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롱비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롱비섬은 베트남 하이퐁시에 속한 섬으로, "하얀 용의 꼬리"라는 뜻을 지닌다. 과거에는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팡청강 인근 지역의 명칭이었으며, 나이팅게일 섬, 푸수이 섬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해발 58m의 고원 지형을 이루며, 홍강 퇴적 분지에 위치해 있다. 기후는 열대 몬순 기후로 연중 온화하며, 다양한 철새와 1,490종의 동식물이 서식한다. 1887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할양되었고, 1957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베트남으로 이관되었다. 현재는 베트남의 관할 하에 있으며, 남획 등의 문제로 해양 생태계 보존이 과제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섬 - 푸꾸옥섬
    푸꾸옥섬은 베트남 남부에 위치하며 캄보디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섬으로, 역사적 분쟁과 프랑스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는 어업, 후추 재배, 관광 산업이 주요 경제 활동이다.
  • 베트남의 섬 - 꼰선섬
    꼰선섬은 베트남 남부에 위치하며, 과거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꼰다오 형무소가 설치되어 정치범을 수용했고,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어 코코야자, 커피 재배가 이루어지며 호치민시와 교통편이 운행된다.
  • 하이퐁의 현 - 띠엔랑현
    띠엔랑현은 베트남 하이퐁시 남쪽 교외에 위치한 현으로, 1개의 시진과 22개의 싸로 구성되어 있으며, 띠엔랑 온천과 응우옌 빈 키엠 사원이 주요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 하이퐁의 현 - 안라오현 (하이퐁)
    베트남 하이퐁시에 위치한 안라오현은 안라오 티쩐, 쯔엉선 티쩐, 그리고 15개의 싸를 관할한다.
  • 중국의 역사적 지역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중국의 역사적 지역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박롱비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섬 정보
이름백롱비섬
현지 이름Đảo Bạch Long Vĩ (베트남어) / 島白龍尾 (한자)
위치통킨만
좌표20°08′41″N 107°42′51″E
면적3.045km²
해안선 길이알려진 정보 없음
최고 고도알려진 정보 없음
행정 구역
국가베트남
하이퐁
박롱비현
인구 통계
인구 (2023년)약 1000명
인구 밀도 (2023년)328명/km²
민족킨족 (베트남인)
기타 정보
추가 정보알려진 정보 없음

2. 명칭

베트남어로 "박롱비"(白龍尾)는 "하얀 용의 꼬리"를 의미하며, 프랑스-청 조약 (1887) 이전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팡청강에 위치한 현재 바이롱 반도(白龙半島)로 알려진 반도(mũi Bạch Long Vĩ / Cape Pak-lung)의 이전 이름이다.[2] 20세기 이전에는 섬에 물이 없었기 때문에 "무수"(Vô Thủy)라고 불렸다.[3]

영국과 프랑스의 고지도에서는 박롱비섬을 ‘나이팅게일섬’이라 불렀다. 과거 중국에서는 ‘부수주’(浮水洲) 또는 ‘야앵도’(夜鶯島)라고 불렀지만, 현재는 중국에서도 ‘바이롱웨이다오’(白龍尾島)라고 부르고 있다.

리더차오에 따르면, 1950년대 이전에는 '''나이팅게일 섬'''(Yeying Is.; 중국어: 夜莺岛|Yèyīng Dǎo중국어)이 박롱비vi 섬의 이전 지명이었다고 한다.[4][5] '''푸수이 섬'''(중국어: 浮水洲|Fúshǔi Zhōu중국어; 베트남어: "Phù Thủy Châu", "물 위에 떠다니는 진주"를 의미)은 단저우 하이난 중국인과 베트남 어부들이 모두 사용했던 이름이다.[4]

3. 지리

꽝닌성 번돈현의 하마이섬에서 약 70km, 하이퐁시 도선군의 홍자우섬에서 약 110km, 중국 하이난섬에서 약 130km 떨어져 있다. 통킹만 거의 중앙에 있어 베트남의 어업과 군사적 지정학적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2]

해발 58m의 고원이며, 섬에서 75km 이내에는 다른 육지가 없다.

