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쿠 (요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쿠는 곰, 코끼리, 코뿔소, 소, 호랑이의 신체 부위를 가진 요괴로, 중국에서 유래되어 일본으로 전해지면서 악몽을 먹는 존재로 변화했다. 중국에서는 질병과 불행을 막는 영험한 동물로 여겨졌으며, 가죽은 방석이나 침구로, 그림은 사악한 기운을 쫓는 데 사용되었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시대부터 바쿠의 그림이나 문자가 길조로 사용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바쿠를 그린 부적이 유행했다. 바쿠는 맥과 모습이 유사하며, 고대 중국에서 실존했던 맥을 본뜬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설의 포유류 - 카마소츠
    카마소츠는 마야 신화에 등장하는 박쥐 형상의 정령으로, 지하 세계 시발바에서 마야 영웅 쌍둥이에게 시련을 가하며, 고전 마야 도상학에서는 질병을 가져오는 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전설의 포유류 - 갈린티아스
    갈린티아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라클레스의 출산을 도왔으나 족제비로 변한 인물로, 기지를 발휘해 여신을 속이고 출산을 성공시킨 후 헤카테의 시녀가 되거나 헤라클레스에게 숭배를 받는 등 다양한 이야기로 전해지며 여성의 연대와 저항 정신을 상징한다.
  • 맥 - 산악맥
    산악맥은 안데스 산맥 고지대에 서식하며 짙은 갈색 털을 가진 초식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맥 - 베어드맥
    코끼리 코를 닮은 아메리카맥의 일종인 베어드맥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며 짙은 갈색 몸과 크림색 반점이 있고,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중국의 요괴 - 손오공
    손오공은 《서유기》의 주인공인 원숭이 요괴로, 미후왕에서 제천대성을 거쳐 투전승불이 되기까지 불경을 구하는 여정 속에서 성장하는 자아 성찰과 사회적 책임의 상징이며, 전 세계 대중문화에서 사랑받는 캐릭터이다.
  • 중국의 요괴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바쿠 (요괴)
개요
바쿠 그림
바쿠 그림
종류요괴
기원중국 신화
유래 지역일본
특징사람들의 꿈을 먹는다고 함
어원 및 기원
어원
기원중국에서 유래된 상상 속의 동물, 꿈을 먹는다고 전해짐
외형
일반적인 묘사코끼리의 코, 코뿔소의 눈, 소의 꼬리, 호랑이의 발을 가졌다고 묘사됨
다른 묘사곰과 비슷하거나 키메라와 비슷하다고도 함
능력 및 전승
능력악몽을 먹고 좋은 꿈으로 바꿔준다고 알려져 있음
전승악몽을 꾸었을 때 "바쿠야, 와서 이 꿈을 먹어라!"라고 세 번 외치면 바쿠가 나타나 악몽을 먹어준다고 함
사용법일본에서는 베개에 바쿠 그림을 그려 넣거나, 바쿠 그림이 그려진 부적을 지니고 다니기도 함
아이들의 이불이나 베개에 바쿠의 이름을 써 놓으면 악몽을 쫓을 수 있다고 믿음
문화적 영향
예술일본의 전통 예술 및 공예품에 자주 등장
에도 시대의 네쓰케기모노 문양으로도 사용됨
대중 문화현대의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주는 존재로 등장
기타
주의바쿠는 악몽뿐만 아니라 좋은 꿈도 먹어 버리기 때문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안 된다는 속설도 있음

2. 역사와 특징

몸은 , 코는 코끼리, 눈은 코뿔소, 꼬리는 , 다리는 호랑이의 것을 하고 있다고 여겨져왔는데, 이는 태초에 신이 동물을 창조하였을 때, 남은 동물들의 부위를 사용하여 바쿠를 창조했기 때문이라고 한다.[20][21]

