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퀴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퀴목(Blattodea)은 사마귀목과 흰개미목을 포함하는 곤충 분류군이다. 2002년 제안된 계통 분류에 따르면 바퀴목은 강도래목, 집게벌레목, 민벌레목 등과 함께 신시류에 속하며, 사마귀목과 자매군 관계에 있다. 바퀴목에는 바퀴벌레와 흰개미가 포함되며, 전 세계적으로 4,000종 이상의 바퀴벌레가 서식한다. 바퀴벌레는 불완전변태를 하며, 대부분 잡식성 또는 부식성으로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흰개미는 사회성 곤충으로, 일개미, 병정개미, 생식 개체로 계급이 나뉘며, 둥지를 짓고 군집 생활을 한다. 바퀴벌레는 위생 해충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를 브루너 폰 바텐빌이 명명한 분류군 - 섬서구메뚜기과
섬서구메뚜기과는 메뚜기목에 속하는 곤충 분류군으로, 형태학적, 유전적 특징에 따라 여러 아과와 족으로 나뉘며,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남아메리카 등 다양한 지역에 분포한다. - 바퀴목 - 테라포마스
귀가 유가 글을 쓰고 다치바나 겐이치가 그림을 맡은 만화 테라포마스는 화성 테라포밍을 위해 살포된 바퀴벌레가 진화한 인간형 생명체 테라포마스와 유전자 변형을 거친 인류의 사투를 그린 작품으로,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 바퀴목 - 갑옷바퀴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바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lattodea |
명명자 | Wattenwyl, 1882 |
동의어 | Blattaria (고키벌레만 해당) |
분류 | |
상목 | 망시상목 |
목 | 고키벌레목 |
하위 분류군 | 코리디오이데아 블라베로이데아 블라토이데아 (흰개미 포함) |
하위 분류 | 고키벌레과 흰개미과 |
시노님 | Blattaria (고키벌레만 해당) |
형태 및 생태 | |
특징 | 납작하고 타원형의 몸 긴 더듬이 다수의 종이 날개가 있음 튼튼한 다리 딱딱한 스클레로틴화된 외피 |
서식지 | 따뜻하고 습한 환경 선호 주로 어둡고 은폐된 장소 |
먹이 | 잡식성 식물, 동물 사체, 음식물 찌꺼기 등 다양하게 섭취 |
진화 | |
화석 범위 | }}줄기 그룹은 석탄기 후기부터 존재 |
최초 출현 | 석탄기 후기 |
기타 | |
ITIS 분류 번호 | 914219 |
2. 계통 분류
바퀴목의 계통 분류는 분자생물학적 연구, 특히 DNA 서열 분석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기존의 형태학적 분류를 보완하고 있다.
100종 이상의 바퀴벌레와 흰개미, 그리고 비교를 위한 외집단으로 사마귀목의 여러 종을 분석한 결과, 흰개미는 전통적인 바퀴벌레 그룹 내부에 위치하며 갑옷바퀴과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임이 밝혀졌다. 이는 두 그룹이 공유하는 장내 공생 미생물 구성 등 생태적 특징으로도 뒷받침된다.[4][5][34][35] 이에 따라 현대 분류 체계에서는 흰개미를 바퀴목의 하위 분류군(흰개미상과 Termitoidae 또는 흰개미아목 Isoptera)으로 포함한다. 또한 사마귀목은 바퀴목 전체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며, 두 목은 함께 망시류(Dictyoptera) 상목을 구성한다.[4][34]
바퀴목 내부의 분류 체계 역시 Eggleton 등(2007)과 Evangelista 등(2019)의 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되었다.[8][9][38][39]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주요 상과로는 블라베로이데아(Blaberoidea), 코리디오이데아(Corydioidea), 블라토이데아(Blattoidea) 등이 있다.
- 과거 폴리파구스과(Polyphagidae)는 현재 코리디과로, 블라텔리과(Blattellidae)는 바퀴과로 재분류되었다.[6][7][36][37]
- 블라토이데아 상과에는 람프로블라트과, 트리오니쿠스과, 왕바퀴과 등이 포함된다.
- 흰개미류(Termitoidae)는 갑옷바퀴과와 함께 크실로파고데아(Xylophagodea)라는 그룹으로 묶이기도 한다.
