1200 AD – 툴루어 번역
  • 스리 바가바타(ಶ್ರೀ ಭಾಗವತೊ|스리 바가바토tcy) 1626 AD – 비슈누 퉁가 저
  • 카베리(1391 AD)

10. 2. 현대 문학

툴루 문학은 타밀어와 같은 다른 문학 드라비다어에 비해 그 규모가 크지 않다.[50] 그럼에도 불구하고 툴루어는 타밀어, 텔루구어, 칸나다어, 말라얄람어와 함께 5개의 문학 드라비다어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툴루 문학은 위대한 산스크리트어 서사시 마하바라타를 툴루어로 번역한 Mahabharato|마하바라토tcy(ಮಹಾಭಾರತೊtcy)이다. 이 책은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에 우두피 근처 코다부르에 살았던 시인 '아루나브자'에 의해 쓰여졌다(1657년).[51][52]

현대의 툴루 문학은 칸나다 문자를 사용하여 쓰여진다. '만다라 라마야나'는 현대 툴루 문학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만다라 케샤바 바트가 쓴 이 작품은 최고의 시 부문에서 사히티아 아카데미 상을 수상했다.[56] '마디푸', '모가베라', '사팔라', '삼파르카'는 망갈로르에서 발행되는 인기 있는 툴루 정기 간행물이다. 1994년 카르나타카 주 정부가 설립한 툴루 사히티아 아카데미와 2007년 만제스와람에서 인도 케랄라 주 정부가 설립한 케랄라 툴루 아카데미는 툴루 문학을 장려하는 중요한 정부 기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툴루 문학에 기여하는 상당한 툴루 이주민이 있는 전 세계에 수많은 단체가 있다. 툴루 문학의 주목할 만한 기여자로는 카이야르 킨한나 라이, M. K. 시타람 쿨랄, 아무르타 소메스와라, B. A. 비베카 라이, 케담바디 자타파 라이, 벤카타라자 푸닌차타야, 팔타디 라마크리슈나 아차르, 닥터. 수니타 M. 셰티, 닥터. 바마나 난다바라, 스리. 발라크리슈나 셰티 폴라리가 있다.

11. 구전 전통

툴루어의 구전 전통은 언어의 섬세한 측면을 잘 보여주는 주요 전통 중 하나이다. 툴루어 구전 전통과 문학에는 파다나, 수수께끼, 바잔, 카비톨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27]

11. 1. 파다나

파다나는 힌두교의 부타 콜라와 나가라다네 의례 동안 매우 양식화된 방식으로 불리는 구전 서사시의 한 형태인데, 이는 툴루 사람들에게 특유한 것이다. 이 파다나는 대부분 신이나 사람들 사이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전설이다. 그중 가장 긴 것은 시리 파다나인데, 이는 불리한 시기에 힘과 진실성을 보여주고 결국 신성을 얻는 시리라는 여성에 대한 이야기이다. 파다나는 툴루 여성들의 독립적인 성격을 잘 보여준다. 파다나 전체는 투르쿠 대학교의 핀란드인 학자 라우리 혼코[27]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호메로스일리아스보다 네 줄 짧다.

11. 2. 수수께끼

툴루어 구전 전통의 한 형태로, 혀를 꼬는 듯한 표현이 많으며 주로 친족 관계와 농업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11. 3. 바잔

바잔은 툴루 지역의 수많은 사원에서 불리는 노래로, 다양한 신과 여신에게 헌정된다. 이 중 대부분은 힌두교 전통이며, 다른 일부는 자이나교이다. 이것들은 카르나틱 음악 스타일과 야크샤가나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스타일로 불린다.[27]

11. 4. 카비톨

카비톨은 사람들이 전통적인 직업인 작물을 경작하는 동안 불리는 노래이다. O Bele가 그중 최고로 여겨진다.

