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수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수량은 1491년에 태어나 1554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청백리로 널리 알려졌다. 1514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간 후 승문원 부정자, 사간원 정언 등을 거쳤으며, 늙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지방관직을 자청하기도 했다. 함경도 경차관 시절 비위 사실을 보고하지 않아 투옥되기도 했으나, 이후 좌승지, 나주 목사, 함경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546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중종실록≫과 ≪인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그는 검소하고 청렴한 삶을 살았으며, 사후 2차례에 걸쳐 청백리에 다시 녹선되었다. 그의 묘소에는 신도비와 묘비가 세워졌으며, 장성 수산사에 배향되었다.

2. 생애

박수량은 1491년(성종 22) 전라도 장성현 소곡리(현재 황룡면 아곡리 하남)에서 아버지 박종원과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박현손(朴賢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박문아(朴文雅)이다. 어릴적에 고을 선생 김개(金漑)에게 수학하였다.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1514년(중종 9) 별시 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1515년(중종 10) 승문원 부정자에 임명된 후, 전적, 예조좌랑, 사간원정언, 충청도사 등을 거쳤다. 1522년 사헌부지평, 병조정랑으로 옮겼다가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지평, 헌납, 장령, 사간을 역임했다.

1525년(중종 20) 늙은 부모 봉양을 위해 고부군수로 나갔으며, 1531년(중종 26)에는 사성으로 있다가 어머니 봉양을 위해 보성 군수로 나갔다. 1534년~1535년 함경도 경차관 시절, 안원보권관 전주남의 비위 사실을 보고하지 않아 투옥되었다가 풀려나기도 했다.

1536년(중종 31) 승문원판교 겸 춘추관편수관을 역임하고 통정대부로 승진, 병조참지, 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수찬관을 지내고 좌승지로 옮겼다. 같은 해 부모 봉양을 위해 나주 목사로 나가 의항공사 찰리사를 겸했다. 1537년(중종 32) 함경도 관찰사로 나갔으나 세 번 병환을 이유로 사직했다. 이후 한성부 우윤, 동지중추 부사, 공조 참판,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1539년(중종 34) 도총부 부총관으로 있다가 예조참판이 되었고, 어머니 봉양을 위해 담양 부사로 나가 3년간 어머니를 모셨다. 1542년(중종 37) 어머니 상을 당해 3년상을 치렀다. 1544년(중종 39) 전라도 관찰사 송인수영광군 순찰 때, 전라도 출신 재상 중 박수량을 송흠 다음으로 소탈하고 담박한 인물로 평가했다.

1546년(명종 1) 상호군에 제수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자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한성판윤,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1550년(명종 5) 의정부 우참찬 겸 지경연의금춘추사 오위도총관에 제수되어 ≪중종실록≫·≪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51년(명종 6) 전라도 관찰사를 겸임하였고, 홍섬 등과 함께 33인의 한 사람으로 청백리에 다시 녹선되었다. 1552년(명종 7)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가 의정부 우참찬으로 돌아왔고, 호조 판서로 임명되었다. 1553년(명종 8) 다시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다.

1554년(명종 9) 지중추부사로서 병으로 사망했다. 조정에서는 염근(廉謹)한 인물이었다며 특별히 치부(致賻)를 명하고, 예관(禮官)을 보내어 유제(諭祭)하였다. 2회에 거쳐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주세붕과 교유가 깊었다.

2. 1. 출생과 가계

박수량은 1491년(성종 22) 전라도 장성현 소곡리(현재 황룡면 아곡리 하남)에서 아버지 박종원과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둘째로 태어났다.[2] 할아버지는 박현손(朴賢孫)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박문아(朴文雅)이다. 어릴적에 고을 선생 김개(金漑)에게 수학하였다.[2]

2. 2. 관직 생활

박수량은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1514년(중종 9) 별시 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2] 1515년(중종 10) 승문원 부정자에 임명된 후, 전적, 예조좌랑, 사간원정언, 충청도사 등을 거쳤다.[2] 1522년 사헌부지평, 병조정랑으로 옮겼다가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지평, 헌납, 장령, 사간을 역임했다.

1525년(중종 20) 늙은 부모 봉양을 위해 고부군수로 나갔으며, 1531년(중종 26)에는 사성으로 있다가 어머니 봉양을 위해 보성 군수로 나갔다. 1534년~1535년 함경도 경차관 시절, 안원보권관 전주남의 비위 사실을 보고하지 않아 투옥되었다가 풀려나기도 했다.