한편, 멸종한 곤충 그룹인 알리에노프테리다과와 우메노콜레오이데아과의 분류학적 위치는 아직 논의 중이다. 이들을 한때 바퀴목 내부에 포함시키려는 시도도 있었으나,[10][40] 최근 분석에서는 이들이 바퀴목보다는 사마귀목과 더 가까우며, 망시류 내에서 바퀴목과는 별도의 자매 분류군을 형성할 가능성이 제기된다.[11][41]
2. 1. 하위 분류
- 블라베루스과 (Blaberidae)
- 바퀴과 (Ectobiidae)
- Tryonicidae
- 왕바퀴과 (Blattidae)
- 갑옷바퀴과 (Cryptocercidae)
- Corydiidae
- 동굴바퀴과 (Nocticolidae)
- Lamproblattidae
2. 2. 한국 서식종
한국에 서식하는 바퀴벌레는 과거 2과 7종[67]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를 통해 3과 11종으로 재분류되었다.[68] 한국에 서식하는 바퀴벌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과 | 종명 (학명) | 별칭 |
---|---|---|
왕바퀴과 (Blattidae) | 이질바퀴 (Periplaneta americana) | 미국바퀴 |
잔이질바퀴 (Periplaneta australasiae) | 오스트레일리아바퀴 | |
먹바퀴 (Periplaneta fuliginosa) | ||
집바퀴 (Periplaneta japonica) | 일본바퀴 | |
바퀴과 (Ectobidae) | 경도바퀴 (Asiablatta kyotoensis) | |
바퀴 (Blattella germanica) | 독일바퀴 | |
산바퀴 (Blattella nipponica) | ||
줄바퀴 (Symploce striata) | ||
유리날개바퀴 (Margattea nimbata nimbata) | ||
갑옷바퀴과 (Cryptocercidae) | 갑옷바퀴 (Cryptocercus kyebangensis) | 귀신바퀴 |
가시바퀴 (Cryptocercus relictus) |
바퀴벌레와 흰개미를 포함하는 곤충 분류군이다. 이들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18][48], 특히 행동 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3. 특징
몸 형태는 종에 따라 다양하며, 바퀴벌레처럼 등배쪽으로 납작한 경우가 많다. 몸길이 역시 5mm 정도의 작은 것부터 큰 것까지 다양하다.
많은 종이 사회성 곤충에 해당한다. 특히 흰개미는 계급이 뚜렷하게 나뉜 복잡한 군체 생활을 하는 진사회성 곤충이다.[16][46] 바퀴벌레 역시 사회성을 보이며 일부 종은 무리를 짓거나 자식을 돌보기도 하지만[17][47], 흰개미와 같은 엄격한 계급 분화는 나타나지 않고 대부분의 성충이 번식 능력을 가진다.
바퀴벌레는 알, 약충, 성충 단계를 거치는 불완전변태를 한다.[21][53] 서식 환경은 매우 다양하며, 일부 종은 인간 거주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기도 한다. 흰개미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까운 바퀴벌레로 여겨지는 키고키브리과(Cryptocercidae)는 흰개미와 여러 형태적, 행동적 특징을 공유하여 두 그룹의 진화적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19][35][49][50]
3. 1. 형태
몸은 등배쪽으로 편평하고 납작하며, 몸길이는 5mm 정도의 작은 것에서부터 남아메리카의 Blaberus|블라베루스la 속처럼 큰 것까지 다양하다. 몸 색깔은 대체로 다갈색 또는 흑갈색이다. 머리는 작아서 앞가슴등판 밑에 숨겨져 있으며, 입은 씹는 데 적합한 저작형 구기(무는 입)를 가지고 있다. 눈은 완두콩 모양의 겹눈이며, 두 개의 홑눈이 있다. 더듬이는 실 모양으로 길지만, 왕바퀴처럼 짧은 종도 있다. 머리와 이어진 앞가슴등판은 원반 모양으로 크고 방패처럼 생겼으며, 앞날개 표면처럼 광택이 있다. 배 부분은 매우 납작하고 넓으며, 일부 종은 배의 뒷마디에 가시가 있기도 하다. 다리는 세 쌍 모두 걷는 데 사용되며, 넓적다리마디와 정강이마디에는 날카로운 가시줄이 나 있다. 발목마디는 다섯 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쪽에 있는 발목마디판은 벽면 등에 붙어 이동하는 데 적합하다.
날개는 일반적으로 앞날개가 두껍고 가죽 같은 혁시(革翅)이며, 뒷날개는 막질(膜質)이고 넓다. 다리의 밑마디(기절)가 넓고 크게 발달하여 가슴 기부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멀리 날 수 있는 종도 있지만, 대체로 비행 능력은 다른 곤충에 비해 떨어지는 편이다. 종에 따라 날개가 퇴화되거나 짧아진 경우도 있으며, 암수의 날개 형태가 다른 경우도 있다.[21]
바퀴벌레는 행동이 민첩하며, 더듬이나 꼬리털(미모)에 많이 분포하는 감각 기관을 통해 물체의 움직임을 빠르게 감지하고 신속하게 도망간다. 몸이 납작하고 표면이 미끈미끈하여 좁은 틈새에도 잘 숨을 수 있다. 바퀴벌레는 알에서 약충, 성충 단계를 거치는 불완전변태를 한다. 번데기 시기가 없으며, 약충은 크기가 작고 날개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성충과 모습이 비슷하다.[21] 암컷 바퀴벌레는 알주머니인 난낭(卵鞘)을 만드는데, 종에 따라 약 12개에서 25개의 알이 들어있다.[23]
모든 흰개미 종은 사회성이 있으며, 군체의 구성원은 계급으로 나뉜다. 이 계급에 따라 형태와 역할이 다르다.