12. 연극

툴루 연극은 툴루 나두의 예술과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거리 중 하나이다. 툴루 연극은 일반적으로 코믹 장르를 중심으로 하며, 툴루 나두 밖의 뭄바이벵갈루루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57]

12. 1. 야크샤가나

야크샤가나 예술가


전통적인 야크샤가나 형태의 극장은 카르나타 해안과 케랄라 북부에서 널리 행해지며 툴루어의 더 섬세한 측면을 크게 보존해 왔다. 툴루어로 진행되는 야크샤가나는 툴루바 사람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많다. 또한 카테일 두르가 파라메스와리 사원이나 우두피 크리슈나 사원과 같이 사원에 소속된 많은 야크샤가나 단체가 있다는 점에서 사원 예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현재 8개의 전문 야크샤가나 극단이 야크샤가나 시즌 동안뿐만 아니라 카르나타와 그 외 지역의 다양한 장소에서 비시즌에도 툴루어 야크샤가나를 공연한다. 뭄바이에서 툴루 야크샤가나는 툴루 관객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매년 2,000명 이상의 야크샤가나 예술가가 뭄바이의 여러 장소에서 공연에 참여한다. 주목할 만한 공연자로는 칼라디 코라가 셰티, 푼두르 벵카타라자 푸닌차타야, 구루 반나제 산지바 수바르나, 파탈라 벵카트라마나 바트 등이 있다.[57]

12. 2. 툴루 연극



전통적인 야크샤가나 형태의 극장은 카르나타 해안과 케랄라 북부에서 널리 행해지며 툴루어의 더 섬세한 측면을 크게 보존해 왔다. 툴루어로 진행되는 야크샤가나는 툴루바 사람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많다. 카테일 두르가 파라메스와리 사원이나 우두피 크리슈나 사원과 같이 사원에 소속된 많은 야크샤가나 단체가 있다는 점에서 사원 예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현재 8개의 전문 야크샤가나 극단이 야크샤가나 시즌 동안뿐만 아니라 카르나타와 그 외 지역의 다양한 장소에서 비시즌에도 툴루어 야크샤가나를 공연한다. 뭄바이에서 툴루 야크샤가나는 툴루 관객들 사이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매년 2,000명 이상의 야크샤가나 예술가가 뭄바이의 여러 장소에서 공연에 참여한다. 주목할 만한 공연자로는 칼라디 코라가 셰티, 푼두르 벵카타라자 푸닌차타야, 구루 반나제 산지바 수바르나, 파탈라 벵카트라마나 바트 등이 있다.

툴루 연극은 툴루 나두의 예술과 문화를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거리 중 하나이다. 툴루 연극은 일반적으로 코믹 장르를 중심으로 하며, 툴루 나두 밖의 뭄바이와 벵갈루루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57]

13. 영화

툴루 영화 산업은 규모가 작은 편이며, 한 해에 약 5편 정도의 영화를 만든다. 최초의 툴루 영화는 1971년에 개봉한 ''Enna Thangadi''이다. 툴루 영화는 주로 툴루 나두 지역의 극장과 DVD로 출시된다.[58]

수다는 비평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2006년 뉴델리에서 열린 오시안 아시아 및 아랍 영화제에서 최우수 인도 영화상을 받았다.[59][60][61] 2015년 기준으로, ''오리야도리 아살''(2011)은 상업적으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툴루 영화이다.[62] 찰리 폴리루는 툴루 영화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상영되었고,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영화로, 망갈로르의 PVR 시네마에서 470일 동안 상영되었다.[63]

2014년 영화 ''마디메''는 마라티어로 리메이크될 예정이었는데, 이는 다른 언어로 리메이크된 최초의 툴루 영화였다.[64] ''Shutterdulai''는 툴루 영화의 첫 번째 리메이크 작품이었다.[65] ''에레글라 파노드치''는 툴루 영화의 두 번째 리메이크 작품이다.

텔루구 영화 ''브라흐모트사밤'' 제작진을 상대로 시리 채널을 위해 작곡된 ''Deepanalike'' CD에 수록된 Dr. Vamana Nandaavara의 노래 A...lele...yereg madmetcy의 처음 36초를 표절했다는 이유로 250만인도 루피의 손해 배상 소송이 제기되었다.[66][67]

''Prajavani''는 2018년 영화 ''우밀''이 힌두어로 더빙될 권리를 210만인도 루피에 판매하면서, 이 기록을 달성한 최초의 툴루 영화가 되었다고 보도했다.[68]