1536년(중종 31) 승문원판교 겸 춘추관편수관을 역임하고 통정대부로 승진, 병조참지, 동부승지 겸 경연참찬관, 수찬관을 지내고 좌승지로 옮겼다. 같은 해 부모 봉양을 위해 나주 목사로 나가 의항공사 찰리사를 겸했다. 1537년(중종 32) 함경도 관찰사로 나갔으나 세 번 병환을 이유로 사직했다. 이후 한성부 우윤, 동지중추 부사, 공조 참판, 호조참판을 역임했다.

1539년(중종 34) 도총부 부총관으로 있다가 예조참판이 되었고, 어머니 봉양을 위해 담양 부사로 나가 3년간 어머니를 모셨다. 1542년(중종 37) 어머니 상을 당해 3년상을 치렀다. 1544년(중종 39) 전라도 관찰사 송인수영광군 순찰 때, 전라도 출신 재상 중 박수량을 송흠 다음으로 소탈하고 담박한 인물로 평가했다.

1546년(명종 1) 상호군에 제수되고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자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한성판윤,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1550년(명종 5) 의정부 우참찬 겸 지경연의금춘추사 오위도총관에 제수되어 ≪중종실록≫·≪인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1551년(명종 6) 전라도 관찰사를 겸임하였고, 홍섬 등과 함께 33인의 한 사람으로 청백리에 다시 녹선되었다. 1552년(명종 7)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가 의정부 우참찬으로 돌아왔고, 호조 판서로 임명되었다. 1553년(명종 8) 다시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다.

1554년(명종 9) 지중추부사로서 병으로 사망했다. 조정에서는 염근(廉謹)한 인물이었다며 특별히 치부(致賻)를 명하고, 예관(禮官)을 보내어 유제(諭祭)하였다. 2회에 거쳐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주세붕과 교유가 깊었다.

2. 3. 청백리로서의 삶

박수량은 1491년 (성종 22) 전라도 장성현 소곡리(현재 황룡면 아곡리 하남)에서 태어나, 어릴적에 김개에게 수학하였다.[2] 1513년(중종 8)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1514년(중종 9) 별시 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2]

1515년(중종 10) 승문원 부정자에 임명된 이후, 1522년 사헌부지평·병조정랑으로 옮겼다가,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지평·헌납·장령·사간을 역임했다. 1525년(중종 20) 에는 늙은 부모 봉양을 위해 고부군수로 나갔으며, 1531년(중종 26) 에는 어머니 봉양을 위해 보성 군수로 나갔다. 1534년~1535년 함경도 경차관 시절에는 안원보권관 전주남의 비위 사실을 보고하지 않아 투옥되었다가 풀려나기도 했다.

1536년(중종 31) 통정대부로 승진해 병조참지, 동부승지 등을 지냈고, 1537년(중종 32) 함경도 관찰사를 거쳐 한성부 우윤, 1539년(중종 34) 에는 도총부 부총관, 예조참판을 역임했다. 1542년(중종 37) 어머니 상을 당하여 3년상을 치렀다.

1544년(중종 39) 전라도 관찰사 송인수영광군에서 재상이 된 사람 중에, 소탈하고 담박한 사람으로 송흠 다음으로 박수량을 꼽았다. 1546년(명종 1) 에는 청덕을 인정받아 자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2] 1550년(명종 5) 의정부 우참찬 겸 지경연의금춘추사 오위도총관에 제수되었고, ≪중종실록≫·≪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51년(명종 6) 전라도 관찰사를 거쳐 1552년(명종 7)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가 의정부 우참찬으로 돌아왔고, 호조 판서로 임명되었다. 1553년(명종 8) 또다시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다.

1554년(명종 9) 지중추부사로서 병으로 사망했을 당시, 조정에서는 "염근(廉謹)한 사람이었는데 이제 그가 죽었으니 내 매우 슬프다."라고 전교하였다. 예관(禮官)은 제문에서 '속은 실상 유여(有餘)하나 겉으로는 부족한 척, 집엔 남은 곡식 없으니 더욱 아름답고 애석하다.'라고 하였다. 그는 38여 년간 벼슬을 하면서도 두어 칸의 집을 마련하지 못할 정도로 청렴 결백하게 공직을 수행하였고, 2회에 걸쳐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그는 주세붕과 교유가 깊었으며, 간이 후중하고 근신 조밀하며 예법을 잘 지키고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전해진다.