흰개미는 일반적으로 몸이 부드럽고 연약하며 색이 옅다. 일개미와 약충은 특히 더 그렇고, 병정개미나 생식 개체는 특정 부위(머리, 턱 등)가 더 단단하고 색이 짙을 수 있다.
3. 2. 생태
바퀴벌레와 흰개미는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며 독특한 생태적 특징을 보인다. 이들은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여러 행동적 유사점을 공유하기도 한다.[48]
바퀴벌레전 세계적으로 4,000종 이상[12][42]이 알려진 바퀴벌레는 각 대륙 고유종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다. 주로 따뜻하고 습한 환경[48], 특히 열대지방에서 잘 번식한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무껍질 밑, 돌 밑, 낙엽 아래 등 어두운 곳에 숨어 지낸다.[21][53] 서식지는 낙엽층, 썩은 나무, 무성한 초목, 바위 틈, 나무껍질 속, 통나무 아래, 쓰레기 더미 등 매우 다양하며, 일부는 나무 위(수목성), 동굴(동굴성), 또는 물 속(수생)에서 발견된다.[12][42] 소수 종은 인간 거주지에 적응하여 건물 내에서 살아가며, 인간 활동에 의해 전 세계로 퍼져 해충으로 간주된다.[13][43]
대부분 잡식성 또는 부식성으로 다양한 유기물을 섭취하며,[12][42] 갑옷바퀴처럼 썩은 나무를 먹기도 한다. 일부 종은 장내 공생 미생물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효소를 생산하여 셀룰로오스를 소화할 수 있다.[14][44]
바퀴벌레는 불완전변태를 하며, 번데기 단계 없이 약충 단계를 거쳐 성충이 된다. 약충은 크기가 작고 날개가 없다는 점 외에는 성충과 유사하다.[21][53] 암컷은 난낭이라는 알집을 만드는데, 종에 따라 약 12~25개의 알이 들어있다.[23][54] 일부 종은 부모가 새끼를 돌보지만, 그렇지 않은 종도 많다.[23][47][54] 성숙까지는 보통 3~4개월이 걸리지만[24][55], 일부 종은 약충 단계가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이 기간은 계절 변화나 영양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25][56]
강한 군집성을 보여 밀도가 높을수록 페로몬의 영향으로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계급 분화가 없어 진사회성 곤충은 아니지만, 사회성을 가진 곤충으로 때로는 백만 마리 이상의 개체가 집단을 이루기도 한다.[22][47][52]
흰개미남극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3,000종 이상[15][45]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아프리카에 다양성이 높고 유럽과 북아메리카에는 비교적 적은 종이 서식한다.[15][45] 흰개미는 부식성으로, 많은 종이 나무를 주식으로 삼는다. 특수한 장 구조와 공생 원생동물(주로 편모충류)을 이용하여 셀룰로오스를 효과적으로 소화한다.[15][45] 몸이 부드러워 포식자에게 취약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생활한다.[15][45] 서식 환경에 따라 습목성(주로 침엽수림), 건목성(주로 활엽수림), 지하성(다양한 환경)으로 나뉜다.[15][45]
모든 흰개미 종은 진사회성 곤충으로, 복잡한 사회 구조를 이루고 군체 생활을 한다.[46] 군체 내에는 명확한 계급이 존재한다.
흰개미는 나무 위(교목성), 땅 위(언덕형), 또는 땅속(지하형)에 정교한 둥지를 짓는다. 주재료는 자신의 배설물이며, 식물 섬유나 흙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29][61] 둥지는 먹이 탐색 장소와 연결된 복잡한 터널 구조를 가진다.[29][61] 대부분의 일개미는 둥지 밖으로 나가지 않지만, ''Trinervitermes trinervoides''처럼 밤에 나와 먹이를 찾고 테르펜으로 방어하는 예외도 있다.[28][60] 아프리카의 흰개미집은 높이 9m × 지름 30m에 달하기도 하며, 주변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30][31][62][63]
바퀴벌레와 흰개미의 비교두 그룹은 따뜻하고 습한 곳 선호, 주촉성, 굴 파기, 위생 행동, 먹이 공유, 동족 포식, 배설물 섭식(식분증), 진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혈연 인식, 흔적 추적, 그루밍, 육아, 짝짓기 행동 등 많은 행동적 유사점을 공유한다.[48] 이는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특징일 수 있다.