== 중국의 바쿠 ==

중국에서 바쿠는 곰, 코끼리, 코뿔소, 소, 호랑이의 신체 부위를 합쳐놓은 듯한 모습으로 묘사된다.[20][21] 이는 신이 동물을 창조하고 남은 부분으로 바쿠를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20][21] 바쿠는 악몽을 먹는 존재가 아니라 질병과 불행을 막는 영험한 동물로 여겨졌다.[20][21] 바쿠의 가죽은 방석이나 침구로 사용되었고, 바쿠의 그림은 사악한 기운을 쫓는 데 사용되었다.[20][21] 당나라 시대에는 병풍에 바쿠를 그리기도 했다.[20][21]

이러한 풍습은 일본에 전해지면서 "악몽을 쫓는다"는 의미가 "악몽을 먹는다"는 의미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22]당육전》에는 꿈을 먹는 신 막기(莫奇)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것이 바쿠와 혼동되었다는 설도 있다.[23]

== 일본의 바쿠 ==

일본에서는 바쿠가 악몽을 먹는 존재로 변형되었다.[22]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는 바쿠의 그림이나 문자가 길조를 위해 사용되었다.[20] 정월에 좋은 꿈을 꾸기 위해 베개 밑에 보물선 그림을 넣을 때, 바쿠가 악몽을 먹어주길 기원하며 배의 돛에 바쿠를 뜻하는 문자를 쓰는 풍습이 있었다.[20] 에도 시대에는 바쿠를 그린 패가 유행했고, 바쿠 모양의 베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20][23]

중국에서 전해진 바쿠는 원래 악몽을 먹는다는 이야기는 없었으나, 일본에 전해지는 과정에서 "악몽을 쫓는다"는 의미가 "악몽을 먹는다"는 의미로 전이되었다고 한다.[22]당육전》에는 막기(莫奇일본어)라는 신이 꿈을 먹는다고 기술되어 있어, 이것이 바쿠와 혼동되었다는 설이 있다.[23]

17세기 초 일본의 필사본인 ''산카이 이부쓰''(山海異物)에서는 바쿠를 코끼리의 코와 엄니, 코뿔소의 귀, 의 꼬리, 의 몸, 호랑이의 발을 가진 키메라로 묘사하면서도, 악몽을 먹는 능력은 언급하지 않았다.[1] 그러나 1791년 일본의 목판화에는 악몽을 파괴하는 바쿠가 코끼리의 머리, 엄니, 코에 뿔과 호랑이 발톱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4]

메이지 시대의 라프카디오 헌은 악몽을 먹는 능력도 가진 바쿠를 묘사했다.[9] 전설에 따르면, 악몽에서 깨어난 사람은 바쿠를 불러 나쁜 꿈을 먹게 할 수 있다.[10][11] 그러나 바쿠를 부르는 것은 신중해야 하는데, 만약 그가 악몽을 먹고도 배가 고프면, 그의 희망과 욕망까지 먹어치워 공허한 삶을 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외형 묘사 ==

시부야구 도쿄 일본에 있는 곤노 하치만구 신사의 ''바쿠'' 조각상


시부야, 도쿄, 일본 곤노 하치만구 신사의 ''바쿠와 사자'' 조각상


바쿠는 코끼리의 코와 엄니, 코뿔소의 귀, 소의 꼬리, 곰의 몸, 호랑이의 발 등 다양한 동물의 특징이 혼합된 모습을 하고 있다.[1] 1791년 일본 목판화에는 코끼리 머리, 엄니, 코에 뿔과 호랑이 발톱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4] 고전 시대 일본 목판화, 신사, 절, 넷케 조각 등에서 코끼리 머리, 코, 엄니를 가진 바쿠의 모습을 볼 수 있다.[5][6][7][8]

2. 1. 중국의 바쿠

중국에서 바쿠는 곰, 코끼리, 코뿔소, 소, 호랑이의 신체 부위를 합쳐놓은 듯한 모습으로 묘사된다.[20][21] 이는 신이 동물을 창조하고 남은 부분으로 바쿠를 만들었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20][21] 바쿠는 악몽을 먹는 존재가 아니라 질병과 불행을 막는 영험한 동물로 여겨졌다.[20][21] 바쿠의 가죽은 방석이나 침구로 사용되었고, 바쿠의 그림은 사악한 기운을 쫓는 데 사용되었다.[20][21] 당나라 시대에는 병풍에 바쿠를 그리기도 했다.[20][21]