지각 구조 틀에서 박롱비섬은 홍강 신생대 퇴적 분지의 북서쪽 측면에 있는 북동-남서 방향의 국부적인 융기 블록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북부 통킹만 분지와 접해 있다. 이전에는 신생대 퇴적암만 있는 것으로 생각했지만,[6] 현재는 고생대 퇴적암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약 200m 두께의 올리고세 시대 푸 투이 차우(Phù Thủy Châu) 층과 약 55m~60m 두께의 중기 마이오세–플라이오세 시대 호아 미(Hoa Mi) 층의 사암, 실트스톤 및 점토암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다.[7]

4.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19.7°C19.4°C21.5°C25.5°C29.1°C30.6°C31.1°C30.8°C29.7°C27.6°C24.7°C21.6°C25.9°C
평균 기온 (℃)17.2°C17.1°C19°C22.7°C26.5°C28.4°C28.9°C28.5°C27.5°C25.5°C22.5°C19.2°C23.6°C
평균 최저 기온 (℃)15.7°C15.6°C17.4°C20.9°C24.8°C26.8°C27.3°C26.7°C25.7°C24°C21.1°C17.8°C22°C
강수량 (mm)27.5mm19.8mm26.8mm48.1mm93.3mm139.5mm149.6mm255.6mm219.1mm110.7mm36.7mm21.6mm1149.1mm
평균 강수일수7.38.78.77.37.28.27.612.312.68.76.25.6100.6
평균 상대 습도 (%)84.589.190.891.089.286.884.785.383.880.978.979.385.5



출처: 베트남 건축 과학 기술 연구소[8]

5. 역사

1950년 이전에는 '''나이팅게일 섬'''(夜莺岛|병음|Yèyīng Dǎo중국어)이 박롱비vi 섬의 이전 지명이었다.[4][5] '''푸수이 섬'''(浮水洲|병음|Fúshǔi Zhōu중국어; 베트남어: "Phù Thủy Châu", "물 위에 떠다니는 진주"를 의미)은 단저우 하이난 중국인과 베트남 어부들이 모두 사용했던 이름이다.[4] 20세기 이전에는 역사적으로 박롱비섬은 수자원 부족으로 인해 사람이 살지 않았다.[9]

1887년, 중국(청나라)과 프랑스 간의 협약으로, 이 섬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안남 보호국)에 할양했다.[10] 그러나 이는 중국에게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였다.

담수가 부족하여 19세기 말까지 박롱비섬에는 사람이 살지 않았고, 섬은 단지 바다에서 강풍을 피하는 장소로 이용되었다. 1920년경, 섬 남쪽에서 담수 우물이 발견되었다. 1921년 8월, 꽝옌성 깟바현 걉남 마을 주민이 박롱비섬 저지대에서 경작할 수 있도록 허가를 신청했다.[12] 그 이후, 프랑스 보호령은 박롱비에 대한 감시를 강화했고, 깟바섬에서 출발하는 세무서의 순찰선이 최소 연 1회 박롱비를 방문하도록 요청했다. 1937년, 베트남 바오다이 황제 정부는 12명의 병력을 파견하여 주둔지를 형성하고, 마을-코뮌(làng - xã) 제도를 설립했으며, 섬에 촌장(Lý trưởng)을 임명했고, 섬의 공식 명칭을 박롱비로 변경했다.[13] 행정적으로 섬은 꽝옌성 깟바현의 관리를 받았다. 그 후 섬 마을은 섬 남쪽에 모여 있는 3개의 주거 구역으로 구성되었으며, 약 75-80채의 집과 약 200명의 인구가 거주했다. 섬 주민들은 섬에서 사육, 농사, 섬 주변에서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은 프랑스를 인도차이나에서 몰아내고 1945년에 섬을 점령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났을 때, 연합군의 대표로서 장제스 군대는 북베트남에서 일본군을 무장 해제시키고 일본군으로부터 박롱비섬을 점령했다.[13]

1949년, 중국 공산당은 중국 국공 내전에서 장제스의 군대를 상대로 승리했다.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장제스의 군대를 몰아내고 섬을 점령했다.[4]

1957년 1월 16일, 중국 정부는 섬을 북베트남 정부에 이양했다.[4] 그날, 베트남 총리는 박롱비섬을 "사(xã)"(마을)로 지정하고 하이퐁시에 속한다는 내용의 칙령 49/Ttg에 서명했다. 그 해에 93명의 노동자와 22헥타르의 토지, 13척의 배를 가진 어업 협동 조합(Hợp tác xã Nông ngư)이 섬에 설립되었다.[4]

1992년 12월 9일, 베트남 정부는 박롱비섬을 하이퐁에 속하는 현으로 지정하는 칙령 15/NĐ/CP에 서명했다.