그러나 사회 구조와 상호작용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흰개미는 엄격한 계급 분화를 가진 진사회성 군체를 이루지만, 바퀴벌레는 계급 없이 군집 생활을 하며 모든 성충이 번식 가능하다.[47] 흰개미 군체 내에서는 상호 그루밍이 흔하지만, 바퀴벌레 성충은 주로 경쟁 관계에 있으며 상호 그루밍은 드물다 (단, 흰개미와 가까운 갈색날개흰개미과(Cryptocercidae)는 예외적으로 유충 간 또는 유충-성충 간 그루밍을 한다).[48][49]
두 그룹 모두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고립된 흰개미는 수명이 짧아지고, 고립된 바퀴벌레 약충은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기대 수명이 짧아진다.[48]
배설물 섭식은 두 그룹 모두에게 중요하지만 역할이 다르다. 흰개미 일개미는 배설물을 통해 군체 구성원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46] 바퀴벌레 약충은 성충의 배설물을 섭취하여 영양분과 소화를 돕는 미생물총을 얻는다.[48]
형태적으로도 갈색날개흰개미과와 원시 흰개미 ''Mastotermes darwiniensis''는 암컷 생식 구조의 유사성 및 바퀴벌레처럼 난낭에 알을 낳는다는 공통점을 가진다.[50]
3. 3. 행동
바퀴벌레는 군집성이 강하며, 개체 수 밀도가 높을수록 페로몬의 영향으로 생장이 빨라지는 경향이 있다. 주로 밤에 활동하며 낮에는 어두운 곳에 숨어 지낸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 연구에 따르면, 바퀴벌레는 지나다니는 길에 먹이, 물, 은신처 정보를 화학물질로 표시한다.[69] 또한 먹이를 필요 이상으로 섭취한 후, 동족이 모인 곳에서 토해내어 나누어 먹는 습성이 있는데, 이러한 습성은 바퀴벌레 퇴치 약제의 원리로 이용되기도 한다.[69]
흰개미는 사회성 곤충으로 군집 생활을 하며 계급 사회를 이룬다. 각 군집에는 번식을 담당하는 여왕과 왕, 그리고 많은 수의 비생식 일개미가 존재한다. 일개미는 먹이를 찾아 군집으로 가져와 생식 개체와 어린 개체에게 먹이는 역할을 한다.[16][46] 반면, 바퀴벌레도 사회성을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군집을 이루지는 않으며 모든 성충이 번식할 수 있다. 일부 바퀴벌레 종은 무리를 짓거나 자식을 돌보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17][47]
바퀴벌레와 흰개미는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높은 여러 행동적 유사점을 공유한다. 여기에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 선호, 접촉성 주성, 땅굴 파기, 주변 환경 조작, 위생 행동, 먹이 공유, 동족 포식, 특정 배설 행동, 진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혈연 인식, 이동 경로 추적, 상호 털 손질(그루밍), 새끼 돌보기, 더듬이 손질, 특정 짝짓기 행동 등이 포함된다.[18][48] 하지만 일부 행동에서는 차이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흰개미 군집에서는 상호 털 손질이 흔하지만, 대부분의 바퀴벌레는 스스로 털 손질만 할 뿐 상호 털 손질은 잘 하지 않는다. 또한 어린 바퀴벌레는 무리를 짓는 경향이 있지만, 성충 바퀴벌레는 공간이나 자원을 두고 서로 경쟁하는 경우가 많다.[18][48] 예외적으로, 흰개미와 유전적으로 더 가깝다고 여겨지는 키고키브리과 바퀴벌레는 유충과 성충 모두 서로 털 손질을 한다.[19][49][18][48]
사회적 환경은 두 그룹 모두에게 영향을 미친다. 혼자 사육된 흰개미는 함께 사육된 개체보다 활력이 떨어지고 수명이 짧다. 마찬가지로 고립된 바퀴벌레 약충은 무리 지어 사육된 개체보다 성장 속도가 현저히 느리고 수명도 짧아진다.[18][48]
흰개미와 바퀴벌레 모두 배설물 섭식(coprophagy) 행동을 보인다. 성체 흰개미 일개미는 먹이를 둥지로 가져와 입이나 항문을 통해 다른 개체에게 전달하며 영양을 공급한다. 어린 바퀴벌레는 먹이 탐색 능력이 부족하여 숨어 지내며, 주로 성체 바퀴벌레의 배설물을 먹어 영양분과 소화에 필요한 미생물총을 얻는다.[18][48] 키고키브리과와 원시 흰개미 종인 ''Mastotermes darwiniensis''는 암컷 생식 기관의 특정 구조, 그리고 바퀴벌레의 특징인 난낭(ootheca)에 알을 낳는다는 점 등을 공유한다.[20][50]
의사소통 방식으로는 두 그룹 모두 페로몬을 사용한다. 특히 바퀴벌레는 몸에서 분비하는 탄화수소를 더듬이로 감지하여 서로 소통하며, 이를 통해 친족을 구별하여 근친 교배를 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험실 환경에서 고립된 바퀴벌레는 이러한 화학 물질에 대한 반응이 둔감해지는데, 이는 사회적 환경이 의사소통 능력 발달에 중요함을 시사한다.[22][52] 진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역시 두 그룹 모두에게서 나타나는 행동이다.[18][48]