이러한 풍습은 일본에 전해지면서 "악몽을 쫓는다"는 의미가 "악몽을 먹는다"는 의미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22]당육전》에는 꿈을 먹는 신 막기(莫奇)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것이 바쿠와 혼동되었다는 설도 있다.[23]

2. 2. 일본의 바쿠

일본에서는 바쿠가 악몽을 먹는 존재로 변형되었다.[22]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는 바쿠의 그림이나 문자가 길조를 위해 사용되었다.[20] 정월에 좋은 꿈을 꾸기 위해 베개 밑에 보물선 그림을 넣을 때, 바쿠가 악몽을 먹어주길 기원하며 배의 돛에 바쿠를 뜻하는 문자를 쓰는 풍습이 있었다.[20] 에도 시대에는 바쿠를 그린 패가 유행했고, 바쿠 모양의 베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20][23]

중국에서 전해진 바쿠는 원래 악몽을 먹는다는 이야기는 없었으나, 일본에 전해지는 과정에서 "악몽을 쫓는다"는 의미가 "악몽을 먹는다"는 의미로 전이되었다고 한다.[22]당육전》에는 막기(莫奇일본어)라는 신이 꿈을 먹는다고 기술되어 있어, 이것이 바쿠와 혼동되었다는 설이 있다.[23]

17세기 초 일본의 필사본인 ''산카이 이부쓰''(山海異物)에서는 바쿠를 코끼리의 코와 엄니, 코뿔소의 귀, 의 꼬리, 의 몸, 호랑이의 발을 가진 키메라로 묘사하면서도, 악몽을 먹는 능력은 언급하지 않았다.[1] 그러나 1791년 일본의 목판화에는 악몽을 파괴하는 바쿠가 코끼리의 머리, 엄니, 코에 뿔과 호랑이 발톱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4]

메이지 시대의 라프카디오 헌은 악몽을 먹는 능력도 가진 바쿠를 묘사했다.[9] 전설에 따르면, 악몽에서 깨어난 사람은 바쿠를 불러 나쁜 꿈을 먹게 할 수 있다.[10][11] 그러나 바쿠를 부르는 것은 신중해야 하는데, 만약 그가 악몽을 먹고도 배가 고프면, 그의 희망과 욕망까지 먹어치워 공허한 삶을 살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3. 외형 묘사



바쿠는 코끼리의 코와 엄니, 코뿔소의 귀, 소의 꼬리, 곰의 몸, 호랑이의 발 등 다양한 동물의 특징이 혼합된 모습을 하고 있다. 1791년 일본 목판화에는 코끼리 머리, 엄니, 코에 뿔과 호랑이 발톱을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고전 시대 일본 목판화, 신사, 절, 넷케 조각 등에서 코끼리 머리, 코, 엄니를 가진 바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3. 신앙과 민속

중국에서 "맥(貘)"은 옛 문헌에서부터 등장하지만, 어떤 동물인지에 대해서는 문헌마다 일치하지 않는다. 『이아』 석수에는 "백표"라고 하며, 『설문해자』에는 "곰을 닮았고 황흑색이며, 촉중(사천성)에 산다"라고 적혀 있다. 『이아』의 곽박 주석에는 "곰을 닮았고 머리가 작고 다리가 짧으며, 흑백 반점이며, 구리, 쇠, 대나무 뼈를 먹는다"라고 하여, 자이언트 판다를 가리키는 듯하다.[12] 이후, 흑백 반점이라는 점에서 말레이맥과 혼동되었고, 금속을 먹는다는 전설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본초강목』에도 인용된 백거이의 「맥병찬」 서문에 따르면, 코는 코끼리, 눈은 코뿔소, 꼬리는 , 다리는 호랑이를 각각 닮았다고 한다.[13]