아슈위니 코티얀(Chaya Harsha)은 첫 번째 영화 ''Namma Kudla''를 감독하고 개봉하면서 툴루 영화 산업 최초의 여성 감독이 되었다.[69] 2014년 5월 2일에 개봉된 ''Brahmashree Narayana Guruswamy''는 50번째 툴루 영화였다.[70] ''Panoda Bodcha''는 툴루 영화 개봉 75주년을 기념했다.[69] 100번째 툴루 영화 ''Karne''는 2018년 11월 16일에 개봉되었다.[71]

14. 툴루학 연구 기관

1994년 카르나타카 주 정부는 카르나타카 툴루 문학 아카데미를 설립하였으며,[74] 카르나타카 연안의 학교에 툴루어를 도입했다. 처음에는 16개 학교에서 시작하여[75] 현재 33개 이상의 학교에서 툴루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1,500명 이상의 학생들이 툴루어를 배우고 있다.[76]

2007년 케랄라 정부는 케랄라 툴루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이 아카데미는 케랄라에서 툴루어와 문화를 보존하고 전파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카사라곳의 만제스와르 호상가디에 위치해 있다.

망갈로르 대학교에서는 대학원 과정에서 툴루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안드라프라데시 주 쿠팜에 있는 드라비다 대학교에는 툴루어 연구, 번역 및 연구 전담 부서가 있다.[77] 케랄라 카사라곳에 있는 정부 학위 대학은 2009~2010학년도에 툴루어 자격증 과정을 도입했다.[78] 칸나다어 대학원 과정에서도 툴루어를 선택 과목으로 도입했으며, 툴루 사히티야 아카데미에서 출판한 책에서 강의 계획서를 채택했다.

독일 선교사 카머러와 멘너는 툴루어 연구를 수행한 최초의 인물이다. 카머러는 사망 전 약 3,000개의 단어와 의미를 수집했고, 이후 멘너가 연구를 완료하여 1886년에 툴루어 사전을 출판했다. 1979년 우두피의 MGM 칼리지에 있는 고빈다 파이 연구 센터는 18년 동안 툴루어 어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79] 이 센터는 6권으로 된 툴루어-칸나다어-영어 어휘집을 출판했으며,[80] 1996년 군데르트 상을 받았다. 2011년 9월, 망갈로르 대학교 학술 위원회는 툴루어 자격증, 졸업장 및 대학원 졸업장 과정을 제공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안을 수락했다.[81][82]