2. 4. 사망과 장례

1554년 (명종 9) 1월, 대사헌 윤춘년이 죽은 박수량은 청백한 사람으로 서울에서 벼슬할 때도 남의 집에 세들어 살았는데, 본 집은 장성으로 그의 가속들이 상여를 모시고 내려가려 하나 그들 형편이 어려우니, 청백을 포장하여 사풍을 권려해야 한다고 명종에게 건의했다. 이에 명종은 박수량은 청근하다는 이름이 있은 지 오래되었는데, 갑자기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내 매우 슬프다며 포장하는 것이 옳다고 하며, 박수량의 집이 곤궁하여 상사를 치를 수 없고 시골로 내려가는 것 역시 어렵다 하니, 일로에 관인들로써 호송케 하고 상수를 제급하라고 명하며 증직하는 것이 좋겠다고 전교하였다.

사관은 박수량의 염근은 남쪽 선비의 으뜸으로, 겉으로는 청근한 듯하나 실상 안으로는 비루한 자들은 어찌 이마와 등에 땀이 흐르지 않았겠는가라며 위선자들에게 일침을 가하는 논사를 하였다.

하서 김인후가 작성한 《묘지명》에 따르면, 박수량은 간이 후중하고 근신 조밀하여 예법을 잘 지켰으며, 스스로 이기는 것은 더욱 강하지만, 겸퇴하여 마치 입은 옷을 이기지 못할 듯이 하였다. 문장이 있으나 드러내지 아니하고, 사람과 더불어 사귀되 정도에 지나친 친절은 하지 않았으며, 시골에 있을 적에도 오직 삼가서 늘 지족으로써 경계를 삼았다. 또한 담양부사로 있을 적에 모부인이 이질병에 걸려 중한 지경에 이르자 대변을 직접 맛보아 가며 병을 다스려 낫게 하는 등 살아 생전은 물론이요, 죽은 후에도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고 한다.

조정에 부음이 알려지자 명종은 그를 위해 이틀 동안 정무를 철폐하고 예관을 보내어 유제하였는데, 그 제문에 「속은 실상 유여하나 겉으로는 부족한 척, 집엔 남은 곡식 없으니 더욱 아름답고 애석하다.」라는 말이 있었다. 유사를 명하여 특별히 예장하게 하였으며, 또 감사에게 명을 내려 그 집을 후히 돌보게 하였다. 이는 대개 경연관 윤춘년이 그의 청빈에 감복되어 진강의 기회에 직접 계한 때문이었다.

3. 일화

박수량은 호남 출신으로, 여러 벼슬을 거쳤으며 어버이를 위해 지방 보직을 자청하기도 했다.[3] 일 처리가 매우 꼼꼼하고 자세했으며, 청백리로 널리 알려졌다.[3]

그의 아들이 서울에 집을 지으려 하자, 박수량은 자신이 초야 출신으로 과분한 벼슬을 얻었음을 언급하며 크게 꾸짖고 10여 칸이 넘지 않는 집을 짓도록 하였다.[3] 그는 죽음에 이르러서도 후손들에게 시호를 청하거나 묘비를 세우지 말라고 유언했다.[3]

박수량이 사망했을 때 가산이 전혀 없어 처첩들이 고향으로 돌아갈 여비조차 없었다. 이에 대신들이 왕에게 요청하여 겨우 장례를 치를 수 있었다.[3] 이처럼 박수량은 청렴한 성품으로 청백리의 모범이 되었다.[3]

4. 가족 관계


  • 고조부 : 박연생 - 충무시위사 대호군 좌익원종공신
  • 증조부 : 박문아 - 증통정대부 좌승지겸경연수찬관
  • 조부 : 박현손 - 증가선대부 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
  • 부 : 박종원 - 증자헌대부 이조판서겸지의금부사
  • 모 : 이씨 - 증정부인
  • 부인 : 정부인 무송 유씨 - 행부사직 유옥로의 딸
  • 장자 : 박사우 - 진사, 행의금부도사, 진안현감
  • 손자 : 박상경 - 창평현령
  • 손자 : 박상근 - 거창현감
  • 차자 : 박사로 - 풍저창봉사

5. 사후 평가 및 추모

박수량은 "내가 죽거든 시호를 청하거나 묘비를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다.[4] 그러나 250여년이 지나 후손들은 시호를 청하고 묘비를 세웠다.[4][5][6]

1805년(순조 5) 정혜(靖惠)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4] 1887년(고종 24)에는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호사 마을 묘역 입구에 신도비가 건립되었고,[5][6] 1888년(고종 25)에는 하서 김인후가 지은 묘지명을 새긴 묘비가 세워졌다.