모든 흰개미 종은 진사회성을 보이며, 군체 구성원은 계급으로 나뉜다. 다수를 차지하는 일개미 계급은 먹이 탐색, 둥지 건설, 몸치장, 새끼 돌봄 등을 담당한다. 병정개미 계급은 크고 강력한 턱과 방어 물질 분비샘을 이용하여 포식자나 경쟁자로부터 둥지를 방어하는 역할을 전담한다.[26] 번식은 주로 여왕과 왕(일차 생식 개체)이 담당하며 나머지 계급은 번식 능력이 없다. 일차 생식 개체가 죽거나 군체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커지면, 날개가 있거나 없는 형태의 신생 생식 개체가 발달하여 새로운 군체를 형성하거나 기존 군체의 번식을 돕는다.[27] 특정 약충이 어떤 계급으로 발달할지는 후기 약충 단계에서 결정되며, 이는 먹이 공급량이나 기생충 감염 수준 등 환경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26][27]
흰개미는 나무 위(교목성), 땅 위(언덕형), 또는 땅속(지하형)에 둥지를 짓는다. 원시적인 흰개미 종은 통나무 속 등에 둥지를 만든다. 둥지는 주로 흰개미의 배설물, 씹어서 만든 식물 섬유, 흙 등을 이용하여 건설된다. 대부분의 흰개미는 둥지와 먹이터를 연결하는 폐쇄된 통로를 통해 이동하며 외부로 거의 나오지 않는다.[29] 예외적으로 ''Trinervitermes trinervoides'' 종의 일개미는 밤에 지표면에서 무리를 지어 먹이를 찾으며, 포식자를 막기 위해 유독한 테르펜을 분비한다.[28] 둥지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터널을 통해 먹이 탐색 지역과 연결된다.[29] 아프리카에서는 높이 9m, 지름 30m에 달하는 거대한 흰개미 언덕이 발견되기도 하며, 이는 주변 토양 비옥도를 높이고 생물 다양성 증진에 기여한다.[30][31]
3. 4. 생식
바퀴벌레의 교미는 수컷의 구애 행동으로 시작된다. 수컷은 앞날개를 세우고 배마디 등판의 유혹선에서 분비물을 내어 암컷을 유인한다. 암컷이 이 분비물을 핥는 동안 수컷이 교미한다.
암컷은 교미 후 난협(알집)이라는 주머니를 만들어 그 안에 알을 낳는다. 1개의 난협에는 종에 따라 16개에서 44개의 알이 들어 있으며, 한 암컷은 일생 동안 1개에서 20개까지의 난협을 생산할 수 있다. 암컷은 이 난협을 배 끝에 붙이고 다니며 보호하다가 부화 직전에 적당한 곳에 내려놓는다. Blaberidae과와 같은 일부 바퀴벌레는 산란관 일부가 부풀어 자궁과 유사한 형태가 되어 난태생을 하기도 한다. 알은 환경 조건에 따라 15일에서 90일 사이에 부화한다. 바퀴벌레는 불완전변태를 하므로, 유충(약충)은 날개가 없고 크기가 작다는 점을 제외하면 성충과 거의 같은 모습이며 생활 방식도 비슷하다.[21]
흰개미는 사회성 곤충으로 군체를 이루어 생활하며, 엄격한 계급 사회를 형성한다. 각 군체에는 번식을 전담하는 여왕과 왕이 있으며, 그 외 다수의 일개미와 병정개미는 생식 능력이 없다. 일개미는 먹이를 구하고, 둥지를 짓고, 새끼를 돌보는 등 군체 유지에 필요한 대부분의 노동을 담당하며,[16] [46] [26] 병정개미는 포식자로부터 군체를 방어한다.[26] 일반적으로 여왕개미와 왕개미만이 번식하며, 다른 계급은 모두 불임이다.[27] 생식 개체에는 처음 군체를 형성하는 일차 생식 개체와, 일차 생식 개체가 죽거나 군체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커졌을 때 추가로 생겨나는 신생 생식 개체가 있다.[27] 신생 생식 개체는 날개가 있는 형태와 없는 형태로 나뉘는데, 날개가 있는 개체는 새로운 군체를 만들기 위해 떠나가고 없는 개체는 원래 군체에 남아 번식을 돕는다. 어떤 형태로 발달할지는 군체 내 먹이 공급량이나 기생충 감염 정도 등 환경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27] 개체가 어떤 계급으로 발달할지는 유충(약충) 후기 단계에서 결정되기 시작하며, 생식 개체가 될 유충은 생식 기관이 발달하는 모습을 보인다.[26]
바퀴벌레 역시 사회성 곤충으로 분류되지만, 흰개미와 같은 엄격한 계급 사회나 군집 생활을 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바퀴벌레는 모든 성충이 번식 능력을 가지며, 일부 종만이 무리를 짓거나 자식을 돌보는 행동을 보인다.[17] [47]
바퀴벌레와 흰개미는 행동 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는데, 이는 공통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특징으로 여겨진다. 여기에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 선호, 접촉성 주성, 땅 파기, 둥지 재료 조작, 위생 행동, 먹이 공유, 동족 포식, 배설 행동, 진동을 이용한 의사소통, 혈연 인식, 흔적 추적, 서로 몸을 핥아주는 행동(그루밍), 새끼 돌보기, 더듬이 손질, 특정 짝짓기 행동 등이 포함된다.[18] [48] 하지만 흰개미와 바퀴벌레 유충 사이의 유사성이 성체 바퀴벌레와의 유사성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바퀴벌레 유충은 무리를 짓는 경향이 있지만 성체는 서로 경쟁하는 경우가 많고, 흰개미는 서로 그루밍을 해주는 것이 흔하지만 바퀴벌레는 주로 스스로 몸단장을 한다.[18] [48] 예외적으로 Cryptocercidae과 바퀴벌레는 다른 바퀴벌레보다 흰개미와 더 가까운 관계이며, 유충과 성체 모두 서로 그루밍을 하는 행동을 보인다.[18] [48] [19] [49] 두 그룹 모두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혼자 고립된 개체는 함께 있는 개체보다 활력이 떨어지고 수명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18] [48]