참조

[1] 웹사이트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Indian Census 2011, Government of India 2018-07-07
[2] 간행물 Cite UNESCO Atlas
[3] 웹사이트 Five Languages in Karnataka, Including Tulu Vanishing: Unesco http://www.daijiworl[...] 2020-09-18
[4] 웹사이트 UDUPI https://www.udupitou[...] 2016-11-18
[5] 웹사이트 Tulu Page, Tulu Language, History of Tulu language https://www.nriol.co[...] 2020-11-17
[6]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 Statement 1 http://www.censusind[...]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09-11-13
[7]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Routledge 2015
[8] Webarchive Language Family Trees: Dravidian, Southern http://www.ethnologu[...] 2013-02-04
[9] 웹사이트 Social Aspects and Dynamics of Convergence http://www.ciil-eboo[...] 2009-08-11
[10] Webarchive http://www.ciil.org/[...] 2008-07-20
[11] 웹사이트 Tulu Nadu, Kasaragod, Kerala, India https://www.keralato[...] Kerala Tourism 2017-06-12
[12]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Taylor & Francis
[13] 웹사이트 Language in India http://www.languagei[...] Language in India 2003-05-05
[14] 웹사이트 Serving Mangaloreans Around The World! http://www.mangalore[...] Mangalorean.Com 2012-05-21
[15] 웹사이트 Dr. Veerendra Heggade in Dubai to Unite Tuluvas for Tulu Sammelan http://www.daijiworl[...] Daijiworld.com 2012-05-21
[16] 웹사이트 Dravidian languages - Nonliterary language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1-27
[17] 뉴스 Centre still examining inclusion of Tulu, Kodava in 8th Schedule http://www.coastaldi[...] 2017-07-22
[18] 뉴스 CM inaugurates Vishwa Tulu Sammelan https://www.newindia[...] 2009-12-11
[19] 뉴스 Twitter campaign to include Tulu in Eighth Schedule of Constitution http://www.thehindu.[...] 2017-08-10
[20] 뉴스 Demand to include Tulu in Eight Schedule grows louder with PM's visit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1] 뉴스 Mangaluru: MLA Vedavyasa Kamath seeks official recognition for Tulu language https://www.daijiwor[...]
[22] 웹사이트 Campaign to get official status for Tulu gains steam https://www.deccanhe[...] 2021-07-05
[23] 서적 The Dravidian languages - Sanford B. Steever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3-06-24
[24]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 - Upinder Singh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5] 서적 Brahmanas of South India - Nagendra Rao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Kalpaz Publications
[26] Webarchive http://amazingudupi.[...] 2009-10-24
[27] 뉴스 Tulu fit to be included in Eighth Schedule http://www.hindu.com[...] 2002-07-16
[28] 뉴스 Teaching Tulu at primary level sought https://timesofindia[...] 2009-01-25
[29] 서적 Elements of comparative philology https://archive.org/[...] London, Walton and Maberly [etc.] 1862
[30] 뉴스 Tulu Nadu Movement Gaining Momentum http://www.hindu.com[...] 2006-08-13
[31] 웹사이트 Why Tulu Language Deserves Recognition from Kendra Sahithya Academy and Why It Should Be Included in Schedule 8B of the Constitution http://www.yakshagan[...] Yakshagana.com 2000-08-12
[32] 서적 Letter To Go K Tulu Script http://archive.org/d[...] 2019-05-20
[33] 웹사이트 Tulu language and alphabets https://omniglot.com[...] 2021-09-28
[34]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language code: tcy http://www.ethnologu[...] Ethnologue.com 2012-05-21
[35] 웹사이트 Places http://www.boloji.co[...] Boloji.com 2012-05-21
[36] 서적 Bhat (1998), p. 163.
[37] 웹사이트 A Grammar of the Tulu Language https://archive.org/[...] C. Stolz 2009-10-31
[38] 서적 Bhat (1998), p. 161.
[39] 서적 Bhat (1998), pp. 162–163.
[40] 웹사이트 Dialects of Tulu - Introduction https://tulupedia.co[...]
[41] 서적 Brigel (1872), p. 10.
[42] 서적 Brigel (1872), p. 122
[43] 서적 Brigel (1872), pp. 10–11.
[44] 서적 Brigel (1872), pp. 14–15.
[45] 서적 Bhat (1998), p. 164.
[46] 서적 Brigel (1872), p. 37.
[47] 서적 Brigel (1872), p. 33.
[48] 서적 Brigel (1872), p. 43.
[49] 서적 Brigel (1872), p. 45.
[50] 뉴스 Tulu is a Highly Developed Language of the Dravidian Family https://web.archive.[...] 2009-05-21