일본에서는 맥이 악몽을 먹는다고 여겨진다. 중국에서는 맥이 악몽을 먹는다는 묘사는 없었다. 그러나 맥의 모피를 방석이나 침구에 사용하면 질병이나 악귀를 피한다고 여겨졌고, 맥의 그림을 그려 사기를 물리치는 풍습도 있어 당나라 시대에는 병풍에 맥이 그려지기도 했다.[14] 이러한 사기를 물리치는 전설이 일본에 전해지면서, "악몽을 먹는다"라고 해석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15] 『후한서』나[16]당육전』의 주석에는 '''백기'''(はくき)가 꿈을 먹는다고 하며[17], 이것이 맥과 혼동되었다는 설도 있다.[18]

일본의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는, 맥의 그림이나 글자는 좋은 징조로 사용되었다. 정월에 좋은 첫 꿈을 꾸기 위해 베개 밑에 보물선 그림을 깔 때, 나쁜 꿈을 꿔도 맥이 먹어주기를 바라며, 배의 돛에 "맥"이라고 쓰는 풍습도 있었다.[14] 에도시대에는 맥을 그린 부적이 좋은 징조로 유행하여, 상자 베개에 맥 그림이 그려지거나,[14] 맥 모양을 한 "맥 베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18]

중국의 성수(聖獸) 백택과 혼동되는 경우도 있다. 도쿄도의 오백나한사에 있는 맥왕상도, 본래는 백택의 상이라고 한다.[15]

3. 1. 악몽 퇴치

3. 2. 길조와 상징

4. 현대 문화 속 바쿠

4. 1. 문학, 예술 작품

4. 2. 게임, 애니메이션

5. 실제 동물과의 관련성

바쿠는 과에 속하는 포유류인 과 모습이 유사하여 이 이름이 붙었다.

교토 대학 명예교수인 하야시 미나오가 저술한 『신과 짐승의 문양학 - 중국 고대의 신들 -』에 따르면, 고대 중국의 유적에서 실존하는 동물인 맥을 본뜬 것으로 보이는 청동기가 출토되었다. 이로 볼 때, 고대 중국에는 맥(말레이맥)이 서식했으며, 후세에 멸종했기 때문에 전설 속의 동물인 맥으로 후세에 전해졌을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다. 고대 중국에는 이 외에도 아시아코끼리, 인도코뿔소수마트라코뿔소, 자바코뿔소가 서식했으며, 윈난성의 야생 코끼리 개체군을 제외하면 그 후 멸종했다.

참조

[1] 논문 Sankai ibutsu: An early seventeenth-century Japanese illustrated manuscript
[2] 간행물 Cultural note on dreaming and dream study in the future: Release from nightmare and development of dream control technique
[3] 서적 Mujara 5: Tōhoku, Kyūshū-hen Soft Garage
[4] 서적 Manga from the Floating World: Comicbook culture and the kibyoshi of Edo Japan Harvard University Asian Center
[5] 웹사이트 夢貘まくら http://www.sirasaki.[...] 2007-09-05
[6] 뉴스 Delivering men from evil http://www.japantime[...] Japan Times 2007-02-16
[7] 웹사이트 Shinto Shrine Guide - Iconography, Objects, Superstitions in Japanese Shintoism http://www.onmarkpro[...] 2007-09-08
[8] 웹사이트 Baku: Monster that Eats Nightmares https://collections.[...] 2010-10-12
[9] 서적 Kottō: Being Japanese Curios, with Sundry Cobwebs Macmillan
[10] 문서 The Asian traditions and myths
[11] 서적 Myths and Legends of Japan G. G. Harrap
[12] 논문 中国古文献中のパンダ https://doi.org/10.1[...] 東京大学文学部中国語中国文学研究室
[13] 서적 白氏文集 http://ctext.org/lib[...]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後漢書』礼儀志中
[17] 서적 唐六典 https://archive.org/[...]
[18] 문서
[19] 서적 酣中清話 https://archive.wul.[...] 早稲田大学図書館
[20]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가시와 책방
[21] 서적 日本俗信辞典 動・植物編 카도카와 쇼텐
[22]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가도가와 서점
[23] 서적 動物妖怪譚 주오 공론신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