흰개미와 바퀴벌레 모두 배설물 섭식 행동을 보인다. 흰개미 일개미는 먹이를 둥지로 가져와 입이나 항문을 통해 여왕, 왕, 유충에게 전달하며 영양을 공급한다. 반면 바퀴벌레 유충은 스스로 먹이를 잘 찾지 못하고, 주로 숨어 지내며 성체 바퀴벌레의 배설물을 먹어 영양분을 얻고 소화에 필요한 미생물총을 획득한다.[18] [48]
Cryptocercidae과 바퀴벌레와 원시 흰개미 종인 ''Mastotermes darwiniensis''는 암컷 생식 기관의 구조적 기원이나 난협에 알을 낳는 방식 등 몇 가지 생식 관련 특징을 공유한다.[20] [50]
4. 서식지
현생종 바퀴벌레는 약 4,000종 이상이 있으며, 극지방과 해발 2000m 이상인 곳을 제외한 세계 전역에 분포한다. 대부분 열대나 아열대 지방에 서식하며, 따뜻하고 습한 곳에서 잘 번식한다.[12] 이 중 약 50종은 인간의 생활 공간에 적응하여 집 근처에서 살아가는데, 강한 번식력과 환경 적응력 때문에 대표적인 위생 해충으로 여겨진다. 잔날개바퀴, 독일바퀴, 이질바퀴, 잔이질바퀴 등이 이에 해당하며, 한국에서는 바퀴, 집바퀴, 이질바퀴, 먹바퀴 4종을 위생 해충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전체 바퀴류 중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종은 1% 미만이다.
바퀴벌레는 주로 밤에 활동하며, 낮 동안에는 나무껍질 밑, 돌 밑, 낙엽 밑 등 어둡고 그늘진 곳에 숨어 지낸다. 군집성이 강하며, 개체 수 밀도가 높을수록 성장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몸에서 분비되는 페로몬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미국 플로리다 대학 연구에 따르면, 바퀴벌레는 이동 경로에 먹이, 물, 은신처 정보를 화학물질로 표시한다.[69] 대부분의 바퀴벌레는 잡식성 또는 부식성으로, 낙엽, 썩은 나무, 무성한 초목, 바위 틈새, 나무껍질 아래 공간, 통나무 아래, 잔해 속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 일부는 나무 위에서 생활하거나(수목성), 동굴에 살거나(동굴성), 물속에서 생활하는(수생) 종도 있다.[12][42] 건물 내에 서식하는 소수의 종은 인간에 의해 전 세계로 퍼져 해충으로 간주된다.[13][43] 일부 종은 장내 공생 생물을 통해 셀룰로오스 소화를 돕지만, 많은 종은 자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소화 효소를 생산하기도 한다.[14][44]
흰개미는 3,000종 이상이 있으며, 남극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특히 아프리카에 가장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유럽과 북아메리카에는 비교적 적은 수의 종이 분포한다. 흰개미 역시 부식성이며, 많은 종이 나무를 먹고 산다. 이들은 셀룰로오스를 소화하기 위해 공생 원생동물을 가진 특수한 장을 가지고 있다.[15][45] 몸이 연약하여 주로 눈에 띄지 않는 곳에서 생활한다. 서식지에 따라 크게 습목성(주로 침엽수림), 건목성(주로 활엽수림), 지하성(다양한 서식지)으로 나뉜다.[15][45]
흰개미 군체는 나무 위, 흙더미 형태 또는 지하에 둥지를 짓는다. 원시적인 종은 그루터기나 통나무 같은 밀폐된 구조 안에 둥지를 튼다. 둥지는 주로 흰개미 자신의 배설물, 씹어서 뭉친 식물 섬유(마분지와 유사한 방수성 물질), 흙 등으로 만들어진다. 나무 위 둥지는 밀폐된 통로로 지면과 연결된다. 대부분의 일개미는 눈이 없고 몸이 연약하여 평생을 둥지 안에서 보내며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61] 둥지는 복잡한 터널 구조로 이루어져 먹이가 있는 곳까지 연결된다.[61] 아프리카에서는 흰개미집이 높이 9m, 지름 30m에 달하는 거대한 구조물을 이루기도 하며, 주변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생물 다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62][63]
5. 인류와의 관계
바퀴목 곤충 중 약 50종은 인간의 생활 공간에 적응하여 서식하는데, 이들은 강한 번식력과 환경 적응력 때문에 대표적인 위생해충으로 여겨진다. 잔날개바퀴, 독일바퀴, 이질바퀴, 잔이질바퀴 등이 대표적이다. 한국에서는 바퀴, 집바퀴, 이질바퀴, 먹바퀴 4종을 주요 위생 해충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전체 바퀴류 중 인간에게 직접적인 해를 끼치는 종은 1% 미만에 불과하다.