1941년에는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 468번지(하남 마을)에 있는 생가 청백당 및 제실이 중수되었고, 같은 해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 296번지(하남 마을 입구)에 유허비 및 하마석이 설치되었다. 1945년에는 후손 박봉구(朴鳳求)가 《조선왕조실록》에서 박수량 관련 사적을 가려뽑고 문장을 합하여 《아곡실기》를 간행하였다.

1979년에는 장성군 황룡면 신호리 302번지에 있는 장성 수산사에 배향되었다.[7] 1985년 7월에는 후손 박래욱(朴來昱)이 밀성박씨 정혜공파보 국역본을 편집하고 박종현이 《청백리 아곡 박선생 실기》를 발간하였다. 이 책에는 청백리 박수량의 어찰, 시, 부, 유문과 부록으로 입조사적, 묘지명, 신도비 등이 수록되어 있다.

5. 1. 당대 평가

5. 2. 후대 추모

박수량은 "내가 죽거든 시호를 청하거나 묘비를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남겼지만, 250여 년이 지나 후손들이 시호를 청하고 묘비를 세웠다.[4]

1805년(순조 5) 정혜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4] 1887년(고종 24)에는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호사 마을 묘역 입구에 신도비가 건립되었고,[5][6] 1888년(고종 25)에는 하서 김인후가 지은 묘지명을 새긴 묘비가 세워졌다.

1941년에는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 468번지(하남 마을)에 있는 생가 청백당 및 제실이 중수되었고, 같은 해 장성군 황룡면 아곡리 296번지(하남 마을 입구)에 유허비 및 하마석이 설치되었다.

1945년에는 후손 박봉구가 《조선왕조실록》에서 박수량 관련 내용을 가려뽑고 문장을 합하여 《아곡 실기》를 간행하였다. 1979년에는 장성군 황룡면 신호리 302번지에 있는 수산사에 배향되었다.[7] 1985년 7월에는 후손 박래욱이 밀성박씨 정혜공파보 국역본을 편집하고 박종현이 《청백리 아곡 박선생 실기》를 발간하였는데, 여기에는 청백리 박수량의 어찰, 시, 부, 유문과 부록으로 입조사적, 묘지명, 신도비 등이 수록되어 있다.

6. 관련 문화재


  • 장성 박수량 백비 : 전라남도의 기념물 198호. 그의 청렴을 기리기 위해 장성군 황룡면 금호리 호사(여절)마을 묘소 앞에 세운 호패형 무서백비이다.
  • 장성 수산사 : 1833년(순조 33년) 고을 선비들이 돈재 박연생의 절의와 교리 김개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황룡면 수산리에 창건하였다. 1868년(고종 5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 때 훼철되었으나, 1976년 복설하였다. 1979년 정혜공 박수량ㆍ백우당 박상의ㆍ눌헌 박상지를 추배하고, 1986년 돈암 박자온을 추배하였다.

7. 현대적 의의

참조

[1] 문서 호를 아곡(莪谷)이라 하는데 아곡이라는 표현은 18세기 말에 와서 후손들이 붙였다. 그 전까지의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2] 문서 광주목사(廣州牧使) 십청헌 [[김세필]]과 일찍이 국학에서 사제간으로 있을 때 박수량이 침착하고 근면하여 한 글자도 마음놓고 지나가질 않고 정신을 쏟아 묻기를 좋아하여 그를 특별히 사랑하였다.
[3] 뉴스 백비의 깊은 뜻… "맑고 텅 빈 마음을 기억하라"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9-10
[4] 문서 시망에 대해 하비 하기를 정혜라 하였다. 청백으로 절개를 지키는 '청백수절(淸白守節)'과 백성을 아끼며 즐거움을 같이하는 '애민호여(愛民好與)'의 뜻이다.
[5] 문서 비명은 연재 [[송병선]]이 찬하고, 비문은 면암 [[최익현]]이 썼다. 주요 내용은 하서 [[김인후]]가 찬한 묘지명을 언급하고 있으며, 추가로 시호 정혜가 내려진 내용, 위패를 서삼면 모암서원에 모신 내용이다. 또 공에 대한 문헌적 증거는 병화에 타서 말하지는 못하지만 후세에 믿을 만한 것은 오직 김하서 선생이 지은 비문이다 할 것이니 귀중하다 하고 있다.
[6] 뉴스 “비석도 남기지 말라”던 박수량 등 청백리의 고장 전남 장성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7-02-22
[7] 문서 배향 인물 : 박연생(朴衍生)·김개(金漑)·박수량(朴守良)·박상의(朴尙義)·박상지(朴尙智)·박자온(朴自溫)
[8] 웹사이트 수산사(水山祠)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