[51] 뉴스 Tulu Academy Yet to Realise Its Goal https://web.archive.[...] 2004-11-13
[52] 웹사이트 -:: Kannada University, Hampi :: http://www.kannadaun[...] 2011-11-26
[53] 서적 Burnell (1874), p. 35.
[54] 뉴스 Pejawar pontiff signs mutt papers in Tulu https://web.archive.[...] 2011-11-22
[55] 웹사이트 Pejawar Seer's Signature Is in Tulu Script http://thecanaratime[...] 2011-10-12
[56] 웹사이트 http://www.sahitya-a[...]
[57] 웹사이트 D A I J I W O R L D http://www.daijiworl[...] D A I J I W O R L D 2012-05-21
[58] 웹사이트 Ee Prapancha: Tulu Cinema at 35 http://www.raveeshku[...] Raveeshkumar.com 2012-05-21
[59] 웹사이트 Quiet voices from afar & Updates at Daily News & Analysis http://www.dnaindia.[...] 2006-11-11
[60] 뉴스 Things Fall Apart https://web.archive.[...] 2006-04-29
[61] 뉴스 Filmmaker Extraordinary https://web.archive.[...] 2006-07-21
[62] 웹사이트 'Oriyardori Asal' Headed for 175-day Run in Theatres! https://web.archive.[...] Dakshintimes.com 2011-11-07
[63] 웹사이트 The Times Group https://web.archive.[...] 2016-02-28
[64] 웹사이트 Details http://www.vijaykarn[...] 2016-03-20
[65] 웹사이트 Shutterdulai, First Remake in Tulu https://web.archive.[...] 2016-09-29
[66] 웹사이트 Telugu blockbuster Brahomotsavam film team in a fix for copying Tulu song http://www.newskarna[...] 2016-05-27
[67] 웹사이트 Udayavani ePaper Sudina (Mangalore) Edition https://web.archive.[...] 2017-10-01
[68] 웹사이트 Prajavani e-Paper - Read Kannada Newspaper Online by Prajavani ಪ್ರಜಾವಾಣಿ ePaper - ಕನ್ನಡ ePaper ಅನ್ನು ಪ್ರಜಾವಾಣಿಯಲ್ಲಿ ಓದಿರಿ http://epaper.prajav[...] 2018-11-11
[69] 웹사이트 17 Tulu movies ready in Coastalwood | Udayavani - ಉದಯವಾಣಿ https://web.archive.[...] 2019-01-06
[70] 뉴스 Tulu cinema reaches a milestone https://www.thehindu[...] 2018-11-13
[71] 웹사이트 100th Tulu language film brings industry's opportunities, challenges to the fore https://www.thehindu[...] 2018-11-18
[72] 웹사이트 Guddada Bootha (1990) http://dla.library.u[...] null
[73] 웹사이트 Listen to ''Dennana Dennana'' https://www.youtube.[...] 2015-03-14
[74] 웹사이트 Welcome tuluacademy.org http://www.tuluacade[...] null
[75] 웹사이트 626 students from 16 Dakshina Kannada schools opt for Tulu - Bangalore Mirror - https://bangaloremir[...] null
[76] 웹사이트 1584 students take Tulu as 3rd language in undivided DK dist http://www.india.com[...] 2017-06-24
[77] 웹사이트 Dravidianuniversity http://www.dravidian[...] null
[78] 웹사이트 GOVERNMENT COLLEGE Vidyanagar http://www.kannuruni[...] null
[79] 웹사이트 Rediff on the Net: Now, Tulu has a real dictionary! http://www.rediff.co[...] null
[80] 웹사이트 Tulu Nighantu a Lexicon That Speaks a Million Words https://timesofindia[...] 2009-12-08
[81] 뉴스 Varsity Okays Proposals to Offer Courses in Biotechnology, Tulu http://www.thehindu.[...] 2011-09-30
[82] 뉴스 MU to Offer Tulu Courses https://timesofindia[...] 2011-09-30
[83] 문서 トゥル語は2種類の文字を持つ。 {{Unicode|''Tuḷu bāse''}} は{{仮リンク|トゥル文字|en|Tulu alphabet}}では [[File:Tulubaase4.png|75px|alt=]]、[[カンナダ文字]]では {{lang|tcy-Knda|ತುಳು ಬಾಸೆ}} と書かれる。トゥル語 ''bāse'' に対してカンナダ文字では、{{lang|tcy|ಭಾಷೆ}} {{Unicode|''bhāṣe''}}, {{lang|tcy|ಭಾಶೆ}}, ''bhāśe'', および {{lang|tcy|ಬಾಶೆ}} ''bāśe'' というスペルもある。[[カンナダ語]]での「言語」という語の正しい綴りは {{lang|kn|ಭಾಷೆ}} {{Unicode|''bhāṣe''}} だが、トゥル語の場合、これは必ずしも成り立たない。 Männer の ''Tulu-English and English-Tulu Dictionary'' (1886) によれば “{{lang|tcy|ಬಾಶೆ, ಬಾಸೆ}} '''bāšè''', '''bāsè''', ''see'' {{lang|tcy|ಭಾಷೆ}}.” (vol. 1, p. 478), “{{lang|tcy|ಭಾಶೆ, ಭಾಷೆ}} '''bhāšè''', '''bhāshè''', ''s''. Speech, language.” (vol. 1, p. 508) とあり、4種類の綴りが収録されている。トゥル語では実際には {{lang|tcy|ಬಾಸೆ}} ''bāse'' と発音される。上記辞書の表記では'''š''' と '''sh''' はそれぞれ[[ISO 15919]]の ''ś'' と {{Unicode|''ṣ''}} に相当する。
[84] 간행물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9-11-12
[85] 웹사이트 Language Family Trees: Dravidian, Southern http://www.ethnologu[...] null
[86] 웹인용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Indian Census 2011, Government of India 2018-07-07
[87] 웹인용 Census of India - Statement 1 http://www.censusind[...]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09-1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