바퀴벌레는 습성상 인간에게 해로운 여러 질병을 옮길 수 있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바퀴벌레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허물 등은 알레르기 반응이나 천식,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반면, 모든 바퀴벌레가 해충인 것은 아니다. 마다가스카르휘파람바퀴와 같은 일부 종은 독특한 특성 때문에 애완용으로 길러지기도 한다. 또한 태국이나 중국 등 일부 문화권에서는 특정 바퀴벌레 종을 식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문화적으로 바퀴벌레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여, 연예인에 대한 멸칭으로 '인간 말종 바퀴벌레 새끼'와 같은 비유적 표현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는 일부 대중이 연예인을 '딴따라'와 같이 낮춰 부르며 무식함, 천한 직업, 성 접대 연루, 천박한 행동 등을 이유로 비웃는 맥락에서 사용되는 표현이다.[70][71][72]
5. 1. 천적
다음과 같은 동물들이 바퀴벌레의 천적으로 확인되었다.참조
[1]
논문
Mesozoic origin-delayed explosive radiation of the cockroach family Corydiidae Saussure, 1864
[2]
논문
Longest-surviving Carboniferous-family insect found in Mesozoic amber
[3]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Blattodea
https://www.itis.gov[...]
2018-05-10
[4]
논문
Death of an order: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confirms that termites are eusocial cockroaches
[5]
논문
Phylogeny of cockroaches (Insecta, Dictyoptera, Blattodea), with placement of aberrant taxa and exploration of out-group sampling
[6]
서적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Magnolia Press
[7]
논문
†Alienoptera — A new insect order in the roach–mantodean twilight zone
[8]
논문
Invited reply: Response to Lo et al.
[9]
논문
An integrative phylogenomic approach illumin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ockroaches and termites (Blattodea)
2019-01-23
[10]
논문
Batesian insect-insect mimicry-related explosive radiation of ancient alienopterid cockroaches
[11]
논문
Beetle or roach: systematic position of the enigmatic Umenocoleidae based on new material from Zhonggou Formation in Jiuquan, Northwest China, and a morphocladistic analysis
[12]
서적
Cockroaches: Ecology, Behavior, and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13]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4]
논문
Cellulose digestion in termites and cockroaches: What role do symbionts play?
[15]
웹사이트
Termite Biology and Ecology
http://www.chem.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7-03-15
[16]
기술보고서
Termites in New South Wales Part 1. Termite biology
http://www.dpi.nsw.g[...]
[17]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ermites: Evolution, Sociality, Symbioses,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19]
논문
Phylogeny of cockroaches (Insecta, Dictyoptera, Blattodea), with placement of aberrant taxa and exploration of out-group sampling
[20]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1]
서적
Cockroaches: Ecology, Behavior, and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22]
논문
The social biology of domiciliary cockroaches: colony structure, kin recognition and collective decisions
2012
[23]
웹사이트
Order Blattodea: Cockroaches and Termites
http://bugguide.net/[...]