베트남과 중국 정부가 서명한 통킹만에 관한 협약에서 중국은 섬에 대한 베트남의 주권을 존중하며, 섬에 대한 분쟁은 없다.[14]

6. 생태

섬에는 황새, 비둘기, 검은꼬리까마귀 및 쇠물닭을 포함한 여러 종의 철새가 서식하고 있다. 현지 베트남 당국은 철새 이동 기간 동안 이 새들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섬과 그 주변에서 1,490종의 동식물이 발견되었다. 이 중 육상 식물 367종, 맹그로브 17종, 해양 식물성 플랑크톤 227종, 해조류 65종, 해초 1종, 해양 동물성 플랑크톤 110종, 저서 생물 125종, 산호 94종, 해양 어류 451종, 조류, 포유류, 양서류, 파충류를 포함하여 총 45종이 있다. 박롱비섬과 섬 주변 해역에는 목련속 육상 식물 2종, 자포동물 11종, 연체동물 7종, 척추동물 8종을 포함하여 희귀, 위협, 멸종 위기 종 28종이 등재되어 있다. 해양 척추동물에는 수염고래가 포함된다.

7. 보존 문제

본토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박롱비섬은 원해 어업의 기지로 사용된다. 섬 인근 해양 자원은 남획과 파괴적인 어업 관행의 대상이 된다.[16]

참조

[1] 웹사이트 https://vnexpress.ne[...]
[2] 웹사이트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ạch Long Vĩ Island District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Nature and environment in Bạch Long Vĩ island and sea https://www.research[...]
[4] 웹사이트 Historical names of Nightingale Island http://www.trailino.[...] 2009-02-16
[5] 간행물 Rectification of the name of Pai-lung-wei Is.
[6] 문서 Saurin E., 1956. L’ile Bachlongvi (Gulfe du Tonkin). Bull. Soc. Géol. de France. Sér.6. t.VI: 699-705. Paris.
[7] 웹사이트 Thiên nhiên và môi trường vùng biển đảo Bạch Long Vĩ - Nature and environment in Bach Long Vi island and sea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8] 웹사이트 Vietnam Institute for Building Science and Technology https://datafiles.ch[...] 2023-08-16
[9] 웹사이트 Official history of Bach Long Vi island http://haiphong.gov.[...]
[10] 서적 Undelimited maritime boundaries of the Asian Rim in the Pacific Ocean https://web.archive.[...]
[11] 문서 The Management of the Border Disputes Between China and Vietnam and its Regional Implications by Assoc.Prof.Ramses Amer, Co-ordinator, South-East Asia Program (SEAP), Department of Peace and Conflict Research, Uppsala University, and Senior Research Adviser, Department of Research Co-operation-SAREC, Swedish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gency (SIDA), October 2000
[12] 웹사이트 Đảo Bạch long Vĩ trong nghiên cứu thám sát của người Pháp https://archives.org[...]
[13] 서적 Thiên nhiên và môi trường vùng biển đảo Bạch Long Vĩ https://www.research[...] Nhà xuất bản Khoa học tự nhiên và công nghệ 2013
[14] 웹사이트 Hoạch định ranh giới biển giữa VN và TQ (kỳ 1) http://www.tuanvietn[...]
[15] 뉴스 Cá voi dài 10 mét chết dạt vào đảo Bạch Long Vĩ http://dantri.com.vn[...] Hải Phòng. The - Ngoc Hung 2013
[16] 웹사이트 Thiên nhiên và môi trường vùng biển đảo Bạch Long Vĩ - Nature and environment in Bach Long Vi island and sea - ResearchGate https://www.research[...]
[17] 웹사이트 Mã số đơn vị hành chính Việt Nam http://mic.gov.vn/up[...] Bộ Thông tin và Truyền thông (Việt Nam) 2013-04-28
[18] 웹사이트 Kết quả toàn bộ Tổng điều tra Dân số và Nhà ở Việt Nam năm 2009 http://www.gso.gov.v[...] Tổng cục Thống kê (Việt Nam) 2013-04-28
[19] 웹사이트 海南省地方誌 儋縣誌 第五章 港灣島嶼 http://www.hnszw.org[...] 2018-02-16
[20] 웹사이트 Đảo Bạch Long Vĩ trong nghiên cứu thám sát của người Pháp http://www.archives.[...] Cục Văn thư và Lưu trữ nhà nước (Việt Nam) 2013-04-28
[21] 웹사이트 https://vnexpress.ne[...]
[22] 웹사이트 儋县志, 1권, 지리지, 港湾岛屿 제1장 洋浦湾 http://www.hnszw.org[...] 2011-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