BugGuide
2015-08-27
[24]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25]
논문
Colony Composition, Social Behavior and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ood-Feeding Cockroach (Cryptocercus kyebangensis)
2002-07-01
[26]
논문
Life history and development-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lasticity in lower termites
2015
[27]
논문
Life history and development-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lasticity in lower termites
2008
[28]
논문
Aspects of foraging in the harvester termite, ''Trinervitermes trinervoides'' (Sjöstedt) (Termitidae: Nasutitermitinae)
[29]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30]
논문
Soil invertebrates as ecosystem engineers: Intended and accidental effects on soil and feedback loops
https://www.research[...]
[31]
논문
Africa's soil engineers: Termites
2015
[32]
웹사이트
ITIS Standard Report Page: Blattodea
https://www.itis.gov[...]
2018-05-10
[33]
웹사이트
シロアリの生態
https://www.shiroari[...]
株式会社ダストン
2021-03-00
[34]
논문
Death of an order: a comprehensive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confirms that termites are eusocial cockroaches
[35]
논문
Phylogeny of cockroaches (Insecta, Dictyoptera, Blattodea), with placement of aberrant taxa and exploration of out-group sampling
[36]
논문
Animal biodiversity: An outline of higher-level classification and survey of taxonomic richness
Magnolia Press
[37]
논문
・Alienoptera - A new insect order in the roach-mantodean twilight zone
[38]
논문
Invited reply: Response to Lo et al.
[39]
논문
An integrative phylogenomic approach illumin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ockroaches and termites (Blattodea)
2019-01-23
[40]
논문
Batesian insect-insect mimicry-related explosive radiation of ancient alienopterid cockroaches
[41]
논문
Beetle or roach: systematic position of the enigmatic Umenocoleidae based on new material from Zhonggou Formation in Jiuquan, Northwest China, and a morphocladistic analysis
[42]
서적
Cockroaches: Ecology, Behavior, and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43]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논문
Cellulose digestion in termites and cockroaches: What role do symbionts play?
[45]
웹사이트
Termite Biology and Ecology
http://www.chem.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2017-03-15
[46]
기술보고서
Termites in New South Wales Part 1. Termite biology
http://www.dpi.nsw.g[...]
[47]
서적
The Other Insect Societ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48]
서적
Termites: Evolution, Sociality, Symbioses, Ecology
https://books.google[...]
Springer
[49]
논문
Phylogeny of cockroaches (Insecta, Dictyoptera, Blattodea), with placement of aberrant taxa and exploration of out-group sampling
[50]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51]
논문
ゴキブリの起源は意外と新しかった!~ゴキブリ類の系統進化の再構築~
https://www.sugadair[...]
筑波大学菅平高原実験所
[52]
논문
The social biology of domiciliary cockroaches: colony structure, kin recognition and collective decisions
2012
[53]
서적
Cockroaches: Ecology, Behavior, and Na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JHU Press
[54]
웹사이트
Order Blattodea: Cockroaches and Termites
http://bugguide.net/[...]
BugGuide
2015-08-27
[55]
서적
Introduction to Insect Biology and Diversity
Oxford University Press
[56]
논문
Colony Composition, Social Behavior and Som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ood-Feeding Cockroach (Cryptocercus kyebangensis)
2002-07-01
[57]
논문
Life history and development‐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lasticity in lower termites
2015
[58]
논문
シロアリにおける生殖虫分化:異性による生理調節機構の解明
https://www.s.u-toky[...]
東京大学大学院
2020-06-10
[59]
논문
Life history and development‐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lasticity in lower termites
2008
[60]
논문
Aspects of foraging in the harvester termite, ''Trinervitermes trinervoides'' (Sj?stedt) (Termitidae: Nasutitermitinae)
[61]
서적
Encyclopedia of Insect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62]
논문
Soil invertebrates as ecosystem engineers: Intended and accidental effects on soil and feedback loops
https://www.research[...]
[63]
논문
Africa's soil engineers: Termites
2015
[64]
논문
Integrated suppression of synanthropic cockroaches
http://www4.ncsu.edu[...]
[65]
논문
Mesozoic origin-delayed explosive radiation of the cockroach family Corydiidae Saussure, 1864
[66]
웹사이트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http://tolweb.org/St[...]
2002-09-24
[67]
간행물
한국곤충학회와 한국 응용곤충학회
[68]
간행물
국가생물종목록 3권: 곤충
한국곤충학회와 한국 응용곤충학회
[69]
웹사이트
세스코
http://www.cesco.co.[...]
[70]
뉴스
성범죄자 연예인 ‘성범죄’ 복역 후 ‘화학적 거세 검토 중’
https://n.news.naver[...]
국민일보
2022-12-09
[71]
뉴스
마약 투약 래퍼 윤병호, 징역 7년 확정
https://n.news.naver[...]
조선일보
2023-12-15
[72]
뉴스
'코인 사기' 연예인 연루 의혹 휘청…'부인' '번복' 잇따라
https://n.news.naver[...]
노컷뉴스
2024-0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